KR102131715B1 - 침 진동 자극기 - Google Patents

침 진동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715B1
KR102131715B1 KR1020180145087A KR20180145087A KR102131715B1 KR 102131715 B1 KR102131715 B1 KR 102131715B1 KR 1020180145087 A KR1020180145087 A KR 1020180145087A KR 20180145087 A KR20180145087 A KR 20180145087A KR 102131715 B1 KR102131715 B1 KR 10213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ttle
acupuncture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845A (ko
Inventor
황동석
이경훈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주)비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비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8014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7Stimulation by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침을 이루는 침병의 일 단이 상기 침병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침병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침병 장착부; 및 상기 침병 장착부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침 진동 자극기{Vibrating Stimulator for Needle}
본 발명은 침 진동 자극기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침병을 단단히 파지한 상태에서 침에 진동 자극을 제공하는 침 진동 자극기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식생활 환경의 향상과 더불어 영양섭취가 양호해지면서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으나, 식생활의 서구화, 음식의 과다 섭취, 육체적 운동 부족 등으로 말미암아 생활 습관형 질환인 비만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비만이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면서, 과체중 및 비만자들이 체중감량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 수 많은 비만 해소 방안들이 개발되었는데, 대체로 적절한 운동보다는 한가지 음식으로 배출에 초점을 둔 음식 다이어트 및 무분별한 약품, 지방 흡인술, 설사약, 이뇨제, 식이섬유 섭취, 뜸, 원적외선 사우나복, 토닝 시스템 등이 유행 되고 있다.
그러나, 다이어트에 대한 정확하고 과학적인 원인 파악 및 인체 신진대사의 기전과 영양 생리학적으로의 접근은 등한시 한 채, 무분별하게 체중감량의 효과에만 치중함으로써, 영양소 섭취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어 신진대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비만 외에도 신진 대사 장애 예를 들어, 국부적인 부위의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하여 건강 상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에 한방학적 도구인 침을 이용한 지방분해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침은 사람이나 가축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쓰이는 바늘처럼 생긴 가늘고 긴 의료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침은 그 분류에 따라 참침(鍼) · 원침(員鍼) · 제침(鍼) · 봉침(鋒鍼) · 피침(鍼) · 원리침(員利鍼) · 호침(毫鍼) · 장침(長鍼) · 대침(大鍼) 등이 있었다. 최근에는 호침(毫鍼) · 동침(銅鍼) · 삼릉침(三稜鍼) · 잎침 · 피내침(皮內鍼) · 피부침(皮膚鍼) · 돌개침[전침(轉鍼)] · 전기침(電氣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침을 활용하여 보다 더 나은 치료법을 얻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침 활용에 대한 연구는 침이 가진 잠재력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진동 자극을 침에 인가하여, 피하조직에 물리적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침 진동 자극기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침에 진동을 인가하는 침 진동 자극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침을 단단히 파지한 상태에서 침에 진동을 인가하는 침 진동 자극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 파지력과 함께 용이한 착탈 방식을 가지는 침 진동 자극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동 생성을 위한 모터에 의한 피부 화상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침 진동 자극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침을 이루는 침병의 일 단이 상기 침병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침병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침병 장착부; 및 상기 침병 장착부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부는, 상기 침병 장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침병 장착부에 상기 침병이 삽입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침병이 상기 침병 장착부에 삽입 결합된 경우, 상기 침병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침병, 상기 침병 장착부 및 상기 모터부가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침병 장착부가 수용되며, 일 면에 제1 결합부가 마련된 제1 케이스; 및 상기 모터부가 수용되며, 일 면에 제2 결합부가 마련된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침병의 반경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모터부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침병 장착부의 내면에는, 상기 침병의 꼬임 주기에 상응하는 꼬임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침을 이루는 침병의 일 단이 상기 침병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침병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침병 장착부; 및 상기 침병 장착부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침병을 상기 침병 장착부가 침병의 길이방향으로 파지하기 때문에, 침병을 보다 넓게 파지할 수 있으며, 침병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의 진동을 인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부는, 상기 침병 장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침병 장착부에 상기 침병이 삽입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침병이 상기 침병 장착부에 삽입 결합된 경우, 상기 침병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침병, 상기 침병 장착부 및 상기 모터부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와 상기 침병 사이에 상기 침병 장착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로부터의 구동열이 상기 침병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침병 장착부가 수용되며, 일 면에 제1 결합부가 마련된 제1 케이스; 및 상기 모터부가 수용되며, 일 면에 제2 결합부가 마련된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침병의 반경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모터부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모터부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이 의도치 않게 풀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침병 장착부의 내면에는, 상기 침병의 꼬임 주기에 상응하는 꼬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침병 장착부와 상기 침병이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침병 장착부는 상기 침병을 보다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침(N)은 침체(NB) 및 침병(NG)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침병(NB)는 피부에 침습하는 침두와 침병과 결합하는 침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침병(NG)는 침자루를 의미하는 구성으로, 시술자가 파지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침병(NG)은 파지의 용이성을 위하여 침체(NB) 보다 두껍고, 코일이 촘촘하게 감겨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상기 침병(NG)에 결합하여, 침두로 진동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100)는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0)와 상기 제2 케이스(130)는 후술할 침병 장착부(120) 및 모터부(13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침병 장착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병(NG)이 상기 침병(NG)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 연장하는 형상의 침병 장착구(112)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침병(NG)은 상기 침병 장착구(112)를 통하여 상기 침병(NG)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병 장착부(120)는 내면은 상기 침병(NG)의 삽입 결합 시, 상기 침병(NG)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침병 장착부(12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상기 침병(NG)가 접촉하는 영역은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침병이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침병(NG)이 상기 침병 장착구(112)에 삽입되는 경우(도 3의 I 방향), 상기 침병(NG)은 상기 침병 장착부(120)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침병 장착구(112)는 상기 침(N)을 상기 침(N)의 길이 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침(N)이 자력에 의하여 파지되는 원리이기 때문에 침(N)은 용이하게 침병 장착구(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착탈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32)는 상기 침병(NG)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모터부(132)는 도 3의 L 방향을 기준으로, 침병(NG), 침병 장착부(12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침병(NG)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병(NG)이 진동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부(132)는 상기 침병(NG)을 상기 침병(NG)의 길이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는 침병(NG)에 침병(NG)의 반경 방향(도 3의 R 방향)으로 인가되는 특정 방향으로의 진동이 최소화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침두가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부(132)는 진동 세기, 진동 주기와 같은 진동 제어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모터부(132)는 제어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모터부(132)의 on/off를 제어하는 모터 잠금 스크류(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잠금 스크류(134)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모터부(132)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케이스(110)와 상기 제2 케이스(130)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케이스(110)의 일 면 예를 들어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114)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케이스(130)의 일 면 예를 들어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136)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14, 136)는 상기 침병의 반경 방향(R)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14, 136)가 상기 모터부(132)의 반경 방향(R)에 위치하는 경우, 모터부(132)로부터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14, 136)간의 나사 결합이 풀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14, 136)의 결합 부위가 모터부(132)로부터 멀어질 수 있으므로, 의도치 않은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제2 결합부(136)가 위치하기 위하여, 제2 케이스(130)의 단면은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결합부(114, 136) 간의 결합력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제2 케이스(130)의 외부로 상기 모터부(132)로 조립하는 홀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편의성도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114, 136)가 상기 침병(NG)의 반경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침병(NG)의 반경 방향으로 인가되는 진동이 상쇄될 수 있다.
한 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케이스(110)는 상기 모터부(132)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턱(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턱(116)은 상기 모터부(132)가 상기 제2 케이스(130)로부터 상기 제1 케이스(110) 방향(도 3의 B 방향)으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턱(116)은 도 3의 L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침병(NG)의 일 단과 상기 모터부(132)의 일 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침병(NG)과 상기 모터부(132)가 상기 차단벽(116)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모터부(132)에서 구동열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침병(NG)이 가열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병 장착부(120)의 일 면 예를 들어 내면에는 상기 침병(NG)의 꼬임 주기에 상응하는 꼬임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병(NG)은 일정 주기로 꼬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침병 장착부(120)는 상기 침병(NG)의 꼬임 주기의 N 배(N은 1 이상의 정수)의 주기를 가지는 꼬임부(122)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침병 장착부(120)는 상기 침병(NG)을 보다 단단히 파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를 설명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침 진동 자극기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제1 케이스(110), 상기 침병 장착부(120), 상기 제2 케이스(130), 상기 모터부(132) 및 모터 잠금 스크류(134)가 준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케이스(110) 내측에 상기 침병 장착부(120)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케이스(130) 내측에 상기 모터부(132)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케이스(130) 일 측에 상기 모터 잠금 스크류(134)가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케이스(110)의 제1 결합부(114)와 상기 제2 케이스(130)의 제2 결합부(136)를 체결할 수 있다. 본 과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가 준비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모터부(132)가 원격 제어되는 경우, 침 진동 자극기 내부에는 배터리 및 원격 제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시술자는 환자의 환부에 침습시킬 수 있다. 침습 후에, 침습된 침의 침병(NG)을 침병 장착부(120)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모터부(132)를 구동하여 환부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의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단순히 침병에 모터를 구비한 클립을 결합시킨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집게가 침병을 임의의 방향으로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집게로부터의 진동 방향도 임의적이게 된다. 즉, 집게로부터의 진동은 침병을 통하여 침두에 전달되는데, 이 때, 침두도 임의의 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에 따라 침두가 피부(S)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침두가 피부(S)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모터부가 피부에 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모터에 의한 화상이나 다른 침을 건드리게 되는 2차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집게가 침병을 파지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집게의 진동 시에도 침병으로부터 집게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2차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를 침병(NG)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병 장착부(120)가 침병(NG)을 길이방향의 넓은 면적으로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침병(NG)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고, 모터부(132)로부터의 진동 방향은 침병(NG)의 길이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나아가 침병 장착부(120)의 내면은 침병(NG)의 꼬임 주기에 상응하는 꼬임부(122)를 가질 수 있으므로, 자력 및 정합 형상에 의하여 침병(NG) 파지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두가 피부(S)로부터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섬유화된 조직(ST)에 물리적인 진동 자극을 침 길이 방향(V)으로 인가함으로써, 섬유화된 조직을 정상화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한의학에서는, 인체에 질병이 발병하였을 때 근육 사이, 관절 사이의 소위 경혈이라고 부르는 곳에 침을 파지시킨 뒤에 염전(침을 돌리거나 눌렀다 뺏다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을 줌으로써 질병을 치료 하고 있다. 최근에 침술은 신경치료와 피부미용 및 비만치료 등으로 적용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환부에 침습된 침에 대하여 물리적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피부 내부에는 섬유질이 위치하고 있는데, 섬유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탄성을 잃어버리는 섬유화 과정을 겪게 된다. 만약 섬유질의 섬유화가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면역력 저하, 기미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화가 진행되는 조직에 침을 침습시킨 상태에서 침에 물리적 진동을 가하는 경우, 침두가 섬유화된 조직을 풀어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섬유화된 조직을 정상화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침에 전극을 연결하여 침을 통하여 인체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침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침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침기는 침을 놓은 후에 전기적인 자극만을 가해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침술효과를 높여 주기 위하여 별도로 염전을 함께 병행하면서 전침술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시술자가 침에 연결되어 있는 전극을 떼어내고서 염전을 한 후에 다시 침에 전극을 연결하여 전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침에 물리적인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침을 침습시킨 상태에서도 염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높은 파지력, 편리한 착탈 방식, 2차 사고 예방이라는 특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지방분해에도 활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열량이 줄어들면, 몸은 체지방을 소모하여 필요한 열량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혈액 순환이 원활한 부위의 체지방은 쉽게 소모되나,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부위의 체지방은 소모되지 못하고 남아있게 된다. 특히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부위는 단단하게 섬유화가 진행된 셀룰라이트 상태의 지방층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고질적인 비만을 겪고 있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 진동 자극기는 물리적인 진동을 피하 조직에 인가됨으로써, 기혈 순환 장애, 미세 혈관 순환 장애, 림프 순환 장애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액 순환이 원활해 지므로, 체지방 연소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이로써, 지방분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침을 이루는 침병의 일 단이 상기 침병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침병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침병 장착부; 및
    상기 침병 장착부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침병 장착부가 수용되며, 일 면에 제1 결합부가 마련된 제1 케이스; 및
    상기 모터부가 수용되며, 일 면에 제2 결합부가 마련된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침병의 반경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모터부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차단턱은, 상기 침병의 일 단과 상기 모터부의 일 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침병과 상기 모터부를 물리적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모터부가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상기 제1 케이스 방향으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침 진동 자극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침병 장착부를 기준으로, 상기 침병 장착부에 상기 침병이 삽입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마련되는, 침 진동 자극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이 상기 침병 장착부에 삽입 결합된 경우, 상기 침병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침병, 상기 침병 장착부 및 상기 모터부가 배열되는, 침 진동 자극기.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 장착부의 내면에는, 상기 침병의 꼬임 주기에 상응하는 꼬임부를 가지는, 침 진동 자극기.
KR1020180145087A 2018-11-22 2018-11-22 침 진동 자극기 KR10213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87A KR102131715B1 (ko) 2018-11-22 2018-11-22 침 진동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87A KR102131715B1 (ko) 2018-11-22 2018-11-22 침 진동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45A KR20200059845A (ko) 2020-05-29
KR102131715B1 true KR102131715B1 (ko) 2020-07-08

Family

ID=7091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087A KR102131715B1 (ko) 2018-11-22 2018-11-22 침 진동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132A (ko) 2022-03-08 2023-09-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방향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진동침 시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6101A4 (en) * 2020-06-11 2024-02-21 Yunnan Liheng Medical Tech Co Ltd TREATMENT PEN, MAIN MACHINE AND INSTRUMENT FOR TREATMENT OF LIMB PA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678Y1 (ko) * 2002-01-21 2002-04-26 유태우 수지침 시술용 진단구
JP2014217409A (ja) * 2013-04-30 2014-11-20 コノコ医療電機株式会社 ゆらぎ振動針圧マッサージ器
KR101691892B1 (ko) * 2015-12-21 2017-01-17 김영배 휴대용 지압 안마기
JP2017164130A (ja) 2016-03-15 2017-09-21 コノコ医療電機株式会社 垂直振動発生装置を備える鍼マッサージ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678Y1 (ko) * 2002-01-21 2002-04-26 유태우 수지침 시술용 진단구
JP2014217409A (ja) * 2013-04-30 2014-11-20 コノコ医療電機株式会社 ゆらぎ振動針圧マッサージ器
KR101691892B1 (ko) * 2015-12-21 2017-01-17 김영배 휴대용 지압 안마기
JP2017164130A (ja) 2016-03-15 2017-09-21 コノコ医療電機株式会社 垂直振動発生装置を備える鍼マッサージ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132A (ko) 2022-03-08 2023-09-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방향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진동침 시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45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550B2 (en) Method of treatment with the combination of a gem or a crystal removably attached with a mechanical coupling device to an acupuncture needle or to a vibratory device for acupressure treatment
KR102131715B1 (ko) 침 진동 자극기
US20180133100A1 (en) Massage Device Alleviating Rhinitis
CN201263771Y (zh) 多功能眼睛保健治疗仪
US20160228325A1 (en) Motorized Muscle Relaxing Therapy System
KR20220004562A (ko) 전기 요법 및 열 요법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해 피부에 적어도 하나의 패드 유닛을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조절 메커니즘을 갖는 의복 구조체
US20210137775A1 (en) Massager
US6016451A (en) Neurological stabilizer device
KR101717894B1 (ko) 건 타입 전극부를 구비한 중주파 치료기
EP1889637B1 (en) Apparatus for auricular therapy
KR20070105441A (ko) 인체의 특정부위 치료를 위한 저주파 마사지기
CN209713992U (zh) 宠物用的理疗装置
WO2002062419A1 (en) Portable far-infrared temporomandibular disease treatment device
US20160106574A1 (en) Thermal Body Suit
KR200183035Y1 (ko) 적외선 온열 자기 맛사지 치료기
KR200356688Y1 (ko) 침의 가열장치
KR101524976B1 (ko) 온열 저주파 베개
US20020099403A1 (en) T-pellet for acupuncture
JP3084612U (ja) 電気治療器
KR102119237B1 (ko) 다기능 초음파 물리치료기
KR200338397Y1 (ko) 패드형 안마기
KR101727629B1 (ko) 뜸 기구
KR102099303B1 (ko) 손등용 수배혈 자극기
CN109806133A (zh) 一种可热敷型膝盖按摩器
KR100910651B1 (ko) 자석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