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565B1 -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565B1
KR102131565B1 KR1020190118917A KR20190118917A KR102131565B1 KR 102131565 B1 KR102131565 B1 KR 102131565B1 KR 1020190118917 A KR1020190118917 A KR 1020190118917A KR 20190118917 A KR20190118917 A KR 20190118917A KR 102131565 B1 KR102131565 B1 KR 10213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hydrological
cleaning device
passa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태환
이강율
이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을 닫기 전에 수문구조물의 통로를 정리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는 수문을 닫기 전에 수문구조물의 통로를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통로의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수문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문구조물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에 접촉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APPARATUS FOR CLEANING FLOODGATE STRUCTURE}
본 발명은 수문을 닫기 전에 수문구조물의 통로를 정리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구조물의 전면 중 통로의 주변에 붙어 있는 따개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통로의 하부에 퇴적된 펄이나 이토를 제거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수문(10) 및 수문구조물(20)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문(10)은 흔히 크레인(미도시)에 장착되어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닫힌다.
이러한 수문은 예컨대 해상발전설비에서 해저에 설치된 펌프(해수취수펌프, 해수순환펌프 등)를 정비할 때 해수가 펌프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수문(10)이 열려 있는 동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문구조물(20)의 전면 중 통로(21)의 주변(20A)에 따개비 등의 이물질이 붙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수문(10)이 닫힐 때 수문(10)이 그 이물질로 인해 수문구조물(20)의 전면에 긴밀하게 접하지 못해 수문(10)이 제대로 닫히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로(21)의 하부(20B)에 펄이나 이토가 퇴적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수문(10)이 그 펄이나 이토로 인해 바닥에 긴밀하게 접하지 못해 수문(10)이 제대로 닫히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문을 닫기 전에 수문구조물의 통로를 정리할 수 있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는 수문을 닫기 전에 수문구조물의 통로를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통로의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수문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문구조물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에 접촉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문구조물의 통로의 하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하단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좌우 양단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본체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함께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노즐은 상기 제2 유로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노즐은 제1 분사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제1 분사구 및 상기 제1 분사방향과 다른 제2 분사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제2 분사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사방향은 상기 제1 분사방향에 대해 전방이나 후방으로 경사지게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는 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스크레이퍼가 수문구조물의 전면 중 통로의 주변에 붙어 있는 따개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수문이 닫힐 때 수문이 수문구조물의 전면에 긴밀하게 접할 수 있어, 예컨대 해수가 펌프실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이 통로의 하부에 퇴적된 펄이나 이토를 제거함으로써, 수문이 닫힐 때 수문이 바닥에 긴밀하게 접할 수 있어, 예컨대 해수가 펌프실로 유입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수문 및 수문구조물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는 본체(110), 스크레이퍼(120) 및 노즐(13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수문(1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수문(10)이 닫히는 양상과 동일하게 크레인(미도시)에 장착되어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참고로 여기서 '상측(上側)', '하방(下方)'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후술할 '전면(前面)', '하부(下部)', '좌우(左右)', '후방(後方)' 등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본체(110)가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본체(110)가 사각형 프레임 등으로 형성되거나 본체(110)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물이 본체(110)를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본체(110)에 작용하는 정수압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수문구조물(20)의 전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배치된다.
스크레이퍼(120)는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보다 큰 너비, 특히 수문(10)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20)는 본체(110)와 수문구조물(20)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은 본체(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문구조물(20)을 향해 돌출되어 수문구조물(20)의 전면에 접촉된다.
이에 의하면 본체(110)가 이동함에 따라 스크레이퍼(120)가 수문구조물(20)의 전면 중 통로(21)의 주변(20A)을 긁고 지나가면서 그 주변(20A)에 붙어 있던 따개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수문(10)이 닫힐 때 수문(10)이 수문구조물(20)의 전면에 긴밀하게 접할 수 있어 수밀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스크레이퍼(1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수문구조물(20)의 전면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130)은 본체(110)에 결합되어,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하부(20B)를 향해 예컨대 약 10 ㎏/㎤ 내외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하부(20B)에 퇴적된 펄이나 이토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하면 수문(10)이 닫힐 때 수문(10)이 바닥에 긴밀하게 접할 수 있어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노즐(130)은 복수로 마련되어, 본체(110)의 하단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유로(141)가 본체(110)의 좌우 양단을 따라 각각 연장되고, 제2 유로(142)가 본체(110)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어, 제1 유로(141)와 제2 유로(142)가 함께 연결되며, 복수의 노즐(130)이 제2 유로(142)를 따라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노즐(130)에 물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만 있다면 해당 유로(141, 142)는 얼마든지 달리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노즐(130)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가질 수 있다. 이를테면 각각의 노즐(130)은 제1 분사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제1 분사구(131) 및 제1 분사방향과 다른 제2 분사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제2 분사구(132)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제1 분사구(131)는 연직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고, 제2 분사구(132)는 그에 대해 전방이나 후방으로 경사지게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분사구(131)와 제2 분사구(132)를 통해 더 넓은 영역에 걸쳐 물을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분사구(132)를 이용해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하부(20B)에 퇴적된 펄이나 이토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밀어낼 수 있어, 그 펄이나 이토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를 이용해 수문(10)을 닫기 전에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를 정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미도시)에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를 장착하여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본체(110)를 내린다.
이에 본체(110)가 이동함에 따라 스크레이퍼(120)가 수문구조물(20)의 전면 중 통로(21)의 주변(20A)을 쓸고 지나가면서 그 주변(20A)에 붙어 있던 따개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노즐(130)이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하부(20B)를 향해 물을 분사함으로써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의 하부(20B)에 퇴적된 펄이나 이토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본체(110)를 다시 올리고, 필요에 따라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를 보다 확실하게 정리하기 위해 전술한 과정을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이후 수문구조물(20)의 통로(21)를 충분히 정리하고 나면, 크레인로부터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를 분리하고 수문(10)을 장착하여 수문(10)을 내린다.
이에 의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를 이용해 수문구조물(20)의 전면 중 통로(21)의 주변(20A)과 통로(21)의 하부(20B)를 정리함으로써, 수문(10)이 수문구조물(20)의 전면과 바닥에 긴밀하게 접할 수 있어 수밀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10: 기존 수문
20: 기존 수문구조물
21: 통로
20A: 통로의 주변
20B: 통로의 하부
100: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110: 본체
120: 스크레이퍼
130: 노즐
131: 제1 분사구
132: 제2 분사구
141: 제1 유로
142: 제2 유로

Claims (7)

  1. 해상발전설비에서 해저에 설치된 펌프를 정비할 때 해수가 펌프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수문을 닫기 전에 수문구조물의 통로의 주변을 정리함으로써 수문이 수문구조물에 긴밀하게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문구조물의 통로의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수문구조물의 통로보다 큰 너비를 갖고, 상기 본체와 상기 수문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문구조물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수문구조물의 통로의 주변을 긁고 지나갈 수 있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수문구조물의 전면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문구조물의 통로의 하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하단을 따라 배열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 양단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본체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유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함께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노즐은 상기 제2 유로를 따라 결합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노즐은 제1 분사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제1 분사구 및
    상기 제1 분사방향과 다른 제2 분사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된 제2 분사구를 갖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방향은 상기 제1 분사방향에 대해 전방이나 후방으로 경사지게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KR1020190118917A 2019-09-26 2019-09-26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KR10213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17A KR102131565B1 (ko) 2019-09-26 2019-09-26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17A KR102131565B1 (ko) 2019-09-26 2019-09-26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565B1 true KR102131565B1 (ko) 2020-07-07

Family

ID=7160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917A KR102131565B1 (ko) 2019-09-26 2019-09-26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5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0470A (zh) * 2021-10-04 2022-02-01 魏冬梓 一种水利工程水闸装置
KR20220065477A (ko) 2020-11-13 2022-05-20 정용채 해수취수시설의 수문청소장치
KR20220065479A (ko) 2020-11-13 2022-05-20 정용채 해수취수시설의 수문청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471B1 (ko) * 1999-10-06 2002-10-25 농어촌진흥공사 하천 배수문의 토사제거용 문비
US20160279675A1 (en) * 2015-03-25 2016-09-29 Ruggenthaler Manufacturing, LLC Self-actuating debris remova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471B1 (ko) * 1999-10-06 2002-10-25 농어촌진흥공사 하천 배수문의 토사제거용 문비
US20160279675A1 (en) * 2015-03-25 2016-09-29 Ruggenthaler Manufacturing, LLC Self-actuating debris removal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477A (ko) 2020-11-13 2022-05-20 정용채 해수취수시설의 수문청소장치
KR20220065479A (ko) 2020-11-13 2022-05-20 정용채 해수취수시설의 수문청소장치
CN114000470A (zh) * 2021-10-04 2022-02-01 魏冬梓 一种水利工程水闸装置
CN114000470B (zh) * 2021-10-04 2023-12-01 中正信达建设工程(广东)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水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565B1 (ko) 수문구조물 클리닝장치
KR101934406B1 (ko) 저수층 배출 구조의 전도식 가동보
KR20180119404A (ko) 염수공급관 세척시스템
KR20180119403A (ko) 개량형 이동식 염수분사 장치
CN204197053U (zh) 带有冲水装置的挡泥板
KR101437644B1 (ko) 수문장치
JP2001129313A (ja) 揚砂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019659B1 (ko) 이물질 차단구조를 갖는 전도식 수문
CN210766656U (zh) 一种防洪节制闸门冲淤装置
JP2018016957A (ja) 管内清掃ロボット
JP2002177899A (ja) 洗浄装置
KR100808688B1 (ko) 하천오염의 확대를 방지하는 상류하천의 댐구조물
KR101822332B1 (ko) 퇴적물 제거 구조를 갖는 전도식 가동보
CA2048041C (en) Underwater surface-layer removal device having a flexible drapable skirt
KR20220132839A (ko) 수문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09307963U (zh) 一种具有冲污系统的闸门装置
KR101934407B1 (ko) 저수층 배출 구조의 전도식 가동보
JPH09228349A (ja) 水門扉
CN214530539U (zh) 一种气动闸门
KR20220132838A (ko) 수문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H0717423Y2 (ja) 洗浄装置
KR200202801Y1 (ko) 이동식 표면 세척기
JP4173754B2 (ja) 洗浄装置
JP4538405B2 (ja) 浮遊物回収システム
CN217758241U (zh) 一种公路养护用碎石清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