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132B1 - Seismic Load Attenuating Damper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Seismic Load Attenuating Damper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1132B1 KR102131132B1 KR1020200061594A KR20200061594A KR102131132B1 KR 102131132 B1 KR102131132 B1 KR 102131132B1 KR 1020200061594 A KR1020200061594 A KR 1020200061594A KR 20200061594 A KR20200061594 A KR 20200061594A KR 102131132 B1 KR102131132 B1 KR 102131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iction plate
- elastic member
- housing
- elastic
- support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4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using combinations of springs of different ki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8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하 '기존 구조물'이라 함) 등에 설치되어 지진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전달되는 지진하중을 적절히 감쇠시킴과 동시에 구조물의 급격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내진보강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that is installed on a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existing structure') to effectively damp an earthquake load and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uses earthquake and friction forces to reduce the earthquake load transmitted in various directions. It relates to a new concept of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that can attenuate properly and prevent sudden collapse of structures.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지진에 대비한 내진보강에 관심이 증대되면서 학교, 공공시설물 등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은 토글 또는 브레이스가 구비된 마찰댐퍼, 점성댐퍼, 슬릿강재댐퍼 등의 제진보강공법과 철골브레이스, 철골프레임, CF기둥보강 등의 내진보강공법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As interest in seismic reinforcing against recent earthquakes has increased, seismic reinforcing of building structures such as schools and public facilities has been made, and in general, seismic reinforcing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s a friction damper equipped with a toggle or brace, Anti-vibration reinforcement methods such as viscous dampers and slit steel dampers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s such as steel bracing, steel frame, and CF column reinforcement are actively used.
그러나 상기한 여러 종류의 내진보강공법들의 자체 성능은 다양한 실험 및 다수의 실적을 통하여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지진 발생시 내진보강장치와 보강대상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체거동을 확보할 수 없다면 이러한 공법들은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다.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bove-mentioned various types of seismic reinforcing methods has been secured to some extent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a number of results.However, if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and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o be reinforced cannot be secured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these methods They have no choice but to be useless.
따라서 내진보강장치나 공법 자체의 개발과 함께 내진보강장치와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체 거동을 확보할 수 있는 접합구조에 대한 연구 개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or the construction method itself,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joint structure that can secure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and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increasing. The related prior art is as follows.
도1(a)와 같이 내진보강용 H형강의 웨브를 보강대상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하여 내진보강할 경우 보강대상 콘크리트 구조물(1)에 다수의 수지앵커(2)를 1열 또는 2열로 장치하고, 내진보강용 H형강의 웨브(4)에 다수의 스터드볼트(3)를 1열 또는 2열로 용접결합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5)를 타설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접합방법은 지진이 발생할 때 불규칙한 지진 에너지(횡하중)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고, 균열이 발생됨과 동시에 H형강으로 지진하중의 전달이 어려워져 소기의 내진보강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web of H-shaped steel for seismic reinforcement is join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o be reinforced as shown in FIG. 1(a), when the seismic reinforcement is performed, a plurality of
또한 도1(b)와 같이 내진보강용 H형강의 플랜지(7)를 보강대상 콘크리트 구조물(1)에 앵커(8) 및 에폭시수지(9)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방식으로 내진보강할 경우 도1(c)에 도시된 것처럼 천공드릴(10)을 이용한 앵커구멍 천공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천공작업 과정에서 천공드릴(10)이 상부 플랜지(11)에 간섭되어 규정된 깊이의 수직 천공이 어렵고, 천공작업 과정에서 보강대상 콘크리트 구조물(1) 내부의 철근과 천공드릴이 맞닿을 경우 이를 회피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없어 내진보강장치의 견고한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교적 길이가 긴 천공드릴(13)을 사용하여 앵커구멍 천공작업시 상부플랜지(11)에도 구멍을 뚫는 경우도 있으나 이 방법 역시 천공작업 도중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과 맞닿을 경우 이를 회피할 적절한 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천공 과정이 추가되고, 상부플랜지(11)의 천공에 따른 강도 저하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b), when seismic reinforcement by joining the
아울러, 도1에 도시된 내진구조들은 지진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기능이 거의 없어 보강 구조물의 강도를 초과하는 지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보강 구조물과 함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가 급속히 이루어지면서 대피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structures shown in FIG. 1 have almost no function to effectively attenuate the seismic load, and when an earthquake load exceeding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acts,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llapse rapidly and evacuate tim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cannot be sufficiently secured.
따라서 효과적인 시공으로 내진보강장치와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체 거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진하중을 적절히 감쇠시키고,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급속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develop a new technology capable of properly seismic reinforcing device and the integrity of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effectively damping the seismic load and preventing rapid collapse of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선행기술문헌][Advanced technical literature]
등록특허 제10-1070872호Registered Patent No. 10-1070872
등록특허 제10-1368312호Registered Patent No. 10-1368312
등록특허 제10-1900459호Registered Patent No. 10-1900459
등록특허 제10-2017546호Registered Patent No. 10-2017546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으로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일체 거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진하중을 적절히 감쇠시킬 수 있고,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급속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지진하중 감쇠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nsures an integral behavior with a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quick and easy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can adequately attenuate earthquake loads and prevent rapid collapse of a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esent a new seismic load damping damper and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진보강구조물에 장착되어 지진하중을 감쇠시키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회전공간이 마련된 원통관 형상의 부재로서 양측 밑면 각각에는 제1스크루통과공(211)이 형성된 하우징부(210);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부(210) 내부의 회전공간에 수용되며, 원기둥 형상의 중심축을 따라 제2스크루통과공(2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크루통과공(22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222)가 구비된 회전체(220); 원형봉 형상의 부재로서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 절개홈(235)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제1스크루통과공(211)과 상기 회전체(220)의 제2스크루통과공(221)를 통과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양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크루바(230);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크루바(2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지지캡(240);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 밑면과 상기 제1탄성부재지지캡(240) 사이에 장착되는 제1탄성부재(245);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크루바(23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지지캡(250); 및,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 밑면과 상기 제2탄성부재지지캡(250)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부재(255);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220)의 가이드돌기(222)는 상기 스크루바(230)의 나선형 절개홈(235)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크루바(230)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면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mounted on an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to dampen an earthquake load, and a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구조물의 외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기존 구조물의 외벽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보강철골기둥(100); 제1장착브라켓(341) 또는 제2장착브라켓(342) 가운데 어느 하나는 보강철골기둥(100)과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기존 구조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ch a damper, it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structure, the reinforcement steel column (100) is installed to maintain a gap with 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structure; One of the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Technic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진하중을 마찰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First, seismic loads acting in various directions can be effectively damped using friction and elastic forces.
다시 말하면, 스크루바(230)를 어느 일측으로 밀었다가 놓으면 제1탄성부재(245)와 제2탄성부재(255)의 탄성 작용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러한 탄성 작용에 의하여 지진하중을 점진적으로 감쇠하게 되고, 회전체(220)가 회전할 경우 회전체(220)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마찰판(260)의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열을 통하여 지진하중(에너지)가 감쇠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또한, 하우징마찰판(280)과 제1회전마찰판(315)의 접촉면 및 제2탄성부재지지캡(250)과 제2회전마찰판(325)의 접촉면에는 회전시 볼트의 결합력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면서 지진하중이 감쇠될 수 있고, 파형 웨이브(330)의 탄성 범위 내에서 신장과 수축, 좌우 또는 상하 방향 진동을 통하여 지진하중(에너지)을 감쇠할 수도 있는데, 회전 방향이나 거동 방향이 입체적으로 서로 달라 다양한 방향에서 전달되는 지진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둘째, 기존 구조물의 외부에 보강철골기둥(100)을 설치하고, 지진하중 감쇠 댐퍼를 통하여 보강철골기둥(100)과 기존 구조물의 외벽을 하나로 연결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Second, by installing the reinforced
셋째, 마찰력과 탄성력으로 감당하지 못하는 규모의 지진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파형 웨이브(330)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을 통하여 보강철골기둥(100)과 기존 구조물의 결합구조를 유지함으로써 기존 구조물의 급격한 붕괴를 방지하고 거주자들의 탈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Third, even if an earthquake load of a scale that cannot be handled by friction and elasticity acts, the collapse of the existing structure is prevented by maintain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reinforced
도1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결합 구조 이해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스크루바(230)는 단면 구조가 아니라 외형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1댐핑스트랩(310)과 제2댐핑스트랩(320)이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4는 지진하중 감쇠 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the prior art.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oupling structure, the
3 shows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gure 4 show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an earthquake load damping damp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내진보강구조물에 장착되어 지진하중을 감쇠시키는 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that is mounted on an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to dampen earthquake loads and an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댐퍼는 도2에 도시된 단면 구조를 가진다.The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2.
하우징부(210)는 내부에 회전공간이 마련된 원통관 형상의 부재로서 하우징부(210)의 양측 밑면 각각에는 제1스크루통과공(211)이 형성된다.The
회전체(220)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하우징부(210) 내부의 회전공간에 수용된다.The rotating
회전체(220)의 중심축을 따라 제2스크루통과공(221)이 관통되는데, 이러한 제2스크루통과공(22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222)가 돌출되어 스크루바(230)의 나선형 절개홈(235)에 맞물리도록 결합된다.A second screw through
스크루바(230)는 원형봉 형상의 부재로서 스크루바(23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 절개홈(235)이 형성된다.The
스크루바(230)는 하우징부(210)의 제1스크루통과공(211)과 회전체(220)의 제2스크루통과공(221)를 통과하도록 조립되어 하우징부(210)의 양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The
제1탄성부재지지캡(240)은 하우징부(210)의 일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스크루바(2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The first elastic
이러한 제1탄성부재지지캡(240)은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크루바 일측 단부를 따라 나사체결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제1탄성부재지지캡(240)을 측면을 관통하여 스크루바(230)에 도달하는 핀이나 스크루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 등이 선택될 수 있고, 용접결합 등의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elastic
제1탄성부재(245)는 하우징부(210)의 일측 밑면과 제1탄성부재지지캡(240) 사이에 장착되어 제1탄성부재지지캡(240)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데, 코일 스프링 가운데 적절한 규격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The first
제2탄성부재지지캡(250)은 하우징부(210)의 타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스크루바(23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The second elastic
이러한 제2탄성부재지지캡(250)은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크루바 일측 단부를 따라 나사체결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제2탄성부재지지캡(250)을 측면을 관통하여 스크루바(230)에 도달하는 핀이나 스크루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 등이 선택될 수 있고, 용접결합 등의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econd elastic
제2탄성부재(255)는 하우징부(210)의 타측 밑면과 제2탄성부재지지캡(250) 사이에 장착되어 제2탄성부재지지캡(250)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데, 코일 스프링 가운데 적절한 규격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The second
이와 같이 제1탄성부재지지캡(240)과 제2탄성부재지지캡(250) 각각이 제1탄성부재(245)와 제2탄성부재(255)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스크루바(230)를 어느 일측으로 밀었다가 놓으면 제1탄성부재(245)와 제2탄성부재(255)의 탄성 작용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러한 탄성 작용에 의하여 지진하중을 점진적으로 감쇠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rst elastic
아울러, 회전체(220)의 가이드돌기(222)는 스크루바(230)의 나선형 절개홈(235)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있는 바, 스크루바(230)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면 볼스크루와 같은 작동원리에 의하여 회전체(2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탄성마찰판(260)은 하우징부(210)의 내주면과 회전체(22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는데, 탄성마찰판(260)은 판상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연속되는 파형 웨이브 형상으로 제작되고 회전체(2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면서 회전체(220)를 탄성력으로 지지하게 된다. The
따라서, 회전체(220)가 회전할 경우 회전체(2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마찰판(260)의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열을 통하여 지진하중(에너지)가 감쇠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압착판(270)은 하우징부(210)의 내주면과 탄성마찰판(26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마찰판(26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장착된다.The
탄성조절볼트(275)는 하우징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나사체결되며, 하우징부(21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압착판(270)에 맞닿는다. 다수의 탄성조절볼트(275);The
따라서, 탄성조절볼트(275)를 풀거나 조여주면 압착판(270)이 탄성마찰판(260)을 압착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회전체(220)와 탄성마찰판(260)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되면서 지진하중(에너지)의 감쇠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1댐핑스트랩(310)과 제2댐핑스트랩(320)이 추가되는 형태를 도시한다.3 is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orm in which the first damping
하우징마찰판(280)은 제1탄성부재지지캡(240)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연결부재(285)는 일측이 하우징마찰판(28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부(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마찰판(280)과 하우징부(210)를 하나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재(285)는 최소 3개 이상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제1회전마찰판(315)은 하우징마찰판(280)과 맞닿도록 볼트결합된다.The first
제1댐핑스트랩(310)은 스트랩(strap) 형상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좌우 방향으로 파형 웨이브(330)가 형성되는데, 제1댐핑스트랩(310)의 일측 단부는 제1회전마찰판(315)에 용접결합된다.The first damping
파형 웨이브(330)는 탄성 범위 내에서 제1댐핑스트랩(310)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지진하중(에너지)을 감쇠시킬 수도 있고,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지진하중(에너지)을 감쇠시킬 수도 있다.
또한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지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파형 웨이브(330)가 소성 변형을 통하여 길게 늘어지면서 기존 구조물과 보강철골기둥(100)의 결합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기존 구조물의 급격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arthquake load exceeding the elastic limit acts, the
제1장착브라켓(341)은 "⊥"형 단면을 가지며, 제1댐핑스트랩(310)의 타측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볼트결합된다.The
제1회전마찰판(315)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원호 형상으로 절개되어 하우징마찰판(280)과 제1회전마찰판(315)이 서로 맞닿아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The first
아울러, 하우징마찰판(280)과 제1회전마찰판(315)의 접촉면에는 회전시 볼트의 결합력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면서 지진하중이 감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ictional heat is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제2회전마찰판(325)은 제2탄성부재지지캡(250)과 맞닿도록 볼트결합된다.The second
제2댐핑스트랩(320)은 스트랩(strap) 형상의 강판으로 제작되어 상하 방향으로 파형 웨이브(330)가 형성되는데, 제2댐핑스트랩(320)의 일측 단부는 제2회전마찰판(325)에 용접결합된다.The second damping
파형 웨이브(330)는 탄성 범위 내에서 제2댐핑스트랩(320)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지진하중(에너지)을 감쇠시킬 수도 있고,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지진하중(에너지)을 감쇠시킬 수도 있다.
또한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지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파형 웨이브(330)가 소성 변형을 통하여 길게 늘어지면서 기존 구조물과 보강철골기둥(100)의 결합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기존 구조물의 급격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arthquake load exceeding the elastic limit acts, the
제2장착브라켓(342)은 "⊥"형 단면을 가지며, 제2댐핑스트랩(320)의 타측 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볼트결합된다.The
제2회전마찰판(325)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원호 형상으로 절개되어 제2탄성부재지지캡(250)과 제2회전마찰판(325)이 서로 맞닿아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In the second
아울러, 제2탄성부재지지캡(250)과 제2회전마찰판(325)의 접촉면에는 회전시 볼트의 결합력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면서 지진하중이 감쇠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도4에는 도3에 도시된 지진하중 감쇠 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의 구체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4 show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earthquake load damping damper shown in FIG. 3.
보강철골기둥(100)은 기존 구조물의 외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기존 구조물의 외벽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철골기둥(100)은 다양한 철골 부재가 선택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다양한 단면 형상의 형강이나 강관 가운데 적절한 것이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형강이나 강관에 보강웨브와 같은 보강부재가 추가로 용접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Various reinforcing
즉,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H" 형강이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의 철골 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 어떤 철골 부재라도 사용이 가능하다.That is, in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 section steel was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ype of steel member, and any steel member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maintain appropriate strength.
이러한 보강철골기둥(100)의 하단부는 파일,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등을 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지면에 고정하는 방식은 이미 상용화된 다양한 시공 방법 가운데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면 된다.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아울러 이러한 보강철골기둥(100)은 창호나 출입구와 같은 개구부가 없는 부위에 설치되거나, 기존 구조물의 기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inforced
제1장착브라켓(341) 또는 제2장착브라켓(342) 가운데 어느 하나는 보강철골기둥(100)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기존 구조물의 외벽에 결합되어 지진하중 감쇠 댐퍼는 기존 구조물과 일체 거동을 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지진하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감쇠하게 된다.Either one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design changes and announce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not changing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ddition or deletion of technology, simple numerical limitation, etc., it is apparent that it falls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보강철골기둥
210:하우징부
211:제1스크루통과공
220:회전체
221:제2스크루통과공
222:가이드돌기
230:스크루바
235:나선형 절개홈
240:제1탄성부재지지캡
245:제1탄성부재
250:제2탄성부재지지캡
255:제2탄성부재
260:탄성마찰판
270:압착판
275:탄성조절볼트
280:하우징마찰판
285:연결부재
310:제1댐핑스트랩
315:제1회전마찰판
320:제2댐핑스트랩
325:제2회전마찰판
330:파형 웨이브
341:제1장착브라켓
342:제2장착브라켓100: reinforced steel pillar
210: housing
211: First screw pass
220: rotating body
221: second screw pass
222: guide projection
230: Scrubber
235: spiral incision groove
240: first elastic member support cap
245: first elastic member
250: second elastic member support cap
255: second elastic member
260: elastic friction plate
270: pressure plate
275: elastic adjustment bolt
280: housing friction
285: connecting member
310: first damping strap
315: 1st friction plate
320: second damping strap
325: Second rotation friction plate
330: waveform wave
341: First mounting bracket
342: second mounting bracket
Claims (3)
내부에 회전공간이 마련된 원통관 형상의 부재로서 양측 밑면 각각에는 제1스크루통과공(211)이 형성된 하우징부(210);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부(210) 내부의 회전공간에 수용되며, 원기둥 형상의 중심축을 따라 제2스크루통과공(2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크루통과공(22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222)가 구비된 회전체(220);
원형봉 형상의 부재로서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 절개홈(235)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제1스크루통과공(211)과 상기 회전체(220)의 제2스크루통과공(221)를 통과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양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크루바(230);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크루바(2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지지캡(240);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 밑면과 상기 제1탄성부재지지캡(240) 사이에 장착되는 제1탄성부재(245);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 밑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크루바(23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지지캡(250);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 밑면과 상기 제2탄성부재지지캡(250)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부재(255);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체(22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회전체(220)의 외주면을 두러싸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판상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연속되는 파형 웨이브 형상으로 제작된 탄성마찰판(260);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주면과 상기 탄성마찰판(26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마찰판(260)의 외측면을 감싸는 압착판(270);
상기 하우징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나사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압착판(270)에 맞닿는 다수의 탄성조절볼트(275);
상기 제1탄성부재지지캡(240)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우징마찰판(280);
일측은 상기 하우징마찰판(28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마찰판(280)과 상기 하우징부(210)를 하나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285);
상기 하우징마찰판(280)과 맞닿도록 볼트결합되는 제1회전마찰판(315);
스트랩(strap) 형상의 강판으로 제작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회전마찰판(315)에 용접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파형 웨이브(330)가 형성된 제1댐핑스트랩(310); 및,
"⊥"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댐핑스트랩(310)의 타측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볼트결합되는 제1장착브라켓(341);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220)의 가이드돌기(222)는 상기 스크루바(230)의 나선형 절개홈(235)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크루바(230)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면 상기 회전체(22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220)가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체(220)를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마찰판(260)의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275)를 풀거나 조여주면 상기 압착판(270)이 상기 탄성마찰판(260)을 압착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상기 회전체(220)와 상기 탄성마찰판(260) 사이의 마찰력이 조절되고,
상기 제1회전마찰판(315)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원호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우징마찰판(280)과 상기 제1회전마찰판(315)이 서로 맞닿아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마찰판(280)과 상기 제1회전마찰판(315)의 접촉면에는 회전시 볼트의 결합력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면서 지진하중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하중 감쇠 댐퍼.As a damper mounted on an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to dampen earthquake loads,
A housing part 210 having a first screw-through hole 211 formed on each of the bottom surfaces of both sides as a cylindrical tube-shaped member provided with a rotating space therein;
As a cylindrical member, it is accommodated in a rotating space inside the housing part 210, and a second screw through hole 221 is formed along a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crew through hole 221 is formed. Rotating body 220 is provided with a guide projection 222;
As a member of a circular rod shape, a helical incision groove 235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screw through hole 211 of the housing part 210 and the second screw through hole of the rotating body 220 A screw bar 230 which is assembled to pass through the 221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ttom sides of the housing part 210;
A first elastic member support cap 240 coupled to one end of the screw bar 230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210;
A first elastic member 245 mounted between on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10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support cap 240;
A second elastic member support cap 25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crew bar 23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10;
A second elastic member 255 mounted between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1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support cap 250;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2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20 is enclosed to form a continuous wave shape using a plate-shaped elastic member. The produced elastic friction plate 260;
A compression plate 270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friction plate 260 an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friction plate 260;
A plurality of elastic adjustment bolts (275) which are screw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10) and penetr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10) to abut the pressing plate (270);
A housing friction plate 28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support cap 2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side by side;
One side is coupled to the housing friction plate 280,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210,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housing friction plate 280 and the housing portion 210 in one;
A first rotation friction plate 315 which is bolted to abut against the housing friction plate 280;
A first damping strap 310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strap shape, one end of which is welded to the first rotary friction plate 315 and has a wave wave 330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mounting bracket 341 having a “⊥”-shaped cross section and bol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amping strap 3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The guide protrusion 222 of the rotating body 220 is coupled to mesh with the helical incision groove 235 of the screw bar 230 to push or pull the screw bar 230 to rotate the rotating body 220 This is done,
When the rotating body 220 rotates, friction heat is generat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elastic friction plate 260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220,
When the elastic adjustment bolt 275 is loosened or tightened,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elastic friction plate 260 is changed while the size of the force for the compression plate 270 to compress the elastic friction plate 260 is changed. Is regulated,
The first rotating friction plate 315 has a hole through which a bolt passes, and is cut in an arc shape so that the housing friction plate 280 and the first rotating friction plate 315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 bolted state. It is possibl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using friction plate 280 and the first rotation friction plate 315 is a damping damper for seismic load damp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load is generated by the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coupling force of the bolt during rotation, and the seismic load is attenuated.
상기 제2탄성부재지지캡(250)과 맞닿도록 볼트결합되는 제2회전마찰판(325);
스트랩(strap) 형상의 강판으로 제작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제2회전마찰판(325)에 용접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파형 웨이브(330)가 형성된 제2댐핑스트랩(320); 및,
"⊥"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댐핑스트랩(320)의 타측 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볼트결합되는 제2장착브라켓(342);
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2회전마찰판(325)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원호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지지캡(250)과 상기 제2회전마찰판(325)이 서로 맞닿아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지지캡(250)과 상기 제2회전마찰판(325)의 접촉면에는 회전시 볼트의 결합력에 따른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면서 지진하중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하중 감쇠 댐퍼.In claim 1,
A second rotation friction plate 325 that is bolted to abut the second elastic member support cap 250;
A second damping strap 320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strap shape, one end of which is welded to the second rotating friction plate 325, and has a wave 3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mounting bracket 342 having a “⊥”-shaped cross section and bol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amping strap 320 in a left-right direction;
This includes more,
The second rotating friction plate 325 is cut in a circular arc shape through which the bolt passes,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support cap 250 and the second rotating friction plate 325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predetermined in a bolted state. It is possible to rotate within the range, and wh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support cap 250 and the second rotation friction plate 325 generates frictional heat due to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coupling force of the bolt during rotation, the earthquake load is attenuated. Earthquake damping damper.
기존 구조물의 외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기존 구조물의 외벽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보강철골기둥(100);
상기 제1장착브라켓(341) 또는 상기 제2장착브라켓(342) 가운데 어느 하나는 상기 보강철골기둥(100)과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기존 구조물의 외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하중 감쇠 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 구조물.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claim 2,
A reinforced steel column (10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structure and installed to maintain a gap with 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structure;
Either one of the first mounting bracket 341 or the second mounting bracket 342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steel column 100, and the other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existing structur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1594A KR102131132B1 (en) | 2020-05-22 | 2020-05-22 | Seismic Load Attenuating Damper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1594A KR102131132B1 (en) | 2020-05-22 | 2020-05-22 | Seismic Load Attenuating Damper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1132B1 true KR102131132B1 (en) | 2020-07-07 |
Family
ID=7160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1594A KR102131132B1 (en) | 2020-05-22 | 2020-05-22 | Seismic Load Attenuating Damper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1132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83574A (en) * | 2020-11-17 | 2021-03-12 | 东北林业大学 | Spiral friction metal damper |
CN112503125A (en) * | 2020-11-18 | 2021-03-16 | 东北林业大学 | Spiral friction type metal damper with self-resetting function |
CN114851241A (en) * | 2022-05-27 | 2022-08-05 | 沈阳工学院 | Rack-based direct-acting variable-stiffness joint device |
CN115217233A (en) * | 2022-07-27 | 2022-10-21 | 金耀 | Friction energy dissipator |
KR102526527B1 (en) * | 2022-08-19 | 2023-04-27 | (주)제이원산업 | Multiple friction damper for structure with case |
CN116084718A (en) * | 2023-03-14 | 2023-05-09 | 汤和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Rectangular steel end protec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8284A (en) * | 2010-12-14 | 2011-02-23 | 김영갑 | Rotation type friction damper and earthquake energy damping device using thereof |
KR101478654B1 (en) * | 2013-12-24 | 2015-01-02 |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 Seismic Retrofit Technology using Diagrid Frames |
KR101848495B1 (en) * | 2017-09-26 | 2018-04-19 | 석탑건설산업 주식회사 | Seismic device using flat spring |
-
2020
- 2020-05-22 KR KR1020200061594A patent/KR1021311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8284A (en) * | 2010-12-14 | 2011-02-23 | 김영갑 | Rotation type friction damper and earthquake energy damping device using thereof |
KR101478654B1 (en) * | 2013-12-24 | 2015-01-02 | (주)창민우구조컨설탄트 | Seismic Retrofit Technology using Diagrid Frames |
KR101848495B1 (en) * | 2017-09-26 | 2018-04-19 | 석탑건설산업 주식회사 | Seismic device using flat spring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83574A (en) * | 2020-11-17 | 2021-03-12 | 东北林业大学 | Spiral friction metal damper |
CN112503125A (en) * | 2020-11-18 | 2021-03-16 | 东北林业大学 | Spiral friction type metal damper with self-resetting function |
CN114851241A (en) * | 2022-05-27 | 2022-08-05 | 沈阳工学院 | Rack-based direct-acting variable-stiffness joint device |
CN114851241B (en) * | 2022-05-27 | 2023-09-22 | 沈阳工学院 | Variable-rigidity joint device based on rack direct-acting |
CN115217233A (en) * | 2022-07-27 | 2022-10-21 | 金耀 | Friction energy dissipator |
KR102526527B1 (en) * | 2022-08-19 | 2023-04-27 | (주)제이원산업 | Multiple friction damper for structure with case |
CN116084718A (en) * | 2023-03-14 | 2023-05-09 | 汤和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Rectangular steel end protection device |
CN116084718B (en) * | 2023-03-14 | 2023-08-11 | 汤和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Rectangular steel end prote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1132B1 (en) | Seismic Load Attenuating Damper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1112577B1 (en) | Double Steel Frame Earthquake-Proof Device | |
KR20100105726A (en) | Connection metal fitting and building with the same | |
KR101372087B1 (en) | Strengthen method for steel frame structure using seismic control device | |
JP2007278411A (en) | Damper device | |
KR102164349B1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pring Damper | |
JP2009203764A (en)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using pin device | |
KR101403125B1 (en) | Seismic control device and strengthen method for steel frame structure using thereof | |
JP4908039B2 (en) | Structure for mounting vibration energy absorber of wooden building | |
JP4664997B2 (en) | Buildings with joint hardware | |
KR102164350B1 (en) | Tension Adjustable Damper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 |
JP4861683B2 (en) | Damping brace structure | |
KR102122028B1 (en) | Column type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 |
KR101827200B1 (en) | Seismic retrofit method of existing building using steel frame with energy dissipation device at disconnected gap of the upper portion | |
JPH11131860A (en) | Earthquake control device and steel structure | |
KR20170101035A (en) | Seismic Control Devic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Opening of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Seismic Control Device | |
JP2000129951A (en) | Vibration control wall | |
JP4419218B2 (en) | Energy absorption structure of beam-column joint | |
KR101806492B1 (en) | Earthquake-proof safety soundproof wall f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WO2018074131A1 (en) | Damping device | |
KR102133043B1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Damping Device | |
JP5596338B2 (en) | Reinforcing brackets for wooden buildings and methods for reinforcing wooden buildings | |
KR102292823B1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Damping Device | |
KR102313504B1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teel Pipe and Prestressed Bar | |
KR102209624B1 (en) |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