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82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82B1
KR102130782B1 KR1020190138206A KR20190138206A KR102130782B1 KR 102130782 B1 KR102130782 B1 KR 102130782B1 KR 1020190138206 A KR1020190138206 A KR 1020190138206A KR 20190138206 A KR20190138206 A KR 20190138206A KR 102130782 B1 KR102130782 B1 KR 10213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hange
stored
hash value
variabl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박남제
최근배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저장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영상저장장치는 영상을 수신하면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고정영역을 생성하고,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가변영역을 생성하고, 고정영역과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을 영상블록체인에 저장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mage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TV 영상 등을 저장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요 도로나 골목, 은행, 상점 등 다양한 공간에 방범이나 안전, 관리 등을 목적으로 CCTV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CCTV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외부 해킹 등에 의해 조작되거나 지워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관리자가 부주의 또는 악의적 목적으로 저장된 CCTV 영상을 조작하거나 지울 수도 있다. 이 외에도 CCTV 카메라를 통해 일반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의 일 예는,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고정영역과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으로 구성된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는,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상기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상기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상기 가변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영역과 상기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을 상기 영상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의 일 예는,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고정영역과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으로 구성된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하는 블록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저장부는,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고정영역을 생성하는 고정영역관리부; 및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상기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상기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가변영역을 생성하는 가변영역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블록체인을 저장한 기록매체의 일 예는, 영상저장블록으로 구성된 영상블록체인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블록은, 고정영역 및 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영역은 이전 영상저장블록의 고정영역에 대한 해시값 및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영역은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상기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상기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블록체인과 유사한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하여 영상의 위변조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블록체인의 각 영상저장블록에서 저장된 영상에 변경(예를 들어, 얼굴 모자이크 처리 등)을 가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저장블록에 저장된 변경 영상의 원본성을 검증할 수 있어 권한 없는 제3자의 영상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저장블록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본 영상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저장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저장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촬영장치(예를 들어, CCTV 등)(100a,100b)와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영상저장장치(110)는 도로나 건물 등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로부터 촬영 영상을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저장장치(110)는 CCTV 등의 영상촬영장치(100a,100b)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영상블록체인(12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영상저장장치(110)는 영상블록체인(120)을 구성하는 노드들 중 어느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을 전송하고, 영상블록체인의 노드는 영상저장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영상블록체인(12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영상저장장치(110)는 영상블록체인(120)을 구성하는 노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영상블록체인(120)은 블록체인의 일종이다. 다만, 본 실시 예의 영상블록체인(120)은 위변조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는 기존 블록체인의 특징뿐만 아니라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위한 새로운 블록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영상블록체인(120)의 블록을 일반적인 블록체인의 블록과 구별하기 위하여 영상저장블록이라고 명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저장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촬영장치(100a,100b)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일정 크기의 데이터 단위(예를 들어, 5분 단위 등)로 만들어 영상블록체인(120)의 영상저장블록(210,212,214,216)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영상저장장치(110)는 t0~t1 사이의 제1 영상 데이터(200)를 제N 영상저장블록에(210) 저장하고, t1~t2 사이의 제2 영상 데이터(202)를 제N+1 영상저장블록(21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영상저장장치(110)는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204,206)를 제N+2 및 N+3 영상저장블록(214,216)에 각각 저장한다.
영상이 블록체인의 일종인 영상블록체인(120)에 저장되므로 영상의 위변조나 해킹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각종 장소에서 촬영된 일반인의 CCTV 영상이 지워지지 않고 계속하여 영상블록체인(120)에 남아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는 도 3과 같은 영상저장블록을 제시한다.
도 3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저장블록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저장블록(300,370)은 크게 고정영역(310,372)과 가변영역(330,374)을 포함한다. 고정영역(310)은 블록헤더(320)를 포함하고, 가변영역(330)은 블록헤더(340), 최종변경영상해시값(346), 블록데이터(350) 및 변경로그(36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영역(310,372)에 대해 살펴본다.
고정영역(310,372)은 이전블록해시값(322), 타임스탬프(324), 논스(nonce)(326) 및 원본영상해시값(328)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고정영역(310,372)은 하나의 예일 뿐 실시 예에 따라 블록헤더(320)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 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고정영역(310,372)의 이전블록해시값(322)은 이전 영상저장블록의 고정영역에 포함된 블록헤더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즉, 고정영역(310,372)은 이전 영상저장블록의 고정영역을 참조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는 일반적인 블록체인과 동일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블록체인과 같이 고정영역(310,372)의 위변조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고정영역(310,372)의 원본영상해시값(328)은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고정영역(310,372)에는 원본 영상 그 자체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 원본 영상의 해시값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N 영상저장블록(210)의 고정영역은 제1 영상데이터(200)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제N+1 영상저장블록(212)의 고정영역은 제2 영상데이터(202)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이 외 고정영역(310,372)의 블록헤더(320)에 포함되는 타임스탬프(324), 논스(326) 등은 기존의 블록체인의 블록에 포함되는 정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가변영역(330,374)에 대해 살펴본다.
가변영역(330,374)의 블록데이터(350,378)는 최종 변경 영상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N 영상저장블록(210)의 가변영역에는 원본 영상인 제1 영상 데이터(200)가 최초 저장된다. 이후 관리자가 원본 영상을 변경하면 가변영역의 블록데이터에는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이 저장된다. 변경 영상에 또 다시 변경이 가해지면, 가변영역의 블록데이터는 변경이 가해진 최종 변경 영상이 다시 저장된다. 이와 같이, 가변영역(330,374)의 블록데이터(350,378)에는 원본 영상 또는 최종 변경 영상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위해 원본 영상(400)에 존재하는 사람 얼굴(402)을 제거하거나 모자이크 처리 등을 하여 변경하면, 가변영역(330,374)의 블록데이터(350,378)에는 사람 얼굴 영역(412)에 변경사항이 가해진 변경 영상(410)이 저장된다.
가변영역(330,374)의 블록헤더(340,376)는 이전에 변경된 영상의 해시값을 누적 저장하고, 가변영역(330,374)의 최종변경영상해시값(346)은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N+1 영상저장블록(370)처럼 원본 영상에 아무런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가변영역(374)의 블록헤더(376)에는 아무런 해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원본 영상이 1차 변경되면, 가변영역(330,374)의 최종변경영상해시값(346)은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최종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변경 영상에 다시 변경이 가해지면, 가변영역(330,374)의 최종변경영상해시값(346)에 저장되어 있던 해시값은 블록헤더(340)의 해시리스트에 저장되고, 가변영역(330,374)의 최종변경영상해시값(346)은 2차 변경이 가해진 최종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제N 영상저장블록(300)은 3차 변경 사항이 가해진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최종 변경 영상인 3차 변경 영상이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되고, 1차 및 2차 변경 영상에 대한 해시값(342,344)은 블록헤더(340)에 누적 저장되고, 3차 변경 영상의 해시값은 최종변경영상해시값(346)에 저장된다.
가변영역(330,374)의 변경로그(360,380)는 영상에 가해진 변경사항(362,364,366)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얼굴 영역에 대한 변경이 가해지면, 변경로그(360,380)에는 얼굴 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변경로그(360,380)에 저장된 변경사항은 영상 내 변경이 발생한 영역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좌표정보) 및 변경이 발생한 영역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변경사항은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N 영상저장블록(300)과 같이 세 번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각각의 변경사항(362,364,366)이 변경로그(360)에 누적 저장된다. 제N+1 영상저장블록(370)과 같이 원본 영상에 아무런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변경로그(380)는 비어 있으며, 블록데이터(378)에는 원본 영상이 저장된다.
변경로그(360)에 저장된 변경사항(362,364,366)을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최종 변경 영상에 반영하면 원본 영상을 복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원본 영상(400)에서 얼굴 영역이 제거된 변경 영상(410)이 가변영역(330)의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경우, 영상저장장치(110)는 가변영역(330)의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변경 영상과 변경로그(360)에 저장된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복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저장장치(110)는 복구 영상의 해시값과 고정영역에 저장된 원본영상의 해시값을 비교하여 복구 영상이 원본 영상과 동일한지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악의의 제3자가 가변영역에 존재하는 최종 변경영상에 변경을 가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보다 강화화기 위하여 변경로그(360)에 저장되는 변경사항(362,364,366)은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저장장치(110)는 원본 영상에 변경을 가하거나 현 변경 영상에 추가 변경을 가하여 생성한 최종 변경 영상을 블록데이터(350)에 저장하며, 이와 별개로 변경사항(362,364,366)을 암호화하여 변경로그(360)에 누적 저장한다. 변경로그(360)에 저장된 암호화된 변경사항을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키를 가지지 못한 일반 사용자는 영상블록체인에 저장된 최종 변경 영상만을 볼 수 있으므로 프라이버시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변경사항의 암호화 및 복호화는 정당한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원본 영상(400)의 얼굴(402)을 제거하거나 모자이크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얼굴 영역(412)을 제거한 변경 영상(410)이 영상저장블록에 저장되므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원본 영상(400)의 변경사항(420)은 영상저장블록의 변경로그에 저장된다. 실시 예에 따라 변경로그에 저장되는 변경사항(420)은 암호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저장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영상저장장치(110)는 영상을 수신하면(S500),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고정영역(310)을 생성한다(S510). 또한, 영상저장장치(110)는 원본영상의 변경사항, 변경사항이 반영된 최종 변경 영상,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가변영역(330)을 생성한다(S510). 영상저장장치(110)는 고정영역(310)과 가변영역(330)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300)을 영상블록체인에 저장한다(S530).
관리자는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위해 도 4와 같이 원본 영상(400)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412)을 모자이크 등을 통해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저장장치(110)는 가변영역에 저장된 원본 영상(400)을 변경 영상(410)으로 대체하고, 변경 영상(410)에 대한 해시값과 변경사항(420)을 가변영역(330)의 블록헤더(340) 및 변경로그(360)에 각각 저장한다. 변경 영상에 다시 변경이 가해지면, 영상저장장치(110)는 가변영역(330)의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이전 변경 영상을 최종 변경 영상으로 대체하고, 이전 변경 영상의 해시값 및 현 변경사항을 각각 블록헤더(340) 및 변경로그(360)에 누적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본 영상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영상저장장치(110)는 가변영역(330)의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최종 변경 영상에 가변영역(330)의 변경로그(360)에 저장된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복구 영상을 획득한다(S600). 도 3의 제N 영상저장블록(300)과 같이 3번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영상저장장치(110)는 블록데이터(350)에 저장된 최종 변경 영상에 3차 변경사항(366)을 반영하여 제1 복구 영상을 획득하고, 제1 복구 영상에 다시 2차 변경사항(364)을 반영하여 제2 복구 영상을 획득하고, 제2 복구 영상에 1차 변경사항(362)을 반영하여 최종 복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최종 복구 영상이 원본 영상과 동일한지 검증하기 위하여, 영상저장장치(110)는 최종 복구 영상의 해시값과 고정블록(310)의 원본영상해시값(328)에 저장된 해시값이 동일한지 파악한다(S610). 두 해시값이 동일하면 복구 영상의 원본성이 검증되며(S620), 두 해시값이 서로 상이하면 복구 영상이 원본 영상과 다르므로 검증 실패이다(S63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저장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저장장치(110)는 영상수신부(700), 블록저장부(710) 및 검증부(720)를 포함한다.
영상수신부(7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촬영장치(CCTV 등)으로 영상을 수신한다.
블록저장부(710)는 고정영역과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으로 구성된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한다. 블록저장부(710)는 영상저장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고정영역관리부(712) 및 가변영역관리부(714)를 포함한다.
고정영역관리부(712)는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고정영역을 생성하고, 가변영역관리부(714)는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가변영역을 생성한다. 고정영역과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검증부(720)는 영상저장블록에 저장된 변경 영상과 변경 사항을 이용하여 복구한 영상이 원본 영상과 동일한 것인지 검증한다. 예를 들어, 검증부(720)는 복구 영상의 해시값과 고정영역에 저장된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비교하여 원본 영상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검증부(720)의 검증 방법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고정영역과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으로 구성된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는,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상기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상기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상기 가변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영역과 상기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을 상기 영상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영역에는 상기 원본 영상의 저장 없이 상기 원본 영상의 해시값과 이전 영상저장블록의 고정영역에 포함된 블록헤더의 해시값이 저장되고,
    상기 영상저장블록이 상기 영상블록체인에 저장된 후 상기 가변영역에 최초 저장된 원본 영상에 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상기 가변영역에는 상기 원본 영상을 대체하여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가변영역에 저장된 변경 영상에 상기 가변영역에 저장된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획득한 복구영상의 해시값과 상기 고정영역에 저장된 상기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비교하여 영상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영역은 이전 영상저장블록의 고정영역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영상에 대한 제2 변경사항이 존재하면 상기 제2 변경사항을 누적 저장하고, 상기 변경 영상을 상기 제2 변경사항이 반영된 제2 변경 영상으로 대체하고, 상기 제2 변경 영상에 대한 해시값을 상기 가변영역에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사항을 암호화하여 상기 가변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사항은 영상 내 변경이 발생한 영역에 대한 정보 및 변경이 발생한 영역의 변경 전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방법.
  6. 삭제
  7.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고정영역과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저장블록으로 구성된 영상블록체인에 영상을 저장하는 블록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저장부는,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고정영역을 생성하는 고정영역관리부;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상기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상기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가변영역을 생성하는 가변영역관리부; 및
    상기 변경 영상에 상기 가변영역에 저장된 변경사항을 반영한 복구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복구영상의 해시값과 상기 고정영역에 저장된 상기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이용하여 영상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영역관리부는 상기 고정영역에 상기 원본 영상의 저장 없이 상기 원본 영상의 해시값과 이전 영상저장블록의 고정영역에 포함된 블록헤더의 해시값을 저장하고,
    상기 가변영역관리부는 상기 영상저장블록이 상기 영상블록체인에 저장된 후 상기 가변영역에 최초 저장된 원본 영상에 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상기 가변영역에 상기 원본 영상을 대체하여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영역관리부는,
    상기 변경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한번 이상의 추가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추가 변경사항을 누적 저장하고, 추가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에 대한 해시값을 누적 저장하고, 최종 변경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저장 장치.
  9. 삭제
  10. 영상저장블록으로 구성된 영상블록체인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블록은, 고정영역 및 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영역은 이전 영상저장블록의 고정영역에 대한 해시값 및 원본 영상의 저장 없이 상기 원본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영역은 상기 원본 영상의 변경사항, 상기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 및 상기 변경 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저장블록이 상기 영상블록체인에 저장된 후 상기 가변영역에 최초 저장된 원본 영상에 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상기 가변영역에는 상기 원본 영상을 대체하여 변경사항이 반영된 변경 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가변영역에 저장된 변경 영상에 상기 가변영역에 저장된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획득한 복구영상의 해시값과 상기 고정영역에 저장된 상기 원본 영상의 해시값의 비교를 통해 영상의 무결성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90138206A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06A KR102130782B1 (ko)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06A KR102130782B1 (ko)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782B1 true KR102130782B1 (ko) 2020-07-06

Family

ID=7157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206A KR102130782B1 (ko)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763A (ko)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운행기록 데이터의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507B1 (ko) * 2017-11-06 2019-02-20 주식회사 큐버 카메라 촬영 영상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처리 방법
KR101986081B1 (ko) * 2018-12-24 2019-06-05 (주)소프트제국 블록체인에서 특정 노드들간 블록을 공유 및 검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507B1 (ko) * 2017-11-06 2019-02-20 주식회사 큐버 카메라 촬영 영상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처리 방법
KR101986081B1 (ko) * 2018-12-24 2019-06-05 (주)소프트제국 블록체인에서 특정 노드들간 블록을 공유 및 검증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763A (ko)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운행기록 데이터의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589095B1 (ko) 2021-07-09 2023-10-13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한 운행기록 데이터의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7132B1 (en) Document security
KR101950507B1 (ko) 카메라 촬영 영상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처리 방법
US102848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acting video for com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releasing party
US7305564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actively detect software tampering
KR102153673B1 (ko) 엣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능형 cctv 영상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그리고 기록매체
US20170039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fferentiated privacy protection
KR20120035299A (ko)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보호처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Rajpoot et al. Security and privacy in video surveillance: requirements and challenges
KR101951605B1 (ko)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CN110647759B (zh) 数据记录方法、节点、设备、存储介质及区块链系统
KR102213839B1 (ko) 영상 위변조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2100582B1 (ko) 영상보안시스템에서 형태보존암호 기술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JP200331915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CN114390316A (zh) 一种图像采集同步加密隐私保护的处理方法和装置
US10311215B2 (en) Secure recording and rendering of encrypted multimedia content
KR10213078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KR101847618B1 (ko) 영상 보안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객체 마스킹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키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영상 보안 시스템
JP2016184917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再生装置
KR20190027207A (ko) 개인정보 접속기록 무결성 검증시스템 및 검증방법
KR102167026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cctv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03963B1 (ko) 촬영된 영상에 대한 증거능력 확보를 위한 영상기록장치
Kim et al. Security model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
Kerr et al. Adapting law enforcement frameworks to address the ethical problems of CCTV product propagation
KR101979102B1 (ko) 영상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Uda Data protection method with blockchain against fabrication of video by surveillance came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