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605B1 -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1605B1 KR101951605B1 KR1020180135972A KR20180135972A KR101951605B1 KR 101951605 B1 KR101951605 B1 KR 101951605B1 KR 1020180135972 A KR1020180135972 A KR 1020180135972A KR 20180135972 A KR20180135972 A KR 20180135972A KR 101951605 B1 KR101951605 B1 KR 101951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ctv
- camera
- processing unit
- encryption ke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은,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접근을 위한 암호키 변경을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하는 카메라의 접근권한을 제한할 수 있고, 촬영 영상의 전송 중에 스크램블링 처리, 물리적 복제 방지 기능, 영상전송 시 실시간 암호화, 카메라 관리자 패스워드 변경 기능을 구현하여 영상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생명과 개인, 회사 및 국가의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아파트, 빌딩, 공원, 도로, 관공서 등과 같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공간영역에 다양한 종류의 보안 시스템들이 설치되고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DVR)는 개인, 회사 및 국가의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자산이 있는 집, 빌딩, 관공서, 공원 및 도로 등과 같이 보안을 필요로 하는 감시영역에 설치되되 소구역 단위의 영역 단위로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표시 및 저장한다. 이렇게 촬영되는 영상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어 보안 관리자에 의해 감시 영역이 감시되도록 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에 의해 보안 관리자에 의한 감시영역들이 실시간 감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관리자가 범죄 발생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저장된 영상은 발생된 범죄에 대해 증거 자료로서 제공되고 있다.
한편,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는 관리자가 설정한 암호에 의해 카메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암호는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암호의 변경은 시스템 관리자가 카메라 각각에 대해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된 서버로 전송할 때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을 암호화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접근을 위한 암호키 변경을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촬영 영상의 전송 중에 스크램블링 처리하여 영상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서버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때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움직이는 객체를 마스킹하여 불필요한 불특정인의 모습을 유출할 수 없도록 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촬영된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은, 감시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영상 전송 시 영상을 암호화하는 스크램블링 처리부 및 카메라부의 접근권한을 제한하는 암호화 설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CCTV 카메라의 접근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키 제너레이터, 스크램블링 처리된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디스크램블링 처리부,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객체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처리부 및 마스킹 처리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기록부를 포함하는 영상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관리 서버는, 상기 키 제너레이터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카메라 식별번호 및 관리자 인식번호를 이용하여 CCTV 카메라별로 서로 다른 암호키를 생성함에 따라, 관리자 인식번호를 기초로 각 CCTV 카메라의 암호키를 일괄적으로 변경하며, 상기 스크램블링 처리부는, 영상에서 움직임 벡터의 수직각도와 수평각도를 변화시켜 영상을 암호화하고, 상기 마스킹 처리부는, 입력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있는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가 복수인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받은 후, 상기 인식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객체의 윤곽영역을 검출한 다음, 상기 윤곽영역을 기초로 확장영역을 설정하고, 윤곽영역과 확장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스크램블링 처리부는, 상기 키 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암호키를 영상을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키로 사용하여 수직각도 및 수평각도를 결정하고, 움직임 벡터에서 이러한 수직각도와 수평각도를 변화시켜 영상을 스크램블링 처리하여 영상을 암호화하여, 카메라부의 접근을 위한 암호키의 변경 주기에 따라 스크램블링의 암호키가 변경되며, 상기 마스킹 처리부는, 일정한 시간동안의 영상들을 평균하여 배경영상을 획득하고, 현재 영상으로부터 배경영상의 차영상을 생성하여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하되,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프레임 평균(μt)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수학식]
여기서, It는 현재 픽셀값이고, α는 임계영상 가중치로서 0에서 1의 범위 내의 값임.
[수학식]
여기서, It는 현재 픽셀값이고, α는 임계영상 가중치로서 0에서 1의 범위 내의 값임.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서 설치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의 접근을 위한 암호키 변경을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스크램블링 처리하여 촬영 영상의 전송 중에 영상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때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움직이는 객체를 마스킹하여 불필요한 불특정인의 모습이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개인정보영상을 무단으로 유출하는 불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IC카드 리더기 및 지문인식기를 활용하여 불법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저장된 영상을 무단으로 복제 및 삭제할 때 관리자의 사용이력 및 권한을 부여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부에서 이루어지는 마스킹 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부에서 이루어지는 마스킹 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시스템은 복수 개의 카메라부(100) 및 영상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0)는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카메라(110), 영상 전송 시 영상을 암호화하는 스크램블링 처리부(120) 및 카메라부(100)의 접근권한을 제한하는 암호화 설정부(130)를 포함한다.
CCTV 카메라(110)는 감시영역의 화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촬영 영역을 복수 개의 감시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감시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CCTV 카메라(11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램블링 처리부(120)와 암호화 설정부(130)는 CCTV 카메라 각각에 설치된다.
스크램블링 처리부(120)는 영상의 전송 시 사용되는 영상을 암호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램블링 처리부(120)는 CCTV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스크램블링 처리하여 출력한다.
암호화 설정부(130)는 후술할 영상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암호키에 의해 접근권한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영상의 접근,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부(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관리 서버(200)와 접속된다. 이때, 네트워크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할 수 있다.
영상관리 서버(200)는 CCTV 카메라의 접근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키 제너레이터(210), 스크램블링 처리된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디스크램블링 처리부(220), 선택 객체를 제외한 객체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처리부(230) 및 마스킹 처리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기록부(240)를 포함한다.
키 제너레이터(210)는 CCTV 카메라의 접근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암호키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키 제너레이터(210)는 사전에 미리 설정된 카메라 식별번호 및 관리자 인식번호를 이용하여 CCTV 카메라별로 서로 다른 암호키를 생성한다. 여기서, 카메라 식별번호는 CCTV 카메라별로 부여된 고유의 번호일 수 있으며, 관리자 인식번호는 관리자에게 부여된 미리 등록된 번호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영상관리 서버(200)는 CCTV 카메라별 식별번호 및 관리자 인식번호를 기초로 암호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키를 카메라부의 암호화 설정부(130)로 전송한다. 암호화 설정부(130)는 전송된 암호키를 사용하여 카메라부(100)를 암호화하고 비정상적인 접근을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00)의 암호화에 따라, 각각의 CCTV 카메라에 비정상적인 접근에 따른 영상의 유출(예컨대 해킹 등으로 인한 영상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암호키의 변경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정기적으로, 카메라에 대한 접근을 위해 영상관리 서버(200)에서 관리자가 각각의 카메라별로 개별적으로 접근하여 암호키를 변경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인식번호를 암호키 생성을 위한 인자로 이용함으로써, 영상관리 서버(200)에서 일괄적으로 모든 CCTV 카메라의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제너레이터(210)는 카메라 고유번호, 관리자 인식번호, 및 순시적 휘도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순시적 휘도 데이터는, 암호키 변경 시점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휘도 평균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암호키는, 카메라부(100)로 전송된 후 영상관리 서버(200)에서는 삭제되고, 영상관리 서버(200)에는 암호키의 변경 시간만이 기록된다.
이후, 카메라의 암호키를 변경할 때에는 저장된 영상에서 이전의 암호키 변경 시간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프레임의 휘도 평균값을 계산한 후 이전의 암호키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되기 이전의 암호와 키는 현재 암호키 변경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이용된다. 이에 따라 영상관리 서버(200)를 해킹하여도 시간 정보만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카메라부(100)의 접근 권한을 위한 암호키를 쉽게 획득하기 어렵다.
스크램블링 처리부(120)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크램블링 처리하여 영상신호의 전송 시 해킹에 따른 영상신호의 유출을 방지한다.
한편, 압축 영상에서 인트라 프레임(I-프레임)은 P-프레임 또는 B-프레임과 달리 다른 이미지를 참조하지 않는 독립적인 프레임이다. 본 발명에서는 I-프레임을 선택하여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I-프레임은 예측 프레임인 P-프레임이나 B-프레임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전체 영상의 왜곡시킬 수 있다.
스크램블링 처리부(120)는 I-프레임에서 DCT 계수의 부호변화를 이용하여 영상을 왜곡시킨다. DCT 계수는 암호키에 의해 DC 계수와 AC 계수의 전환이 결정되는데, 암호키에 의해 입력 영상은 스크램블링 처리된다. 이때, 암호키는 32비트 또는 64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램블링 처리부(120)는 움직임 벡터에서 수직각도와 수평각도를 변화시켜 영상을 스크램블링 처리함으로써 영상을 암호화한다. 이러한 수직각도와 수평각도는 암호키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영상을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키는, 상술한 키 제너레이터(210)에 의해 생성된 암호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100)의 접근을 위한 암호키의 변경 주기에 따라 스크램블링의 암호키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된 영상은, 영상관리 서버의 디스크램블링 처리부(220)에서 복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처리부(230)는 선택 객체를 제외한 객체를 마스킹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마스킹 처리부(230)에서 처리되는 마스킹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부에서 이루어지는 마스킹 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방법은,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하고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객체들을 모두 보이지 않게 마스킹 처리를 통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방법은, 입력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있는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S310), 인식된 객체가 복수인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받는 단계(S320), 상기 인식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객체의 윤곽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330), 윤곽영역에 기초하여 확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340) 및 윤곽영역과 확장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
우선, 마스킹 처리부(230)는 입력받은 영상(도 4(a))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한다(도 4(b))(S310). 객체의 검출은 일정한 시간동안의 영상들을 평균하여 배경영상을 획득하고, 현재 영상으로부터 배경영상의 차영상을 생성하여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움직이는 객체만 검출되고 음직이지 않는 배경은 검출되지 않는다.
한편, 이전 영상에서의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프레임 평균(μt)은 아래 수학식에 따른다.
〈수학식 1〉
여기서, It는 현재 픽셀값이고, α는 임계영상 가중치로서 0에서 1의 범위 내의 값을 갖는다.
임계영상 가중치는 영상의 잡음, 영상에서의 움직이는 객체의 수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차영상은 움직이는 객체의 윤곽 영상이므로, 입력받은 영상에 차영상을 합성하여 입력받은 영상에 검출된 각각의 객체마다 윤곽 영역이 설정된다.
입력된 영상에는 검출된 객체가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만약, 복수 개의 검출된 객체들 중 하나의 객체 또는 둘의 객체를 제외한 객체를 마스킹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킹 처리는 원하는 객체를 제외한 불특정 다수의 객체를 마스킹 처리함으로써 불특정 다수 인의 모습 또는 얼굴이 보이지 않게 하고 원하는 객체와 배경만을 볼 수 있게 처리된다.
이를 위해, 도 4(c)를 참조하면, 영상 내에서 움직이는 객체가 검출되면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S320). 이러한 객체의 선택은 화면 중앙에 있는 객체가 선택되거나,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여 윤곽영역을 클릭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면부호 MC는 선택된 객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어서 윤곽영역이 선택되면, 도 4(d)에서처럼, 윤곽영역으로부터 확장영역이 선택된다(S330, S340). 확장영역은 윤곽영역으로부터 옵셋 확장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셋 확장을 설정함으로써 불완전한 객체 마스킹을 보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마스킹 처리는 확장영역의 이미지 삭제 또는 소정의 색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는 마스킹 처리에 따른 복호화를 방지함으로써 영상유출에 따른 완벽한 개인 영상정보 보호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옵셋 확장에 의해 확장영역이 선택되면 윤곽영역(CA)과 확장영역(EA)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한다(S350). 이와 같은 마스킹 처리에 따르면, 원하는 객체와 배경만을 볼 수 있고 영상 속에 포함된 불특정 다수의 객체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e)는 영상에 마스킹 처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는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움직이는 객체는 모두 마스킹 처리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관리 서버(200)는 영상 기록부(240)를 더 구비한다. 영상 기록부(240)는 영상처리된 영상을 저장한다. 저장된 영상에는 불특정 다수인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영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영상을 외부로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저장된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관리 서버(200)에는 영상물 접근을 위한 보안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인식번호가 저장된 IC 카드를 허가된 정당한 관리자에게 지급하고 영상관리 서버(200)에는 IC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도록 하여 영상관리 서버(200)에 접속가능한 자를 해당 관리자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접속이 허가된 관리자에게 지문을 미리 등록받고 영상관리 서버(200)에는 지문 인식기를 구비하도록 하여 영상관리 서버(200)에 접속가능한 자를 해당 관리자로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안이 요구되는 영상관리 서버(200)의 접속을 해당 관리인에게만 허용되도록 제한하여 보안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카메라부
110 : CCTV 카메라
120 : 스크램블링 처리부
130 : 암호화 설정부
200 : 영상관리 서버
210 : 키 제너레이터
220 : 디스크램블링 처리부
230 : 마스킹 처리부
240 : 영상 기록부
110 : CCTV 카메라
120 : 스크램블링 처리부
130 : 암호화 설정부
200 : 영상관리 서버
210 : 키 제너레이터
220 : 디스크램블링 처리부
230 : 마스킹 처리부
240 : 영상 기록부
Claims (4)
- 촬영된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서,
감시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CCTV 카메라, 영상 전송 시 영상을 암호화하는 스크램블링 처리부 및 카메라부의 접근권한을 제한하는 암호화 설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CCTV 카메라의 접근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키 제너레이터, 스크램블링 처리된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디스크램블링 처리부,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객체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처리부 및 마스킹 처리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기록부를 포함하는 영상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관리 서버는,
상기 키 제너레이터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카메라 식별번호 및 관리자 인식번호를 이용하여 CCTV 카메라별로 서로 다른 암호키를 생성함에 따라,
관리자 인식번호를 기초로 각 CCTV 카메라의 암호키를 일괄적으로 변경하며,
상기 스크램블링 처리부는,
영상에서 움직임 벡터의 수직각도와 수평각도를 변화시켜 영상을 암호화하고,
상기 마스킹 처리부는,
입력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있는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가 복수인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받은 후, 상기 인식된 객체들 중에서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객체의 윤곽영역을 검출한 다음, 상기 윤곽영역을 기초로 확장영역을 설정하고, 윤곽영역과 확장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스크램블링 처리부는,
상기 키 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암호키를 영상을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키로 사용하여 수직각도 및 수평각도를 결정하고, 움직임 벡터에서 이러한 수직각도와 수평각도를 변화시켜 영상을 스크램블링 처리하여 영상을 암호화하여, 카메라부의 접근을 위한 암호키의 변경 주기에 따라 스크램블링의 암호키가 변경되며,
상기 마스킹 처리부는,
일정한 시간동안의 영상들을 평균하여 배경영상을 획득하고, 현재 영상으로부터 배경영상의 차영상을 생성하여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하되,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프레임 평균(μt)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수학식]
여기서, It는 현재 픽셀값이고, α는 임계영상 가중치로서 0에서 1의 범위 내의 값임.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972A KR101951605B1 (ko) | 2018-11-07 | 2018-11-07 |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972A KR101951605B1 (ko) | 2018-11-07 | 2018-11-07 |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1605B1 true KR101951605B1 (ko) | 2019-02-22 |
Family
ID=6558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5972A KR101951605B1 (ko) | 2018-11-07 | 2018-11-07 |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160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026B1 (ko) | 2019-05-24 | 2020-10-16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블록체인을 이용한 cctv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3630624A (zh) * | 2021-08-04 | 2021-11-09 | 中图云创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 全景视频加扰、解扰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
KR20220057389A (ko) * | 2020-10-29 | 2022-05-09 | 주식회사 딥비전스 | 행동 인식 장치 및 방법 |
KR102518126B1 (ko) | 2023-01-20 | 2023-04-05 | 에이포시스템주식회사 |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보안을 강화하는 촬영영상 전송장치 및 그 촬영영상 전송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17093A (ja) * | 2006-07-05 | 2008-01-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
KR101249690B1 (ko) | 2011-03-03 | 2013-04-05 | (주)지오크로스 |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암호화 방법 |
KR101331201B1 (ko) | 2012-08-20 | 2013-11-1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ctv 카메라 촬영 영상의 보안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26546B1 (ko) * | 2015-12-09 | 2016-06-01 |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영상정보 처리기기 및 방법 |
KR20170131785A (ko) * | 2016-05-20 | 2017-11-30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상 보안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객체 마스킹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키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영상 보안 시스템 |
-
2018
- 2018-11-07 KR KR1020180135972A patent/KR101951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17093A (ja) * | 2006-07-05 | 2008-01-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
KR101249690B1 (ko) | 2011-03-03 | 2013-04-05 | (주)지오크로스 |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암호화 방법 |
KR101331201B1 (ko) | 2012-08-20 | 2013-11-1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ctv 카메라 촬영 영상의 보안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26546B1 (ko) * | 2015-12-09 | 2016-06-01 |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영상정보 처리기기 및 방법 |
KR20170131785A (ko) * | 2016-05-20 | 2017-11-30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상 보안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객체 마스킹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키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영상 보안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026B1 (ko) | 2019-05-24 | 2020-10-16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블록체인을 이용한 cctv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20057389A (ko) * | 2020-10-29 | 2022-05-09 | 주식회사 딥비전스 | 행동 인식 장치 및 방법 |
CN113630624A (zh) * | 2021-08-04 | 2021-11-09 | 中图云创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 全景视频加扰、解扰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
CN113630624B (zh) * | 2021-08-04 | 2024-01-09 | 中图云创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 全景视频加扰、解扰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
KR102518126B1 (ko) | 2023-01-20 | 2023-04-05 | 에이포시스템주식회사 |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보안을 강화하는 촬영영상 전송장치 및 그 촬영영상 전송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1605B1 (ko) | 영상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영상 보안 시스템 | |
US1115572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acting video for com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releasing party | |
US9288451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KR101747221B1 (ko) | 보안 카메라 시스템에서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영상 데이터 송수신 방법 | |
KR20120035299A (ko)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보호처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100103193A1 (en) | Image monitor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monitor program | |
KR102100582B1 (ko) | 영상보안시스템에서 형태보존암호 기술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 |
KR101626546B1 (ko) |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영상정보 처리기기 및 방법 | |
Cheung et al. | Protecting and managing privacy information in video surveillance systems | |
KR20150021280A (ko) |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487461B1 (ko) | 개인영상 정보보호 기능이 탑재된 얼굴인식 보안 관제 시스템 | |
Kanwal et al. | Preserving chain-of-evidence in surveillance videos for authentication and trust-enabled sharing | |
KR102365589B1 (ko) | Cctv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로그 정보 기반의 오남용 검출 방법 및 장치 | |
KR102130782B1 (ko) |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 저장 방법 및 그 장치 | |
Han et al. | The privacy protection framework for biometric information in network based CCTV environment | |
CN113038089B (zh) | 智能识别的动态自解码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KR20180135130A (ko) | 동적 영상정보 마스킹 장치 및 방법 | |
JP2010073112A (ja) | 顔照合システム | |
JP2007150559A (ja) | 防犯装置 | |
JP5718757B2 (ja) |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管理方法 | |
KR101979102B1 (ko) | 영상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530406B1 (ko) |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처리 방법 | |
KR102530463B1 (ko) | 보행자 얼굴 검출 정보를 매개로 한 영상 보안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101557B1 (ko) | 객체 인식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
JP2024038653A (ja) | 人物検索装置および人物検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