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608B1 -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 Google Patents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608B1
KR102130608B1 KR1020180070159A KR20180070159A KR102130608B1 KR 102130608 B1 KR102130608 B1 KR 102130608B1 KR 1020180070159 A KR1020180070159 A KR 1020180070159A KR 20180070159 A KR20180070159 A KR 20180070159A KR 102130608 B1 KR102130608 B1 KR 10213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g device
terminal
ta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42903A (en
Inventor
판카즈 아가르왈
남동욱
Original Assignee
태그하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그하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그하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608B1/en
Publication of KR2019014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업이 진행되는 교실에서, 교사가 단말을 통해 제공한 퀴즈에 대한 응답을 학생들이 소지한 태그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며, 단말은 신호를 전송한 태그 디바이스로 수신 확인 패킷을 전송하여, 태그 디바이스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단말에 수신되지 않고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assroom in which a class is in progress, a response to a quiz provided by a teacher through a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a tag device possessed by students, and the terminal transmits an acknowledgment packet to a tag device that transmits a signal to ta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ce user's input signal from being dropped without being received by the terminal. Further,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the participation rate may be increased by providing a notification.

Description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user input signal reception leakage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기반의 태 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은 수신된 태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담은 수신 확인 패킷을 전송하여, 단말에 등록된 모든 태그 디바이스의 신호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leakage of user input signal recep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Bluetooth-based tag device to 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to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a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missed by confirming signals of all tag devices registered in a terminal by transmitting a confirmation packet.

종래에는 온라인 강의뿐 아니라 오프라인 교육현장인 학교에서도 단순히 책이나 교보재를 이용한 교육뿐만 아니라 온라인 교육 컨텐츠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Conventionally, not only online lectures, but also offline education sites, schools not only provide education using books or teaching materials, but also conduct classes through online education contents and smart devices.

하지만,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교육이 활성화 되기 위해 필요한 컨텐츠들을 새롭게 제작하거나 모든 플랫폼에서 이를 구입하는 것은 비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활용되는 컨텐츠들을 필요할 때마다 수집하여 개인적으로 구성하여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우수한 교육 컨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컨텐츠 등록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유나 재활용이 어려운 현실이다.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ineffective to create new contents or purchase them on all platforms in order to promote smart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In addition, most teachers often collect and utilize personally organized content whenever they need it, and despite the excellent educational content, it is difficult to share or recycle due to the difficulty in registering content.

따라서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양질의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여 양질의 학습 컨텐츠에 대한 공유 체제 마련이 시급하고, 학생 및 교사의 협력 체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Therefore,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a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providing high quality educational contents, it is urgent to prepare a sharing system for high quality learning contents, and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r students and teachers has emerged.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교육의 경우 일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학생이 참여하는 형태의 컨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참여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ducation through a smart device, it does not only provide unilateral information, but also conducts classes using content in the form of student participation,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s.

아울러,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정확하게 수신이 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은 교사가 소지한 단말에서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class using a smart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only possible to check whether a signal received from each device is correctly received by a teacher.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은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해 태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확인 패킷을 제공하고, 모든 태그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가 확인 될 까지 반복 수행 함으로서, 사용자 신호 수신 누락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rovides an acknowledgment packet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fo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all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user signal reception from being omitt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signal for the tag device until it is confirmed.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등록이 되어 있으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태그 디바이스로 알림 신호를 보내거나, 신호가 수신된 태그 디바이스에 대해 수신 확인 패킷과 함께 수신 확인 알림을 전송하여,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s registered, but the signal is not received by send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tag device, or by sending a receipt acknowledgment notification with the acknowledgment packet to the tag device for which the signal is received, The purpose is to enable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a signal has been receive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전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 및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파악하는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수신 확인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태그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 확인 패킷으로부터 자신의 태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omission, includes at least one button, according to an input to the user's button At least one tag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a terminal that wirelessly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g device and recognizes a value input by the user from the signal, wherein the terminal generates an acknowledgment packet and transmits it to the at least one tag device. The tag device may retransmit the signal to the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its tag device is not confirmed from the acknowledgment packet.

본 발명은 수업이 진행되는 교실에서, 교사가 단말을 통해 제공한 퀴즈에 대한 응답을 학생들이 소지한 태그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하며, 단말은 신호를 전송한 태그 디바이스로 수신 확인 패킷을 전송하여, 태그 디바이스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단말에 수신되지 않고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assroom in which a class is in progress, a response to a quiz provided by a teacher through a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a tag device possessed by students, and the terminal transmits an acknowledgment packet to a tag device that transmits a signal to ta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ce user's input signal from being dropped without being received by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the participation rate may be increased by providing a not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조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의 태그 디바이스 오류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ystem for perform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mi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from being mi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g device error checking method of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miss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other elements in between. .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Meanwhile,'~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uni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unit'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terminal" mentioned below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server or oth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for example, a laptop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desktop (desktop), laptop (laptop), VR HMD (eg,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etc.) It may include. Here, VR HMD is for PC (e.g.,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etc.) and mobile (e.g. GearVR, DayDream, Storm Racing, Google Cardboard, etc.) and console (PSVR). Includes all Stand Alone models (eg Deepon, PICO, etc.) that are implemented independently. A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s well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as well as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and ultrasound (Ultrasonic). , Infrared, Wi-Fi (WiFi), LiFi (LiFi), and may include various device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un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LiFi,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prevent a user input signal from being mis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200) 및 태그 디바이스(200)에서 전송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파악하는 단말(100)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transmission system 10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miss includes at least one button, and at least one tag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to a user button ( 200) and the tag device 200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the terminal 100 to grasp the value input by the user from the signal may be provided.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정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된 컴퓨터 장치가 될 수도 있으며,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휴대용 장치가 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100 may have a built-in signal transmission program for preventing user input signal reception and leakage, or may be a computer device including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or a portable device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It could be a device.

단말(100)이 USB와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100 is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memory such as USB, 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display device, a wired/wireless network capable device, and a Bluetooth module.

즉, 단말(100)은 태그 디바이스(20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USB 형태를 가지며,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확인 패킷을 생성하고 태그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100 has a USB form including a Bluetooth module capable of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ag device 200, and the Bluetooth module can generate a receipt confirmation packet and transmit it to the tag device 200.

태그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The tag device 200 may be a device including a button for at least one input, and may be a device capable of a wired/wireless network.

예를 들어, 교실에서 선생님이 퀴즈나 질문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태그 디바이스(200)를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태그 디바이스(200)는 학생이 입력한 신호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a teacher may provide a quiz or question in the classroom, and students may input a signal through the tag device 200. At this time, the tag device 200 may transmit the signal input by the student to the terminal 100.

태그 디바이스(200)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단말(100)로 전송하면, 단말(100)은 수신 확인 패킷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태그 디바이스(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신 확인 패킷으로부터 자신의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 단말로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signal to the tag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may generate an acknowledgment packet and transmit it to at least one tag device 200, and the tag device 200 may include a terminal (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wn tag device 200 is not confirmed from the reception confirmation packet received from 100), the signal may be retransmitted to the terminal.

수신 확인 패킷은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구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된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를 담은 수신 확인 패킷의 구분자에는 '1'을 표기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를 담은 수신 확인 패킷의 구분자에는 '0'을 표기할 수 있다.The acknowledgment packet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a separato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200, and the identifier of the acknowledgment packet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200 in which the user input signal is received is '1'. May be denoted, and '0' may be denoted in the identifier of the acknowledgment packet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200 in which the user input signal is not received.

이때, 구분자는 수신 확인 패킷에 포함된 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비트는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200)에 대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or may be composed of bits included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and one bit may correspond to one tag device 200.

즉, 단말(100)에 등록된 태그 디바이스(200)의 개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비트를 생성하고 비트의 자리수에 따라, 각각의 태그 디바이스(200)가 대응하도록 하여,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a b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ag devices 200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is generated, and each tag device 200 i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igits of the bit,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it is received.

예를 들어, 10개의 태그 디바이스(200)가 등록된 단말(100)은 '0000000000'이라는 비트를 가지고, 2번째 등록 된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0100000000'으로 표기 할 수 있으며, 2번째, 3번째 등록된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0110000000'으로 표기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100 in which 10 tag devices 200 are registered has a bit of '0000000000', and whe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cond registered tag device 200, it can be expressed as '0100000000'. In the cas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cond and third registered tag devices 200, it may be indicated as '0110000000'.

즉, 단말(100)은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태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구분자에 ‘1’을 표기하고,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태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구분자에 ‘0’을 표기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erminal 1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tag device 200, '1' is marked on the separator to be transmitted to the tag device, and when th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200,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signal to the tag device 200. '0' can be written in the delimiter to be transmitted.

태그 디바이스(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신 확인 패킷의 구분자에 '0'이 표기되어 있는 경우, 단말(100)로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The tag device 200 may retransmit a signal to the terminal 100 when '0' is indicated in the identifier of the acknowledgment packe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이때,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단말(100)로 전송되는 신호는,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 및 태그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의 버튼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는 버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g device 200 to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200 and butt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user button of the tag device 200.

단말(100)에는 복수개의 태그 디바이스(200)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A plurality of tag devices 200 may be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복수개의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100)은 복수의 태그 디바이스(200)로 동시에 동일한 수신 확인 패킷을 제공할 수 있다.When receiving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tag devices 200, the terminal 100 may simultaneously provide the same acknowledgment packet to the plurality of tag devices 200.

태그 디바이스(200)가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및 단말(100)이 전송하는 수신 확인 패킷은, 단말(100)과 태그 디바이스(200) 간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하며,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송 및 수신이 이뤄지며,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송 가능한 기 설정된 용량 이내의 신호 및 패킷이 될 수 있다.The user input signal transmitted by the tag device 200 and the acknowledgment packe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00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tag device 200, and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Bluetooth environment. , It may be a signal and a packet within a preset capacity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Bluetooth environment.

예를 들어, 블루투스 버전 4.2의 경우, 블루투스 패킷 용량은 251바이트(byte)까지 전송이 가능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버전 5.0의 경우 2Mbps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Bluetooth version 4.2, the Bluetooth packet capacity may transmit up to 251 bytes, and in the case of Bluetooth version 5.0, 2 Mbps packets may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전송 시스템은 학생 수업에 활용되는 것이며, 단말(100)은 선생님 단말이며,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생이 입력한 값을 보여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omission is utilized in a student class, the terminal 100 is a teacher terminal,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to show the values entered by the student.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전송 시스템의 실제 적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actual applica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mi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전송 시스템은 학생 수업에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omission may be utilized in a student class.

교사는 단말(100)을 통해 학생들에게 퀴즈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410).The teacher may generate and provide a quiz to students through the terminal 100 (S410).

퀴즈가 제공되면, 학생들은 자신이 소지한 태그 디바이스(200)를 통해 퀴즈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입력 신호로, 태그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입력 신호에는 태그 디바이스(200)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420).When a quiz is provided, students can respond to the quiz through the tag device 200 owned by them, which is a user input signal, and the tag device 200 can generate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t this time, the input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g device 200 (S420).

태그 디바이스(200)는 생성한 입력 신호를 퀴즈를 노출한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ag device 2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input signal to the terminal 100 exposing the quiz.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 및 사용자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단말(100)은,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확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S430).The terminal 100 receiving the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nput signal from the tag device 200 may generate an acknowledgment packet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200 (S430).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태그 디바이스(2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작 미숙이나, 특정한 이유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며, 단말(100)은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who has the tag device 200 is inexperienced or does not input a user input signal for a specific reason, an input signal is not generated, and the terminal 100 is a tag device 200 May not be able to receive the input signal.

이때, 단말(100)은 기 등록된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와 신호가 수신된 태그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태그 디바이스(200)를 검출하고, 해당 태그 디바이스로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알림은 진동이나 음향 알림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100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tag device 200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200 in which the signal is received, detects the tag device 200 in which the input signal is not received, Alert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tag device. The warning notification can be a vibration or acoustic notification.

즉, 단말(100)은 단말(100)에 기 등록된 태그 디바이스(200)들 중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20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tag device 200 that does not provide a signal within a preset time among the tag devices 200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이때, 단말(100)로부터 생성되는 수신 확인 패킷은,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가 포함되어 정상적인 응답을 전송한 태그 디바이스(200)에 대해 정상 수신을 나타내는 '1'을 포함하여 생성되고, 사용자 입력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확인 패킷은 '1'을 포함하지 않고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ption confirmation packet generated from the terminal 100 analyz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200 and includes a user input signal to indicate a normal reception for the tag device 200 that has transmitted a normal response. ', and an acknowledgment packet corresponding to a signal not including a user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without including '1'.

태그 디바이스(200)는 신호를 전송하고 난 후, 수신모드로 전환되어, 단말(100)로부터 수신 확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수신 확인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 확인 패킷 내 식별정보와 태그 디바이스(200) 내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수신 확인 패킷 비트 내 '1'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40).After transmitting the signal, the tag device 200 is switched to a reception mode, and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n acknowledgment packet from the terminal 100, and when receiving the acknowledgment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The tag device 200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match is found, and if so, whether a '1'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bit exists (S440).

수신 확인 패킷 비트 내 '1'이 존재하면, 정상적으로 신호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하여, 태그 디바이스(200)는 수신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460).If there is a '1'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bit,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and the tag device 200 may terminate the reception mode (S460).

이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태그 디바이스(200)는 정상적으로 신호가 전송되었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진동을 통해 태그 디바이스(200)를 소지하는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신호가 전송되었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device 200 may provide a notification that a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and provide a notification that a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to a user who carries the tag device 200 through vibration. Can be.

진동의 방식에 따라, 정상적인 신호 전송 및 신호가 제공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림으로 제공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ype of vibration, it may be provided as a notification that the normal signal transmission and the signal is not provided.

즉,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신 확인 패킷 내 구분자에 ‘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신호를 단말(100)로 정상적으로 전송하였다는 확인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1' is included in the delimiter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a confirmation notification that the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수신 확인 패킷 비트 내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태그 디바이스(200)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100)로 재 전송 할 수 있다.If there is no '1'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bit, the tag device 200 may retransmit a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user input signal to the terminal 100.

단말(100)은 태그 디바이스(200)로부터 식별정보 및 사용자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 받는 경우, 수신 확인 패킷을 생성하여, 태그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nput signal from the tag device 200, the terminal 100 may generate an acknowledgment packet and transmit it to the tag device 200.

즉, (S440) 단계에서 수신 확인 패킷 비트 내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420) 단계로 돌아가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f there is no '1'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bit in step (S440), it is possible to return to step (S420) to generate an input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10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normally transmitted Until it can be performed repeatedly.

단말(100)에 등록된 태그 디바이스(200)가 복수개인 경우, 단말(100)에 등록된, 모든 태그 디바이스의 신호가 확인이 될 때까지, (S410) 내지 (S450) 단계는 반복 수행될 수 있다.If there are multiple tag devices 200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steps S410 to S45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signals of all tag devices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are confirmed. have.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S440) 단계에서 수신 확인 패킷 비트 내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420) 단계로 돌아가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100)로 전송하며, 단말(100)은 재 전송을 통해 수신된 태그 디바이스(200)에 대해서만 수신 확인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no '1'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bit in step (S440), return to step (S420) to generate an input signal and transmit to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May generate and transmit an acknowledgment packet only for the tag device 200 received through retransmission.

즉, 단말(100)에 기 등록된 복수개의 태그 디바이스(200) 중 신호를 재 전송한 태그 디바이스(200)에만 수신 확인 패킷을 재 전송할 수 있다.That is, an acknowledgment packet can be retransmitted only to the tag device 200 that retransmitted the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tag devices 200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재 전송된 신호에만 대응하도록 하여, 블루투스 리소스 이용을 감소시켜 원활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By responding only to the retransmitted sig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 of Bluetooth resources and enable smooth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사용자 입력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전송 시스템은, 태그 디바이스(200)에 대한 오류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a user input signal reception omission may be able to detect an error with respect to the tag device 2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가 단말(100)을 통해 퀴즈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100)에 기 등록된 태그 디바이스(200)들에게 해당 퀴즈를 노출할 수 있다(S510).As illustrated in FIG. 3, the teacher may generate a quiz through the terminal 100 and expose the quiz to tag devices 200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S510 ).

태그 디바이스(200)를 소지한 학생들은 해당 퀴즈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태그 디바이스(200)를 통해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퀴즈에 대한 응답이 수행될 수 있다.Students with the tag device 200 may provide a user input signal for the quiz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tag device 200,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swers to the quizzes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이때, (S510) 단계는 교사에 의해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노출된 퀴즈에 대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200)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200)를 파악할 수 있다(S520).At this time, step (S51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by the teacher, check the tag device 200 that does not transmit a signal for the exposed quiz, and the tag device 200 that does not transmit a sig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It can be grasped (S520).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200)는 오류나 통신 장애로 인해 사용자 입력 신호가 누락되었을 수 있으므로, 단말(100)은 통신 상태에 대한 확인 등의 오류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530).Since the tag device 200 that does not transmit a sig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may have a user input signal missing due to an error or communication failure, the terminal 100 may perform an error check, such as checking the communication state (S530). ).

예를 들어, 단말(100)에 하나 이상의 태그 디바이스(200)들 중, 특정 횟수(예를 들어 5회)이상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200)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100)은 해당하는 태그 디바이스(200)로 사용자가 입력 신호에 대한 입력을 하지 않은 것인지, 오류나 통신 장애에 의한 신호 누락인지를 태그 디바이스(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a tag device 200 that does not transmit a signal more than a specific number of times (for example, 5 times) among one or more tag devices 200 in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is applicable The tag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user has not input the input signal or whether the signal is missing due to an error or communication failure through the tag device 200.

즉, 단말(100)은, 단말(100)에 기 등록된 복수개의 태그 디바이스(200)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200)에 대해, 오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100 may perform an error check on the tag device 200 that does not provide a sig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mong a plurality of tag devices 200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terminal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 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ny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시스템
100: 단말 200: 태그 디바이스
10: System
100: terminal 200: tag device

Claims (13)

사용자 입력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 및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파악하는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형태이고,
기 등록된 상기 태그 디바이스들 중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에 대해, 오류 검사를 수행하고,
등록된 상기 태그 디바이스의 개수에 대응하는 길이의 비트를 생성하되, 상기 비트의 자리수에 따라 각각의 태그 디바이스가 대응하도록 하는 수신 확인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태그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 확인 패킷으로부터 자신의 태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신호를 재전송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디바이스 중 상기 신호를 재 전송한 태그 디바이스에만 상기 수신 확인 패킷을 재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수신 확인 패킷은,
상기 태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구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태그 디바이스가 수신한 수신확인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구분자가 상기 단말이 신호를 미수신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신호를 재전송하고,
상기 신호 및 수신 확인 패킷은,
상기 태그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간 전송 및 수신 하되,
블루투스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블루투스 환경에서 전송가능 한 기 설정된 용량(byte)이내인 것인,
신호전송 시스템.
In the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preventing user input signal reception and leakage,
At least one ta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button and transmitting a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to a user button; And
Including the terminal; to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g device wirelessly, to grasp the value input by the user from the signal;
The terminal,
USB (Universal Serial Bus) type that includes a Bluetooth module for receiving the signal,
Among the previously registered tag devices, an error check is performed on a tag device that does not provide a sig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Generates a b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gistered tag devices, generates an acknowledgment packet for each tag device to correspond to, and transmits to the at least one tag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gits of the bit, and the tag devic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its tag device is not confirmed from the reception confirmation packet, the signal is re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at least one tag device, the acknowledgment packet is retransmitted only to the tag device that has retransmitted the signal,
The acknowledgment packet,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eparato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When the separator included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received by the tag device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has not received the signal, retransmits the signal to the terminal,
The signal and the acknowledgment packet,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tween the tag device and the terminal,
It is made in a Bluetooth environment, and is within a predetermined capacity (byte) that can be transmitted in the Bluetooth environment.
Signal transmiss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태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상기 구분자에 ‘1’을 표기하고,
상기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태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상기 구분자에 ‘0’을 표기하는 것인,
신호전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When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1' is written in the separator transmitted to the tag device,
When th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0' is indicated in the separator transmitted to the tag device.
Signal transmission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태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 및 상기 태그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의 버튼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는 버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신호전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I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and butt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 the button of the user of the tag device,
Signal transmiss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디바이스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복수의 태그 디바이스로 동시에 동일한 상기 수신 확인 패킷을 제공하는 것인,
신호전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re are multiple tag devices,
The terminal is to provide the same acknowledgment packet to the plurality of tag devices at the same time,
Signal transmission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학생 수업에 활용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은 선생님 단말이며, 상기 태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학생이 입력한 값을 보여주는 것인,
신호전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is used for student classes,
The terminal is a teacher terminal, and display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on a screen to show the value entered by the student.
Signal transmission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 등록된 상기 태그 디바이스들 중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태그 디바이스로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신호전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Among the previously registered tag devices, a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tag device that does not provide the signal within a preset time.
Signal transmiss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신 확인 패킷 내 구분자에 ‘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정상적으로 전송하였다는 확인 알림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인,
신호전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ag device,
When '1' is included in the identifier in the acknowledgment packet received from the terminal,
To provide the user with a confirmation notification that the signal has been successfu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삭제delete
KR1020180070159A 2018-06-19 2018-06-19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KR102130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59A KR102130608B1 (en) 2018-06-19 2018-06-19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59A KR102130608B1 (en) 2018-06-19 2018-06-19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03A KR20190142903A (en) 2019-12-30
KR102130608B1 true KR102130608B1 (en) 2020-07-06

Family

ID=6910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159A KR102130608B1 (en) 2018-06-19 2018-06-19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60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663Y1 (en) * 2002-05-16 2002-08-05 박용범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ination
KR101590864B1 (en) * 2015-02-06 2016-02-02 주식회사 씨드시스템 Smart attendance check system using the middle bridge and smart attendance check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06B1 (en) * 2010-03-12 2012-01-30 주식회사 큐필드 Wierless Interface System
KR20120093595A (en) * 2011-02-15 2012-08-2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Education response system for confirming education effect on realtime
US9148871B2 (en) * 2011-06-09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cknowledging communications from a plurality of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663Y1 (en) * 2002-05-16 2002-08-05 박용범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ination
KR101590864B1 (en) * 2015-02-06 2016-02-02 주식회사 씨드시스템 Smart attendance check system using the middle bridge and smart attendance check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03A (en)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8678B (en) The intelligent network terminal of multimedia messages Real-time Collection and encryption and method of work
CN102509482A (en) Multimedia teaching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framework
CN102945625B (en) Method for implementing paperless safety teaching
CN104952301A (en) Classroom interaction systems
CN105047033A (en) Classroom cloud and education cloud collaborative teaching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CN104637354A (en) Teaching system and teaching method
CN104123859A (en) Mobile learning platform based on Android system
CN103345855B (en) Projection switching system and projection switching method for teaching
KR20190124672A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 quiz for class using tag devices
Mikroyannidis et al. Forge: an elearning framework for remote laboratory experimentation on fire testbed infrastructure
KR102221228B1 (en) Method for provide coding tests and scoring algorithms
KR102296966B1 (en) System for managing learning through preparation and review and method thereof
US20140280729A1 (en) System & method for transmission & display on network nodes
KR102130608B1 (en) System for signal transmission to prevent missing of user input signal
Schön et al. MobileQuiz-a lecture survey tool using smartphones and QR tags
KR20180016032A (en)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learning contents based on learning analytics
JP2012103536A (en) Learning support system
CN108389449A (en) Interactive teaching platform based on high in the clouds
CN108630056A (en) A kind of music online teaching platform
CN102880930A (en) Student education cloud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for same
CN102945626B (en) System for paperless safety teaching
KR101850095B1 (e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providing security solution and the method thereof
CN104992389A (en) Intelligent teaching management system with assessment advice
KR101003117B1 (en) Experience learning system
KR20140056854A (en) System for providing problem solution video using qr co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