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472B1 -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 Google Patents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472B1
KR102130472B1 KR1020180061358A KR20180061358A KR102130472B1 KR 102130472 B1 KR102130472 B1 KR 102130472B1 KR 1020180061358 A KR1020180061358 A KR 1020180061358A KR 20180061358 A KR20180061358 A KR 20180061358A KR 102130472 B1 KR102130472 B1 KR 10213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digital
array antenn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854A (ko
Inventor
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프
Priority to KR102018006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04B7/0693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switching off a diversity branch, e.g. to sav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가 개시된다.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매칭되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100); 안테나를 행과 열로 배열하며, 배열된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 신호를 공기 중으로 출력하고, 공기 중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2D 배열 안테나(200); 및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의 전환에 따른 신호 나눔과 혼합에 의해 신호 송수신부(100)와 2D 배열 안테나(200)를 연결하는 선로 스위치(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환에 의해 신호 송수신무와 2D 배열 안테나를 연결하여 무선 빔포밍 장치의 성능을 높일 수 있고, 2D 배열 안테나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믹서를 연결하여 무선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점이 있고, 선로에 입력단 또는 출력단의 연결을 전환하여 선로가 주파수 신호를 나누는 나눔부 또는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부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WIRELESS BEAMFORMING DEVICE MINIMIZING POWER LOSS IN MILLIMETER WAVEBAND}
본 발명은 무선 빔포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빔포밍 장치는 2D 배열 안테나로 무선 경로에 따른 무선 신호의 위상 변화에 적응한다. 무선 빔포밍 장치는 위상이 다른 주파수 신호를 2D 배열 안테나로 출력해서 여러 위상의 무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빔포밍 장치는 2D 배열 안테나의 빔 형성을 변화시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정합한다. 2D 배열 안테나는 빔 형성이 통신하는 무선 신호에 따라 다르게 적응되어 데이터 에러율이 낮도록 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빔포밍 장치는 MIMO 기술에 속하며, MIMO(미모 또는 마이모)는 무선 통신의 용량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이다. MIMO는 기지국과 단말기에 여러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된 안테나수에 비례하여 용량을 높이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무선 빔포밍 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매칭되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안테나를 행과 열로 배열하며, 배열된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 신호를 공기 중으로 출력하고, 공기 중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2D 배열 안테나; 및 신호 송수신부와 2D 배열 안테나를 연결하는 선로 스위치로 구성되며, 선로 스위치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따라 무선 빔포밍 장치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등록번호 제10-1825852호, 무선 통신 빔포밍 장치, 시스템 및 방법 공개번호 제10-2014-0066484호, 빔포밍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빔 패턴 변경에 따른 빔 이득 보상 운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환에 따른 신호 나눔과 혼합에 의해 신호 송수신부와 2D 배열 안테나를 연결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2D 배열 안테나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매칭된 버퍼를 경유해서 믹서와 연결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선로에 입력단 또는 출력단의 연결을 전환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매칭되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100); 안테나를 행과 열로 배열하며, 배열된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 신호를 공기 중으로 출력하고, 공기 중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2D 배열 안테나(200); 및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의 전환에 따른 신호 나눔과 혼합에 의해 신호 송수신부(100)와 2D 배열 안테나(200)를 연결하는 선로 스위치(300)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100)는 인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110); 인코더(110)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 일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기(130); 발진기(130)의 주파수 신호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의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여 선로 스위치(300)로 출력하는 제1믹서(140); 선로 스위치(300)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믹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의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170)를 포함한다.
또한, 선로 스위치(300)는 2D 배열 안테나(200)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매칭된 버퍼를 경유해서 제1믹서(140) 및 제2믹서(150)와 연결하는 전력나눔혼합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나눔혼합부(310)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311);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312); 하나의 입력단(311)을 두 개의 출력단(312)으로 나누는 나눔부(313); 및 두 개의 입력단(311)을 하나의 출력단(312)으로 혼합하는 혼합부(314)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단(311)에는 행에 위상이 다른 다수의 I 신호와 열에 위상이 다른 다수의 Q 신호의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고 혼합부(314)는 입력단(311)의 신호를 혼합하여 2D 배열 안테나(200)로 출력하고, 입력단(311)에는 2D 배열 안테나(200)로부터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고 나눔부(313)는 입력단(311)의 주파수 신호를 나누어 행에 I 신호를 열에 Q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312)으로 주파수 신호를 경유하여 신호 송수신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전력나눔혼합부(310)는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이 연결되는 선로(315); 및 선로(315)에 입력단(311) 또는 출력단(312)의 연결을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316)를 포함한다.
또한, 2D 배열 안테나(200)가 시분할되어 일 시간에 송신 헤드로, 타 시간에 수신 헤드로 동작할 때 선로(315)는 전환 스위치(316)를 통해 일측에는 입력단(311)이, 타측에는 출력단(312)이 연결되는 티 선로(315)이다.
또한, 티 선로(315)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접지와 연결되어 기생 캐패시턴스의 전류 흐름을 감소시키는 홀(317)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환에 의해 신호 송수신무와 2D 배열 안테나를 연결하여 무선 빔포밍 장치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2D 배열 안테나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믹서를 연결하여 무선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로에 입력단 또는 출력단의 연결을 전환하여 선로가 주파수 신호를 나누는 나눔부 또는 주파수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부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빔포밍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신호 송수신부(1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선로 스위치(3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전력나눔혼합부(31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전력나눔혼합부(310)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선로(315)의 일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티 선로(315)에 구성된 홀(317)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빔포밍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무선 빔포밍 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매칭되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100); 안테나를 행과 열로 배열하며, 배열된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 신호를 공기 중으로 출력하고, 공기 중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2D 배열 안테나(200); 및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의 전환에 따른 신호 나눔과 혼합에 의해 신호 송수신부(100)와 2D 배열 안테나(200)를 연결하는 선로 스위치(300)를 포함한다.
신호 송수신부(10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매칭되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신호 송수신부(100)는 처리부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도록 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처리부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2D 배열 안테나(200)는 안테나를 행과 열로 배열하며, 배열된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 신호를 공기 중으로 출력하고, 공기 중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선로 스위치(300)는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의 전환에 따른 신호 나눔과 혼합에 의해 신호 송수신부(100)와 2D 배열 안테나(200)를 연결한다. 신호 나눔은 나눔부(313)가 신호 혼합은 혼합부(314)가 담당한다.
도 2는 신호 송수신부(1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신호 송수신부(100)는 인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110); 인코더(110)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 일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기(130); 발진기(130)의 주파수 신호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의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여 선로 스위치(300)로 출력하는 제1믹서(140); 선로 스위치(300)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믹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의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170)를 포함한다.
인코더(110)는 인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인코더(110)는 무선 전송에 적합하도록 디지털 신호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는 인코더(110)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한다.
발진기(130)는 일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발진한다.
제1믹서(140)는 발진기(130)의 주파수 신호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의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여 선로 스위치(300)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는 선로 스위치(300)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믹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제2믹서(150)는 선로 스위치(300)의 출력 신호를 다운 컨버전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로 출력한다.
디코더(170)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의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한다.
도 3은 선로 스위치(3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선로 스위치(300)는 2D 배열 안테나(200)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매칭된 버퍼를 경유해서 제1믹서(140) 및 제2 믹서와 연결하는 전력나눔혼합부(310)를 포함한다.
전력나눔혼합부(310)는 2D 배열 안테나(200)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매칭된 버퍼를 경유해서 제1믹서(140) 및 제2 믹서와 연결한다.
도 4는 전력나눔혼합부(31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전력나눔혼합부(310)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311);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312); 하나의 입력단(311)을 두 개의 출력단(312)으로 나누는 나눔부(313); 및 두 개의 입력단(311)을 하나의 출력단(312)으로 혼합하는 혼합부(314)를 포함한다.
입력단(311)에는 주파수 신호가 입력된다.
출력단(312)은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나눔부(313)는 하나의 입력단(311)을 두 개의 출력단(312)으로 나눈다.
혼합부(314)는 두 개의 입력단(311)을 하나의 출력단(312)으로 혼합한다.
입력단(311)에는 행에 위상이 다른 다수의 I 신호와 열에 위상이 다른 다수의 Q 신호의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고 혼합부(314)는 입력단(311)의 신호를 혼합하여 2D 배열 안테나(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위상이 다른 다수의 I신호와 Q신호는 위상 차가 랜덤하게 설정되고 입력단(311)에 입력될 수 있다. 이는 2D 배열 안테나(200)를 통해 출력되는 무선 신호가 무선 경로에 따라 전파될 때 다른 위상 특성을 나타내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신호와 Q신호의 랜덤 설정은 두 2D 배열 안테나(20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에러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데이터 에러율이 적은 방향으로 랜덤 설정이 조정될 수 있다. 랜덤 설정은 고정된 2D 배열 안테나(200)인 경우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2D 배열 안테나(200)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경우 실시간 무선 경로 특성이 달라질 수 있지만 고정된 경우에는 시간 또는 날씨에 따라 무선 경로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예측 가능한 조건하에서 랜덤 설정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무선 경로 특성이 예측 가능할 경우 랜덤 설정이 데이터 에러율을 낮출 수 있다. 낮은 데이터 에러율은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에 필수적이다.
랜덤 설정에는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가중치 값으로 랜덤 설정이 변화한다. 학습 데이터로 송신단 I신호, Q신호 및 결과로 수신단 데이터 에러율이 주어지면 가중치가 정해질 수 있다. 이후, 가중치에 따라 송신단 I신호와 Q신호의 랜덤 설정이 조정되고, 결과인 데이터 에러율이 피드백되어 가중치 값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가중치 업데이트는 학습으로 행해질 수 있다. 실시예로, 가중치 값 결정에는 고유 함수 또는 신경망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단(311)에는 2D 배열 안테나(200)로부터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고 나눔부(313)는 입력단(311)의 주파수 신호를 나누어 행에 I 신호를 열에 Q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312)으로 주파수 신호를 경유하여 신호 송수신부(100)에 전달한다. 무선 환경의 경로 특성을 고려한 2D 배열 안테나(200)의 주파수 신호는 입력단(311)에 입력되어 나눔부(313)를 통해 신호 송수신부(100)에 전달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100)는 디지털 I신호와 Q신호를 처리해서 복호화한다.
도 5는 전력나눔혼합부(310)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전력나눔혼합부(310)는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이 연결되는 선로(315); 및 선로(315)에 입력단(311) 또는 출력단(312)의 연결을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316)를 포함한다.
선로(315)에는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이 연결된다.
전환 스위치(316)는 선로(315)에 입력단(311) 또는 출력단(312)의 연결을 전환한다.
도 6은 선로(315)의 일례를 보인 예시도이다.
2D 배열 안테나(200)가 시분할되어 일 시간에 송신 헤드로, 타 시간에 수신 헤드로 동작할 때 선로(315)는 전환 스위치(316)를 통해 일측에는 입력단(311)이, 타측에는 출력단(312)이 연결되는 티 선로(315)이다. 티 선로(315)는 양단에 입력단(311)이, 하단에 출력단(31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티 선로(315)는 하단에 입력단(311)이, 양단에 출력단(312)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티 선로(315)에는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이 서로 전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티 선로(315)에 구성된 홀(317)을 보인 예시도이다.
티 선로(315)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접지와 연결되어 기생 캐패시턴스의 전류 흐름을 감소시키는 홀(317)을 가진다. 홀(317)은 접지와 연결되어 전류 패스를 가진다. 티 선로(315)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홀(317)을 가져 티 선로(315)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가 홀(317)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신호 송수신부 110: 인코더
120: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130: 발진기
140: 제1믹서 150: 제2믹서
160: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70: 디코더
200: 2D 배열 안테나 300: 선로 스위치
310: 전력나눔혼합부 311: 입력단
312: 출력단 313: 나눔부
314: 혼합부 315: 선로
316: 전환 스위치 317: 홀

Claims (7)

  1.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매칭되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100);
    안테나를 행과 열로 배열하며, 배열된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 신호를 공기 중으로 출력하고, 공기 중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2D 배열 안테나(200); 및
    입력단(311)과 출력단(312)의 전환에 따른 신호 나눔과 혼합에 의해 상기 신호 송수신부(100)와 상기 2D 배열 안테나(200)를 연결하는 선로 스위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송수신부(100)는
    인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110);
    상기 인코더(110)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
    일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기(130);
    상기 발진기(130)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의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선로 스위치(300)로 출력하는 제1믹서(140);
    상기 선로 스위치(300)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믹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의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로 스위치(300)는
    상기 2D 배열 안테나(200)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매칭된 버퍼를 경유해서 상기 제1믹서(140) 및 상기 제2믹서(150)와 연결하는 전력나눔혼합부(310)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100)는 인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110);
    상기 인코더(110)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
    일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기(130);
    상기 발진기(130)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0)의 아날로그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선로 스위치(300)로 출력하는 제1믹서(140);
    상기 선로 스위치(300)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2믹서(1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0)의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170)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스위치(300)는 상기 2D 배열 안테나(200)에서 일정 수의 안테나를 선택하고 안테나와 매칭된 버퍼를 경유해서 상기 제1믹서(140) 및 상기 제2믹서(150)와 연결하는 전력나눔혼합부(310)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나눔혼합부(310)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311);
    상기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312);
    하나의 입력단(311)을 두 개의 출력단(312)으로 나누는 나눔부(313); 및
    두 개의 입력단(311)을 하나의 출력단(312)으로 혼합하는 혼합부(314)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나눔혼합부(310)는 상기 입력단(311)과 상기 출력단(312)이 연결되는 선로(315); 및
    상기 선로(315)에 상기 입력단(311) 또는 상기 출력단(312)의 연결을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316)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D 배열 안테나(200)가 시분할되어 일 시간에 송신 헤드로, 타 시간에 수신 헤드로 동작할 때 상기 선로(315)는 상기 전환 스위치(316)를 통해 일측에는 상기 입력단(311)이, 타측에는 상기 출력단(312)이 연결되는 티 선로(315)인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티 선로(315)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접지와 연결되어 기생 캐패시턴스의 전류 흐름을 감소시키는 홀(317)을 가지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KR1020180061358A 2018-05-29 2018-05-29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KR10213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58A KR102130472B1 (ko) 2018-05-29 2018-05-29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58A KR102130472B1 (ko) 2018-05-29 2018-05-29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54A KR20190135854A (ko) 2019-12-09
KR102130472B1 true KR102130472B1 (ko) 2020-07-06

Family

ID=6883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358A KR102130472B1 (ko) 2018-05-29 2018-05-29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064A (ko)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체발생제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3901B1 (ko) 2021-09-01 2023-06-20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O-ran표준 기반의 다중 사업자, 다중 주파수대역용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0434B2 (en) * 2011-10-28 2015-10-13 Broadcom Corporation RF transceiver with beamforming antenna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2011995B1 (ko) 2012-11-23 201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빔 패턴 변경에 따른 빔 이득 보상 운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25852B1 (ko) 2013-09-08 2018-02-05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빔포밍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704688B1 (ko) * 2014-12-02 2017-02-10 전자부품연구원 밀리미터파 대역 무선 송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54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47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beam-forming network in conjunction with maximal-ratio-combining techniques
KR101858042B1 (ko) 다중 빔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위상 조정 방법, 그리고 이중 편파 안테나 시스템
US201703322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Beam Pattern with Wider Beam Width in Phased Antenna Array
US7486975B2 (en) Antenna device
CN101080846B (zh) 具智能天线的卫星通信用户装置及其方法
KR101413507B1 (ko) 프리코딩 행렬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HK1086391A1 (en) Mobile radio base station
GB0102316D0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531070B2 (en)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accommodating differential coupling between VCOs thereof
EP3687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irspace coverage capability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EP2122757B1 (en) Antenna system
AU2000238190A1 (en) Multi-antenn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US10340994B2 (en) Method for beam training in multiuser scenario and apparatus
KR102130472B1 (ko) 밀리미터파 대역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 빔포밍 장치
KR20150067964A (ko)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140266890A1 (en) Extending beamforming capability of a coupl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rray during local oscillator (lo) signal generation through a circular configuration thereof
CN109495140A (zh) 一种波束搜索跟踪无线通信系统和波束搜索跟踪方法
CN104639217A (zh) 天线系统、天线和基站
EP3337052A1 (en) Beam determining unit and beam-searching method for a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
CN109586774B (zh) 一种5g阵列天线的控制系统
CN111510229B (zh) 射频通道的校正方法和装置及天线和基站
EP13255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ulti-beam antenna without duplex filters within a base station
CN111224701A (zh) 波束成形装置、控制波束成形的方法、装置及设备
CN107017925B (zh) 一种有源阵列天线的信号处理方法和装置
CN109478937B (zh) 通道校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