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440B1 - 가스용기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용기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440B1
KR102130440B1 KR1020190011884A KR20190011884A KR102130440B1 KR 102130440 B1 KR102130440 B1 KR 102130440B1 KR 1020190011884 A KR1020190011884 A KR 1020190011884A KR 20190011884 A KR20190011884 A KR 20190011884A KR 102130440 B1 KR102130440 B1 KR 10213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tainer
container
gas
light emitting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한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한기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Priority to KR102019001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40B1/ko
Priority to PCT/KR2019/001350 priority patent/WO20192165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e.g. heat-exchangers
    • B65D83/7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e.g. heat-exchangers heating by exothermic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866Other details
    • B65D2501/24872Information, identification or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04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 B65D2583/0427Illumin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15Dismountable protective hu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4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 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16Wate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발명은 가스용기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가스용기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는, 내부에 가스용기가 수납되고, 가스용기를 감싸는 벽체로 이루어지며, 일체형 또는 복수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며, 가스용기의 상단이 노출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용기가 수납되는 수용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 열 전달물질이 채워지고,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열 전달물질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장치에 의해 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가스압력이 떨어져 분출되는 가스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용기 보온장치{Apparatus for warming gas container}
발명은 가스용기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가스용기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탄가스(butane gas)는 부탄을 주성분으로 한 액화 석유 가스이다. 부탄가스는 상온에서 5기압 정도로 가압하면 액화하는 석유계 가스이다. 부탄가스는 소형 봄베 등과 같은 가스용기에 압입되어 가정이나 캠프용 연료로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등산 버너 또는 간이 가스레인지에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용기는 외기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의 온도가 가스용기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액화부탄가스의 기화열로 인하여 가스용기가 냉각되어 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분출되는 가스량이 줄어들어 화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 경우 가스용기 내부에 잔량의 액화부탄가스가 있음에도 화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발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가스용기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발열장치에 의해 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여 낮은 온도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가스압력이 떨어져 분출되는 가스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용기의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발열장치의 발열이 중단되더라도 직접 온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발열부재의 열이 공간층을 통해 가스용기에 전달되어 가스용기의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가스의 화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스용기의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가스용기의 보온 장치의 외곽부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투명체를 기준으로 일 측에 발광부를 배치하여 발광부의 발광에 따라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조명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스용기의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의 색이 발열체의 온도 범위에 따라 변하도록 제어하여 발열체의 온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안전하게 가스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가스용기의 보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는, 내부에 가스용기가 수납되고, 가스용기를 감싸는 벽체로 이루어지며, 일체형 또는 복수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며, 가스용기의 상단이 노출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용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와 접촉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 내부에 열 전달물질이 채워지고,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열 전달물질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열 전달물질은 물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 상부에 상기 상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 내부에 제1 단열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열재는, 내측면을 따라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와 맞닿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와 돌기 사이에 열전달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용기이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단열재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는 상기 가스용기가 상기 용기 내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상기 용기 내부 바닥에 상기 가스용기가 안착되는 가스용기 안치홀더가 배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용기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 내부에 제2 단열재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커버와 가스용기 사이에 패킹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벽체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벽층; 상기 내벽층 외측에 배치고, 내부에 열선이 결합된 열선층; 및 상기 열선층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선층과의 사이에 공간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열선층과 이격되어 배치된 외벽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층은 발열체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내부에 상기 발열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공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기 하부커버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수납부와 이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공간층이 연통되는 제2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투명체; 상기 투명체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 상부에 상기 상부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용기이며, 상기 열 전달물질은, 상기 상부커버, 제2 본체 및 용기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를 채울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용기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배치되면, 상기 발열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부에서 다른 색의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투명체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용기이고, 상기 용기의 외주면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투명체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부는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가스용기가 상기 용기의 하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면 테두리 측에 상기 가스용기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열체가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 배치된 발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기판에는,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발열기판의 하부로 전달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열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체와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메탈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본체 내부에 열 전달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를 걔폐하기 위한 개폐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용기의 보온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용기의 보온 장치는 발열장치에 의해 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낮은 온도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가스압력이 떨어져 분출되는 가스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용기의 보온 장치는 발열장치의 발열이 중단되더라도 직접 온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발열부재의 열이 공간층으로 공급되어 가스용기의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함으로써 가스의 화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용기의 보온 장치는 투명체를 배치하고, 투명체를 기준으로 일 측에 발광부를 배치함으로써, 발광부의 발광에 따라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용기의 보온 장치는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의 색이 발열체의 온도 범위에 따라 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발열체의 온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를 제거하고 제1 본체에 소형 가스용기를 삽입 후 제1 본체 상부에 상부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물질이 채워진 용기에 가스용기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에 가스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재에서 발생한 열이 공간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선과 열선 제어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발열체의 전원 차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조명으로 이용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가 동작할 때의 조명에 의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의 온도가 가스용기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액화부탄가스의 기화열로 인하여 가스용기가 냉각되어 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분출되는 가스량이 줄어들어 화력이 약해져 발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가스용기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내부에 가스용기(1)가 수용되는 본체,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20) 및 본체 내부의 용기(60)에 수용되는 가스용기(1)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장치(30)를 포함한다.
본체는 내부에 가스용기(1)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본체는 일체형 또는 가스용기(1)의 크기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는 가스용기(1)를 감싸는 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일례로서, 본체는 제1 본체(11) 및 제1 본체(11) 상부에 결합되는 제2 본체(12)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대형 가스용기(1)일 경우 이에 맞추어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형 가스용기(1)일 경우 이에 맞추어 제2 본체(12)를 제거하고 제1 본체(11)만 사용할 수 있다.
상부커버(20)는 제2 본체(12)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커버(20)는 제2 본체(12) 제거 시 제1 본체(11)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커버(20) 중앙에는 관통구멍(23)이 구비된다. 관통구멍(23)을 통해 가스용기(1) 상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부커버(20)에는 온수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21)가 구비된다. 발열장치(3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주입부(21)를 통해 용기(60) 내부로 온수를 보충할 수 있다. 주입부(21)는 개폐덮개(2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발열장치(30)는 제1 본체(11) 내부에 구비된다. 발열장치(30)는 PCT 히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PCT 히터에는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장치가 꺼지고, 그 이하의 온도가 되면 히터가 다시 켜진다. 또한, PCT 히터는 안전성을 위해 과열보호 장치로 보호되어 있어 기기가 과열되면 자동으로 작동이 중지되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장치(30)는 단열재(30a), 지지부재(30b) 등과 함께 제1 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밀폐부재(81)가 결합된다. 제2 본체(12)와 상부커버(20)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밀폐부재(81)가 결합된다. 상부커버(20)와 가스용기(1) 사이에는 패킹(82)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82)은 가스용기(1) 상면과 밀착되어 가스용기(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기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본체(12) 제거 시 제1 본체(11) 상부에 상부커버(2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본체(11)와 상부커버(20) 사이에 밀폐부재(8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의 결합방식은 나사 결합방식일 수 있다. 상부커버(20)와 제1 본체(11) 또는 제2 본체(12)의 결합방식은 나사 결합방식일 수 있다.
제1 본체(11) 내부에는 제1 단열재(41)가 결합된다. 제1 단열재(41)는, 내측면을 따라 돌기(411)가 복수로 구성된다. 돌기(411)는 제1 단열재(41) 내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단열재(4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1 단열재(41)는 용기(60)를 감싸며 돌기(411)는 용기(60) 외측면에 닿는다. 돌기(411)가 형성됨에 따라 제1 단열재(41)의 내측면 돌기(411)와 돌기(4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이 열전달 통로(412)가 된다. 하부커버(90) 내부의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은 제1 본체(11) 내부로 유입되어 열전달 통로(412)를 통해 제1 본체(11) 내부 전체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다.
제1 단열재(41)의 측면에 절개공간(413)이 마련된다. 절개공간(413)은 표시창(51)에 대응 장착되는 회로기판(52)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회로기판(52)은 회로기판 커버(57)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표시창(51)은 제1 본체(11) 외측에 구비된다. 표시창(51)을 통해 온도, 과열 경고 메시지 등 여러 가지 알림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창(51)에 작동램프를 장착하여 발열장치(30)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창(51) 부근에는 전원버튼(56)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버튼(56)을 누르는 작동으로 발열장치(30)의 온 오프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창(51), 회로기판(52), 회로기판 커버(57)는 제1 단열재(41)의 절개공간(413)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본체(12)에는 벽체 내부공간(121)이 마련된다. 벽체 내부공간(121)에는 제2 단열재(42)가 결합된다. 벽체 내부공간(121)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는 막혀 있는 구조이다. 개구된 벽체 내부공간(121)의 상부 쪽을 통해 제2 단열재(42)를 결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 본체(11) 내부에 제1 단열재(41)가 결합되고 제1 단열재(41) 내부에 용기(60)가 결합된다. 용기(60)에 가스용기(1)를 삽입하기 전 용기(60) 내부에 열전달물질(60a)이 일정 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발열장치(30)의 발열에 의해 용기(60)에 열이 가해지고 용기(60)에 열이 가해짐에 따라 열전달물질(60a)이 가열된다. 가열된 열전달물질(60a)의 열은 가스용기(1)로 전달된다.
열전달물질(60a)은 액체일 수 있다. 열전달물질(60a)은 물(water) 또는 열전달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열전달물질(60a)은 발열장치(30)로부터 전도된 열이 급격히 식지 않기 때문에 발열장치(30)의 발열이 중단되더라도 가스용기(1)의 온도를 가스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용기(60) 내부에 가스용기(1)가 수용된다. 용기(60)는 부식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용기(6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에 열전달물질(60a)이 채워진 상태에서 용기(60)에 가스용기(1)가 삽입된다.
부식이 잘되는 가스용기(1) 바닥 부분이 용기(60) 내부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이 좋다. 이에 용기(60) 내부 바닥에는 가스용기 안치홀더(70)가 구비된다. 가스용기 안치홀더(70)에 가스용기(1)가 안치된다. 가스용기 안치홀더(70)에 의해 가스용기(1) 바닥이 용기(60) 내부 바닥에 닿지 않는다. 가스용기 안치홀더(70)의 외주연 끝단에는 걸림턱(71)이 구비된다. 걸림턱(71)은 방사 형태를 이루도록 복수로 구성되며, 걸림턱(71)에 가스용기(1)의 바닥 외주연이 걸려 가스용기(1)의 안정적인 안치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장치(30)는 제1 본체(11)의 내부 바닥 중앙에 위치하면서, 용기(60) 저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발열장치(30)에서 발생한 열은 용기(60)와 열전달물질(60a)을 거쳐 가스용기(1)에 전달된다.
제1 본체(11) 하부에는 하부커버(90)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커버(90) 내부에는 발열장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1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부커버(90) 내부에는 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발열체는 핫팩(hot pack) 등과 같이 발열 가능한 제품일 수 있다.
보조배터리(100) 전원이 다 소모되었을 경우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로 가스용기(1)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은 제1 본체(11) 저면에 구비되는 홀(11a)을 통해 제1 본체(11) 내부의 가스용기(1)에 전달될 수 있다.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달 통로(412)를 통해 제1 본체(11) 내부 전체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하부커버(90) 내부의 보조배터리(100)는 USB장치(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USB장치(53)에는 포트(53a)가 구비된다. 포트(53a)는 제1 본체(11) 외측에 구비된다. 하부커버(90) 내부의 보조배터리(100) 전원이 다 소모되었을 경우 제1 본체(11) 외측면에 구비되는 포트(53a)에 다른 보조배터리를 연결하여 발열장치(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본체(11) 내부에는 온도센서(54) 및 전지(55)가 구비될 수 있다. 전지(55)는 수은전지(mercury battery)일 수 있다. 전지(55)는 발열장치(30) 이외의 온도센서(54) 등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온도센서(54)는 제1 본체(11) 또는 제2 본체(12)의 내부 온도가 40도를 초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낸다.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전류를 차단한다. 온도센서(54)의 온도 감지와 제어부의 제어 작동에 의해 과열로 인한 가스 폭발사고를 방지한다.
하부커버(90) 내부에 수납물 지지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물 지지부재(110)는 스펀지(sponge)일 수 있다. 수납물 지지부재(110)를 통해 하부커버(90) 내부에 수납되는 보조배터리(100), 발열체 등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수납물 지지부재(110)는 하부커버(90)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을 상하좌우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본체(11), 제2 본체(12)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에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부커버(20)를 제거한 상태에서 가스용기(1)를 제1, 2 본체(11, 12) 내부로 삽입한 다음 상부커버(20)를 제2 본체(12) 상부에 결합한다.
상부커버(20)를 제2 본체(12)에 결합하면 가스용기(1)의 노즐 부위가 관통구멍(23)을 통해 노출된다. 가스용기(1) 상부는 고무 등과 같은 패킹(82)에 의해 긴밀히 밀착지지 된다. 가스용기(1)는 패킹(82)에 의해 제1, 2 본체(11, 12)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발열장치(30)에 전원을 인가한다. 발열장치(3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장치(30)의 발열이 이루어진다. 발열장치(30)에서 발생한 열은 용기(60), 열전달물질(60a)을 거쳐 가스용기(1)로 전달된다. 발열장치(30)에 의해 가스용기(1)에 열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발열장치(30)의 발열에 의해 가스용기(1)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은 발열체의 열 이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가열장치(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하부커버(90)에 수납되는 핫팩 등과 같은 발열체에 의해 가스용기(1)의 온도를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은 제1 본체(11)의 홀(11a)을 통해 제1 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된 가스용기(1)에 전달된다. 발열체의 열은 제1 단열재(41)의 열전달 통로(412)를 통해 가스용기(1) 측면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장치(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가스용기(1)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고 일정시간 가스 발화가 가능한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스용기(1)가 냉각되어 가스용기(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분출되는 가스량이 줄어들어 화력이 약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하부커버(90)에 수납된 보조배터리(100)의 전원이 모두 소진되면 제1 본체(11) 외측의 USB장치(53)의 포트(53a)에 다른 보조배터리를 연결하여 발열장치(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온도센서(54)는 제1 본체(11) 내부 온도를 감지한다. 표시창(51)을 통해 온도센서(54)에서 감지한 제1 본체(11)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스용기(1)가 대형일 경우 가스용기(1)에 맞추어 제1, 2 본체(11, 12)를 모두 결합한 상태로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를 제거하고 제1 본체에 소형 가스용기를 삽입 후 제1 본체 상부에 상부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스용기(1)가 소형일 경우 가스용기(1)에 맞추어 제2 본체(12)를 제거한 다음 제1 본체(11)에 가스용기(1)를 넣고 상부커버(20)를 제1 본체(11)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체가 복수의 다층구조이기 때문에 대형 소형 가스용기(1)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제1, 2 단열재(41, 42)를 통해 단열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1, 2 단열재(41, 42)는 스티로폼(styrofoam)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물질이 채워진 용기에 가스용기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와 같이 가스용기(1)가 용기(60) 내부에 삽입되기 전 용기(60) 내부에 물 등과 같은 열전달물질(60a)이 일정 높이로 채워진다.
도 8b와 같이 용기(60) 내부로 가스용기(1)를 삽입하면 용기(60) 내부에 채워진 열단물질(60a)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가스용기(1)의 외측을 감싼다. 발열장치(30)의 발열에 의해 용기(60)가 가열된다. 용기(60)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60) 내부의 열전달물질(60a)이 가열되고 열전달물질(60a)의 열이 가스용기(1)로 전달되어 가스용기(1)의 온도가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장치(30)의 열이 가스용기(1)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물 등과 같은 열전달물질(60a)을 통해 가스용기(1)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스용기(1)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발열장치(3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가스용기(1)의 온도 유지를 위해 주입부(21)를 통해 용기(60) 내부로 온수를 보충할 수 있다. 만일, 주입구(21)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부커버(20) 또는 제1 본체(11)를 분리하여 용기(60)에 내부로 온수를 공급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부커버(20) 외측에 용기(60) 내부와 연결되는 주입부(2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커버(20)나 제1 본체(11)를 분리할 필요 없이 주입부(21)를 통해 용기(60) 내부로 온수를 보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에 가스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재에서 발생한 열이 공간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선과 열선 제어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는 내부에 가스용기(201)가 수용되는 본체(210), 본체(21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220) 및 본체(210)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체(210)는 가스용기(201)에 부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가스용기(201)가 원통형이므로 이에 맞추어 본체(210)도 원통형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10)는 벽체(211) 및 벽체(211)의 안쪽에 구비되는 수용부(213)를 포함한다. 수용부(213)에 가스용기(201)가 수용된다. 벽체(211)는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벽체(211) 내부에는 열선(250)이 장착된다. 수용부(213)는 가스용기(201)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210) 상부는 가스용기(201)의 상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부(213)의 바닥은 막힌 구조로 형성된다.
본체(210)를 구성하는 벽체(211)는 보온 및 단열에 최적화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체(211)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내벽층(311), 열선층(312), 공간층(313) 및 외벽층(314) 순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벽층(311)은 수용부(213) 측에 위치한다. 내벽층(311)은 열전달물질(240)과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이다. 내벽층(311)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선층(312)은 내벽층(311) 외측에 구비된다. 열선층(312) 내부에는 발열 가능한 열선(250)이 결합된다.
공간층(313)은 열선층(312) 외측에 구비된다. 공간층(313) 내부는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외벽층(314)는 공간층(313)의 외측에 구비된다. 외벽층(314) 단열재질에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외벽층(314)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10) 하부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12)가 마련된다. 결합부(212)는 하부커버(230)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결합부(212) 저면에는 복수의 제1 구멍(3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구멍(321)은 결합부(212)의 내부공간(320)과 연통된다. 내부공간(320)의 상부에는 공간층(313)과 연통되는 제2 구멍(322)이 구비된다.
한편, 수용부(213)에는 열전달물질(240)이 일정 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열선(250)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달물질(240)을 거쳐 가스용기(201)로 전달된다.
열전달물질(240)은 액체일 수 있다. 열전달물질(240)은 물 또는 열전달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열전달물질(240)은 열선(250)부터 전도된 열이 쉽게 식지 않기 때문에 열선(250)의 발열이 중단되더라도 가스용기(201)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부커버(220)는 본체(210) 상부에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상부커버(220)은 가스용기(201) 상부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커버(220) 상부의 가스용기(201) 상부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탄성커버(260)가 구비된다.
탄성커버(260)는 가스용기(201) 상부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커버(260)는 가스용기(201)가 수용부(213)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스용기(20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커버(26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커버(220)를 본체(210)에 결합한 상태에서 가스용기(201) 상부의 가스가 분출되는 노즐 부위는 외부로 노출된다.
하부커버(230)는 본체(210)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하부커버(230) 내부에는 수납공간(231)이 마련된다. 수납공간(231)은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납공간(231)에는 발열부재(270)가 수납될 수 있다. 발열부재(270)는 핫팩(hot pack) 등과 같이 발열 가능한 제품일 수 있다.
발열부재(270)에서 발생한 열은 결합부(212)의 제1 구멍(321)을 통해 내부공간(3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내부공간(320)으로 이동한 열은 제2 구멍(322)을 거쳐 공간층(31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발열부재(270)의 열은 공간층(313)으로 이동하여 수용부(213)에 수납된 가스용기(201)로 전달되기 때문에 열선(250)의 고장으로 열선(250)의 발열이 중단되더라도 가스용기(201)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 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도 14는 열선과 열선 제어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11) 내부에 장착되는 열선(250)은 온, 오프 스위치(251), 절연퓨즈(252), 작동램프(253) 및 전원부(254)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선(250)은 온, 오프 스위치(251)에 의해 전원이 인가된다. 일례로서 온, 오프 스위치(251)는 본체(210) 내부 온도가 30도 이하일 경우 온 상태를 유지하고 30도 이상일 경우 오프 상태가 된다.
절연퓨즈(252)는 온, 오프 스위치(251)의 고장 시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일례로서 본체(210) 내부 온도가 40도를 초과 시 전류를 차단하여 과열로 인한 가스 폭발사고를 방지한다.
작동램프(253)를 통해 열선(250)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작동램프(25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잘 보이는 벽체(211)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에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과 같이 본체(210)의 수용부(213)에 일정높이로 열전달물질(240)이 충전된 상태에서 가스용기(201)를 수용부(213)로 삽입한다.
도 12와 같이 수용부(213)에 가스용기(201)가 삽입됨에 따라 물(water) 등과 같은 액체로 이루어지는 열전달물질(240)은 가스용기(20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수위가 상승한다.
상부커버(220)를 본체(210)에 나사 결합한다. 상부커버(220)를 본체(210)에 결합하면 가스용기(201)의 노즐 부위가 상부커버(220) 상부로 노출된다. 가스용기(201) 상부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커버(260)에 의해 긴밀히 밀착지지 된다. 가스용기(201) 탄성커버(260)의 지지에 의해 본체(210)의 수용부(213) 중심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열선(250)에 전원을 인가한다. 열선(25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선(250)의 발열이 이루어진다. 열선(250)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달물질(240)로 전달된다.
열선(250)은 수용부(213)를 감싸는 구조이기 때문에 열선(250)의 열이 열전달물질(240)에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열전달물질(240)에 전달된 열은 가스용기(201)에 전달되어 가스용기(201)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 준다.
열전달물질(240)은 열이 한번 전달되면 온도가 급속하게 내려가는 등,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열선(250)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가스용기(201)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열선(250)의 열이 가스용기(201)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물 등과 같은 열전달물질(240)을 통해 가스용기(201)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스용기(201)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은 발열부재의 열이 공간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과 같이 하부커버(230)의 수납공간(231)에 핫팩 등과 같은 발열부재(270)를 수납한다. 수납공간(231)에 발열부재(270)가 수용된 하부커버(230)를 본체(210)에 나사 결합한다. 발열부재(270)에서 자연스럽게 열이 발생한다.
발열부재(270)에서 발생한 열은 결합부(212)에 마련된 이동 경로를 따라 본체(210)의 벽체(211)을 구성하는 공간층(313)으로 이동하여 가스용기(201)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발열부재(270)의 열은 결합부(212)의 제1 구멍(321)을 통과하여 내부공간(320)으로 이동한다. 내부공간(320)으로 이동한 열은 다시 제2 구멍(322)을 통과하여 공간층(313)으로 이동한다.
공간층(313)으로 이동한 발열부재(270)의 열은 가스용기(201)로 전달되어 열선(250)의 열과 함께 가스용기(201)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 준다.
일례로서 열선(250)의 발열 작동이 멈추더라도 발열부재(270)의 열에 의해 가스용기(201)의 온도를 가스 발화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부재(270)의 열은 공간층(313)으로 이동하여 가스용기(201)에 전달되어 열선(250)의 발열 작동이 멈추더라도 가스용기(201)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고 일정시간 가스 발화 가능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가스용기(201)가 냉각되어 가스용기(20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분출되는 가스량이 줄어들어 화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겨울철 야외에서 영하의 온도일 경우 부탄가스의 기화가 일어나지 않음으로 기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뜨거운 물 등과 같은 열전달물질(240)을 수용부(213)에 넣고 부탄 가스용기(201)를 수용부(213)에 넣게 되면, 빠른 기화와 함께 물 등과 같은 열전달물질(240)의 온도는 내려간다. 이때, 상부커버(220)를 결합하기 전 물의 온도가 40도를 넘으면 가스 폭발의 위험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와 내부온도 확인을 위한 확인창(315)이 본체(210)에 설치한다. 온도센서는 본체(210)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본체(210)에는 충전용 USB포트(317)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본체(210) 내부 온도를 감지한다. 확인창(315)을 통해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본체(210)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온, 오프 스위치(251) 위치는 내부 온도가 30도 이상일 때 오프되고 열선(250)의 온도는 그 이상 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9는 도 17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500)는, 하부커버(510), 상부커버(520), 제1 본체(530), 제2 본체(540), 투명체(550), 용기(560), 제1 발광기판(570), 제2 발광기판(580) 및 발열기판(5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에 대해 설명하면서, 필요에 따라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부커버(510)는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부커버(510)는 내부에 발열기판(590), 배터리(59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510)는 제1 본체(5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본체(53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하부커버(510)는 제1 본체(530)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하부커버(510)가 제1 본체(530)에서 분리됨에 따라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59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배터리(592)는 교체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510)의 일 측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전원연결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512)는 후술할 배터리(592)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부커버(520)는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관통구멍(52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멍(523)은 가스용기(501)의 상부에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부커버(520)는 가스용기(50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데, 가스용기(501)의 상단이 관통구멍(523)에 관통되도록 상부커버(520)가 가스용기(501)를 덮을 수 있다. 상부커버(520)에는 일 측에 주입부(521)가 배치되고, 주입부(521)를 덮도록 개폐덮개(522)가 구비된다. 주입부(521)는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내부에 물과 같은, 열 전달물질을 채우기 위해 구비된다.
즉, 주입부(521)에 열 전달물질을 주입하고, 이렇게 주입된 열 전달물질은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그리고 주입부(521)에 열 전달물질이 채워진 다음에, 주입부(521)를 폐쇄하기 위해 개폐덮개(522)가 주입부(521)에 결합될 수 있다. 개폐덮개(522)는 주입부(5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입부(5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개폐덮개(522)의 내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520)의 항부에 밀폐부재(528)가 배치되는데, 밀폐부재(528)는 상부커버(520)와 가스용기(501) 사이에 배치된다. 밀폐부재(528)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본체(530)는 하부커버(5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본체(530)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본체(530)는 중앙에 용기(5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발광부(572)가 노출되도록 발광홀(532)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홀(532)은 제1 발광부(57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530)의 외주면에 표시부(534), 제1 스위치(536) 및 제2 스위치(538)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534)는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동작에 대해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534)는,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동작 상태, 온도, 과열 경고 메시지 등과 같은 알림 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534)는 작동램프를 장착하여 발열체(594)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534)의 양측에 제1 스위치(536) 및 제2 스위치(538)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536) 및 제2 스위치(538) 중 하나는 발열체(594)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제1 발광부(572) 또는 제2 발광부(582)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일 수 있다.
제2 본체(540)는, 상부커버(5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본체(540)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체(540)는 중앙에 용기(5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발광부(582)가 배치될 수 있다.
투명체(550)는 제1 본체(530) 및 제2 본체(540)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체(55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그로인해 내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투명체(550)의 중공에 용기(560)가 배치됨에 따라 투명체(550)의 내부에 용기(560)가 보일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체(550) 내부 하부에 제1 본체(53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다. 이때, 제1 본체(530)에는 다수의 발광홀(5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1 발광부(572)는 다수의 발광홀(532)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체(550) 내부 상부에 제2 본체(54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다. 따라서 투명체(550)를 통해 제2 본체(540)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발광기판(580) 및 제2 발광부(582)가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용기(560)는 내부에 가스용기(50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제1 본체(530), 투명체(550) 및 제2 본체(5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용기(560)는 내부에 열 전달물질인 물이 채워질 수 있으며, 물이 데워지면서 데워진 열을 가스용기(501)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겠지만, 용기(560)는 내부에 가스용기(501)를 수용하더라도 가스용기(501)와 용기(56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인 수용부(562)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562)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520)의 내부, 제2 본체(540)의 내부 및 용기(560)의 내부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560)의 하부에 발열체(594)가 접촉되어 발열체(594)에서 발생된 열이 용기(560)를 통해 용기(560)의 내부에 수용된 열 전달물질인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전열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용기(560)는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용기(560)는 빛의 반사가 잘 일어날 수 있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560)의 외주면에 빛의 반사가 잘 일어날 수 있는 소재가 코팅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60)는 투명체(550)에 의해 외주면 대부분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1 본체(530)에 배치된 제1 발광부(572)나 제2 본체(540)에 배치된 제2 발광부(582)에서 발광된 빛이 투명체(5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때, 용기(560)는 빛이 외부로 보다 잘 방출되도록 반사하는 반사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560)와 투명체(550) 사이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이격된 거리는 발광영역(554)이 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500)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최상부에 상부커버(520)가 배치되고, 상부커버(520)의 중앙에 가스용기(501)의 상단이 관통되는 관통구멍(523)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구멍(523)의 일 측에 열 전달물질이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521)가 배치되고, 주입부(521)를 개폐하기 위해 개폐덮개(522)가 배치된다.
상부커버(520)의 하부에 제2 본체(540)가 결합된다. 상부커버(520)와 제2 본체(540)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커버(520)가 제2 본체(540)에서 회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본체(540)와 상부커버(520)는 오링(OR)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오링(OR)은 제2 본체(54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부커버(520)의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커버(520)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열 전달물질이 상부커버(520)와 제2 본체(540)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커버(520)는 가스용기(50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부커버(520)와 가스용기(501) 사이에 밀폐부재(528)가 배치된다. 밀폐부재(528)는 주입부(521)를 통해 열 전달물질이 주입될 때, 열 전달물질이 상부커버(520)에 형성된 관통구멍(5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밀폐부재(528)는 하면은 가스용기(501)에 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은 상부커버(52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폐부재(528)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러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스용기(501)는 도시된 바와 같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단에 버너 등과 연결되기 위한 가스배출부(50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5 내지 조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배출부(502)는 상부커버(52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가스용기(501)는 상부커버(520)에 형성된 관통구멍(523)을 관통될 때, 제2 본체(540)의 내부 중공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된다.
제2 본체(54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본체(540)는 내측면에 제2 본체(54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542)가 형성된다. 돌출부(542)는 제2 본체(540)의 내측면에 중앙부분에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542)는 제2 본체(5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560)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으며, 용기(560)를 채우는 열 전달물질이 돌출부(542)와 용기(560)의 상단 사이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돌출부(542)는 용기(56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542)와 용기(560)의 상단이 접촉할 때, 돌출부(542)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됨에 따라 돌출부(542)와 용기(560)는 밀착될 수 있다.
용기(560)는 가스용기(50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용기(501)는 용기(56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가스용기(501)의 하단이 용기(560)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가스용기(501)가 용기(560)에 안착될 때, 가스용기(501)의 하단과 용기(560)의 하면은 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가스용기(501)의 하단과 용기(560)의 하면 사이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60)의 하면의 테두리에는 가스용기(501)가 안착되도록 용기(56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스용기(501)는 용기(560)의 하면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용기(560)에 형성된 돌출된 형상은 용기(560)가 굴곡져 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용기(560)에는 주입부(521)를 통해 주입된 열 전달물질이 수용된다. 주입부(521)를 통해 주입된 열 전달물질은 상부커버(520), 제2 본체(540)의 돌출부(542)의 상단을 거쳐 용기(560) 내측의 수용공간을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달물질은 용기(560)에 안착되어 상단이 상부커버(520)에 형성된 관통구멍(523)을 통해 관통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용기(560)를 채운 열 전달물질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즉 열 전달물질이 주입부(521)를 통해 주입되면, 가스용기(501)의 하면과 측면 대부분을 접하도록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기판(580)은 제2 본체(5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발광기판(580)은 제2 본체(540)에 형성될 돌출부(54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발광기판(580)은 돌출부(542)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2 본체(540)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발광기판(580)의 하부에 다수의 제2 발광부(582)가 배치된다. 다수의 제2 발광부(582)는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제2 발광부(582)로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발광부(582)를 통해 방출된 빛은 백색광이 방출될 수 있고, 이렇게 제2 발광부(582)에서 방출된 백색광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500)를 조명으로 이용할 수 있다.
투명체(550)는 제2 본체(540)의 하부에 결합된다. 투명체(550)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되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투명체(55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는 제1 본체(530)의 상부에 결합된다.
투명체(550)의 내측면에는 케이블부(552)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부(552)는 투명체(55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투명체(55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부(552)는 후술할 배터리(592), 제1 스위치(536) 및 제2 스위치(5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이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렇게 상부로 연결된 케이블은 제2 발광기판(580)에 연결되며, 제2 발광기판(580)을 통해 제2 발광부(58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발광부(582)는 배터리(59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투명체(550)에 배치된 케이블부(552)는 투명체(55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케이블부(552)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부(552)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부(552)가 배치된 투명체(550)의 외주면은 다른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체(5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케이블부(552)의 외측면은 용기(560)의 외주면과 대응된 면일 수 있는데, 이때, 케이블부(552)와 용기(560) 사이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용기(560) 내에 열 전달물질이 가열되더라도 용기(560)를 통해 열이 직접 케이블부(552)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케이블부(552)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내측에는 케이블부(552)의 중공을 통해 관통하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호판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부(552)의 내부에 배치된 보호판은 케이블부(552)의 내부 중공의 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보호판으로 인해 케이블부(552)의 내부 중공은 밀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본체(530)는 투명체(550)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1 본체(5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는 중앙 부분이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가장자리로갈수록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발광홀(53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발광홀(5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발광홀(532)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홀(532)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형상의 네 면 중 세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한 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홀(532)에 형성된 수직면은 제1 본체(530)의 외측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본체(530)에 형성된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커버의 하부는 제1 본체(530)의 내부 중공으로 형성된 공간이며, 이 공간에 제1 발광기판(570)이 배치된다. 제1 발광기판(570)은 중앙에 홀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발광기판(570)에 다수의 제1 발광부(572)가 배치된다. 다수의 제1 발광부(572)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1 발광부(572)에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는, 예컨대, 청색광, 적색광 및 황색광이 발광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부(572)에 이용된 발광 다이오드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광기판(570)이 제1 본체(530)에 결합되면, 제1 발광기판(570) 상에 배치된 다수의 제1 발광부(572)는 제1 본체(530)에 형성된 다수의 발광홀(53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제1 발광부(572)에서 방출된 빛은 다수의 발광홀(532)을 통해 제1 본체(530)의 상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홀(532) 각각은 세 개의 경사면과 하나의 수직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발광부(572)에서 방출된 빛은 세 개의 경사면을 따라 제1 본체(530)의 중앙을 향해 방출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발광부(572)에서 방출된 빛이 제1 본체(530)의 중앙을 향해 방출됨에 따라 제1 발광부(572)에서 방출된 빛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용기(560)의 외주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용기(560)의 외주면에서 반사되어 투명체(5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1 본체(530)의 하부에 발열체(594)가 배치될 수 있다. 발열체(594)는 제1 본체(5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용기(56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발열체(594)는 전원이 공급되어 스스로 발열할 수 있다. 발열체(594)는 PCT 히터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594)는 내부에 자동 온도조절 기능이 포함될 수 있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발열이 정지되고, 소정의 온도 이하가 되면 다지 발열될 수 있다. 또한, 발열체(594)는, 안정성을 위해 과열 보호 장치로 보호되며, 과열되면 자동으로 발열이 중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594)는 상부 방향으로만 열을 방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발열체(594)의 하부에 발열기판(590)이 배치된다. 발열기판(590)은 하부에 배터리(592)가 장착되고, 상부에 발열체(59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측에 표시부(534), 제1 스위치(536) 및 제2 스위치(538)가 배치될 수 있으며, 타 측에 전원연결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기판(590)에는 하나 이상의 열전달홀(596)이 형성될 수 있다.
열전달홀(596)은 발열체(594)에서 발열된 열이 발열기판(590)의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592)에 전달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제1 본체(530)와 하부커버(510)은 별도의 분리 부재에 의해 분리되어 제1 본체(530)의 내부에 발열기판(590), 발열체(594), 제1 발광부(572) 및 제1 발광기판(570)이 배치되며 하부 커버(510)에는 배터리(592)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열전달홀(596)은 분리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500)는, 지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장시간 동작될 수 있는데, 겨울의 경우에 외부 기온이 낮아 지면의 기온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지면에 가스용기 보온장치(500)를 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할 때, 지면에서 전달되는 냉기로 인해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592)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592)가 동작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체(594)에서 발생된 열이 발열기판(590)의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592)까지 전달되도록 발열기판(590) 상에 하나 이상의 열전달홀(59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면에서 냉기가 전달되더라도 발열체(594)에서 전달된 열기로 인해 배터리(592)의 온도가 떨어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592)의 하부에 하부커버(510)가 배치되고, 하부커버(510)는 제1 본체(530)의 하부에 결합된다. 하부커버(51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배터리(592) 및 발열기판(59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510)와 제1 본체(530)의 사이에 오링(OR)이 배치될 수 있다. 오링(OR)은 제1 본체(530)의 외측에 배치되고, 하부커버(5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수분이나 물 등이 하부커버(5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500)는 내부에 가스용기(501)가 배치되고, 가스용기(50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부커버(520), 제2 본체(540) 및 용기(560)가 배치된다. 그에 따라 주입부(521)를 통해 열 전달물질이 주입되면, 주입된 열 전달물질은 가스용기(501)의 측면과 하면과 접하도록 수용부(562)를 채울 수 있다. 수용부(562)는 상부커버(520), 제2 본체(540) 및 용기(560)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부에 배치된 주입부(521)만 밀폐되면, 완전히 밀폐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가스용기(501)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스용기(501)와 상부커버(520)의 사이에 밀폐부재(528)가 배치되어 수용부(562)는 밀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562)에 열 전달물질이 채워진 상태에서, 배터리(592)에서 발열체(594)로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체(594)는 발열되고, 발열체(594)의 발열에 따라 용기(560) 내의 열 전달물질에 열이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열 전달물질이 가열되어 가스용기(501)를 보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스용기 보온장치(500)의 주변의 온도가 영하와 같은 낮은 온도라 하더라도 가스용기(501)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의 발열체의 전원 차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발열체(594)와 배터리(592)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부(534), 제1 스위치(536), 제2 스위치(538) 및 전원연결부(512)와 배터리(59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열체(594)는 내부에 자동 온도조절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그렇지만, 발열체(594)에 의해 가열된 열 전달물질에 의해 가스용기(501)가 보온이 유지되는데, 이때, 가스용기(501)는 약 40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594) 자체에 포함된 자동 온도조절 기능만으로 발열체(594)가 동작하는 것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594)와 배터리(592)의 사이에 바이베탈 스위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바이메탈 스위치(BM)는 발열체(594)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열체(594)의 온도에 의해 발열체(594)와 배터리(592)가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이메탈 스위치(BM)는, 온도가 일정 이상 상승하면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고, 온도가 일정 이하로 하강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594)와 배터리(592)를 연결하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라인 상에 각각 두 개의 바이메탈 스위치(BM)를 설치한다. 그리고 두 개의 바이메탈 스위치(BM) 중 어느 하나에서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면 발열체(594)와 배터리(59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실시예에서, 바이메탈 스위치(BM)는 약 40도를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열체(594)의 온도가 약 40도까지 상승하면, 두 개의 바이메탈 스위치(BM)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하여 발열체(594)와 배터리(59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면 발열체(594)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더 이상 발열되지 않을 수 있고, 발열체(594)에 의해 가열되는 열 전달물질의 온도 상승이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594)의 온도가 약 40도에 도달하더라도 열 전달물질의 온도가 바로 40도까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가스용기(501)에 전달되는 온도는 40도까지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하게 가스용기(501)를 보온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를 조명으로 이용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500)는, 조명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발광부(582)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된다. 그에 따라 제1 스위치(536) 및 제2 스위치(53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2 발광부(582)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 발광부(582)가 동작하여 발광할 수 있다. 다수의 제2 발광부(582)는 제2 본체(540) 내에 배치되며, 하부 방향을 향해 발광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발광부(582)에서 방출된 빛은 용기(560)의 외주면에서 반사되어 투명체(550)의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용기(560)의 외주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소재가 이용됨에 따라 다수의 제2 발광부(582)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하여 투명체(550)의 외측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 보온장치가 동작할 때의 조명에 의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1 발광부(572)는 알람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발광부(572)는 청색광, 황색광 또는 적색광과 같이, 색이 있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즉, 발열체(594)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다수의 제1 발광부(572)는 청색광, 황색광 및 적색광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즉, 예컨대, 발열체(594)의 온도가 안정적인 온도에 해당하는 약 20℃ 내지 30℃의 범위에 있으면, 제1 발광부(572)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594)가 약 30℃ 내지 35℃의 온도 범위에 있으면, 제2 발광부(582)는 황색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발열체(594)가 약 35℃ 이상의 온도 범위에 있으면, 제2 발광부(582)는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메탈 스위치(BM)가 동작하여 발열체(594)와 배터리(592)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면, 제1 발광부(572)의 동작도 차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열체(594)가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발광부(572)에서 방출되는 색을 통해 발열체(594)의 온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는, 가스용기 보온장치(500)가 동작하는 동안, 발열체(594)의 작동 온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01: 가스용기
11: 제1 본체 11a: 홀
12: 제2 본체 20: 상부커버
21: 주입부 22: 개폐덮개
23: 관통구멍 30: 발열장치
30a: 단열재 30b: 지지부재
41: 제1 단열재 42: 제2 단열재
51: 표시창 52: 회로기판
53: USB장치 53a: 포트
54: 온도센서 55: 전지
56: 전원버튼 57: 회로기판 커버
60: 용기 60a: 열전달물질
70: 가스용기 안치홀더 71: 걸림턱
81: 밀폐부재 82: 패킹
90: 하부커버 100: 보조배터리
110: 수납물 지지부재 121: 벽체 내부공간
411: 돌기 412: 열전달 통로
413: 절개공간
210: 본체 211: 벽체
212: 결합부 213: 수용부
220: 상부커버 230: 하부커버
231: 수납공간 240: 열전달물질
250: 열선 251: 온, 오프 스위치
252: 절연퓨즈 253: 작동램프
254: 전원부 260: 탄성커버
270: 발열부재
311: 내벽층 312: 열선층
313: 공간층 314: 외벽층
315: 확인창 317: USB포트
320: 내부공간
321: 제1 구멍 322: 제2 구멍
500: 가스용기 보온장치
501: 가스용기 502: 가스배출부
510: 하부커버 512: 전원연결부
520: 상부커버 521: 주입부
522: 개폐덮개 523: 관통구멍
528: 밀폐부재
530: 제1 본체 532: 발광홀
534: 표시부
536: 제1 스위치 538: 제2 스위치
540: 제2 본체 542: 돌출부
550: 투명체 552: 케이블부
554: 발광영역
560: 용기 562: 수용부
570: 제1 발광기판 572: 제1 발광부
580: 제2 발광기판 582: 제2 발광부
590: 발열기판 592: 배터리
594: 발열체 596: 열전달홀
BM: 바이메탈 스위치 OR: 오링

Claims (13)

  1. 내부에 가스용기가 수납되고, 가스용기를 감싸는 벽체로 이루어지며, 일체형 또는 복수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스용기의 상단이 노출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용기가 수납되는 수용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곽부는 투명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에 열 전달물질이 채워지고,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열 전달물질로 전달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제1 발광부가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발광부에서 다른 색의 빛이 방출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투명체; 및
    상기 투명체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 상부에 상기 상부커버가 결합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용기이며,
    상기 열 전달물질은, 상기 상부커버, 제2 본체 및 용기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용기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제2 발광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투명체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주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투명체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빛을 반사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하부커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발광부는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가스용기가 상기 용기의 하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면 테두리 측에 상기 가스용기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가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 배치된 발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기판에는,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발열기판의 하부로 전달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가스용기 보온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열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체와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메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열 전달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는 가스용기 보온장치.
KR1020190011884A 2018-05-08 2019-01-30 가스용기 보온장치 KR10213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84A KR102130440B1 (ko) 2019-01-30 2019-01-30 가스용기 보온장치
PCT/KR2019/001350 WO2019216525A1 (ko) 2018-05-08 2019-01-31 가스용기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84A KR102130440B1 (ko) 2019-01-30 2019-01-30 가스용기 보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440B1 true KR102130440B1 (ko) 2020-08-05

Family

ID=7204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884A KR102130440B1 (ko) 2018-05-08 2019-01-30 가스용기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1408A (zh) * 2021-06-16 2021-10-19 广州宏晟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复合棒保温箱
KR102645827B1 (ko) * 2023-06-19 2024-03-08 전예진 휴대용 가스사용 용기의 가스통 보온장치
JP7497899B1 (ja) 2022-12-06 2024-06-11 ツリー アンド ルート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ガス容器ウォーマ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34A (ko) * 2002-10-22 2004-04-29 배길호 휴대가 가능한 차량용 음료 패트용기의 냉온기
KR200375496Y1 (ko) * 2004-11-02 2005-03-11 권영호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커버
KR101254237B1 (ko) * 2010-11-05 2013-04-12 이철주 소형히터를 이용한 2중보온통
KR20140008922A (ko) * 2012-07-13 2014-01-22 윤지훈 조명겸용 정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334A (ko) * 2002-10-22 2004-04-29 배길호 휴대가 가능한 차량용 음료 패트용기의 냉온기
KR200375496Y1 (ko) * 2004-11-02 2005-03-11 권영호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커버
KR101254237B1 (ko) * 2010-11-05 2013-04-12 이철주 소형히터를 이용한 2중보온통
KR20140008922A (ko) * 2012-07-13 2014-01-22 윤지훈 조명겸용 정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1408A (zh) * 2021-06-16 2021-10-19 广州宏晟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复合棒保温箱
JP7497899B1 (ja) 2022-12-06 2024-06-11 ツリー アンド ルート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ガス容器ウォーマー
KR102645827B1 (ko) * 2023-06-19 2024-03-08 전예진 휴대용 가스사용 용기의 가스통 보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440B1 (ko) 가스용기 보온장치
KR101922975B1 (ko) 가스용기 보온장치
KR101906268B1 (ko) 가스용기 보온장치
EP3107145B1 (en) Thermal management and automatic fire-extinguishing system of automobile battery
US6069447A (en) Thermal insulating and impact resistant indicator light apparatus
JP6103887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
KR101011709B1 (ko) 콘센트
ES2745490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de gas
KR102064600B1 (ko) 휴대용 가스용기 워머
US9497958B2 (en) Post mounted dispensing device
GB2160965A (en) Thermal storage device
US10137464B2 (en) Multi-fuel-canister insect repellent system
WO2006021620A1 (en) A construction of an illuminator
US200900903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lf-Contained Heating Vessel
KR20090079183A (ko) 콘센트
JP7497899B1 (ja) ガス容器ウォーマー
KR102645827B1 (ko) 휴대용 가스사용 용기의 가스통 보온장치
KR102553309B1 (ko) 가스용기 워머
KR200371792Y1 (ko) 휴대용 가스 렌지의 안전 장치
US200701077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lf-Contained Heating Vessel
KR200325140Y1 (ko) 휴대용 가스버너용 과열 감지 장치
KR102409637B1 (ko) 광 생성 장치
ES1200111U (es) Unidad de cocción de alimentos
CN219155348U (zh) 一种具有干冰降温装置的危化品储罐
JP3221272U (ja) アロマナイト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