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146B1 - 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 - Google Patents

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146B1
KR102130146B1 KR1020157030179A KR20157030179A KR102130146B1 KR 102130146 B1 KR102130146 B1 KR 102130146B1 KR 1020157030179 A KR1020157030179 A KR 1020157030179A KR 20157030179 A KR20157030179 A KR 20157030179A KR 102130146 B1 KR102130146 B1 KR 10213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tainer
opening
chute
closing doo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4380A (en
Inventor
이와카미 슈지
슈가 마사노부
Original Assignee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1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투입장치는(22)는, 반송(搬送) 지지부(81)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21)에 투입할 때에, 개폐문(82)을 전(全)개방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슈트(21)에 형성된 투입구(201)를 개방하고, 쓰레기 수용체(5)를 지지한 반송 지지부(81)를, 슈트(21) 외(外)의 제 2 위치로부터 슈트(21) 내(內)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 개폐문(82)을, 전개방 위치와 전폐쇄 위치와의 중간위치에 위치시키고, 쓰레기 수용체(5)를 지지한 반송 지지부(81)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21) 내(內)에 남긴 채로, 반송 지지부(81)만을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개폐문(82)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다.When the trash container 5 mounted on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81 is put into the chute 21, the dispensing device 22 is placed in the chute by placing the opening/closing door 82 in the full open position. The inlet 201 formed in the 21) is opened, and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81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5 is re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outside the chute 21 from inside the chute 21. Move to 1 position. Thereafter,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deployed position and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81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5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reby, only the conveyance support part 81 is moved to the 2nd position, leaving the waste container 5 in the chute 21. T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laced in the completely closed position.

Description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Waste Intake Device {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가 하강하도록 구성된 슈트 내에,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is installed to penetrate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and is configured to inject a waste container into a chute configured to lower the waste container that receives waste.

특허문헌 1에는,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슈트(chute) 내(內)에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쓰레기 종반송(縱搬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기재된 종반송 장치에서는, 슈트 내의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쓰레기를 수용한 전용의 버킷(bucket)이 슈트 내를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종반송 장치에는, 슈트 내에 버킷을 투입하는 투입장치가, 각 플로어에 설치되어 있다. 투입장치는, 슈트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쓰레기를 수용한 버킷을, 투입구를 통해 슈트 내에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슈트 내에서 버킷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지지수단은, 슈트 내벽(內壁)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버킷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당해 버킷을 지지하는 상태와, 슈트 내벽에 매몰(埋沒)함으로써 버킷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당해 버킷의 하강을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롤러로 이루어진다. 이 투입장치에서는 먼저, 개폐수단이 투입구를 열고, 반송수단이, 쓰레기를 수용한 버킷을 슈트 내에 반송하며 또한, 지지수단이 이 버킷을 지지하고, 그 후, 개폐수단이 투입구를 닫아, 지지수단이 버킷의 지지를 해제함으로써, 버킷이 슈트 내를 하강한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waste conveyance device configured to lower waste discharged from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in a chute. In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described in this patent document, by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chute, a dedicated bucket for holding garbage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chute. In this vertical transfer device, an input device for inserting a bucket into the chute is provided on each floor. The input device comprises an opening/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put port formed in the chute, a bucket for storing waste,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chute through the input port, a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bucket in the chute. The support means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chute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to support the bucket, and by engaging the inner wall of the chute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bucket to lower the bucket. In an acceptable state, it consists of a switchable roller. In this input device, firs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pens the opening, and the transportation means transports the bucket containing the waste into the chute, and the supporting means supports the bucket, and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closes the opening, and the supporting means By releasing the support of this bucket, the bucket descends in the chute.

[선행기술문헌][Advanced technical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Document]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254617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2546170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에 기재되는 구성에서는, 버킷의 투입장치는, 개폐수단, 반송(搬送)수단, 및 지지수단의 3가지의 수단을 필수로 하고 있어, 장치구성이 대규모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By the way,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the bucket input device requires three means: opening and closing means, conveying means, and support mea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aratus configuration becomes large. .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 내에 투입하도록 구성된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구성을 간략화하는 데 있다.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its aim is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n the waste container of the waste container configured to inject the waste container into the chute.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가 하강하도록 구성된 슈트 내에,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하도록 구성된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슈트에는, 상기 플로어에 대응하여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다.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configured to inject the waste container into a chute that is installed to penetrate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and is configured to lower the waste container that receives waste. Here, in the chu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wast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floor is formed.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는, 상기 슈트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문과,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슈트 내의 제 1 위치와, 상기 슈트 외(外)의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 반송 지지부와, 상기 개폐문의 개폐 및 상기 반송 지지부의 진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The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chute, the first position in the chute in the state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and the second position outside the chute (outside the chute) , A transport support unit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inle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dvancement and retreat of the transport support unit.

그리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투입구를 전폐쇄로 하는 전폐쇄 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상태의 상기 반송 지지부가 통과 가능하게 되도록 여는 전(全)개방 위치와, 상기 전폐쇄 위치와 상기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투입구를, 상기 반송 지지부와는 간섭하지 않고 그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상기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와는 간섭하여 그 통과를 저지하도록 여는 중간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에 투입하는 때에는,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반송 지지부를,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개폐문을 상기 중간위치에 위치시키며,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상기 반송 지지부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 내에 남긴 채로, 상기 반송 지지부만을 당해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are in a fully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inlet is completely closed, and a full open position in which the inlet is opened so that the conveyance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supported can pass, and the fully closed position. Between the position and the deployed position, the opening is ope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veyance support and allow its passage, while interfering with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conveyance support to prevent its passage. When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transport support is placed in the chute, the controller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deployed position, and the transport support that supports the waste container is The waste container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door is plac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transfer support part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reby moving the waste container to the While remaining in the chute, only the conveying support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 내에 투입하는 때에는, 먼저, 쓰레기 수용체가, 슈트 외(外)의 제 2 위치에 위치된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슈트의 투입구를 전개방으로 하도록, 개폐문이 전개방 위치에 위치되고, 반송 지지부는,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상태로,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반송 지지부는, 투입구를 통해 슈트 내로 이동한다. 반송 지지부는, 슈트 내에서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다. 그 후, 개폐문은, 전개방 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위치를 바꾸고, 이 상태에서, 반송 지지부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을 한다. 이에 따라,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쓰레기 수용체도, 반송 지지부의 이동과 함께, 제 2 위치의 방향, 즉 슈트 외를 향해 이동하고자 하나, 쓰레기 수용체는,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개폐문과 간섭하게(즉, 닿게) 된다. 한편, 반송 지지부는,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개폐문과는 간섭하지 않고, 투입구를 통과하여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반송 지지부와 이에 의해 지지된 쓰레기 수용체는 상대이동을 하고, 쓰레기 수용체는 슈트 내에 남은 채로, 반송 지지부는 슈트 외(外)로 이동한다. 쓰레기 수용체는, 슈트 내에서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므로, 슈트 내를 하강하게 된다. 개폐문은, 반송 지지부가 제 2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전폐쇄 위치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투입구가 닫힌다. 이렇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동작이 완료된다.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슈트 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악취 누설 방지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예를 들어 슈트 내의 압력 조정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의 하강제어를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개폐문을 닫음으로써 슈트 내의 압력 조정, 나아가 쓰레기 수용체의 하강제어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ste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is put into the chute, first, the waste container is supported by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outside the chute. T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positioned at the unfolded position so that the chute inlet is the unfolded position, and the conveyance support unit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ile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In this way,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moves into the chute through the inlet.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waste container in the chute. Then, the opening/closing door changes the position from the deployed position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in this state,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ly,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conveyance support also trie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sition, that is, out of the chut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support, but the waste container interferes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locat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e. , Touch). On the other hand, the conveying support portion can move to the second position through the input por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locat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That is,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and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it move relative, the waste container remains in the chute, and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moves outside the chute. Since the waste container is not supported by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in the chute, the chute is lowered. The opening/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fter the conveying support portion has been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inlet is closed. In this way, the input operation of the waste container is completed. By placing the opening/closing door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seal the inside of the chute, and to prevent odor leakage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lowered by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chute, for example, the pressure in the chute can be adjusted by closing the opening/closing door, and further, the lowering of the waste container can be controlled.

이와 같이, 상기 구성에서는, 투입장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즉, 개폐수단의 기능)과,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 내에 반송함과 동시에, 슈트 내에서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하고 또한, 그 지지를 해제하여 쓰레기 수용체를 하강시키는 반송 지지부(즉, 반송수단 및 지지수단의 기능)를 구비하고 구성된다. 반송 지지부는, 반송수단과 지지수단을 겸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투입장치의 장치구성이 간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송 지지부는, 예를 들어 쓰레기 수용체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테이블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쓰레기 수용체의 상부에 걸어맞춤 하여, 당해 쓰레기 수용체를 매달아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way,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jecting device transport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is, the fun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and the waste container in the chute, and also supports the waste container in the chute and releases the support. I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transport support (ie, the function of the transport means and the support means) to lower the waste container. The conveying support portion serves as both the conveying means and the supporting means, whereby the devic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is simplified. Such a conveyance support part can be comprised by the table which has the mounting surface which mounts a waste container, for exampl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that engages the upper portion of the waste container and suspends the waste container.

장치의 간략화는, 예를 들어 맨션 등의, 일반적인 고층 건축물의 플로어에 설치된 일반 주거용의 투입장치에 있어서는, 특히 유효하다. 왜냐하면, 일반 주거용의 투입장치는, 맨션의 주민과 같은 일반인이 조작을 행하기 때문이다.The simplification of the device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a general residential input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general high-rise building, such as a mansion. This is because the general residential input device is operated by a general person, such as a mansion resident.

상기 쓰레기 수용체는, 상기 슈트의 내벽면에 대해 소정의 미세 틈새를 둔 상태에서, 당해 슈트 내를 하강하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전폐쇄 위치에서는, 그 이면(裏面)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슈트의 상기 내벽면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는, 상기 개폐문을, 상기 슈트의 외측에서 당해 슈트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상기 전폐쇄 위치와, 상기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슈트를 따라 이동을 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전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근시키면서, 상기 슈트를 따라 이동을 시킨다.The waste container is lowered in the chute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fine gap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and the opening/closing door, at the full closed position, has at least a portion of its rear surface, the chute. In a configuration that is coplanar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vice, the injecting device for the waste container is provided with the full closed position and the unfolded position so as to slide the open/close door along the suit from the outside of the suit.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configured to guide reciprocally between, the guide portion, when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direction from the fully closed position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whil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let , When moving along the chute and at the same time moving from the deployed position toward the full closed position, move along the chute while approaching the inlet horizontally.

쓰레기 수용체가, 슈트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미세 틈새를 둔 상태에서 하강할 때에는, 쓰레기 수용체를 원활하게 하강시키는 데 있어서, 슈트의 내벽면에는 단차 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폐문은, 전폐쇄 위치에서는, 그 이면의 적어도 일부가, 슈트의 내벽면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waste container is lowered with a fine gap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in order to smoothly lower the wast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re is no step or the lik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is coplanar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한편, 개폐문을, 슈트의 외측에서 당해 슈트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전폐쇄 위치와,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구성한 때에는, 개폐문을 개폐할 시에, 적어도 슈트를 구성하는 관의 두께 분만큼, 이 개폐문의 위치를 어긋나게 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부는,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로부터 전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투입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슈트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개폐문과 슈트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개폐문을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개폐문을 전개방 위치로부터 전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투입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근시키면서, 슈트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때에는, 그 이면의 적어도 일부를, 슈트의 내벽면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configured so as to slide along the chute from the outside of the chute to reciprocate between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deployed position, when opening or closing the open/close door, at least the tube constituting the chute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osi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by the thickness of. When the guide portion moves the opening/closing door from the fully closed position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the guide part is moved along the chute while being sp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let, thereby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chute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ute. On the contrary, when moving the opening/closing door from the deployed positio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ully closed position, by moving along the chute while approaching the inlet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its back surface is positioned , It becomes possible to make it the same plane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a suit.

전술과 같이, 슈트의 내벽면에는 단차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쓰레기 수용체를 원활하게 하강시키는 데 있어서 유리하고,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때에는, 그 이면의 적어도 일부가 슈트의 내벽면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된다. 여기서, 개폐문 이면의 전면(全面)이, 슈트의 내벽면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될 필요는 없고, 그 적어도 일부가 동일 평면이 되어도, 쓰레기 수용체를 원활하게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슈트의 내벽면에, 상하 방향에 대한 단차가, 수평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때에는, 쓰레기 수용체의 하강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슈트의 내벽면에, 상하 방향에 대한 단차가, 수평방향의 도중에서 분단되는 때에는, 쓰레기 수용체의 하강을 저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구성은, 개폐문의 위치에서 단차가 생길 수 있으나, 이 단차에 쓰레기 수용체가 걸리는 일 없이, 쓰레기 수용체를 원활하게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advantageous not to form a step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to smoothly lower the waste container,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chute is in relation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Coplanar. He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entire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to be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lower the waste container even if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flush. That is, when the step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so as to contin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wering of the waste container is inhibited. However, when the step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divided in the middl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the fall of the waste container is not inhibited.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 step may occur at the posi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but it is possible to smoothly lower the waste container without the step receiving the waste container.

즉, 상기 개폐문의 이면에는,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슈트의 상기 내벽면과 동일 평면이 되는 안내면을 가지고 또한, 상기 투입구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판이 붙여지고, 상기 투입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문이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띠형상 판의 단부(端部)가 안쪽으로 삽입되는 홈 형상 노치(notch)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문이 상기 전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때에는, 상기 띠형상 판이 상기 홈 형상 노치 내를 지나도록 구성된다.That is, on the back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 belt-shaped plate extending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inlet is attached with a guide surface that is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when position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inlet is A groove-shaped notch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simultaneousl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strip-shaped plate is inserted inwar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positioned at the fully closed pos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moves from the fully closed position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the belt-shaped plate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roove-shaped notch.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때에, 개폐문의 이면에 붙여진 띠형상 판의 단부와, 투입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또한, 띠형상 판의 단부가 안쪽으로 삽입되는 홈 형상 노치와의 사이에는, 띠형상 판의 판두께에 의한 단차(段差)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 단차는, 띠형상 노치 내에만 형성되고, 슈트의 내벽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다. 또, 개폐문에 의해 폐색(閉塞)되는 투입구에 있어서, 띠형상 판을 사이에 둔 양측에도 단차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 단차도, 띠형상 판에 의해 분단된다. 이로써, 쓰레기 수용체의 하강이 저해되지 않고, 쓰레기 수용체는, 띠형상 판의 안내면 등에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하강을 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the groove-shaped notc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elt-shaped plat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and the opening edge of the inlet, and the end of the belt-shaped plate is inserted inward. A step may be caused by the thickness of the strip-shaped plate between and. However, this step is formed only within the belt-shaped notch and does not contin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In addition, in the inlet that is closed by the opening/closing door, a step may occur on both sides of the band-shaped plate. However, this step is also divided by a strip-shaped plate. Thereby, the fall of the waste container is not inhibited, and the waste container is smoothly lowered while being guided to the guide surface of the strip-shaped plate.

한편,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개폐문이, 전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에는, 띠형상 판이 홈 형상 노치 내를 지나도록 되고, 개폐문과 슈트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개폐문을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홈 형상 노치 내에서, 띠형상 판의 단부와 홈 형상 노치의 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두면, 개폐문이 이 거리분만 이동하는 사이에, 개폐문을 수평방향으로 이격시키도록 이동시키면, 개폐문과 슈트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때에, 그 이면의 적어도 일부가 슈트의 내벽면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되는 것, 및, 개폐문과 슈트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개폐문을 개폐하는 것의 2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개폐문의 개폐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located at the fully closed position moves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the belt-shaped plate passes through the groove-shaped notch, and it is possible to open the opening/closing door while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chute. That is, within the groove-shaped notch, if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end of the band-shaped plate and the end of the groove-shaped notch is sufficiently secure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mov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moved only for this distance. If this is done, it becomes possible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opening door and the suit. This has two conditions: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becomes the same plane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and opening/closing the opening/closing door while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chute. The opening/closing structure of the opening/closing door that satisfies is made simple and easy.

상기 개폐문은, 상기 전폐쇄 위치와, 이보다 상방의 상기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고, 상기 개폐문의 하단부에는, 당해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때에, 상기 투입구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opening/closing door reciprocates between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above-expanded deployed position,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door, at the lower opening edge of the inlet. The contact portion configured to contact is formed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렇게 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즉, 최하위치)에 위치시킨 때에는, 접촉부가 투입구의 하단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슈트 내가 밀폐상태가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악취 누설을 회피함과 동시에, 쓰레기 수용체의 하강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접촉부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므로, 개폐문의 조립 오차나, 치수 오차를 흡수하면서, 투입구를 확실하게 전폐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접촉부를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의 저감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By doing this,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itioned at the fully closed position (i.e., the lowest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lower opening of the inlet, and the chute is sealed. This makes it possible to avoid the stench leakage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the waste container to be lowered. Since the contact portion can be dis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completely close the inlet while absorbing assembly errors and dimensional error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That is, making the contact portion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s a result.

상기 반송 지지부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당해 하우징에는, 상기 반송 지지부에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하기 위해 개폐되는 투입문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문은 요동 개폐식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당해 투입문의 이면에는, 상기 투입문을 닫은 때에, 상기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에 접촉하여, 당해 쓰레기 수용체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누름부재가 장착된다. The conveying suppor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closing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ort the waste container in the carrying support, and the closing door is constituted by a swing opening and closing type, and at the back of the closing door, the When the closing door is closed, a pressing member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conveyance support, and the waste container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렇게 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 내에 투입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하우징에 설치된 투입문을(예를 들어 수동으로) 열어, 쓰레기 수용체를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시킨 후에, 이 투입문을 닫는다. 그러면, 투입문의 이면에 장착된 누름부재가 쓰레기 수용체에 접촉하여 쓰레기 수용체를 누르게 되고,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쓰레기 수용체가 자동적으로,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투입동작이 적절히 행해지고, 쓰레기 수용체가 확실하고 또한 정확하게 슈트 내에 투입된다. 이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이 되지 않거나, 슈트 내를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가 도중에 걸리거나 하는 에러의 발생을 억제한다. 즉, 이용자는, 투입문을 열고, 닫는 동작을 하는 것만으로, 쓰레기 수용체를 적절히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된다.By doing so, the user who wants to put the waste container into the chute opens the door (for example, manually) installed in the housing, supports the waste container by the conveyance support, and then closes the door. Then, the pressing member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nput door contacts the waste container to depress the waste container, and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conveyance support is automatical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by, the above-mentioned inputting operation is properly performed, and the waste container is surely and accurately put into the chute. This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an error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not input or the waste container descending in the chute is caught in the middle. That is, the user can properly set the waste container by simply opening and closing the input door,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상기 슈트는, 이 상단부로부터 흡인(吸引)함으로써 빈 쓰레기 수용체를 상승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즉, 슈트는,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빈 쓰레기 수용체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갖는다.The chute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empty waste container can be lifted up by suctioning from the upper end. That is, the chute has a function of lowering the waste container that has received the waste and raising the empty waste container.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송 지지부는,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테이블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승되어 온 빈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회수하는 때에는,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빈 쓰레기 수용체가 당해 플로어에 도달하는 것을 대기하고, 상기 빈 쓰레기 수용체가, 당해 플로어에 도달한 후에, 상기 개폐문을 상기 중간위치에 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테이블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흡인이 정지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슈트 내에서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테이블 상에 탑재시키고, 그리고,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개방 위치에 위치시키며, 상기 쓰레기 수용체가 탑재된 상기 테이블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In this configuration, the transport support is a table having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mounted, and the controller, when recovering the raised empty waste container, positions the open/close door to the full closed position. , Waiting for the empty waste container to reach the floor, and after the empty waste container has reached the floor, place the opening door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also place the tabl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The waste container which moves to a position, and the suction of the waste container is stopped in the chute is mounted on the tab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deployed position, and the waste container is The mounted table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rough the inlet.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투입장치를, 빈 쓰레기 수용체의 회수장치로서도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개폐문과 테이블을 구비한 간략한 구성으로, 투입장치 겸 회수장치가 실현된다.By doing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said input device also as a collection device of an empty waste container. That i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 table, an input device and a recovery device are realized.

상기 테이블에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탑재면에 탑재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에 걸어맞춤 하고 또한, 당해 쓰레기 수용체가 상기 테이블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 부재가 장착된다.The table is equipped with a drop prevention member that engages with the waste container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when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prevents the waste container from falling from the table.

빈 쓰레기 수용체가 탑재된 테이블을 슈트 내로부터 슈트의 외로 이동시킬 시에는, 이 쓰레기 수용체와 테이블 상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는 테이블과 함께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회수 동작 시에는 쓰레기 수용체는 비어 있고, 비교적 가벼운 상태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 중에 테이블 위로부터 낙하하는 것도 일어날 수 있다. 테이블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빈 쓰레기 수용체를 회수하는 때에는, 탑재면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에 걸어맞춤 하여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able equipped with the empty waste container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hute to the outside of the chute, the rubbish container moves with the tabl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aste container and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However, during the recovery operation, the waste container is empty and relatively light, so in some cases, falling from the table may occur while moving. When the table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collect the empty wast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drop prevention member to prevent dropping by engaging the waste container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여기서, 쓰레기 수용체의 테이블로부터의 낙하는, 테이블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수평방향(즉, 회수방향)으로 이동을 할 시에, 테이블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에 테이블 상으로부터 낙하되어 버릴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래서, 낙하방지 부재는, 테이블의 탑재면에 있어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는 테이블의 이동방향 안쪽에서 쓰레기 수용체와 걸어맞춤 하여, 테이블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에 테이블 상으로부터 낙하되어 버리는 것을 저지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회수장치를 겸한 투입장치가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할 시에는, 개폐문을 중간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쓰레기를 수용하고 있는 쓰레기 수용체를 탑재한 상태의 테이블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을 하는 것에 수반하여, 테이블과 쓰레기 수용체를 상대 이동시키고,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 내에 남기면서, 테이블만을 슈트 외(外)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전술한 회수 동작에서의 낙하방지 부재는, 투입동작 시의 테이블과 쓰레기 수용체와의 상대 이동을 저지하도록 기능하여 버린다. 그래서, 투입장치 겸 회수장치에서는, 낙하방지 부재는, 쓰레기 수용체와 걸어맞춤 하는 상태와, 쓰레기 수용체와 걸어맞춤 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Here, the drop from the table of the waste container falls from the tab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ble when the table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recovery direction). It is most likely to be. Therefore, the drop prevention member engages with the waste container inside the table moving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table, and is dropped from the tabl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ble. It is preferably mounted to prevent throwing away. However, when the input device serving as the recovery device inputs the waste container, after the door is placed in the middle position, the table with the waste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ith this, the table and the waste container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only the table is moved out of the chute while leaving the waste container in the chute. Thereby, the fall prevention member in the above-described recovery operation functions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of the table and the waste container during the input operation. Therefore, in the input device and the recovery device, the drop prevention member may be switchable between a state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engaged and a state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not engag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에 의하면, 개폐문과, 반송 지지부를 구비한 간략한 구성의 투입장치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 내에 투입하여, 정확하게 하강시키는 것이 실현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it is realized that the waste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chute and accurately lowered by the input devic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 conveying support.

도 1은, 쓰레기 반송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투입/회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투입/회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투입/회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투입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일부를 생략한 도 5의 Ⅵ-Ⅵ 단면도이다.
도 7은, 투입문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투입/회수장치에서의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 동작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투입/회수장치에서의 쓰레기 수용체의 회수 동작에 관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aste conveying system.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recovery device.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recovery device.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recovery devic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put door.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 5, with some of them omitted.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guide portion of the input door.
8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input operation of the waste container.
9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disposing the waste container in the dispensing/recovering device.
10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collecting waste container in the input/recovery device.

이하,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은 예시이다. 도 1은,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전체도를 나타낸다. 이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은, 고층 건축물(도시 생략)에 있어서,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를, 지하층에 마련된 쓰레기 처리실(4)에까지 반송(搬送)하는 시스템이다.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은, 종(縱)반송 장치(2)와, 종반송 장치(2)가 접속되는 횡(橫)반송 장치(3)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고층 건축물은, 예를 들어 맨션 등 사람이 거주하는 건축물이나, 이른바 사무실 빌딩 등의 건축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종류와 용도의 제한은 없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맨션을 예로, 거기에 설치된 쓰레기 반송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 is an example. 1 shows an overall view of the waste conveying system 1. This waste conveying system 1 is a system for conveying waste discharged from each floor to a waste disposal chamber 4 provided on the basement floor in a high-rise building (not shown). The waste conveying system 1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vertical conveying device 2 and a horizontal conveying device 3 to which the vertical conveying device 2 is connected. A high-rise building can be, for example, a building inhabited by a person such as a mansion, a building such as an office building, and the like, a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type and us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rash conveying system 1 installed therei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ansion.

종반송 장치(2)는,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각 플로어로부터 지하층에 효율 좋게 반송하는 장치이다. 종반송 장치(2)는, 고층 건축물에 대해 하나만 설치되어도 되고, 고층 건축물의 각소(各所)에 복수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맨션에서는, 각 플로어에 복수의 거주 공간이 형성되는 때에는, 하나의 거주 공간이 하나의 종반송 장치(2)를 점유하도록, 거주 공간마다 종반송 장치(2)를 설치하여도 되고, 복수의 거주 공간에서 하나의 종반송 장치(2)를 공유하도록 종반송 장치(2)를 설치하여도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제 1 및 제 2의 2개의 종반송 장치(2)를 설치하나, 제 2 종반송 장치(2)는, 그 일부만을 도시한다. 종반송 장치(2)는, 고층 건축물을 따르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The vertical transfer device 2 is a device that efficiently transports waste discharged from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from each floor to the basement floor. The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2 may be provided only for a high-rise building, or may be provided in multiple places in a high-rise building. For example, in a mansion, when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are formed on each floor, a vertical transport device 2 may be provided for each living space so that one living space occupies one vertical transport device 2. , A vertical transport device 2 may be provided to share one vertical transport device 2 in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In the example of Fig. 1, two first and second vertical transfer devices 2 are provided, but the second vertical transfer device 2 shows only a part thereof. The vertical conveying device 2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ollow a high-rise structure.

이에 반해, 횡(橫)반송 장치(3)는, 각 종반송 장치(2)에 의해 지하층에 반송된 쓰레기를, 쓰레기 처리실(4)에 반송하는 장치이다. 횡반송 장치(3)는, 고층 건축물의 지하층(여기서는 일례로써 지하 주차장으로 하나, 횡반송 장치가 배치되는 장소는, 지하 주차장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수평으로 확대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이 예에서는,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는, 재사용 가능한 상자형 용기인 쓰레기 수용체(5)(도 2 등도 참조)에 수용되고, 종반송 장치(2) 및 횡반송 장치(3)는,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5) 또는 빈 쓰레기 수용체(5)를 반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conveying device 3 is a device which conveys the waste conveyed to the basement floor by each vertical conveying device 2 to the waste disposal chamber 4. The horizontal conveying device 3 is horizontally enlarged and installed in an underground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here, as an example, an underground parking lot, but a place where the horizontal conveying device is arranged is not limited to an underground parking lot). Here, in this example, the waste discharged from each floor is accommodated in the waste container 5 (refer to FIG. 2 and the like) which is a reusable box-shaped container, and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2 and the horizontal transfer device 3 are: The waste container (5) or the empty waste container (5) containing waste is conveyed.

종반송 장치(2)는,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 수용체(5)를 지하층에까지 하강시키는 슈트(21), 슈트(21)에 대해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22), 슈트(21)에 병렬이 되도록 설치되며 또한,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지하층으로부터 각 플로어에까지 상승시키는 덕트(23) 및 덕트(23)에 의해 반송되어 온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하는 회수장치(24) 등을 구비하고 구성된다. 슈트(21) 및 투입장치(22)는, 쓰레기 수용체(5)를 하강시키는 하강기구를 구성하고, 덕트(23) 및 회수장치(24)는, 후술과 같이 쓰레기 처리실(4)에서 쓰레기를 버린 후의,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키는 상승기구를 구성한다.The vertical conveying device 2 includes a chute 21 for lowering the waste container 5 discharged from each floor to the basement layer, an injecting device 22 for injecting the waste container into the chute 21, and a chute 21 It is installed so as to be parallel, and also the duct 23 for raising the empty waste container 5 from the basement to each floor and the recovery device 24 for recovering the empty waste container 5 conveyed by the duct 23 And the like. The chute 21 and the input device 22 constitute a lowering mechanism for lowering the waste container 5, and the duct 23 and the recovery device 24 throw away waste in the waste disposal chamber 4 as described below. A lifting mechanism for raising the empty waste container 5 afterwards is constituted.

슈트(21)는, 관(管)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도 1에서는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각 플로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에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슈트(21)의 안 치수는, 쓰레기 수용체(5) 바깥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슈트(21)의 상단부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고층 건축물의 상부 기계실에 돌출되고 슈트(21)의 하단부는, 지하층에 도달한다.The chute 21 is formed in a tube shape, and at the same time, in Fig. 1, through each floor virtually shown, it extends and is provid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dimension of the chute 21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waste container 5. The upper end of the chute 21 is omitted from the detailed illustration, but protrudes from the upper machine room of the high-rise building, and the lower end of the chute 21 reaches the basement floor.

슈트(21)의 상단부는 개구됨과 동시에, 이 상단 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부(25)가, 슈트(21)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흡기부(25)는, 예를 들어, 슈트(21)의 상단 개구를 개폐 가능하며 또한, 그 개방도가 조정 가능한 개방도 조정 댐퍼(damper)에 의해 구성된다. 흡기부(25)의 댐퍼 개방도는, 후술하는 서브 제어기(62)에 의해 제어되고, 통상의 상태, 환언하면 무통전(無通電) 상태에서는, 흡기부(25)의 댐퍼는 닫혀 있다.At the same time that the upper end of the chute 21 is opened, an intake portion 25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opening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hute 21. The intake portion 25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n opening degree adjustment damp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chute 21 and having an adjustable opening degree.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of the intake unit 25 is controlled by a sub-controller 6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damper of the intake unit 25 is closed in a normal state, that is, in a non-conduction state.

슈트(21)의 하단부도 또한, 상단부와 마찬가지로 개구됨과 동시에, 이 하단부에는 하부 게이트 장치(212)가 설치된다. 하부 게이트 장치(212)는, 그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슈트(21) 내를 하강되어 온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내고, 이 받아낸 쓰레기 수용체(5)를, 후술하는 무인 반송차(예를 들어 Rail Guided Vehicle :RGV)(7)에 적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슈트(21)의 하단부에는, 측방에 개구하는 배기구(2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배기구(211)는, 후술과 같이,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 내를 하강하는 중에, 이 쓰레기 수용체(5)보다 하측을, 적어도 대기압으로 유지하고, 슈트(21)로부터의 악취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lower end of the chute 21 is also opened like the upper end, and at the same time, a lower gate device 21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e lower gate device 212 omits the detailed illustration, but receives the garbage container 5 that has been lowered in the chute 21, and the collected garbage container 5 is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it has the function of loading in the Rail Guided Vehicle (RGV)(7). In addition, an exhaust port 211 that opens on the sid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hute 21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s described later, the exhaust port 211 maintains the lower side of the waste container 5 at least at atmospheric pressure while the waste container 5 descends in the chute 21, and the odor from the chute 21 is maintained. It serves to prevent leakage.

슈트(21)의 측면에는 또,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나,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 내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플로어마다 형성된다. 투입장치(22)는, 투입구에 인접하여 각 플로어에 설치되어 있고, 도 1에서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이용자에 의해 반입(搬入)된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구를 통해 슈트(21) 내에 투입하는 기능을 갖는다. 투입장치(22) 구성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투입장치(22)는 또, 쓰레기를 버리는 이용자가 조작을 하는 조작반(操作盤)을 구비한다. 이 조작반은, 적어도 이용자가 쓰레기의 종류(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 등을 포함한 가연성(可燃性) 쓰레기, 불연성(不燃性) 쓰레기, 및 병·캔 등이고, 후술과 같이, 쓰레기 처리실(4)에서의 쓰레기 분별에 관계하는 종류이다)를 입력하기 위한, 쓰레기 종류 선택 스위치와, 투입 스위치(즉, 시작 스위치)를 갖는다. 이용자는,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투입장치(22)에 세팅한 쓰레기 수용체(5) 내의 쓰레기 종류를 입력한 후에, 투입 스위치를 온(ON)으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투입장치(22)는, 슈트(21)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를 일시적으로 열어, 이용자가 세팅한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21) 내에 투입하고, 그 투입 후에, 투입구를 닫는 동작을 행한다. 투입장치(22)는 또, 입력된 쓰레기 종류의 정보와,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한 투입장치(22)의 식별정보(즉,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한 플로어 및 슈트에 관한 정보)를, 서브 제어기(62)에 출력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on the side of the chute 21,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waste container 5 into the chute is formed for each floor. The input device 22 is installed on each floor adjacent to the input port, and the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in FIG. 1, but the waste container 5 carried by the user is inserted into the chute 21 through the input port. It has the function of inputting.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22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put device 22 also includes an operation panel operated by a user who throws out garbage. This control panel is at least a type of waste (for example, combustible waste including food waste, non-combustible waste, and bottles, cans, etc.), and as described later, in the waste disposal room 4 It has a garbage type selection switch and an input switch (i.e., a start switch) for inputting (that is, the type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of garbage). The user operates the input switch ON after inputting the type of waste in the waste container 5 set in the input device 22 by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switch. Accordingly, the injecting device 22 temporarily opens the inlet formed in the chute 21, injects the waste container 5 set by the user into the chute 21, and after the injecting, closes the inlet. Do it. The input device 22 also inputs the type of garbage inpu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device 22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5 is input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floor and chute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5 is input). Is output to the sub controller 62.

슈트(21)에는,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구체적으로는 각 플로어에, 통과 센서(28)가 설치된다. 각 통과센서(28)는, 슈트(21) 내를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한 것을 검지한다. 각 통과센서(28)는,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제어기(6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검지신호를 서브 제어기(62)에 출력한다. 서브 제어기(62)는, 투입장치(22)와 각 통과센서(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흡기부(25) 및 하부 게이트 장치(212) 등의 구동을 제어하고, 쓰레기 수용체(5)를 지하층까지 하강시킨다.The chute 21 is equally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ecifically, a passage sensor 28 is provided on each floor. Each passage sensor 28 detects that the waste container 5 descending in the chute 21 has passed. Each passage sensor 2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controller 62,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 1,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sub-controller 62. The sub-controller 62 receiv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input device 22 and each passage sensor 28, controls the driving of the intake unit 25 and the lower gate device 212, and the waste container 5 Descend to the basement level.

구체적으로 종반송 장치(2)의 하강기구는,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 내에 투입될 시에는, 흡기부(25)의 개방도 조정 댐퍼를 닫아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시에는, 이 슈트(21) 내의 쓰레기 수용체(5)보다 상방(上方)의 공간은, 공기의 유입이 제한되어 부압(負壓)이 된다. 한편, 슈트(21) 하단의 배기구(211)는 열어 둔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용체(5)가 하강되어도 그 하측의 공간은, 공기가 저항 없이 슈트(21)로부터 유출된다. 따라서, 슈트(21) 하방의 공간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시에, 슈트(21)의 내압(內壓)은 대기압이 그 이하로 유지되므로, 악취 누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ring mechanism of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2 closes the dampe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intake unit 25 when the waste container 5 is put into the chute 21. By doing so, when the waste container 5 is lowered, the space above the waste container 5 in the chute 21 is restricted to the inflow of air and becomes negative pressure. On the other hand, the vent 211 at the bottom of the chute 21 is left open. Accordingly, even when the waste container 5 is lower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chute 21 without resistance in the space below it. Therefore, the space under the chute 21 is maintained at atmospheric pressure. In this way, when the waste container 5 is lowered, th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chute 21 is maintained below the atmospheric pressure, so that odor leakag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 쓰레기 수용체(5)보다 상방 공간의 부압에 의한 흡인력(吸引力)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속도는 감소된다. 때문에, 흡기부(25)의 개방도 조정 댐퍼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부압을 조정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5)의 질량에 따라, 하강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브 제어기(62)는, 각 통과센서(28)로부터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속도를 산출하고, 이 하강속도의 고저(高低)에 기초하여, 개방도 조정 댐퍼의 개방도를 조정한다.In addition,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container 5 is reduced by the suction force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space above the waste container 5. Therefore,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intake unit 25 and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and adjusting the negative pressu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scending speed according to the mass of the waste container 5. The sub-controller 62 calculates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container 5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each passing sensor 28, and based on the height of the descending speed, the opening degree adjustment damper Adjust the opening degree.

또한,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기준위치에 도달한 것을, 통과센서(28)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해 검지한 때에는, 서브 제어기(62)는, 흡기부(25)의 개방도 조정 댐퍼를 전폐쇄로 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하부 게이트 장치(212)가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낼 시의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 발생과 쓰레기 수용체(5)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ste container 5 detects that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height has been reach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hute 21 by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assage sensor 28, the sub-controller 62 intake unit (25) The opening degree adjustment damper is to be completely closed. Accordingly,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container 5 can be lowered, so that the impact when the lower gate device 212 receives the waste container 5 relieves noise and damage to the waste container 5. , Can be effectively avoided.

쓰레기 수용체(5)가 하부 게이트 장치(212)에 의해 받아내진 후는, 서브 제어기(62)는, 이 하부 게이트 장치(212)를 제어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5)를 RGV(7)에 적재한다.After the waste container 5 is received by the lower gate device 212, the sub-controller 62 loads the waste container 5 into the RGV 7 by controlling the lower gate device 212. .

이에 대해 덕트(23)는, 슈트(21)와 마찬가지로, 관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각 플로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에 직선상(狀)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덕트(23)의 안 치수는, 쓰레기 수용체(5)의 바깥 치수보다 약간 크다. 덕트(23)의 상단부도, 고층 건축물의 상부 기계실에 돌출되며, 덕트(23) 하단부는, 지하층에 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duct 23, like the chute 21, is constituted by a tubular shape, and extends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each floor. The inner dimension of the duct 23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waste container 5. The upper end of the duct 23 also protrudes from the upper machine room of the high-rise building, and the lower end of the duct 23 reaches the basement floor.

덕트(23)의 상단부도 또한 개구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에는, 슈트(21)와는 달리, 덕트(23)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장치(27)가 장착된다. 배기장치(27)는, 예를 들어 팬에 의해 구성되며, 팬은 서브 제어기(62)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At the same time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uct 23 is also opened, the upper end portion is equipped with an exhaust device 27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in the duct 23 to the outside, unlike the chute 21. The exhaust device 27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fan, and the fan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sub-controller 62.

덕트(23)의 하단부에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RGV(7)에 적재되어 있는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흡상(吸上)하여, 덕트(23) 내로 끌어 들이기 위한 하부 게이트 장치(232)가 설치된다. 전술한 슈트(2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212)와, 덕트(23)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232)는, 서로 동일 구성이다. 또, 덕트(23)의 하단부에는, 측방에 개구하는 흡기구(23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흡기구(2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장치(27)가 구동을 하여 덕트 내의 공기를 상측으로부터 강제 배출하는 때에, 덕트(23)의 하측으로부터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한다.In the lower part of the duct 23, a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but the lower gate device 232 for drawing the empty waste container 5 loaded in the RGV 7 and drawing it into the duct 23 Is installed. The lower gate device 212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chute 21 and the lower gate device 232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duct 23 have the same configuration. Moreover,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duct 23, the intake port 231 opened to the side is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As described later, the intake port 231 functions to suck air in from the lower side of the duct 23 when the exhaust device 27 drives and forcibly discharges the air in the duct from the upper side.

덕트(23)의 측면에는 또한, 도 1에서는 도시는 생략하나, 덕트(23) 내의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가, 플로어마다 형성된다. 회수장치(24)는, 회수구에 인접하여 각 플로어에 설치되며,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덕트(23) 내를 상승하여 온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구를 통해 덕트(23) 외로 인출하여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회수장치(24) 구성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On the side of the duct 23,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recovery port for collecting the waste container 5 in the duct 23 is formed for each floor. The recovery device 24 is installed on each floor adjacent to the recovery port, and a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but the empty waste container 5 that has risen in the duct 23 is passed out of the duct 23 through the recovery port. It has the function of withdrawing and recovering.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covery device 24 will be described later.

또, 덕트(23)에도 통과센서(29)가 설치되고, 덕트(23)의 통과센서는, 각 플로어에 설치된다. 각 통과센서(29)는, 덕트(23) 내를 상승하는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한 것을 검지한다. 각 통과센서(29)는,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제어기(6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 검지신호를 서브 제어기(62)에 출력한다.In addition, a passage sensor 29 is also provided in the duct 23, and a passage sensor of the duct 23 is provided in each floor. Each passage sensor 29 detects that the waste container 5 rising in the duct 23 has passed. Each passage sensor 2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controller 62, as indicated by a broken line in Fig. 1, and outputs this detection signal to the sub-controller 62.

이와 같이 구성된 종반송 장치(2)의 상승기구는, 서브 제어기(62)의 제어에 의해, 다음과 같이 동작하고,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킨다. 즉,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적재한 RGV(7)가, 덕트(23)의 하방 위치에서 정지하면, 배기장치(27)가 작동을 함으로써, 덕트(23) 내가 부압이 되어, 후술과 같이, 하부 게이트 장치(232)를 통해, 빈 쓰레기 수용체(5)가 덕트(23) 내에 흡상됨과 동시에, 빈 쓰레기 수용체(5)는 덕트(23) 내를 상승한다. 서브 제어기(62)는, 통과 센서(29)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덕트(23) 내를 상승하고 있는 쓰레기 수용체(5)가, 당해 쓰레기 수용체(5)가 배출된 플로어(이하, 배출 플로어라 함)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lifting mechanism of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follows by the control of the sub-controller 62 to raise the empty waste container 5. That is, when the RGV 7 loaded with the empty waste container 5 stops at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duct 23, the exhaust device 27 operates, thereby causing negative pressure in the duct 23, as described below. , Through the lower gate device 232, the empty waste container 5 is sucked into the duct 23, and at the same time, the empty waste container 5 rises in the duct 23.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assage sensor 29, the sub-controller 62 is a floor where the waste container 5 rising in the duct 23 is discharged from the waste container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scharge floor). D).

이렇게 하여, 통과센서(29)의 검지신호에 의해, 빈 쓰레기 수용체(5)가 배출 플로어를 통과한 것을 검지한 때에는, 서브 제어기(62)는, 당해 배출 플로어의 회수장치(24)에 대해, 쓰레기 수용체(5)의 회수를 지령한다. 회수장치(24)는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수취한다. 이 때에, 배기장치(27)는 정지한다. 회수장치(24)는, 수취한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구를 통해 덕트(23) 외로 인출한다. 이렇게 하여, 빈 쓰레기 수용체(5)의 회수가 완료된다.In this wa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empty waste container 5 has passed the discharge floor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assage sensor 29, the sub-controller 62, with respect to the recovery device 24 of the discharge floor, The collection of the waste container 5 is ordered. The recovery device 24 receives the empty waste container 5. At this time, the exhaust device 27 stops. The recovery device 24 draws the received empty waste container 5 out of the duct 23 through the recovery port. In this way, recovery of the empty waste container 5 is completed.

이와 같이, 이 쓰레기 반송 시스템(1)에서는, 각 플로어에서 투입장치(22)를 통해 배출한 쓰레기 수용체(5)가, 당해 플로어의 회수장치(24)를 통해 빈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In this way, in this waste conveying system 1, the waste container 5 discharged from each floor through the input device 22 is returned to the empty state through the recovery device 24 of the floor.

여기서, 도면의 예에서는, 쓰레기 수용체(5)를 하강시키는 슈트(21)와,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키는 덕트(23)를 개별로 설치하나, 하나의 슈트(또는 덕트)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과 같이, 슈트(2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212)와, 덕트(23)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232)는, 서로 동일 구성이고,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내어 배출하는 기능, 및 쓰레기 수용체(5)를 흡상하여 끌어 들이는 기능의 쌍방을 갖는다. 또,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투입장치(22) 및 회수장치(24)도,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이고,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21) 내에 투입하는 기능, 및, 빈 쓰레기 수용체(5)를 덕트(23)로부터 회수하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갖는다.Here,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the chute 21 for lowering the waste container 5 and the duct 23 for raising the empty waste container 5 are separately provided, but by one suit (or duct), The waste container 5 may be lowered, and the empty waste container 5 may be rais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gate device 212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chute 21 and the lower gate device 232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duct 23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receive the waste container 5 It has both a function of taking out and discharging, and a function of sucking and drawing in the waste container 5. In addition, 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input device 22 and the recovery device 24 are also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function of putting the waste container 5 into the chute 21 and the empty waste container 5 are provided. It has a function of recovering from the duct 23 substantially.

횡반송 장치(3)는, 지하 주차장의 지면에 소정의 경로가 되도록 형성된 주행로(31)와, 주행로(31)를 따라 주행하는 RGV(7)를 구비하고 구성된다. 주행로(31)는, 각 종반송 장치(2)와, 쓰레기 처리실(4)과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주행로(31)는, 각 종반송 장치(2)의 슈트(21)와, 쓰레기 처리실(4)을 연결하는 왕로(往路)(311)와, 쓰레기 처리실(4)과 각 종반송 장치(2)의 덕트(23)를 연결하는 귀로(歸路)(312)가 무단(無端)이 되도록 접속된 루프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서는, 도시의 관계상, 왕로(311)와 귀로(312)를, 일점 쇄선보다 상측을 왕로(311)로 하고, 일점 쇄선보다 하측을 귀로(312)로 하도록 상하로 위치를 어긋나게 나타내나, 왕로(311)와 귀로(312)는, 실제는 동일 높이 위치에 형성된다. RGV(7)는, 루프형 주행로(31)를 따라, 도 1에서의 시계방향으로(즉, 일방향으로) 주행한다. RGV(7)는, 각 슈트(21)로부터 배출된 쓰레기 수용체(5)를 적재한 상태로, 쓰레기 처리실(4)까지 이를 반송함과 동시에, 쓰레기 처리실(4)에서 쓰레기를 버림으로써 비어진 쓰레기 수용체(5)를 적재한 상태로, 이를 덕트(23)에까지 반송한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수의 RGV(7)를 도시하나, RGV(7)의 수는, 적절한 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주행로(31)는 루프형으로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3 is configured with a traveling path 31 formed to be a predetermined path on the ground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an RGV 7 traveling along the traveling path 31. The traveling path 31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each of the vertical transfer devices 2 and the waste disposal chamber 4. Specifically, the driving path 31 includes a chute 21 of each vertical transfer device 2, a roadway 311 connecting the waste disposal room 4, a waste disposal room 4 and each vertical transfer device. It is composed of a loop type connected so that the return path 312 connecting the duct 23 of (2) is endless. Here, in FIG. 1, in relation to the illustration, the position of the road 311 and the road 312 is shifted up and down so that the upper side is the road 311 than the one-dot chain line and the lower side is the path 312 than the one-dot chain line. Although shown, the road 311 and the return road 312 are actually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RGV 7 travels clockwise (i.e., in one direction) in FIG. 1 along the looped travel path 31. The RGV 7 is loaded with the waste container 5 discharged from each chute 21, transports it to the waste disposal room 4, and at the same time, throws away waste in the waste disposal room 4 With the receptor 5 loaded, it is transported to the duct 23. Here, in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lurality of RGVs 7 are shown, but the number of RGVs 7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number. In addition, the driving path 31 is not limited to being configured in a loop type.

쓰레기 처리실(4)은,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그 종류에 따라 분별한 상태에서, 쓰레기 수집차가 수집을 하러 올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공간이고, 이 예에서는, 고층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일곽에 마련된다. 이 쓰레기 처리실(4)에는, 도면의 예에서는 제 1∼제 3의 3개의 저류용기(41, 42, 43)가, RGV(7)의 주행방향으로 나열 설치된다. 각 저류용기(41, 42, 43)는, 쓰레기를, 그 종류마다 저류하는 용기이다. 쓰레기 처리실(4)에는 또한, RGV(7)에 적재된 쓰레기 수용체(5) 내의 쓰레기를, 제 1∼제 3 저류용기(41, 42, 43) 각각에 투입하기 위한, 제 1∼제 3의 반전(反轉)장치(44, 45, 46)가, 각 저류용기(41, 42, 43)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쓰레기 처리실(4) 내에 설치하는 저류용기 및 반전장치의 수는, 분별해야 할 쓰레기 종류의 수에 따라, 적절한 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arbage disposal room 4 is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garbage discharged from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its type, until a garbage collector comes to collect the garbage, and in this example, It is provided in the basement of a high-rise underground parking lot. In the waste treatment chamber 4,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three storage containers 41, 42 and 43 of the first to third are arranged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GV 7. Each storage container 41, 42, 43 is a container for storing garbage for each type. In the waste disposal chamber 4, the first to third wastes for putting the wastes in the waste container 5 loaded in the RGV 7 into the first to third storage containers 41, 42, and 43, respectively. Inverting devices 44, 45, 46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storage containers 41, 42, 43. Here, the number of storage containers and reversing devices installed in the garbage disposal chamber 4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numb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types of garbage to be separated.

RGV(7)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쓰레기 수용체(5)가 적재되는 짐받이(73)를 구비한 4륜 차량으로, RGV(7)는, 주행로(31)를 따라 설치된 레일(32)에 안내되면서, 주행로(31)를 따라 자동 주행을 한다. 즉, 각 슈트(21)와 쓰레기 처리실(4)과의 사이에서,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5)를 반송함과 동시에, 쓰레기 처리실(4)과 각 덕트(23)와의 사이에서, 빈 쓰레기 수용체(5)를 반송한다.The RGV 7 is a four-wheeled vehicle equipped with a pallet 73 on which the waste container 5 is loaded, although the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and the RGV 7 is a rail 32 installed along the driving path 31. While being guided by, it automatically drives along the driving path 31. That is, between each chute 21 and the waste disposal room 4, the waste container 5 containing the waste is conveyed,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waste disposal room 4 and each duct 23, empty waste The receptor 5 is conveyed.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은, 메인 제어기(61)와, 각 종반송 장치(2)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서브 제어기(62)(도 1에서는, 한 개만 도시함)에 의해 제어된다. 메인 제어기(61)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1)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서브 제어기(62)는, 주로 종반송 장치(2)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메인 제어기(61)에는 PC(63)가 접속되고, 메인 제어기(61)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가동상황(쓰레기의 총 투입량이나, 투입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PC(63)에 제공한다.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관리자는, PC(63)를 통해,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가동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The waste conveying system 1 is controlled by a main controller 61 and a sub-controller 62 (only one is shown in Fig. 1)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vertical conveying device 2. The main controller 61 controls the entire waste conveying system 1, and the sub-controller 62 mainly controls the vertical transfer device 2. The PC 63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61, and the main controller 61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total input amount of garbage, input history, etc.) of the waste conveying system 1 to the PC 63. to provide. The manager of the waste conveying system 1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waste conveying system 1 through the PC 63.

(투입/회수장치의 구성)(Composition of input/recovery device)

다음에, 도 2∼도 4를 참조하면서, 슈트(21)에 설치된 투입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23)에 설치되는 회수장치도,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투입/회수장치(80)로서, 이 구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2를 투입/회수장치(80)의 좌측면, 도 3을 투입/회수장치(80)의 정면, 도 4를 투입/회수장치(80)의 평면으로 하고, 도 2의 지면에서의 우측을 "전", 좌측을 "후"로 하고, 도 3의 지면에서의 우측을 "우", 좌측을 "좌"로 하며, 지면에서의 상측을 "상", 하측을 "하"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provided in the chute 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overy device provided in the duct 23 is also substantially the same,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s the input/recovery device 8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Fig. 2 is the left side of the input/recovery device 80, Fig. 3 is the front of the input/recovery device 80, and Fig. 4 is the plane of the input/recovery device 80. , The right side on the ground in FIG. 2 is changed to the front, the left side is set to the rear, the right side on the ground in FIG. 3 is set to the right, the left is set to the left, and the upper side on the ground is raised to the top, The lower side is set to be lower.

투입/회수장치(80)는, 쓰레기 수용체(5)가 탑재되는 반송 지지부로서의 테이블(81)과, 슈트(21)에 형성되고 또한,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하는 투입구, 또는, 덕트(23)에 형성되고 또한,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하는 회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문(82)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슈트(21) 및 덕트(23)를 총칭하여, 세로 관(20)이라 부르고, 투입구 및 회수구를 총칭하여 통과구(201)라 부른다.The input/recovery device 80 is formed on the table 81 as a conveyance support unit on which the waste container 5 is mounted, and the chute 21, and also through the waste port 5 through which the waste container 5 passes, or a duct 23 It is formed in ),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8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overy port through which the waste container 5 pass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hute 21 and the duct 23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vertical pipe 20, and the inlet and the recovery port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hrough-hole 201.

테이블(81)은, 쓰레기 수용체(5)가 탑재 가능한 정도의 크기의, 상향의 탑재면(810)을 갖는다. 테이블(81)은, 세로 관(20)의 전방(前方)에 인접하는 하우징(801) 내에 수납되고, 이 하우징(801)의 대기위치(즉, 제 2 위치)와, 세로 관(20) 내의 지지위치(즉, 제 1 위치)와의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3에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81) 좌우의 측면에는, 예를 들어 중첩형상의 복수 단(段)이며 또한 전후 방향으로 신축(伸縮) 가능한, 공지된 구성의 슬라이드 레일(811, 811)이 장착되고, 테이블(81)은, 이 슬라이드 레일(811, 81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지지위치로 전진함과 동시에, 지지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후퇴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811)은, 테이블(81)이 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하우징(801) 내에만 배치되고, 테이블(81)이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만, 세로 관(2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쓰레기 수용체(5)가 세로 관(20) 내를 하강 또는 상승할 시에, 슬라이드 레일(811)은, 쓰레기 수용체(5)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The table 81 has an upward mounting surface 810 of a size to which the waste container 5 can be mounted. The table 81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801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vertical tube 20, and the standby position (ie, the second position) of the housing 801 and the vertical tube 2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ciproc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 position (that is, the first position). That is, as conceptually illustrated in FIG. 3, slide rails 811 of a known configuration, which are, for example, overlapped in multiple stages and extend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able 81 , 811 is mounted, and while the table 81 is supported by the slide rails 811 and 811, it advances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support position and retracts from the support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en, the slide rail 811 is disposed only in the housing 801 when the table 81 is located in the standby position, and is disposed in the vertical tube 20 only when the table 81 is located in the support position. . Therefore, when the waste container 5 descends or rises in the vertical tube 20, the slide rail 81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aste container 5.

하우징(801) 내에는,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 테이블(81)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진퇴 구동수단(83)이 설치된다. 이 진퇴 구동수단(83)은, 전동모터(831)와, 그 기단(基端)이 전동모터(831)의 회전축에 고정된 아암(832)과, 테이블(81)의 하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아암(832)의 선단이 걸어맞춤 하는 걸어맞춤 채널(833)을 구비하고 구성된다. 걸어맞춤 채널(833)은, 도 8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에 개구하는 횡단면이 역 U자 형상의 채널(channel)재이고, 테이블(81) 하면의 가장 전측(前側)의 가장자리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아암(832)의 선단에는, 이 걸어맞춤 채널(833) 내에 배치되고, 걸어맞춤 채널(833)에 안내되면서 좌우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한 롤러(834)가 장착된다. 테이블(81)이 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동모터(831)가 구동을 하고, 아암(832)이, 도 4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때에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832) 선단의 롤러(834)가, 걸어맞춤 채널(833)에 걸어맞춤 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슬라이드 레일(811)에 의해 지지된 테이블(8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테이블(81)은, 하우징(801) 내의 대기위치로부터, 세로 관(20) 내의 지지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테이블(81)이 지지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전동모터가 구동을 하고, 아암(832)이, 도 4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롤러(834)가 걸어맞춤 채널(833)에 걸어맞춤 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슬라이드 레일(811)에 의해 지지된 테이블(8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테이블(81)은, 세로 관(20) 내의 지지위치로부터, 하우징(801) 내의 대기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e housing 801,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eans 83 for reciprocating the table 81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provided. The forward/backward driving means 83 is mounted on an electric motor 831, an arm 832 whose base is fix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electric motor 831, and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81. It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channel 833 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arm 832 engages. The engagement channel 833 is an inverted cross-shaped channel material having a cross section that opens downward, as shown in enlarged view in FIG. 8, at the edge of the frontmos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81. , Installe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arm 832, a roller 834 that is disposed in the engagement channel 833 and is capable of moving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while being guided by the engagement channel 833 is mounted. When the electric motor 831 is driven while the table 81 is i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arm 832 is rotated clockwise in Fig. 4, the tip of the arm 832 is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It is possible to move the table 81 supported by the slide rail 811 to the rear while the roller 834 of the frame moves relative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channel 833. . In this way, the table 81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tandby position in the housing 801 to the support position in the vertical tube 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motor is driven while the table 81 is in the support position and the arm 83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FIG. 4, as opposed to the above, the roller 834 is engag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table 81 supported by the slide rail 811 forward while moving in a relatively left-right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channel 833. In this way, the table 81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sition in the vertical tube 20 to the standby position in the housing 801.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81)의 탑재면(810) 전측 위치에는, 이 탑재면(810) 상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5) 하단부에 걸어맞춤 하는 앵글(angle)형의 걸어맞춤부(812)가, 탑재면(810)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이 걸어맞춤부(812)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나, 슈트(21) 내에 투입하는 쓰레기 수용체(5)를 탑재한 테이블(81)을 대기위치로부터 지지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쓰레기 수용체(5)의 하단부에 걸어맞춤 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5)가 테이블(81)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걸어맞춤부(812)는, 당해 투입/회수장치(80)가, 회수장치로서만 이용되는 때에는, 생략하여도 된다. As shown in FIG. 8,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mounting surface 810 of the table 81, an angle-type engaging part that engages the lower end of the waste container 5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810. 812 is moun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mounting surface 810. The engaging portion 81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but when the table 81 equipped with the waste container 5 inserted into the chute 21 is mov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support position, the waste container 5 By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trash, the waste container 5 is prevented from falling from the table 81. In addition, the engaging part 812 may be omitted when the said input/recovery device 80 is used only as a recovery device.

또한, 투입/회수장치(80)가, 회수장치로서 이용되는 때(즉, 투입/회수장치(80)가 덕트(23)에 배치되는 경우, 또는, 슈트 겸 덕트의 세로 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테이블(81)의 탑재면(810) 후측위치에는, 이 탑재면(810) 상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5)의 하단부에 걸어맞춤 하는 제 2 걸어맞춤부(813)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 2 걸어맞춤부(813)는, 당해 투입/회수장치(80)가, 투입장치로서만 이용되는 때에는, 생략하여도 된다. 제 2 걸어맞춤부(813)는,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할 수 있도록, 이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탑재한 테이블(81)을 지지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쓰레기 수용체(5)의 테이블(81)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한다. 그리고, 투입/회수장치(80)가, 투입장치 겸 회수장치로서 기능하는 때에는, 도 8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2 걸어맞춤부(813)는, 테이블(81)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와, 테이블(81)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왜냐하면,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투입장치로서의 기능 시에, 제 2 걸어맞춤부(813)는, 테이블(81)과 쓰레기 수용체(5)의 상대이동을 저지하고, 쓰레기 수용체(5)의 투입동작이 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 2 걸어맞춤부(813)의 전환구성은, 예를 들어 스프링 힌지(hinge)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립(起立)과 도복(倒伏)을 전환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input/recovery device 80 is used as a recovery device (that is, when the input/recovery device 80 is disposed in the duct 23, or when it is disposed in the vertical tube of the chute and duct) In the rear position of the mounting surface 810 of the table 81, a second engaging portion 813 that engages wit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waste container 5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810 is mounted. Note that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813 may be omitted when the input/recovery device 80 is used only as an input devic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13 is configured to move the table 81 equipped with the empty waste container 5 from the support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o that the empty waste container 5 can be recovered. The fall from the table 81 of 5) is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input/recovery device 80 functions as an input device and a recovery devic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13 shown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8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81, and the table (81) In a state not projecting from the upper surface, it is configured to be switchable. Because, in detail, when functioning as an input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13 prevent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able 81 and the waste container 5, and the waste container 5 has an input operation. Because it will not be. The switching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13 can be realized by, for example, switching the standing and the garment by a configuration such as a spring hinge.

하우징(801) 내에는 또, 테이블(81)에 탑재되는 쓰레기 수용체(5)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한 쌍의 가이드(802)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 하우징(801)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가 쓰레기 수용체(5)를 테이블(81) 상에 탑재하기(즉, 쓰레기 수용체(5)를 세팅하기) 위해 개폐하는 투입문(803)이 설치된다. 투입문(803)은, 도 2에 일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개폐식으로 구성된다. 투입문(803) 표면에는, 이용자가 파지(把持)하는 손잡이(8031)가 장착되고, 투입문(803)은, 이용자가 수동으로 개폐를 행한다. 그리고, 투입문(803)을, 예를 들어 버튼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투입문(803)의 이면에는, 누름부재(8032)가 장착된다. 누름부재(8032)는, 이용자가 테이블(81) 상에 쓰레기 수용체(5)를 탑재하고, 투입문(803)을 닫은 때에, 테이블(81) 상의 쓰레기 수용체(5)에 닿아, 이 쓰레기 수용체(5)를 테이블(81) 상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누름부재(8032)와, 상기 가이드(802)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는, 테이블(81) 상의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되도록 된다. 이는, 후술하는 쓰레기 수용체(5)의 투입동작을, 확실하게 행하고 또한,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21) 내에서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강시키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이용자는, 투입문(803)을 개폐하는 것만으로, 쓰레기 수용체(5)를 적절히 세팅할 수 있어, 편이성이 높다.In the housing 801, a pair of guides 802 that regulate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waste container 5 mounted on the table 81 are provide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housing 801, as shown in FIG. 2, the user enters and closes the door 80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container 5 on the table 81 (that is, setting the waste container 5). ) Is installed. The input door 803 is configured as a swing opening and closing type, as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arrow in FIG. 2. On the surface of the input door 803, a handle 8031, which the user grips, is mounted, and the input door 803 is manu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user. Further, the input door 803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for example, button operation. A pressing member 8032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nput door 803. The pressing member 8032 touches the waste container 5 on the table 81 when the user mounts the waste container 5 on the table 81 and closes the input door 803, and this waste container ( It has a function of positioning 5)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able 81. By the pressing member 8032 and the guide 802, the waste container 5 is reliab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able 81. This is advantageous when the operation of inputting the waste container 5 to be described later is reliably performed, and the waste container 5 is smoothly and reliably lowered in the chute 21. In addition, the user can appropriately set the waste container 5 just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put door 803, and the convenience is high.

개폐문(82)은,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구성된 문 본체(821)를 갖는다. 문 본체(821)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가이드 롤러(823) 및 볼 롤러(824)가 장착되는 장착부(822)가,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세워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823)는, 후술하는 가이드부(86)에 걸어맞춤 하여, 개폐문(82)을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롤러이고, 개폐문(82)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그 상단부 및 하단부의, 합계 4부분에 장착된다. 또, 볼 롤러(824)는, 가이드부(86)에 접촉하여, 개폐문(82)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롤러이고, 상하 좌우의 합계 4곳에 장착된 가이드 롤러(823) 각각에 인접하며, 합계 4곳에 장착된다.The opening/closing door 82 has a door main body 821 having a flat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6. Mounting portions 822 on which guide rollers 823 and ball rollers 824 are mounted are installed at both edg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body 821 so as to be wid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guide roller 823 is a roller that guides the opening/closing door 82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by engaging the guide section 8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respectively. Of, it is attached to four parts in total. Further, the ball roller 824 is a roller that contacts the guide portion 86 and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adjacent to each of the guide rollers 823 mounted in four positions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installed in 4 places in total.

개폐문(82)의 하단부에는, 세로 관(20)의 통과구(201)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에 접촉하고, 개폐문(82)이, 이 통과구(201)를 닫은 때(후술하는,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 세로 관(20) 내를 밀폐하는 접촉부(84)가 형성된다. 이 접촉부(84)는, 도 5,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판(841)과, 이 슬라이드 판(841)을 문 본체(82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842)와, 슬라이드 판(841) 하단에 장착되고 또한 슬라이드 판(841)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실링 부재(843)를 구비하고 구성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when the opening 20 of the vertical tube 20 contacts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closes the passage 201 (described later, before In the closed position), a contact portion 84 is formed that seals the interior of the longitudinal tube 20. 5 and 6, the contact portion 84 is slidably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door body 821 and a slide plate 841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stituted by a mounting member 842 and a sealing member 843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lide plate 841 and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lide plate 841.

문 본체(821) 하단부에는, 도 5를 보면 명백하듯이, 상향으로 패인 오목부(8211)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판(841)은, 이 문 본체(821)의 오목부(8211)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문 본체(821)의 전면측에 적층하듯이 배치된다. 장착부(842)는, 이 슬라이드 판(841)을 사이에 두고, 문 본체(821)와는 반대측(즉, 슬라이드 판(841)의 전측)에 배치된다. 장착부(84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판이고, 그 좌우의 양 단부가 문 본체(821)에 나사(84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판(841)을, 문 본체(82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판(841)은, 도시를 생략한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하향으로 바이어싱(biasing) 하여도 된다.As shown in FIG. 5, a lower recessed portion 821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body 821, and the slide plate 841 is partially formed in the recess 8211 of the door body 821. It is arranged so as to be stack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body 821 so as to overlap. The mounting portion 842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or body 821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slide plate 841) with the slide plate 84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mounting portion 842 is a belt-shaped plat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ixed to the door body 821 by screws 844, so that the slide plate 841 is attached to the door body 821. In contrast, it is slidably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the slide plate 841 may be biased downward by a biasing member not shown.

실링 부재(843)는, 슬라이드 판(841)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이 슬라이드 판(841)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변위한다. 실링 부재(843)는,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841)의 하단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연속하도록 횡단면에 U자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본체(821)의 오목부(8211) 내의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의 전역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된다.The sealing member 843 is fix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lide plate 841 and is dis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lide plate 841. As shown in FIG. 6, the sealing member 843 is formed in a U-shape on the cross section so as to continue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with the lower edge of the slide plate 84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5, it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left end in the recess 8211 of the door main body 821 to the whole of the right end.

여기서, 통과구(201)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는, 도 6에 단적(端的)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관(20) 내의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5)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도록, 세로 관(20)의 외방(外方)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즉, 세로 관(20) 내를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5)는, 이 경사진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에 접촉했다 하더라도, 이 경사면을 따라, 세로 관(20) 내방(內方)으로 안내되도록 된다.Here,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of the through-hole 201 prevents jamming of the descending waste container 5 in the vertical tube 20, as shown in FIG. 6, and smoothly. To be able to fall, it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ube 20. That is, even if the waste container 5 descending in the vertical tube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along the inclined surface, it is guided to the vertical tube 20 inside. It becomes possible.

개폐문(82)은, 통과구(201)를 전폐쇄로 할 수 있도록,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접촉부(84)의 실링 부재(843)가, 이 통과구(201)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에 접촉하여, 세로 관(20) 내를 밀폐 상태로 한다(도 3 및 도 6 참조). 이 때에, 전술과 같이,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는 경사면을 가지므로, 실링 부재(843)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에 대한 접촉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면, 그 상하 방향의 위치도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가령 접촉부(84)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843)와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와의 접촉상태를 확실하게 확보하고자 하면, 실링 부재(843) 전후 방향의 위치 정밀도를 높여야 하고, 나아가 개폐문(82)의 치수 정밀도와 조립 정밀도를 높여야 한다. 이에 반해, 접촉부(84)를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은, 실링 부재(843)와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와의 접촉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다소 어긋났다 하더라도, 슬라이드 판(841) 및 실링 부재(843)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실링 부재(843)와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와의 접촉상태를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을 실현한다. 즉, 이 구성은, 개폐문(82)의 치수 정밀도와 조립 정밀도를 높일 필요성을 없애고, 제조비용의 저감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The opening/closing door 82 has a sealing member 843 of the contact portion 84 when position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so that the passage 201 can be completely closed,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of the passage 201 (2011), the inside of the vertical tube 20 is sealed (see FIGS. 3 and 6).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has an inclined surface, if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843 with respect to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is shif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vertical position thereof It also goes wrong.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portion 84 is configured to be non-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 contact member 843 and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are to be securely secured, the sealing member 843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positional precision must be increased, and furthermore, the dimensional precision and assembly precis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must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o configure the contact portion 84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n if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sealing member 843 and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is slightly shif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lide plate 841 and the sealing By displacing the member 843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realized to securely secur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sealing member 843 and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That is, this configuration eliminates the need to increase the dimensional accuracy and assembly accuracy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and is advantageous in reducing manufacturing cost.

개폐문(82)의, 문 본체(821) 후면에는,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판(85)이 장착된다. 이 안내판(85)은, 세로 관(20) 내를 하강 또는 상승하는 쓰레기 수용체(5)를 안내하기 위한 판이다. 안내판(8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판이고, 문 본체(821)의 좌우방향 중앙위치이며, 문 본체(821)의 상단부를 제외한 소정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 안내판(85)은, 개폐문(82)이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면이 세로 관(20)의 내벽면(202)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되도록 구성된다.5 and 6, a guide plate 85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door body 821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The guide plate 85 is a plate for guiding the waste container 5 that descends or rises in the vertical tube 20. The guide plate 85 is a strip-shaped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 center posi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oor body 821, and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excluding the upper end of the door body 821. The guide plate 85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ositioned at the fully closed position, the rear surface thereof is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as shown in FIG.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관(20)에 형성된 통과구(201)는, 기본적으로는,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나, 그 상단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좌우방향의 중앙위치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노치(2012)가 형성된다. 도 3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82)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때에는 안내판(85)의 상단부가, 홈 형상 노치(2012) 내에 안쪽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즉, 안내판(85)과 홈 형상 노치(2012)는,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동 도면의 화살표 참조).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passage 201 formed in the vertical tube 20 is basically rectangular as viewed from the front, but extends upward from the center posi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edge of the upper opening. A groove-shaped notch 2012 is formed. 3,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osition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uide plate 85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wardly into the groove-shaped notch 2012. That is, the guide plate 85 and the groove-shaped notch 2012 have a portion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the arrow in the figure).

세로 관(20) 내를, 쓰레기 수용체(5)가 하강 또는 상승할 시에, 세로 관(20)의 내벽면(202)에 단차가 있으면, 쓰레기 수용체(5)가 이 단차에 걸려,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또는 상승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있다. 개폐문(82)의 후면(後面)에 장착된 안내판(85)은, 개폐문(82)에 의해 닫혀지는 통과구(201) 내에서 세로 관(20)의 내벽면(202)과 동일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내벽면에, 쓰레기 수용체(5)가 걸려 버리는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즉, 세로 관(20)의 내벽면(202)에 형성되는 단차 내에서도,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단차는, 쓰레기 수용체(5)가 걸리게 되어, 그 하강과 상승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쓰레기 수용체(5)의 바깥 치수가, 세로 관(20)의 안 치수와 거의 동일하므로, 수평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단차는,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을 저해하는 것이 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문(82) 후면에 장착된 안내판(85)은, 그 상단부 위치에서, 판 두께분의 단차를 발생시키나, 이 단차는, 홈 형상 노치(2012) 내에 위치하므로, 수평방향으로 연속되지 않는다. 또, 통과구(201) 상단 개구 가장자리부도, 단차를 발생시키나, 이 단차는, 안내판(85)에 의해 분단된다. 따라서, 전술한 안내판(85)을, 개폐문(82) 후면에 장착함으로써, 세로 관(20)의 내벽면(202)에서는, 단차가 없는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과 상승이 원활하게 행해진다.When the waste container 5 descends or rises in the vertical tube 20, if there is a step on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the waste container 5 is caught in this step, and the waste container (5) There is a risk of disruption to the descent or rise. The guide plate 85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within the passage 201 closed by the opening/closing door 82. , It is prevented that a step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5 is caught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That is, even in the step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the step continuou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trapped by the waste container 5,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inhibiting its descending and rising. However, since the outer dimension of the waste container 5 is almost the same as the inner dimension of the vertical tube 20, the step formed only in a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oes not prevent the waste container 5 from falling.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late 85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generates a step difference in plate thickness at the upper end position, but this step is located in the groove-shaped notch 2012, and therefo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not continuous. In addition, a step difference is also generated in the edg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through-hole 201, but this step is divided by the guide plate 85. Therefore, by attaching the aforementioned guide plate 85 to the rear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as a state without a step, and the garbage container 5 descends. And rise is done smoothly.

홈 형상 노치(20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판(85) 상단부가 안쪽으로 삽입되는 부위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고, 안내판(85)의 상단과 홈 형상 노치(2012)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이 간격에 의해, 개폐문(82)이 개폐할 시에, 개폐문(82)과 세로 관(20)이 간섭하는 것이 회피된다. 즉, 개폐문(8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개폐문(82)을 사이에 둔 좌우 양측 각각에 배치된 가이드부(86, 8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세로 관(20)의 전측에서, 이 세로 관(20)을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통과구(201)를 전폐쇄로 하는 전폐쇄 위치와, 통과구(201)를 전개방으로 하는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도 8도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groove-shaped notch 2012 extends more upward than the portion wher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uide plate 85 is inserted inward, and between the top of the guide plate 85 and the top of the groove-shaped notch 2012 ,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y this interval,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opens and closes, interference betwe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and the vertical tube 20 is avoided.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supported by the guide parts 86 and 86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sandwiching the opening/closing door 82, thereby being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tube 20. In order to slide along the vertical tube 20, a reciprocating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ully closed position where the through hole 201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deployed room position where the through hole 201 is the deployed room. It is configured as possible (see also FIG. 8).

한 쌍의 가이드부(86)는 대칭형상으로 구성되고, 도 7에 나타내는 가이드부(86)는, 우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86)를 나타낸다. 가이드부(86)는, 개폐문(82) 좌우의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 롤러(823) 및 볼 롤러(824)가 걸어맞춤 하는 상측 가이드(861)와, 개폐문(82)의 좌우 하측에 배치된 가이드 롤러(823) 및 볼 롤러(824)가 걸어맞춤 하는 하측 가이드(862)를 구비한다. 상측 가이드(861)와 하측 가이드(862)는, 서로 동일 형상이다. 상측 가이드(861) 및 하측 가이드(862)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 배치된 한 쌍의 레일부재를 갖는다. 도 7에서는,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가이드 롤러(823)는, 이 한 쌍의 레일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이 한 쌍의 레일부재에 의해, 그 전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재를 따라, 그 상단과 하단과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을 한다.The pair of guide portions 86 are configured in a symmetrical shape, and the guide portion 86 shown in FIG. 7 represents a guide portion 86 disposed on the right side. The guide portion 86 includes an upper guide 861 to which a guide roller 823 and a ball roller 824 dispos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engage, and a guide dispos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The roller 823 and the ball roller 824 are provided with the lower guide 862 which engages. The upper guide 861 and the lower guide 862 are the same shape. The upper guide 861 and the lower guide 862 each have a pair of rail member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Fig. 7, the guide roller 823, which is shown virtually,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ail members and the rail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gulated by the pair of rail members. Along the member, relative movement is made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 쌍의 레일부재에는, 이 상하 방향의 도중위치에, 보다 정확하게는, 상단과 하단과의 중앙위치보다 하측의 위치에, 상하 방향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는 굴곡부(863)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레일부재는, 이 굴곡부(863)를 사이에 둔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가이드 롤러(823)는, 한 쌍의 레일부재 사이를, 그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상대이동 하는 때에는, 그 도중에, 뒤에서 앞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한 쌍의 레일부재 사이를,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상대이동 하는 때에는, 그 도중에 앞에서 뒤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The pair of rail members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863 that is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down direction at a mid-position in the up-down direction, more precisely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and thus Accordingly, the pair of rail member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with the bent portion 863 are shif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ide roller 823 moves upwards while shifting the position from the back to the front in the middle when moving relative between the pair of rail member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vice versa. When the members move relative to each oth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y move downward while shifting their positions from front to back in the middle.

가이드부(86)에, 이러한 굴곡부(863)가 형성됨에 수반하여, 이 가이드부(86)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을 하는 개폐문(82)은, 통과구(201)를 전폐쇄로 하는 전폐쇄 위치에서는, 상대적으로 후측에 위치하고, 통과구(201)를 전개방으로 하는 전개방 위치에서는, 상대적으로 전측에 위치하도록 된다. 그리고, 전폐쇄 위치와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도중에, 개폐문(82)은, 전후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된다. 이에 따라, 개폐문(82)에 붙여진 안내판(85)의 후면은, 개폐문(82)이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 세로 관(20)의 내벽면(202)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위치한다. 한편, 개폐문(82)이 전폐쇄 위치로부터 전개방 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이동을 하는 때에는, 통과구(201)에 대해 이격하도록 전방으로 변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개폐문(82)과 세로 관(20)과의 간섭이 회피된다. 이 전방으로의 변위는, 개폐문(82)의 안내판(85)이, 통과구(201)의 홈 형상 노치 내를 상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행해진다. 또, 개폐문(82)이 전개방 위치로부터 전폐쇄 위치를 향해 하방으로 이동을 하는 때에는, 통과구(201)에 대해 접근하도록 후방으로 변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된다. 이렇게 하여, 전폐쇄 위치에서는, 안내판(85)의 후면은, 세로 관(20)의 내벽면(202)과 동일 평면이 된다. 즉, 가이드부(86)는, 전폐쇄 위치에서는, 그 후면의 일부가, 세로 관(20)의 내벽면(202)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되도록 구성된 개폐문(82)과 세로 관(20)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개폐문(82)의 개폐를 실현한다. 또, 홈 형상 노치(2012)는, 개폐문(82)이 충분히 전방으로 이동되기까지, 안내판(85)과 세로 관(20)과의 간섭을 늦추는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개폐문(82)의 개폐구조가 간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As the guide portion 86 is formed with such a bent portion 863, the opening/closing door 82 guided by the guide portion 86 and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kes the passage 201 completely clos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the position is relatively located at the rear side, and in the deployed position where the passage port 201 is the deployed position, it is positioned relatively at the front side.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displ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moving between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deployed position. Accordingly,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85 attached to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ositioned to be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osition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moves upward from the fully closed position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it is moved upward while being displaced forwar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ssage 201, so that the opening/closing door 82 and the vertical tube Interference with (20) is avoided. This forward displacement is performed while the guide plate 85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moves upward in the groove-shaped notch of the through-hole 201. 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moves downward from the deployed position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it moves downward while displaced backward to approach the passage 201. In this way,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85 is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That is, the guide portion 86,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 part of its rear surfa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and the vertical tube 20 configured to be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202 of the vertical tube 2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realized while avoiding interference. In addition, the groove-shaped notch 2012 has a function of slow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guide plate 85 and the vertical tube 20 until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is sufficiently moved forward,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하우징(801) 내에는 또,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개폐문(82)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 구동수단(87)이 배치된다. 이 개폐 구동수단(87)은, 개폐문(82)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871)와, 이 와이어(871)를 도중 위치에서, 와이어(871)가 감아 걸리는 풀리(872)와, 이 풀리(872)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모터(873)를 구비하고 구성된다.In the housing 801, an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87 for reciprocating the opening/closing door 82 configured to be opened/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sposed. The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87) includes a wire (871)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and a pulley (872) to which the wire (871) is wound in a middle posi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 motor (873)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ulley (872).

풀리(872) 및 전동모터(87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82)에 대해 상부의 우측 측방에 배치된다. 와이어(871)는, 이 위치에 배치된 풀리(872)로부터 상향으로 인출된 후, 개폐문(82)이 전개방 위치에 위치된 때보다 상방위치에서, 좌측방향으로 인출방향을 변경하고 또한, 개폐문(82) 좌우의 중앙위치에서, 하향으로 인출 방향을 변경하도록 배치된다. 와이어(871)의 단부(즉, 일단부)는, 개폐문(82) 상단부 좌우의 중앙위치에서, 이 개폐문(82)에 연결된다. 풀리(872)에 감아 걸린 와이어(871)는 또한, 풀리(872)로부터 하향으로 인출된 후에, 개폐문(82)이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보다 하방위치에서, 이 인출방향을 상향으로 변경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와이어(871)의 타단부는, 개폐문(82)의 하단부의 우단부에서, 이 개폐문(82)에 연결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전동모터(873)가 구동을 하여 풀리(872)가 소정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풀리(872)를 사이에 둔 일측의 와이어(871)는, 풀리(872)에 권취되는 한편, 타측의 와이어(871)는 풀리(872)로부터 송출되도록 되어 개폐문(82)이 상방으로 이동을 하는 데에 반해, 풀리(87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풀리(872)를 사이에 둔 일측의 와이어(871)가 풀리(872)로부터 송출되는 한편, 타측의 와이어(871)가 풀리(872)에 권취되도록 되어, 개폐문(82)이 하방으로 이동을 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871)를 이용한 개폐 구동수단(8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는 중에, 전후 방향으로 변위를 하도록 구성된 개폐문(82)의 개폐 구동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의 변위를 와이어(871)에 의해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pulley 872 and the electric motor 873 are arranged in the upper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ing/closing door 82, as shown in FIG. After the wire 871 is pulled upward from the pulley 872 disposed at this positio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upper position to the left direction than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ositioned at the deployed position, and also the opened/closed door (82)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 positions, it is arranged to change the drawing direction downward. The end of the wire 871 (that i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at a central position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The wire 871 wound around the pulley 872 is also pulled downward from the pulley 872, so that at the lower position than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locat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this drawing direction is changed upward. Is placed. In this way, the other end of the wire 871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at the right end of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When the electric motor 873 is driven by this configuration and the pulley 872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wire 871 on one side sandwiching the pulley 872 is wound around the pulley 872, The wire 871 of the other side is to be sent out from the pulley 872, while the opening/closing door 82 moves upwards, whereas when the pulley 872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ne side sandwiching the pulley 872 While the wire 871 of is sent out from the pulley 872, the wire 871 on the other side is wound around the pulley 872, so that the opening/closing door 82 moves downward. The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87 using the wire 871 as described above, in the opening/closing driv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configured to displ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displacement by the wire 871.

이렇게, 이 개폐 구동수단(87)은, 개폐문(82)을, 통과구(201)를 전폐쇄로 하는 전폐쇄 위치, 즉 가장 하방의 위치와, 통과구(201)를 전개방으로 하는 전개방 위치, 즉 가장 상방의 위치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폐쇄 위치와 전개방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와의 3개의 위치에 각각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중, 전폐쇄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문(82)의 실링 부재(843)가 통과구(201)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부(2011)에 접촉하고, 세로 관(20)을 밀폐하는 위치이다. 또, 전개방 위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쓰레기 수용체(5)를 탑재한 테이블(81)이, 통과구(201)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위치이다. 또한, 중간위치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81)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테이블(81)에 탑재되는 쓰레기 수용체(5)의 통과를 저지하는 위치이다.In this way, the opening/closing driving means 87 has the opening/closing door 82, the closing position in which the passage 201 is completely closed, that is, the most downward position, and the developing room in which the passage 201 is the deployed position. The position, that is, the uppermost position, and as shown in FIG. 8, are configured to be respectively located in three positions,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deployed position. Among these,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member 843 of the opening/closing door 82 contacts the lower opening edge portion 2011 of the passage 201 and seals the vertical tube 20. to b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unfolded position is the position which enables the table 81 equipped with the waste container 5 to pass through the passage 20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intermediate position is a position that permits passage of the table 81 while preventing passage of the waste container 5 mounted on the table 81.

다음에, 이 투입/회수장치(80)의 동작에 대해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쓰레기 수용체(5)의 투입 시 동작에 관한 흐름도이고, 이 흐름도는, 서브 제어기(62)에 의해 실행된다. 시작 후의 단계(S91)에서는, 이용자가, 조작반에 형성된 시작 버튼을 조작하고, 이에 따라, 이어지는 단계(S92)에서, 투입문(803)을 잠금 해제한다. 이용자는 투입문(803)을 수동으로 열어, 테이블(81) 상에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5)를 탑재하게 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is input/recovery device 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lowcharts shown in Figs. 9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when the waste container 5 is put in, and this flowchart is executed by the sub-controller 62. In the step S91 after the start, the user operates the start button formed on the operation panel, and accordingly, in the subsequent step S92, the input door 803 is unlocked. The user opens the input door 803 manually, and mounts the waste container 5 which accommodates the waste on the table 81.

이어지는 단계(S93)에서는, 테이블(81) 상에 쓰레기 수용체(5)가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탑재되지 않았을 때에는(즉, NO인 때에는), 단계(S94)로 이행하여, 이용자에 대해 쓰레기 수용체(5)의 세팅을 재촉하는 표시를 행한다. 한편, 테이블(81) 상에 쓰레기 수용체(5)가 탑재되는 때에는(즉, YES인 때에는), 단계(S95)로 이행한다.In the subsequent step S9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ste container 5 is mounted on the table 81, and when it is not mounted (i.e.,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4, whereby the user is littered. The display prompting the setting of the receptor 5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te container 5 is mounted on the table 81 (i.e.,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5.

단계(S95)에서는,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에 투입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투입하지 않을 때(즉, NO인 때)에는 단계(S96)로 이행하여, 이용자에 대해, 쓰레기 수용체(5)를 테이블(81)로부터 제거하여, 투입문(803)을 닫는 것을 재촉하는 표시를 행한다. 그 후, 투입문(803)이 닫혀지면, 단계(S97)에서 잠금(lock)을 하고, 흐름도를 종료한다.In step S95,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waste container 5 is put into the chute, and when it is not put in (i.e.,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6, whereby the user receives the waste container 5 Is removed from the table 81, and a display prompting the closing of the input door 803 is performed. Thereafter, when the input door 803 is closed, a lock is made in step S97, and the flow chart ends.

이에 반해, 단계(S95)의 판정에서 YES인 때에는, 단계(S98)로 이행하고, 이용자가 조작반을 조작함으로써, 투입한 쓰레기의 종류를 선택하고, 그 후, 단계(S99)에서 시작 버튼이 조작되면, 흐름도는, 단계(S910)로 이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in step S95 is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8, and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panel to select the type of garbage input, and thereafter, the start button is operated in step S99. If it does, the flow advances to step S910.

단계(S910)에서는, 쓰레기 수용체(5)의 투입운전(즉, 투입동작)의 개시 조건이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의 개시조건에는, 쓰레기 수용체(5)가 테이블(81) 상에 탑재되어 있을 것, 투입문(803)이 닫혀있을 것, 및 투입문(803)이 잠금되어 있을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어느 한 조건이 성립되지 않았을 때에는, 단계(S911)에서 에러 표시를 행한다. 한편, 모든 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에는, 투입 운전의 준비가 모두 완료되었다고 하고(단계(S912)), 투입운전을 대기한다(단계(S913)). 그리고, 투입운전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914)). 즉, 다른 플로어로부터 쓰레기 수용체(5)가 이미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당해 플로어로부터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까지, 단계(S913, S914)를 반복한다.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단계(S914)로부터 단계(S915)로 이행한다.In step S91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tart condition of the input operation (that is, the input operation) of the waste container 5 has been established. As the starting conditions here, it can be exemplified that the waste container 5 is mounted on the table 81, the input door 803 is closed, and the input door 803 is locked. When one of the conditions is not satisfied, an error is displayed in step S911. On the other hand, when all th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is said that all preparations for the input operation are completed (step S912), and the input operation is waited (step S913).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put operation is permitted (step S914).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aste container 5 has already been input from another floor, and steps S913 and S914 are repeated until it is possible to input the waste container 5 from the floor. When it becomes possible to input the waste container 5,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914 to step S915.

단계(S915)에서는, 투입/회수장치(80)는, 전폐쇄 위치에 있었던 개폐문(82)을, 전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통과구(201)를 전개방으로 한다. 그 상태에서, 쓰레기 수용체(5)가 탑재된 테이블(81)을 후퇴시킨다. 쓰레기 수용체(5) 및 테이블(81)은, 도 2, 도 4에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과구(201)를 통과하여, 세로 관(20) 내의 지지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위치로 이동한 후에, 개폐문(82)은, 전개방 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이동된다(단계(S917), 도 8 참조). 개폐문(82)을 중간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테이블(81)을 대기위치를 향해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블(81)은, 개폐문(82)과는 간섭하는 일 없이, 개폐문(82) 하측에서 통과구(201)를 통과 가능하나, 테이블(81) 상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5)는 개폐문(82)에 간섭하고, 그 통과가 저지된다. 그 결과, 테이블(81)은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는 한편, 쓰레기 수용체(5)는 세로 관(20) 내에 머문다. 이렇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5)는 세로 관(20) 내에서 지지가 없어지므로, 세로 관(20) 내를 하강한다. 테이블(81)이 대기위치로 되돌아오고, 쓰레기 수용체(5)가 하강을 개시하면, 개폐문(82)은, 중간위치로부터 전폐쇄 위치로 이동을 한다. 이렇게 하여, 세로 관(20)을 밀폐상태로 하여, 투입동작이 완료하게 된다.In step S915, the input/recovery device 80 moves the opening/closing door 82, which was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to the deployment room position, thereby making the passage 201 the deployment room. In this state, the table 81 on which the waste container 5 is mounted is retracted. The waste container 5 and the table 81, as virtually shown in Figs. 2 and 4, pass through the passage 201 and move to the support position in the vertical tube 20. Then, after moving to the support positio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moved from the deployed position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step S917, see FIG. 8). With the door 82 positione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the table 81 is advanced toward the standby position. Accordingly, the table 81 can pass through the passage 201 from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but the waste container 5 mounted on the table 81 is It interferes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2, and its passage is blocked. As a result, the table 81 moves to the standby position, while the waste container 5 stays in the vertical tube 20. In this way, since the waste container 5 has no support in the vertical tube 20, the vertical tube 20 is lowered. When the table 81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waste container 5 starts to descend, the opening/closing door 82 moves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In this way, the vertical tube 20 is sealed, and the closing operation is completed.

도 10은, 빈 쓰레기 수용체(5)의 회수 시의 동작에 관한 흐름도이고, 이 흐름도도, 서브 제어기(62)가 실행한다. 시작 후의 단계(S101)는, 회수 운전이 개시되는 것을 대기하는 상태이고, 이어지는 단계(S102)에서 회수 운전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회수운전이 개시되기까지 단계(S101, S101)를 반복하고, 회수 운전이 개시되면 단계(S103)로 이행한다.10 is a flowchart relating to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collection of the empty waste container 5, and this flowchart is also executed by the sub-controller 62. Step S101 after the start is in a state of waiting for the recovery operation to star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overy operation has started in the subsequent step S102. Steps S101 and S101 are repeated until the recovery operation is started, and when the recovery operation is star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3.

단계(S103)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 관(20) 내를 쓰레기 수용체(5)가 상승을 하고, 당해 투입/회수장치(80)가 설치된 플로어를 통과한다.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한 후의 단계(S104)에서는, 개폐문(82)을 전폐쇄 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위치시키고, 그 후, 단계(S105)에서, 테이블(81)을 후퇴시켜, 대기위치로부터 지지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세로 관(20) 내에서 쓰레기 수용체(5)는, 지지위치에 위치된 테이블(81)보다 상방에 위치한다.In step S103,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container 5 rises in the vertical pipe 20 and passes through the floor provided with the input/recovery device 80. In the step S104 after the waste container 5 has passed,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placed from the fully closed position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n, in step S105, the table 81 is retracted, from the standby position. Move it to the support position. At this time, the waste container 5 in the vertical tube 20 is located above the table 81 located in the support position.

단계(S106)에서는, 세로 관(20) 내의 흡인을 정지하고, 이에 따라 쓰레기 수용체(5)는 낙하하고, 테이블(81) 상에 탑재된다. 이렇게 하여, 단계(S107)에서 개폐문(82)을 중간위치로부터 전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단계(S108)에서 테이블(81)을 전진시킴으로써, 테이블(81) 상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5)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 테이블(81)이 대기위치로 이동을 하면, 개폐문(82)을 전개방 위치로부터 전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쓰레기 수용체(5)의 회수가 완료된다.In step S106, suction in the vertical tube 20 is stopped, and thus the waste container 5 falls and is mounted on the table 81. In this way, by moving the door 82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to the deployed position in step S107 and advancing the table 81 in step S108, the waste container 5 mounted on the table 81 is moved. Move it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table 81 moves to the standby positio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moved from the deployed position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recovery of the waste container 5 is completed.

그 후는, 단계(S1010)에서, 이용자에 대해, 빈 쓰레기 수용체(5)가 되돌아간 것을 아나운스함과 동시에 표시를 하고, 수동의 투입문(803)을 잠금 해제한다(단계(S1011)). 이용자는, 투입문(803)을 열어, 테이블(81) 상에 탑재되는 빈 쓰레기 수용체(5)를 꺼내고(단계(S1012)), 투입문(803)을 닫는다. 단계(S1013)에서는, 투입문(803)을 잠금하여, 흐름이 종료된다.Thereafter, in step S1010, the user announces that the empty waste container 5 has returned and simultaneously displays it, and unlocks the manual input door 803 (step S1011). . The user opens the input door 803, takes out the empty waste container 5 mounted on the table 81 (step S1012), and closes the input door 803. In step S1013, the input door 803 is locked, and the flow ends.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투입/회수장치(80)에 의하면, 세로 관(20)의 통과구(201)를 개폐하는 개폐문(82)과,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는 테이블(81)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를 세로 관(20)에 투입하는 것, 및,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세로 관(20)으로부터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테이블(81)은, 쓰레기 수용체(5)의 반송과, 세로 관(20) 내에서의 지지의 2가지 기능을 겸하고 있으므로, 기구의 수를 줄여 투입/회수장치(80)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입/회수장치(80)의 간략화는, 예를 들어 맨션 등의, 일반적인 고층 건축물의 플로어에 설치되고 또한, 맨션의 주민과 같은 일반인이 조작을 행하는 투입장치에서는, 특히 유효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put/recovery device 8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aste container is provided by an opening/closing door 82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201 of the vertical tube 20 and a table 81 that moves back and for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ject (5) into the vertical tube 20 and to collect the empty waste container 5 from the vertical tube 20. That is, since the table 81 serves as two functions of conveyance of the waste container 5 and support in the vertical pipe 20, the number of mechanisms is reduced to configure the input/recovery device 80, It can be simplified. This simplification of the input/recovery device 80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an input device provided on a floor of a general high-rise building, such as a mansion, and operated by a general person, such as a resident of the mansion.

또한, 반송 지지부를 테이블(81)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투입장치와, 회수장치를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의 비용저감에 유리하게 된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by the table 81,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put device and the recovery device substantially the same. This is advantageous for reducing the cost of the waste conveying system.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반송 지지부를 테이블(81)에 의해 구성하나, 반송 지지부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쓰레기 수용체(5) 상부에 걸어맞춤 하고, 이 쓰레기 수용체(5)를 매달아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structure,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is constituted by the table 81,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that engages the upper portion of the waste container 5 and suspends the waste container 5.

또한, 개폐문(82)은, 전폐쇄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동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전폐쇄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전술한 반송 지지부의 구성과의 조합에 따라,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door 82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which moves upward from a fully closed position, You may employ the structure which moves downward from a fully closed position. Such a configuration can be appropriately adopt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veyance support.

20 : 세로 관(슈트)
201 : 통과구(투입구)
2011 : 하단개구 가장자리부
2012 : 홈 형상 노치
21 : 슈트
22 : 투입장치
23 : 덕트
24 : 회수장치
5 : 쓰레기 수용체
80 : 투입/회수장치(투입장치)
803 : 투입문
8032 : 누름부재
81 : 테이블(반송 지지부)
813 : 제 2 걸어맞춤부(낙하방지 부재)
82 : 개폐문
84 : 접촉부
85 : 안내판(띠형상 판)
86 : 가이드부
20: vertical tube (suit)
201: Pass through (inlet)
2011: Edge of lower opening
2012: notched groove
21: suit
22: input device
23: duct
24: recovery device
5: garbage receptor
80: input/recovery device (injection device)
803: input statement
8032: Pressing member
81: table (transport support)
813: 2nd engaging part (no drop prevention member)
82: opening and closing door
84: contact portion
85: guide plate (striped plate)
86: guide unit

Claims (7)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가 하강하도록, 상기 쓰레기 수용체와 내벽면 사이에 소정의 미소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슈트(chute) 내에,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하도록 구성된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슈트에는, 상기 플로어에 대응하여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슈트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문과,
상기 쓰레기 수용체가 탑재되는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상기 테이블이, 상기 슈트 내(內)의 제 1 위치와, 상기 슈트 외(外)의 제 2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 반송 지지부와,
상기 개폐문의 개폐 및 상기 반송 지지부의 진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문은, 상기 투입구를 전(全)폐쇄로 하는 전폐쇄 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상태의 상기 반송 지지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여는 전개방 위치와, 상기 전폐쇄 위치와 상기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투입구를, 상기 반송 지지부와는 간섭하지 않고 이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상기 반송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와는 간섭하여 이 통과를 저지하도록 여는 중간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반송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에 장착된 슬라이드 레일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테이블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슈트의 외부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테이블이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상기 슈트 안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에 투입하는 때에는,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개방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반송 지지부를,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개폐문을 상기 중간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한 상기 반송 지지부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 내에 남긴 채로, 상기 반송 지지부만을 당해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키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
It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and a waste container containing waste is lowered, so that the waste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a chute configured to form a predetermined small gap between the waste container and the inner wall surface. In the configured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In the chu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wast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floor is forme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chute,
It has a table o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mounted, and the table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is plac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in the chute and the second position outside the chute. A transport support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ha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port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include a fully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inlet is completely closed, a deployed position in which the inlet is opened to allow the conveyance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supported, and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Between the unfolded position, the inlet is positione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to allow this passag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onveying support, while opening the interference container to prevent this passage by interfering with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conveying support. Become,
The conveying support has a slide rail mounted on the table,
The slide rail is disposed outside the chute when the table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while in the chute only when the table is positioned in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ler, when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conveying support is put into the chute,
The opening/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deployed position to move the conveyanc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waste containe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placing the opening/closing door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moving the conveying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refuse accepto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nly the conveyance support remains in the second, leaving the refuse acceptor in the chute. To the location, and,
A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for plac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completely closed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용체는, 상기 슈트의 내벽면에 대해 소정의 미세 틈새를 둔 상태에서, 당해 슈트 내를 하강하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전폐쇄 위치에서는, 그 이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슈트의 상기 내벽면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되며,
상기 개폐문을, 상기 슈트의 외측에서 당해 슈트를 따라 슬라이드 하도록, 상기 전폐쇄 위치와, 상기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슈트를 따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전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근시키면서, 상기 슈트를 따라 이동을 시키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container is lowered in the chute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fine gap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t least a part of its rear surface is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A guide portion further configured to guide the opening/closing door between the pre-closed position and the deployed position so as to slide along the chute from the outside of the chute is further provided.
The guide unit, when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direction from the fully closed position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while moving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inlet, while moving along the chute,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deployed position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ull closed position, the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for moving along the chute while approaching the inlet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이면(裏面)에는,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슈트의 상기 내벽면과 동일 평면이 되는 안내면을 가지고 또한, 상기 투입구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판이 붙여지고,
상기 투입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문이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띠형상 판의 단부가 안쪽으로 삽입되는 홈 형상 노치(notch)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문이 상기 전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전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때에는, 상기 띠형상 판이 상기 홈 형상 노치 내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n the back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 belt-shaped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nlet is also attached, having a guide surface that is flush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ute when position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 groove-shaped notch into which the end of the strip-shaped plate is inserted inward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inlet, and at the same time as i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is locat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When moving from the fully closed position toward the deployed position, the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nd-shaped plate passes through the groove-shaped notch.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상기 전폐쇄 위치와, 이보다 상방의 상기 전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고,
상기 개폐문의 하단부에는, 당해 개폐문을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때에, 상기 투입구의 하단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claim 3,
The opening/closing door reciprocates between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deployed position above it,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placed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a contact unit configured to contact the lower end opening edge portion of the input opening, the dispensing device for the waste container formed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지지부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당해 하우징에는, 상기 반송 지지부에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지지하기 위해 개폐되는 투입문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문은 요동 개폐식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당해 투입문의 이면에는, 상기 투입문을 닫은 때에, 상기 반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에 접촉하여, 이 쓰레기 수용체를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누름부재가 장착되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veying support is disposed in a housing,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opening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support the waste container in the conveying support,
At the same time that the closing door is configured to swing open and close, a pressing member for contacting the waste container supported by the conveyance support unit when the closing door is closed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losing door, and to place the waste containe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put device for the waste container to be mount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이 상단부로부터 흡인(吸引)함으로써 빈 쓰레기 수용체를 상승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반송 지지부는,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테이블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상승되어 온 빈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회수하는 때에는,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폐쇄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빈 쓰레기 수용체가 당해 플로어에 도달하는 것을 대기하며,
상기 빈 쓰레기 수용체가, 당해 플로어에 도달한 후에, 상기 개폐문을 상기 중간위치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테이블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흡인(吸引)이 정지됨에 수반하여 상기 슈트 내에서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테이블 상에 탑재시키며, 그리고,
상기 개폐문을 상기 전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쓰레기 수용체가 탑재된 상기 테이블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hut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lift the empty waste container by sucking from this upper end,
The conveying support portion is a table having a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the waste container,
When the controller recovers the empty waste container that has been raised,
Position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waiting for the empty waste container to reach the floor,
After the empty waste container reaches the floor, the door is plac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table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suction of the waste container is stopped, the waste container that descends in the chute is mounted on the table, and
A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for placing the opening/closing door in the deployed position and moving the table on which the waste container is moun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rough the input po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탑재면에 탑재된 빈 상기 쓰레기 수용체에 걸어맞춤 되고 또한, 당해 쓰레기 수용체가 상기 테이블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 부재가 장착되는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able is equipped with a drop prevention member that engages with the empty waste container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when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also prevents the waste container from falling from the table. Waste container input device.
KR1020157030179A 2013-03-27 2013-11-08 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 KR1021301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5594A JP6289813B2 (en) 2013-03-27 2013-03-27 Garbage container input device
JPJP-P-2013-065594 2013-03-27
PCT/JP2013/006583 WO2014155445A1 (en) 2013-03-27 2013-11-08 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380A KR20150134380A (en) 2015-12-01
KR102130146B1 true KR102130146B1 (en) 2020-07-03

Family

ID=5162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179A KR102130146B1 (en) 2013-03-27 2013-11-08 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89813B2 (en)
KR (1) KR102130146B1 (en)
TW (1) TWI577864B (en)
WO (1) WO201415544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6362A1 (en) 2017-11-10 2019-05-16 Carlo Sicko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e storage of differently cut boards for a timber construction
CN111591854B (en) * 2020-04-21 2021-08-10 荣华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rubbish clearing device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floor
CN114671188B (en) * 2022-03-10 2023-11-17 北京中科博联科技集团有限公司 Butt joint structure of bin gate of anti-odor leakage type belt conveyor of aerobic fermentation b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5999B2 (en) 1988-05-30 1997-07-3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Waste collection method in bucket reciprocating transport system
JP2005239370A (en) * 2004-02-27 2005-09-0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Container collec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1175A (en) * 1976-03-11 1977-09-17 Murata Mach Ltd Method of unloading luggage on forks
JP2708781B2 (en) * 1988-05-30 1998-02-0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Bucket feeder in bucket transport system
JPH0466402A (en) * 1990-07-06 1992-03-02 Fuji Heavy Ind Ltd Refuse collecting device for multistory building
JPH0466042A (en) * 1990-07-06 1992-03-02 Shimano Inc Reel for fishing
US6196240B1 (en) * 1999-02-12 2001-03-06 Howard Liao Equipment for conveyance and treatment of garbage in high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5999B2 (en) 1988-05-30 1997-07-3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Waste collection method in bucket reciprocating transport system
JP2005239370A (en) * 2004-02-27 2005-09-0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Container coll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7466A (en) 2014-10-01
JP2014189358A (en) 2014-10-06
JP6289813B2 (en) 2018-03-07
WO2014155445A1 (en) 2014-10-02
TWI577864B (en) 2017-04-11
KR20150134380A (en)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146B1 (en) Insertion device for garbage containing body
KR101813345B1 (en) Vertical refuse conveyor
ITMI20010727A1 (en) AUTOMATIC MACHINE DISTRIBUTOR OF CONTROLLED DELIVERY PRODUCTS
JP7126621B2 (en) Kimchi ingredients charging device, injection mechanism for kimchi ingredients charging device, and damping lifter for kimchi ingredients charging device
WO2021252073A1 (en) Buffer sort
KR102243479B1 (en) Lifting device for food waste container of food waste collecting vehicle
JP6068263B2 (en) Garbage container reversing device
CA2126484A1 (en) Collection vehicle
JP5791299B2 (en) Container filling device and open container
KR101215584B1 (en) entrance parts for standard plastic garbage bag in a vaccum refuse collection system
KR102053670B1 (en) Waste conveying system
KR101063475B1 (en) Food waste truck with dual loading system
JP5456601B2 (en) Bucket lifter
KR101526867B1 (en) screw feeding device
KR200276731Y1 (en) Lift apparatus of a garbage wagon
CN114486348B (en) Gas drilling detritus sampling device
CN211309724U (en) Feeding door for automatic garbage recycling machine
JP2004307159A (en) Waste throw-in device
JPH0761551A (en) Elevation bucket conveyor
JPH0575212U (en) Garbage input device
JP5952538B2 (en) Elevator lifting device
CN115991306A (en) Automatic pushing-out sorting grid, centralized package building system and centralized package building method
SU207868A1 (en) DEVICE FOR TRANSPORTATION AND OVERLOADING OF PIECE CARGOES
EP2196411A1 (en) Device for selectively conveying waste in a differentiated waste collection vehicle
ITTO20060893A1 (en) PLANT FOR THE DIFFERENTIATED COLLECTION OF URBAN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