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004B1 -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 Google Patents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004B1
KR102130004B1 KR1020190134482A KR20190134482A KR102130004B1 KR 102130004 B1 KR102130004 B1 KR 102130004B1 KR 1020190134482 A KR1020190134482 A KR 1020190134482A KR 20190134482 A KR20190134482 A KR 20190134482A KR 102130004 B1 KR102130004 B1 KR 10213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resonant
circuit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엽
은종일
Original Assignee
박동엽
은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엽, 은종일 filed Critical 박동엽
Priority to KR102019013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004B1/ko
Priority to PCT/KR2019/014613 priority patent/WO20210856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0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electrodes in the vessel, e.g. surface discharge lamps, electrodeless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and measurement of the incid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플리커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램프의 점등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자 소자를 이용해서 고효율, 고역율 고주파 안정기를 실용화하는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회로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의 상호 교번적인 스위칭에 의한 고주파의 발진동작으로 상기 램프부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회로부, 및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와 연계되어 상기 발진 동작을 위한 공진 회로를 이루는 공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Electronic ballast for lamp}
본 발명은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형광 램프, 무전극 램프용 디밍 기능과 소트프 점등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식 안정기에 대한 것이다.
전자식 안정기는 기존 자기식 안정기에서 우려되는 THD(Total Harmonic Distortion)와 잡음단자 전압 및 자기장 유도전류등의 시험 항목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THD는 20%이하를 유지해야 하며, 잡음 단자 전압 및 자기장 유도 전류는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안정기의 회로 구성은 정류회로, 고주파 발진회로, 출력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중 정류회로는 입력 AC(Alternating Current) 220V를 브릿지(Bridge) 정류하여 약 300V의 DC(Direct Current) 전압으로 바꾸어 인버터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한다.
고주파 발진회로는 안정기가 필요로하는 고주파를 출력 회로에 보내게 된다. 출력회로는 트랜스포머를 통해서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한 회로로 2개의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성된 하프 브릿지 스위칭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램프 점등시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쵸크 코일의 크기는 램프 규격과 발진 주파수에 따라 반비례하며, 이에 따라 중량 및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
그런, 이러한 일반적인 전자식 안정기의 경우, 램프의 미세한 깜빡임이 일어나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램프의 흑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1-0131749호 2.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36182호 3. 한국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99941호(등록일자: 2002.12.21)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플리커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램프의 점등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자 소자를 이용해서 고효율, 고역율 고주파 안정기를 실용화하는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광등의 필라멘트를 약 0.4초 ~ 0.6초간 예열시켜 점등이 이루어짐으로써 램프의 흑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광등 램프나 무전극 램프를 전류 저항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차등용 회로를 구성하고 태양광의 강도에 따라 CDS 소자나 PT(Photo transistor)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트랜지스터를 거치면서 코일의 임피던스(주파수)를 변환시켜 램프의 조도를 실내환경에 맞게 하는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플리커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램프의 점등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자 소자를 이용해서 고효율, 고역율 고주파 안정기를 실용화하는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회로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의 상호 교번적인 스위칭에 의한 고주파의 발진동작으로 상기 램프부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회로부; 및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와 연계되어 상기 발진 동작을 위한 공진 회로를 이루는 공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는, 상기 스위칭 소자중 하나에 미리 설정되는 전원으로 낮추어 상기 램프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 제한하는 소프트 점등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입력단에 시간 제한 타이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진 회로는 공진 인덕터 및 공진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진 커패시터의 제 1 및 제 3 공진 커패시터는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공진 커패시터는 상기 제 1 및 제 3 공진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는, 광센서를 통해 인덕터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켜 램프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디밍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는, 전원 공급 회로부의 고장 유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는, 상기 램프부에 공급하는 전원의 고장 유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형광 램프 또는 무전극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다수의 램프가 병렬로 이루어지며, 각 램프의 앞단에 제 1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양극단에 공통의 제 2 커패시터가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로 이루어진 램프부; 상기 램프부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회로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의 상호 교번적인 스위칭에 의한 고주파의 발진동작으로 상기 램프부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회로부; 및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와 연계되어 상기 발진 동작을 위한 공진 회로를 이루는 공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부는 인덕터의 2차 권선에서 나온 고주파 전압을 다이오드를 거쳐 커패시터에 충전된 충전 전압으로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다수개의 형광등, 무전극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LCC 공진회로를 구성하고, 안정기의 고장유무를 표시하는 LED 램프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전자식 안정기의 절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낮에는 태양광의 빛세기를 검출함으로써 CDS 소자나 PT 소자로 램프의 조도를 주위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용 안정기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밍 기능과 소프트 점등 회로를 갖춘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100)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100)는,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회로부(110), 내부에 갖추어진 다수의 스위칭 소자의 상호 교번적인 스위칭에 의한 고주파의 발진동작으로 램프부(150)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회로부(120), 램프부(150)에 공급하는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 제한하는 소프트 회로부(140),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120)와 연계되어 발진 동작을 위한 공진 회로를 이루는 공진부(160), 디밍 기능을 실행하는 디밍 회로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부(110)는, 교류 전원단의 일단(N)에 퓨즈(F1)가 접속되고, 그 교류 전원단의 양단(L, N) 사이에 서지 전압 제거 소자(TNR)와 교류전압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용 인덕터(LFT) 및 직/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C1, C2, C3)가 접속되며, 그 인덕터(LFT)와 커패시터(C1, C2, C3)의 후단에 교류전압을 정류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D1~D4)가 접속된다.
상기 퓨즈(F1)는 교류전압에서 소정의 허용치 이상의 과전압이 인가되면 오픈(Open)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지전압 제거 소자(TNR)는 교류전원에 혼입된 서지전압을 흡수하고, 상기 노이즈 제거용 인덕터(LFT) 및 커패시터(C1,C2, C3)는 교류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의 노이즈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커패시터(C1)와 커패시터(C2)의 중간에 회로상 직접 접지되지 않은 그라운드(FG: Floating Ground)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D1~D4)의 출력단에는 역율 개선을 위한 역율 개선용 인덕터(T1) 및 커패시터(C4)가 연결된다. 또한, 커패시터(C4)와 병렬로 전원단에서의 고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기(LD1) 및 저항(R12)이 구성된다.
또한, 역율 개선용 인덕터(T1)의 출력단에는 다이오드(D5) 및 공진부(160)의 커패시터(C7,C9)가 연결된다. 다이오드(D5)의 출력단에는 저항(R1,R3,R4), 스위칭 소자(Q1) 및 스위칭 소자(Q2)가 연결된다. 저항(R1)에 저항(R3,R4)이 병렬로 연결되고, 저항(R3, R4)은 직렬로 연결된다. 이 저항(R1,R3)에 스위칭 소자(Q1) 및 스위칭 소자(Q2)가 병렬로 연결된다. 이 스위칭 소자(Q1) 및 스위칭 소자(Q2)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ET),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스위칭 소자(Q1) 및 스위칭 소자(Q2)의 게이트에 대한 인가 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해 발진 코어(T1-a,T1-b)가 연결된다.
발진 코어(T1-a,T1-b)는 인덕터(T1-c,T1-D)와 연동되는 권선이다. 발진 코어(T1-a,T1-b)는 1차 권선이고, T1-c는 2차 권선이며, T1-D는 3차 권선이다. 즉, 트로이덜 코어(troidal core)에 1차 권선, 2차 권선, 3차 권선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저항(R1) 및 저항(R3)의 중간 지점에 연결선이 생성되고, 이 연결선에 다이오드(D6)가 배치되고 다이오드(D6)의 출력단에 발진 코어(T1-a), 저항(R5)이 연결되며, 이 발진 코어(T1-a)와 병렬로 다이오드(D7) 및 제너다이오드(Z1)가 연결된다. 물론, 다이오드(D7)와 제너다이오드(Z1)는 직렬로 연결된다. 이는 이상 전압이 게이트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위칭 소자(Q1)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는 커패시터(C13)가 구성된다. 이 커패시터(C13)는 노이즈 및 피크 전압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에서는 스위칭 소자(Q1)에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위칭 소자(Q2)에도 동일하게 커패시터(C1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저항(R2)이 다이오드(D6)의 출력단과 다이오드(D5)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이 저항(R2)은 발진 코어(T1-a)와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7)와 제너다이오드(Z1)사이에 놓인다. 이 발진 코어(T1-b)와 병렬로 다이오드(D8) 및 제너다이오드(Z2)가 연결된다. 물론, 다이오드(D8)와 제너다이오드(Z2)는 직렬로 연결된다. 이는 이상 전압이 게이트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칭 소자(Q2)의 경우, 게이트단에 다이악(DA1) 및 발진 코어(T1-b), 저항(R6)이 병렬로 연결된다. 물론, 발진 코어(T1-b)와 저항(R6)은 직렬연결이다. 또한, 저항(R3)과 병렬로 커패시터(C33)가 연결된다. 발진 코어(T1-a) 및 발진 코어(T1-b)는 서로 교대로 하이, 로우 전압을 생성한다.
스위칭 소자(Q1)의 소스와 스위칭 소자(Q2)의 드레인이 맞나는 지점에 발진 코어(T1-c)가 배치되고, 발진 코어(T1-c)의 출력단에 공진 인덕터(T2,T3)를 연결하고, 공진 인덕터(T2,T3)의 출력단에 공진 커패시터(C7,C8,C9)가 연결되어 공진 회로가 생성된다. 공진부(160)에 구성되는 공진 커패시터(C7,C8,C9) 중 공진 커패시터(C7,C9)는 직렬로 연결되고, 공진 커패시터(C8)는 이 공진 커패시터(C7,C9)에 병렬로 연결된다. 공진부(160)는 역방향 전압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오드(D9,D10)가 직렬로 배치된다.
또한, 공진부(160)에는 평활 회로(161)가 구성될 수 있다. 이 평활 회로(161)는 다이오드(D12,D11,D14), 커패시터(C11,C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평활 회로(161)는 완전 평활시키면 역률이 떨어짐으로 부분 평활시킨다.
램프부(150)는 제 1 내지 제 n 램프(LAMP1, LAMP2,…. LAMPn)가 구성되며, 각 램프의 앞단에 커패시터(C15,C17)가 연결되고, 양극단에 공통의 커패시터(C16,C18)가 연결된다.
또한, 공진 인덕터(T3)의 2차 권선(T3-b)에 램프들이 병렬 접속되어 제 1 내지 제 n 램프(LAMP1,LAMP2,...LAMPn)가 전원을 공급받는다. 램프(LAMP1,LAMP2,...LAMPn)는 형광 램프, 무전극 램프 등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안정기는 상용 주파수 전원(220V, 60Hz)을 그대로 사용하는 기존 자기식(choke coil) 안정기에 비해서 고주파로 점등을 시키기 때문에 고주파 발진 회로를 구성해야 된다. 발진 주파수는 33 ~ 40kHz를 피해서 20 ~ 33kHz 또는 40kHz 이상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발진 주파수는 높을수록 효율이 올라가지만 50kHz 이상 지나치게 높으면 스위칭 손실(switching loss)이 커지는 등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 회로부(140)가 구성된다.
소프트 회로부(140)는 램프의 점등과는 관계가 없고, 소프트 스타트 점등 방식을 이용하여 램프의 흑화 현상을 줄이고, 램프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소프트 스타트 점등 기능이 없는 안정기는 정상적으로 점등은 되지만 10초/on, 50초/off 수정 시험에서 흑화 또는 광속 부족 현상이 조기 나타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소프트 점등 회로부(140)에서, 전원 공급 회로부(110)로부터 램프부(150)로 처음 전원이 인가되면, 공진 인덕터(T3)의 2차 권선(T3-a)에 높은 교류 전압이 생성된다. 이 높은 교류 전압을 다이오드(D9)를 통해 DC 전압으로 바꾼다. 이후, 전압을 저항(R7), 제너다이오드(Z9), 저항(R11)을 병렬 접속하여 낮은 전압으로 강하 조절해서 스위칭 소자(Q2)의 게이트(즉 입력단)에 시간 제한 타이머(SCR)를 연결한다. 시간 제한 타이머(SCR)는 사이리스터 등이 될 수 있다. 커패시터(C10)는 램프의 점등이 잘 이루어지도록 안정적이게 전압을 충전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시간 제한 타이머(SCR)를 통해 램프에 전류를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0.4 초 내지 0.6초) 제한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므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점포, 전시장 같은 경우, 낮에는 디밍 기능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밍 회로부(130)가 구성될 수 있다. 인덕터(T1-D)에 유기된 전압이 발생하여 인덕터(L1) 및 다이오드(D13)를 통해 광센서(CDS 또는 PT)로 유입된다.
광센서(CDS 또는 PT)는 자연광이 증가하면 저항이 낮아지면서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4,Q5)의 베이스측에 인가 전압이 걸려 인덕터(T1-D)의 임피던스(즉 주파수) 값을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Q1,Q2)의 작동을 통해 램프(LAMP1 내지 LAMPn)의 조도를 낮춘다. 즉, 전류가 많아지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주파수가 증가된다. 여기서, PT는 포토 트랜지스터이다. 거꾸로 밤에는 인덕터(T1-D)의 임피던스(주파수)값을 변화시켜 필요로 하는 조도를 맞춘다. 커패시터(C14)는 램프(LAMP1 내지 LAMPn)의 점등이 잘이루어지도록 전압을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램프상의 문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기(LD2) 및 저항(R13)이 구성된다. 표시기(LD2)의 일단은 저항(R13)을 통해 2차 권선(T3-a)와 연결된다.
도 1에서는 램프 구동 회로부(120)와 소프트 점등 회로부(140)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램프 구동 회로부(120)에 소프트 점등 회로부(14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역율 개선용 인덕터(T1), 공진 인덕터(T2,T3), 발진 코어(T1-a,T1-b) 등은 인덕터 및 트랜스포머가 결합된 구성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용 안정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덕터(T3)의 2차 권선(T3-b)에서 나온 고주파 전압을 다이오드(D20)를 거쳐 커패시터(C34)에 높은 DC 전압을 충전시킨 전압을 N개의 직렬 연결된 LED 램프로 이루어진 램프부(210)에 연결하여 고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100: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110: 전원 공급 회로부
120: 램프 구동 회로부
130: 디밍 회로부
140: 소프트 점등 회로부
150: 램프부

Claims (10)

  1. 램프부(150);
    상기 램프부(150)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회로부(110);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Q1,Q2)의 상호 교번적인 스위칭에 의한 고주파의 발진동작으로 상기 램프부(150)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회로부(120); 및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120)와 연계되어 상기 발진 동작을 위한 공진 회로를 이루는 공진부(160);를 포함하며,
    광센서(CDS,PT)를 통해 인덕터(T1-D)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켜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Q1,Q2)의 작동을 통해 램프부(150)의 조도를 조절하는 디밍 회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150)는 다수의 램프(LAMP1,LAMP2,...LAMPn)가 병렬로 이루어지며, 각 램프의 앞단에 제 1 커패시터(C15,C17)가 연결되고, 양극단에 공통의 제 2 커패시터(C16,C18)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120)는, 상기 스위칭 소자(Q1,Q2)중 하나(Q2)에 미리 설정되는 전원으로 낮추어 상기 램프부(150)에 공급하는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 제한하는 소프트 점등 회로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Q2)의 입력단에 시간 제한 타이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공진 인덕터(T2,T3) 및 공진 커패시터(C7,C8,C9)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진 커패시터(C7,C8,C9)의 제 1 및 제 3 공진 커패시터(C7,C9)는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공진 커패시터(C8)는 상기 제 1 및 제 3 공진 커패시터(C7,C9)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회로부(110)의 고장 유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기(LD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150)에 공급하는 전원의 고장 유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기(L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150)는 형광 램프 또는 무전극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9. 삭제
  10.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로 이루어진 램프부(210);
    상기 램프부(210)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회로부(110);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Q1,Q2)의 상호 교번적인 스위칭에 의한 고주파의 발진동작으로 상기 램프부(210)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 회로부(120); 및
    상기 램프 구동 회로부(120)와 연계되어 상기 발진 동작을 위한 공진 회로를 이루는 공진부(160);를 포함하며,
    광센서(CDS,PT)를 통해 인덕터(T1-D)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켜 상기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Q1,Q2)의 작동을 통해 램프부(150)의 조도를 조절하는 디밍 회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210)는 인덕터(T3)의 2차 권선(T3-b)에서 나온 고주파 전압을 다이오드(D20)를 거쳐 커패시터(C34)에 충전된 충전 전압으로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KR1020190134482A 2019-10-28 2019-10-28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KR10213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82A KR102130004B1 (ko) 2019-10-28 2019-10-28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PCT/KR2019/014613 WO2021085683A1 (ko) 2019-10-28 2019-10-31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82A KR102130004B1 (ko) 2019-10-28 2019-10-28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004B1 true KR102130004B1 (ko) 2020-07-03

Family

ID=7157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482A KR102130004B1 (ko) 2019-10-28 2019-10-28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0004B1 (ko)
WO (1) WO202108568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401Y1 (ko) * 2001-07-13 2001-11-17 중앙전자통신주식회사 전자식 안정기
US20020099941A1 (en) 2001-01-25 2002-07-25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Email processing method, email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0697726B1 (ko) * 2000-02-10 2007-03-2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자식 안정기를 구비한 램프 시스템
KR20110131749A (ko)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케이비텍 형광램프용 디밍제어 안정기
KR20120036182A (ko)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필룩스 전자식 디밍 안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433Y2 (ja) * 1987-12-11 1995-03-29 富士電機株式会社 高周波発振器用直流電源回路
JP4124791B2 (ja) * 2006-05-02 2008-07-23 株式会社コーセイジャパン 蛍光灯用電子安定器
KR100854480B1 (ko) * 2006-12-14 2008-08-26 주식회사 화승전기 입출력측 고장 검출회로를 내장한 전자식 안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726B1 (ko) * 2000-02-10 2007-03-2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자식 안정기를 구비한 램프 시스템
US20020099941A1 (en) 2001-01-25 2002-07-25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Email processing method, email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200251401Y1 (ko) * 2001-07-13 2001-11-17 중앙전자통신주식회사 전자식 안정기
KR20110131749A (ko)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케이비텍 형광램프용 디밍제어 안정기
KR20120036182A (ko)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필룩스 전자식 디밍 안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683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5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enabling fully dimmable operation of a compact fluorescent lamp
US6856102B1 (en) Three-stage electronic ballast for metal halide lamps
US6717371B2 (en) Ballast for operating at least one low-pressure discharge lamp
US5084653A (en) Power-line-isolated dimmable electronic ballast
CN103563490A (zh) 用于镇流器的改良型可程序启动电路
WO2019144414A1 (zh) 灯管驱动电路
US5021716A (en) Forward inverter ballast circuit
US5028846A (en) Single-ended ballast circuit
JPH06267674A (ja) 冷陰極管点灯装置
CA2634321A1 (en) Electronic ballasts without toroidal-magnetic-core and fluorescent lamps employ the same
KR102130004B1 (ko)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US7560874B2 (en) Electronic ballast with improved inverter startup circuit
Sá et al. Low cost ZVS PFC driver for power LEDs
KR102135002B1 (ko) 방전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KR101228303B1 (ko) 세라믹-유리질 복합체 전극을 사용한 형광램프용 디밍용 전자식 안정기
Lopes et al. Automatic lamp detection technique for fluorescent lamps electronic ballasts
KR100453382B1 (ko) 고효율 안정기 내장형 램프
KR200242727Y1 (ko) 2등형광등의점등장치
CN2117696U (zh) 荧光灯用电子镇流器
KR200177679Y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CN101932181B (zh) 一种冷阴极荧光节能灯的电路
KR200407446Y1 (ko) 초기점등 보조회로를 갖는 전자식 안정기
JP2002280194A (ja) 照明器具
TW201315292A (zh) 諧振電容調整元件及其所適用之電流預熱型電子安定器
NL1040339C2 (nl) Elektrische inrichting voor het ontsteken en voeden van een koude kathode fluorescentie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