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605B1 -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 Google Patents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605B1
KR102129605B1 KR1020200022757A KR20200022757A KR102129605B1 KR 102129605 B1 KR102129605 B1 KR 102129605B1 KR 1020200022757 A KR1020200022757 A KR 1020200022757A KR 20200022757 A KR20200022757 A KR 20200022757A KR 102129605 B1 KR102129605 B1 KR 10212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thickness
stretch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김한중
김정철
허양일
김영민
김종욱
최병민
Original Assignee
(주)죽암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죽암엠앤씨 filed Critical (주)죽암엠앤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0℃ 이하의 냉동조건에서도 연신성과 점착성을 유지함으로써 냉동조건에서도 물품 포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도 0.850 내지 0.910g/cm3인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과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 혼합되어 형성된 센터층과; 상기 센터층의 하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하부중층과; 상기 센터층의 상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상부중층과; 상기 하부중층의 하부에 결합되며, 엘라스토머(elastomer)와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 혼합되어 형성된 내층과; 상기 상부중층의 상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외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multi layer stretch film for use in frozen conditions}
본 발명은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0℃ 이하의 냉동조건에서도 연신성과 점착성을 유지함으로써 냉동조건에서도 물품 포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스트레치 필름(stretch film)은 연신성과 점착성을 가진 필름이다. 각종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경우 적재된 물품의 외부를 스트레치 필름으로 여러 번 돌려 감아 포장한다. 이는 적재된 물품이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물품이 외부의 수분이나 오염원으로부터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트레치 필름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잘 찢어지지 않는 내구성이 요구되며, 우수한 점착성과 연신성이 요구된다.
스트레치 필름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랩 필름(wrap film)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종래의 랩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내구성이 떨어져 포장 또는 운반 중에 쉽게 찢어지고, 점착성이 떨어져 밀착 포장이 용이하지 않으며, 수분의 침투가 용이하여 방습성이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하고 자가 점착성을 갖춘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대체되고 있으며,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 치글러-나타계 촉매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보다 강도 및 강성이 매우 우수한 메탈로센계 촉매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상온에서는 포장용 스트레치 필름의 소재로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나, 저온에서는 연신율과 점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20℃ 이하의 냉동조건에서는 연신율이 급격하게 낮아지고 점착성을 잃어버려 포장용 스트레치 필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필름소재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유리전이온도(Tg)보다 낮은 온도에서 사용하게 되면 고분자사슬의 운동성이 동결되어 고무탄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강직화(hardening) 현상이 나타난다. 그 결과 필름의 연신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온에서의 연신 포장시, 스트레칭으로 인한 필름표면적의 증가는 표면에너지를 감소(표면장력의 감소)시켜 일시적으로 필름표면의 점착성을 부여하게 된다. 하지만 유리전이온도(Tg)보다 낮은 온도가 되면, 필름표면의 강직화로 표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표면에너지는 증가(표면장력의 증가)하고 그 결과 필름표면의 점착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931호: 포장용 스트레치 필름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유리전이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5층의 멀티 레이어(multi layer)를 구현함으로써 -20℃ 이하에서도 연신성과 점착성을 유지하여 냉동조건에서도 물품 포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은 밀도 0.850 내지 0.910g/cm3인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과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 혼합되어 형성된 센터층과; 상기 센터층의 하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하부중층과; 상기 센터층의 상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상부중층과; 상기 하부중층의 하부에 결합되며, 엘라스토머(elastomer)와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 혼합되어 형성된 내층과; 상기 상부중층의 상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외층;을 구비한다.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α-올레핀은 탄소 원자수가 6 또는 8인 헥센 또는 옥텐이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이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며, 상기 에틸렌이 4 내지 16중량%이다.
상기 센터층은 상기 초저밀도폴리에틸렌 40 내지 60중량%와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40 내지 60중량%로 혼합되고, 상기 내층은 상기 엘라스토머 30 내지 70중량%와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30 내지 70중량%로 혼합된다.
상기 각층의 두께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한다.
Tc>Tb1=Tb2>Ta=Td(Tc 센터층의 두께이고, Tb1은 상부중층의 두께이고, Tb2는 하부중층의 두께이고, Ta는 외층의 두께이고, Td는 내층의 두께이다)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재생원료가 일정량 첨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5층의 멀티 레이어 구조를 통해 -20℃ 이하에서도 연신성과 점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온, 특히 -20℃ 이하의 냉동조건에서도 적절한 연신성과 점착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은 저온창고나 냉동창고에서 물품 포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층 스트레치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층 스트레치 필름(1)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멀티 레이어(multi layer)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본 발명은 5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멀티 레이어 구조는 각 층의 소재와 물성을 달리함으로써 저온, 특히 -20℃ 이하의 냉동조건에서도 스트레치 필름으로서의 적합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층 스트레치 필름(1)은 적절한 연신성과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스트레치 필름(1)은 센터층(3)과, 센터층(3)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중층(4)과, 센터층(3)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중층(5)과, 하부중층(4)의 하부에 형성된 내층(6)과, 상부중층(5)의 상부에 형성된 외층(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멀티 레이어 구조는 중앙에 센터층(3)이 배치되고, 센터층(3)의 아래로는 하부중층(4)과 내층(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센터층(3)의 위로는 상부중층(5)과 외층(7)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센터층(3)은 본 발명의 다층 스트레치 필름(1)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을 차지한다. 센터층(3)은 스트레치 필름의 강도 및 신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센터층(3)의 두께는 4~20㎛일 수 있다.
센터층(3)은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s)은 밀도가 0.910g/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0.850 내지 0.910g/cm3 인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의미한다. 초저밀도폴리에틸렌은 저온에서의 연신성과 내인열성을 개선한다.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은 밀도 0.910 내지 0.925 g/cm3 인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의미한다.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가령, 에틸렌 80 내지 90중량%와 α-올레핀 10 내지 20중량%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α-올레핀은 공단량체(comonomer)로서,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옥텐, 노센, 데센 등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α-올레핀은 탄소 원자수가 6인 헥센(hexene) 또는 탄소 원자수가 8인 옥텐(octene)이다. 탄소 원자수가 6 또는 8인 α-올레핀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의 유리전이온도(Tg)를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상술한 초저밀도폴리에틸렌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지글러 나타 촉매보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폴리에틸렌은 지글러 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폴리에틸렌 보다 구조가 균일한 특성을 갖고, 신장률과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다.
센터층(3)은 초저밀도폴리에틸렌 40 내지 60중량%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40 내지 60중량%를 혼합하여 압출 성형된다. 초저밀도폴리에틸렌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의 적절한 비율의 혼합은 저온에서의 물성을 개선시킨다.
센터층(3)을 중심으로 센터층(3)의 하부에 하부중층(4)이 형성되고, 센터층(3)의 상부에 상부중층(5)이 형성된다. 하부중층(4)과 상부중층(5)은 센터층(3)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갖는다. 즉, 하부중층(4)과 상부중층(5)은 동일한 소재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동일한 물성을 갖는다. 하부중층과 상부중층의 두께는 2.0~10.0㎛일 수 있다.
하부중층(4)과 상부중층(5)은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센터층에 사용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과 동일하다. 따라서 하부중층(4)과 상부중층(5)을 이루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하부중층(4)과 상부중층(5)은 센터층(3)과 내층(6), 센터층(3)과 외층(7) 사이에 형성되어 버퍼층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스트레치 필름의 적절한 강도를 유지시켜준다.
내층(6)은 하부중층(4)의 하부에 형성된다. 내층의 두께는 1.0~5.0㎛일 수 있다. 내층(6)은 포장하고자 하는 물품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저온에서도 적절한 점착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내층(6)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과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가령,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30 내지 70중량%와 엘라스토머 3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여 압출 성형된다.
내층(6)에 사용되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상술한 센터층(3)에 사용되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과 동일하다.
엘라스토머(elastomer)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계이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 84 내지 96중량%와 에틸렌이 4 내지 16중량%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저온에서 적절한 점착력과 탄성을 부여하여 내층(6)이 가져야 하는 물성을 충족시킨다.
외층(7)은 상부중층(5)의 상부에 형성된다. 외층(7)은 내층(6)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외층(7)의 두께는 1.0~5.0㎛일 수 있다. 외층(7)은 스트레치 필름의 외부경도를 유지하고, 스트레치 필름의 물성 저하를 막는 커버 역할을 한다.
외층(7)은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다. 외층(7)을 이루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가령, 에틸렌 80 내지 90중량%와 α-올레핀 10 내지 20중량%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α-올레핀으로서 탄소 원자수가 6인 헥센 또는 탄소 원자수가 8인 옥텐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층 스트레치 필름(1)은 하부에서부터 내층(6), 하부중층(4), 센터층(3), 상부중층(5), 외층(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1)은 각 층의 두께가 아래와 같은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식: Tc>Tb1=Tb2>Ta=Td
위의 조건식에서 Tc 센터층(3)의 두께이고, Tb1은 상부중층(5)의 두께이고, Tb2는 하부중층(4)의 두께이고, Ta는 외층(7)의 두께이고, Td는 내층(6)의 두께이다.
일 예로 Tc의 두께비율은 30 내지 50%이고, Tb1와 Tb2의 두께비율은 각각 10 내지 30%이고, Ta와 Td의 두께비율은 각각 5 내지 20%일 수 있다. 여기서 두께비율은 다층 스트레치 필름 전체 두께에서 차지하는 각 층 두께의 백분율이다.
이와 같이 외층(7) 및 내층(6)보다 상부중층(5) 및 하부중층(4)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고, 상부중층(5) 및 하부중층(4) 보다 센터층(3)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함으로써 스트레치 필름의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저온에서의 적절한 연신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층 스트레치 필름은 유리전이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5층의 멀티 레이어 구조를 통해 저온, 특히 -20℃ 이하에서도 연신성과 점착성을 유지하여 냉동조건에서도 물품 포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층 스트레치 필름은 공압출 방식으로 다층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압출기로부터 각각 용융된 수지를 T-다이를 통해 압출하면서 5개의 층을 합지시켜 다층 구조의 스트레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재생원료를 이용하여 다층 스트레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가령,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재생원료를 일정량 첨가하여 사용한다. 일예로 재생원료 10 내지 40중량%와 새원료 60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재생원료를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어서 환경을 보호할수 있다. 또한, 재생원료는 용융온도가 새원료보다 10~30% 정도 더 높으므로 재생원료를 첨가함으로써 저온에서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이 5층 스트레치 필름(총 두께 30㎛)을 제작하였다. 5층 구조의 스트레치 필름은 5-레이어 T-다이 캐스트 압출(5-layer T-die cast extrustionn)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 두께
외층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00wt% 3.6㎛
상부중층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00wt% 5.7㎛
센터층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 50wt%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50중량% 11.4㎛
하부중층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00wt% 5.7㎛
내층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55wt% +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45중량% 3.6㎛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 밀도 0.904g/cm3, 용융지수 4.0g/10min(ASTM D1238),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밀도 0.915g/cm3, 용융지수 3.5g/10min(ASTM D1238), α-올레핀(hexene) 함량 15wt%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 함량 15중량%, 밀도 0.863g/cm3, 용융지수 9.1g/10min(2.16kg, 190℃)
(비교예)
하기 표 2와 같이 3층 스트레치 필름(총 두께 35㎛)을 제작하였다. 3층 구조의 스트레치 필름은 3-레이어 T-다이 캐스트 압출(3-layer T-die cast extrustionn)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원료로 사용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과 초저밀도폴리에틸렌은 실시예와 동일한 제품을 이용하였다.
구분 원료 두께
외층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00wt% 8.75㎛
센터층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 100wt% 17.5㎛
내층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00wt% 8.75㎛
<단층구조 확인실험>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실시예의 단면을 관찰하여 그 이미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레치 필름의 전체 두께는 약 3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스트레치 필름은 5층 구조로 잘 형성되어 있었다. 가운데에 위치한 센터층(C)이 가장 두껍게 형성되었고, 센터층(C)의 위와 아래에 상부중층(B1)과 하부중층(B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중층(B1)의 위에 외층(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중층(B2)의 아래에 내층(D)이 형성되어 있다.
<인장강도 및 신도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스트레치 필름으로부터 시편을 각각 준비하여 5회 반복하여 냉동상태에서의 인장강도와 신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은 KS M 3001에 의하여 수행하였고, 시험속도는 500mmm/min, 시험온도는 -20℃였다. 시험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번호 인장강도(N/cm2) 신도(mm)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01 7609.96 4844.49 255.9 241.2
02 6694.67 5060.23 244.9 249.9
03 6655.44 5251.46 231.7 253.3
04 6158.57 5001.39 256.5 243.2
05 6962.72 5982.06 245.3 271.2
평균 6816.27 5227.92 246.8 251.8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평균 인장강도 값이 약 6817N/cm2이고, 평균 신도 값은 246.8mm로 나타나 -20℃의 냉동조건에서 사용하더라도 스트레치 필름으로서 충분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 평균 인장강도 값이 약 5228N/cm2 로 나타나 실시예의 인장강도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도는 비교예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비교예가 실시예보다 더 두꺼운 결과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스트레치 필름이 두꺼울 경우 신도는 높으나 인장강도가 약해지므로 스트레치 필름으로서 부적합하다.
<점착강도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스트레치 필름으로부터 시편을 각각 준비하여 4회 반복하여 냉동상태에서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KS M ISO 11339에 의해 T형 박리시험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시험속도는 300mmm/min, 시험온도는 -20℃였다. 시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번호 4P Avr(N) 점착력(N/cm)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01 1.384 1.312 0.276 0.262
02 1.315 1.019 0.263 0.204
03 1.358 0.959 0.271 0.192
04 1.350 1.025 0.270 0.205
평균 1.351 1.079 0.270 0.215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평균 점착력 값이 0.270N/cm으로 나타난 반면에 비교예는 실시예 보다 크게 낮은 0.215N/cm로 나타났다.
상술한 물성 실험 결과 본 발명은 -20℃의 냉동조건에서 인장강도 및 점착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5층의 멀티 레이어 구조를 통해 -20℃ 이하의 냉동조건에서도 적절한 인장강도 및 연신성과 점착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은 저온창고나 냉동창고에서 물품 포장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센터층 4: 하부중층
5: 상부중층 6: 내층
7: 외층

Claims (8)

  1. -20℃의 냉동조건에서 연신성과 점착성을 갖는 다층 스트레치 필름에 있어서,
    밀도 0.850 내지 0.910g/cm3인 초저밀도폴리에틸렌(ULDPE) 40 내지 60중량%와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40 내지 60중량%가 혼합되어 형성된 센터층과;
    상기 센터층의 하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하부중층과;
    상기 센터층의 상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상부중층과;
    상기 하부중층의 하부에 결합되며, 엘라스토머(elastomer) 30 내지 70중량%와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 내지 70중량%가 혼합되어 형성된 내층과;
    상기 상부중층의 상부에 결합되며, 밀도 0.910 내지 0.925g/cm3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형성된 외층;을 구비하고,
    상기 각층의 두께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며,
    Tc>Tb1=Tb2>Ta=Td
    (Tc 센터층의 두께이고, Tb1은 상부중층의 두께이고, Tb2는 하부중층의 두께이고, Ta는 외층의 두께이고, Td는 내층의 두께이다)
    전체 두께에서 상기 센터층의 두께는 30 내지 50%이고, 상기 상부중층 및 상기 하부중층의 두께는 각각 10 내지 30%이고, 상기 외층 및 상기 내층의 두께는 5 내지 20%이고,
    상기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이며, 상기 에틸렌이 4 내지 16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α-올레핀은 탄소 원자수가 6 또는 8인 헥센 또는 옥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재생원료가 일정량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KR1020200022757A 2019-08-16 2020-02-25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KR102129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0313 2019-08-16
KR1020190100313 2019-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605B1 true KR102129605B1 (ko) 2020-07-03

Family

ID=7157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757A KR102129605B1 (ko) 2019-08-16 2020-02-25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6075A1 (en) * 2021-05-06 2022-11-09 Trioworld Apeldoorn B.V. Sustainable multilayer film
WO2023234433A1 (ko) * 2022-05-30 2023-12-07 (주)화진산업 바이오매스가 함유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포장용 연성 박막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31B1 (ko) 2007-04-30 2009-06-19 대정화학공업주식회사 포장용 스트레치 필름 제조방법
KR20140007784A (ko) * 2010-07-02 2014-01-20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농후한 제제로부터 제조된 스트레치 후드
WO2018075324A1 (en) * 2016-10-18 2018-04-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ayer stretch hood compositions and structures
JP2019126938A (ja) * 2018-01-23 2019-08-01 三井化学株式会社 伸縮性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31B1 (ko) 2007-04-30 2009-06-19 대정화학공업주식회사 포장용 스트레치 필름 제조방법
KR20140007784A (ko) * 2010-07-02 2014-01-20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농후한 제제로부터 제조된 스트레치 후드
WO2018075324A1 (en) * 2016-10-18 2018-04-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ayer stretch hood compositions and structures
JP2019126938A (ja) * 2018-01-23 2019-08-01 三井化学株式会社 伸縮性構造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6075A1 (en) * 2021-05-06 2022-11-09 Trioworld Apeldoorn B.V. Sustainable multilayer film
WO2022233965A1 (en) * 2021-05-06 2022-11-10 Trioworld Apeldoorn B.V. Sustainable multilayer film
WO2023234433A1 (ko) * 2022-05-30 2023-12-07 (주)화진산업 바이오매스가 함유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포장용 연성 박막필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5055B1 (en) Multilayer stretch cling film
US10328678B2 (en) Films
WO2010039687A4 (en) Barrier fil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129605B1 (ko) 냉동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층 스트레치 필름
US6492010B1 (en) Premium stretch multilayer film products
KR101200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CN113613903B (zh) 具有增强撕裂强度的多层拉伸罩膜
US20100151218A1 (en) Innerliner with nylon skin layer
WO2013081742A1 (en) Multilayer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3165327B (zh) 层压结构和并有其的柔性包装材料
CN106470831B (zh) 条带型多层膜
JP2023010777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CN115362199B (zh) 聚烯烃系树脂薄膜
US20020088533A1 (en) Reinforced shrink wrap and method of manufacture
EP3072686B1 (en) Multi-layer polymeric films
KR910008769B1 (ko) 폴리에틸렌계 다층필름
KR10126976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JP2019006463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US9464737B2 (en)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fabric and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using the same
US20210009794A1 (en) Resin composition for sealant, multilayer film for sealant, heat-fusible laminated film, and package
KR20100040460A (ko) 제품포장용 다층 올레핀계 열수축필름
IL305520A (en) High barrier polyethylene layer for packaging
KR102568905B1 (ko) 튜브형 폴리에틸렌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185802A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WO2024084863A1 (ja) 半導体製造テープ用基材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