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402B1 - 부력 방검 조끼 - Google Patents

부력 방검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402B1
KR102129402B1 KR1020190144191A KR20190144191A KR102129402B1 KR 102129402 B1 KR102129402 B1 KR 102129402B1 KR 1020190144191 A KR1020190144191 A KR 1020190144191A KR 20190144191 A KR20190144191 A KR 20190144191A KR 102129402 B1 KR102129402 B1 KR 102129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vest
compressed gas
buoyanc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8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F41H5/04Plate construction composed of more than one layer
    • F41H5/0414Layered armour containing ceramic material
    • F41H5/0428Ceramic layers in combination with additional layers made of fibres, fabrics or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부력 방검 조끼를 착용중 심각한 부상으로 응급조치가 필요하거나, 고속단정 전복시 뒤집힌 선체에 갇혀 부력재로 인해 탈출하지 못할 경우 신속히 탈거하기 위한, 부력 방검 조끼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방검 조끼는
착용자를 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검부재를 포함하는 부력 방검 조끼에 적용되고,
상기 방검부재가 앞면에 형성되고, 조끼 앞부분을 형성하는 제1몸체;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제1몸체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이와 대응되는 어깨부 및 허리부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끼 뒷부분을 형성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고 압축공기 주입시 팽창되는 부력용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용 튜브는 압축가스가 충진되는 압축 가스통과, 수압 감지식 보빈카트리지와, 상기 압축 가스통과 보빈카트리지를 연통시키며 상기 압축 가스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가스를 상기 부력용 튜브에 주입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방검 조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력 방검 조끼{buoyant swordproof vest}
본 명세서는 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력 방검 조끼를 착용중 심각한 부상으로 응급조치가 필요하거나, 고속단정 전복시 뒤집힌 선체에 갇혀 부력재로 인해 탈출하지 못할 경우 신속히 탈거하기 위한, 부력 방검 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해양경찰 특수기동대원들은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단속을 위해 험난한 바다위에서 흔들리는 중국 어선위로 뛰어올라서 극렬히 저항하는 선원들을 제압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중인 방검 부력 조끼는 큰 부피와 중량으로 인해 활동이 불편하여 물에 빠지는 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몰리시스템이 호환되지 않아 불편하고 잘 찧어지며, 조끼를 착용시 딱딱하고 무거워 불법어선에 등선할 경우 추락 위험성을 갖게 된다.
또한, 임무수행 중 중국 어선이 들이받거나 부딪혀 고속단정이 전복되거나 고속단정 양강, 하강 과정에서 와이어 절단으로 고속단정이 뒤집히는 등 안전사고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시, 고속단정 자가복원 장치는 선체 외부에서 작동시키게 되어 있어 방검 부력 조끼의 부력재로 인해 뒤집힌 고속단정에 갖혀 빠져나오지 못해 질식사할 위험성이 있다.
이때, 퀵릴리즈(quick release)를 이용할 경우 신속하게 장비를 벗어 뒤집힌선박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고, 심각한 부상 및 동맥절단 등으로 인한 과다 출혈으로 인해 몇초가 시급한 상황에서의 퀵릴리즈는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4058호에 부력 방검 조끼가 게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164058호의 부력 방검 조끼는 방검소재와 부력재가 방검의 필수 구성요소로 활동의 불편함과 단점이 있으며, 긴급상황 발생시 벨크로식 탈부착으로 인해 쉽게 벗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간단한 조작으로 어깨부와 옆구리부(허리부)가 분리되도록 한, 부력 방검 조끼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유연하고 경량성인 안전한 방검소재를 사용하여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부력 방검 조끼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수압 감지식 인플레이터와 기실로 대처하여 활동성을 높이고 부력 기능을 갖추도록 한, 부력 방검 조끼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를 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검부재를 포함하는 부력 방검 조끼에 적용되고,
상기 방검부재가 앞면에 형성되고, 조끼 앞부분을 형성하는 제1몸체;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제1몸체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이와 대응되는 어깨부 및 허리부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끼 뒷부분을 형성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고 압축공기 주입시 팽창되는 부력용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용 튜브는 압축가스가 충진되는 압축 가스통과, 수압 감지식 보빈카트리지와, 상기 압축 가스통과 보빈카트리지를 연통시키며 상기 압축 가스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가스를 상기 부력용 튜브에 주입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방검 조끼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방검 조끼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장비를 장착하여 임무수행 중 절단이나 창상, 총상 등의 부상 발생시 퀵릴리즈를 통해 신속한 응급조치가 가능해지고, 고속단정 전복으로 인해 내부에 갇힐 경우 비상 탈출이 가능하고, 평상시 조끼(장비)를 신속하게 탈착가능하므로 구조대원의 유니폼 중량을 줄여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압 감지식 인플레이터(수분이나 습기에 작동하지 않음에 따라 오작동 위험을 줄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와 기실을 사용하여 필요시에만 부력을 갖도록 하고,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방검 조끼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끼의 "A와 B"부위 확대도로서, 자석식 조끼의 요부발췌 도면대용 사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끼의 "C"부위 확대도로서, 부력용 튜브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방검 조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방검 조끼는
착용자(일 예로서, 해경 구조대원을 말함)를 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검부재를 포함하는 부력 방검 조끼(이하, "조끼" 라고 합니다)에 적용되고,
방검부재(10)가 앞면에 형성되고, 조끼(11) 앞부분을 형성하는 제1몸체(12);
개폐수단(일 예로서, 버클이 사용됨)에 의해 제1몸체(12)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이와 대응되는 어깨부 및 허리부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조끼(11) 뒷부분을 형성하는 제2몸체(13);
제1몸체(12) 임의위치에 형성되고, 익수자 등의 인명구조활동을 하지않을 경우(즉, 순찰활동하는 경우) 압착상태를 유지하고, 압축공기 주입시 팽창되는 부력용 튜브(14);를 포함하되, 부력용 튜브(14)는 압축가스가 충진되는 압축 가스통(15)과, 수압 감지식 보빈카트리지(16)와, 압축 가스통(15)과 보빈카트리지(16)를 연통시키며 압축 가스통(15)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가스를 부력용 튜브(14)에 주입시키는 인플레이터(1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전술한 개폐수단은
제1,2몸체(12,13) 중 어느 하나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재봉되어 형성되고(일 예로서, 제2몸체(13)에 형성됨), 입구측에 형성되는 로커(18) 좌우측에 결합홈(19)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금속재로 형성되는 제1버클(20);
제1,2몸체(12,13) 중 다른 하나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재봉되어 형성되고(일 예로서, 제1몸체(12)에 형성됨), 로커(18)에 대응되는 로킹홈(21)이 외측에 형성되는 로킹커버(22)와, 결합홈(19)에 대응되는 걸림턱(23)이 로킹홈(21)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며, 제1버클(2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자성체(24)가 장착되는 로킹바디(25)로 이루어지는 제2버클(26);을 포함하는 자석식 버클(27)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전술한 방검부재(10)는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방검부재(10)는
제1몸체(12)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aramid inorganic fabric이 사용되는 제1직물;
제1직물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FMS uni-directional aramid가 사용되는 제2직물을 포함하되,
제1,2직물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5는 구조대원이 잡아당김에 따라 연동되는 격발침(미 도시됨)에 의해 압축 가스통(15)의 배출구를 강제로 개방시켜 압축 가스통(15)에 충진된 압축가스를 부력용 튜브(14)에 공급하기 위한 비상 수동개폐줄 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방검 조끼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구조대원이 고속단정에 승선하여 해상에서 불법어선 등을 단속하는 특수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부력 방검 조끼(11)를 신속하게 착용 또는 탈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조끼(11) 앞뒤를 이루게 되는 제1몸체(12)와 제2몸체(13)의 좌우측 어깨부 및 허리부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자석식 버클(27)을 이루는 제1,2버클(20,26)의 결합됨에 의해 조끼(11)를 어깨부 및 허리부를 착용할 수 있다.
즉, 제2몸체(13)의 어깨부에 형성된 제1버클(20)의 로커(18)에 이와 대응되는 제2버클(26)의 로킹홈(21)을 요철결합하고, 또한 로커(18) 좌우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결합홈(19)에 이와 대응되는 제2버클(26)의 걸림턱(23)을 요철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커(18)와 로킹홈(21)을 요철결합하고 걸림턱(23)과 결합홈(19)을 요철결합시킬 경우, 제1,2버클(20,26)이 상호 밀착되므로 제2버클(26)의 로킹바디(25)의 바닥면에 장착된 자성체(24)의 자력에 의해 금속재로 형성된 제1버클(20)이 부착된다.
따라서, 제1,2몸체(12,13)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제1,2버클(20,26)의 요철결합됨에 의해 조끼(11)를 구조대원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방검 부력 조끼(11)를 착용하여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도중에 긴급상황(일 예로서, 구조대원이 승선한 고속단정의 침몰사고 등)이 발생되어 조끼(11)를 신속하게 탈의해야 될 경우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게 벗을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제2버클(26)에 고정된 로프(도면부호 미 표기)를 파지하여 제1버클(20)에 대해 임의높이로 들어올릴 경우, 제2버클(26)의 로킹커버(22)에 형성된 로킹홈(21)이 이와 대응되는 제1버클(20)의 로커(18)로부터 이탈되고, 또한 제2버클(26)의 로킹바디(25)에 대칭되게 형성된 걸림턱(23)이 이와 대응되는 제1버클(20)의 결합홈(19)으로부터 이탈되며, 또한 제2버클(26)에 장착된 자성체(24)가 제1버클(2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구조대원이 제2버클(26)에 고정된 로프를 바닥쪽으로 잡아당길 경우 제1버클(20)로부터 제2버클(26)이 분리된다. 즉 제1,2버클(20,26)을 분리시킴에 따라 조끼(11)를 이루는 제1,2몸체(12,13)의 어깨부 및 허리부를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부력용 튜브(14)는 평상시(즉, 순찰활동하는 경우)에는 압축가스가 주입되지않은 압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구조대원(즉 해경)이 익수자 등을 발견하여 익수자쪽으로 다이빙할 경우 압축 가스통(15)에서 압축 가스가 커넥터(34)를 통해 부력용 튜브(14)로 이동되므로 부력용 튜브(14)가 부풀어 오르게 된다.
즉, 부력용 튜브(14)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은 압축 가스통(15), 수압 감지식 보빈 카트리지(16) 및 이들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인플레이터(17)로 이루어진다. 압축 가스통(15)에는 압축된 CO2 가스가 충진되며, 보빈 카트리지(16)에는 수압에 따라 압축 가스통(15)의 배출구를 뚫어 개방시키기 위한 격발침, 격발침을 밀어 올려주는 압축스프링(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을 말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조대원이 익수자를 인명구조하기 위해 익수자쪽으로 다이빙하게 될 경우, 부력용 튜브(14)에 장착된 압축 가스통(15)의 보빈 카트리지(16)에 임의의 수압이 가해져 압축스프링에 의해 격발침을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구조대원이 익수자쪽으로 다이빙할 경우, 수압감지식 보빈 카트리지(16)에 의해 압축 가스통(15)에 충진된 CO2 가스를 부력용 튜브(14)에 공급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 인해, 압축 가스통(15)에 충진된 CO2 가스가 압축 가스통(15)의 헤드부를 관통한 후, 인플레이터(17)의 커넥터(34)를 통과하여 부력용 튜브(14)로 빠르게 주입되어 팽창시킴에 따라 조끼(11)가 부력체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대원이 부력 방검 조끼(11)를 착용할 경우 별도의 부력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력기능을 갖게 되므로 익수자 등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명구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방검부재
11; 부력 방검 조끼
12; 제1몸체
13; 제2몸체
14; 부력용 튜브
15; 압축가스통
16; 보빈카트리지
17; 인플레이터
18; 로커
19; 결합홈
20; 제1버클
21; 로킹홈
22; 로킹레버
23; 걸림턱
24; 자성체
25; 로킹바디
26; 제2버클
27; 자석식 버클
34; 커넥터
35; 비상 수동개폐줄

Claims (3)

  1. 착용자를 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검부재를 포함하는 부력 방검 조끼에 적용되고,
    상기 방검부재가 앞면에 형성되고, 조끼 앞부분을 형성하는 제1몸체;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제1몸체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이와 대응되는 어깨부 및 허리부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끼 뒷부분을 형성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고 압축공기 주입시 팽창되는 부력용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용 튜브는 압축가스가 충진되는 압축 가스통과, 수압 감지식 보빈카트리지와, 상기 압축 가스통과 보빈카트리지를 연통시키며 상기 압축 가스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가스를 상기 부력용 튜브에 주입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2몸체 중 어느 하나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재봉되어 형성되고, 입구측에 형성되는 로커 좌우측에 결합홈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금속재로 형성되는 제1버클;
    상기 제1,2몸체 중 다른 하나의 어깨부 및 허리부에 재봉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커에 대응되는 로킹홈이 외측에 형성되는 로킹커버와,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상기 로킹홈 좌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버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자성체가 장착되는 로킹바디로 이루어지는 제2버클;을 포함하는 자석식 버클이 사용되고,

    제2버클에 고정된 로프가 제1버클에 대해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제2버클의 로킹커버에 형성된 로킹홈이 대응되는 제1버클의 로커로부터 이탈되고, 제2버클의 로킹바디에 대칭되게 형성된 걸림턱이 대응되는 제1버클의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며, 제2버클에 장착된 자성체가 제1버클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방검부재는
    상기 제1몸체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무기 직물(aramid inorganic fabric)이 사용되는 제1직물;
    상기 제1직물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FMS 단방향 아라미드(FMS uni-directional aramid)가 사용되는 제2직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직물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방검 조끼.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4191A 2019-10-18 2019-11-12 부력 방검 조끼 KR102129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29576 2019-10-18
KR1020190129576 2019-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402B1 true KR102129402B1 (ko) 2020-07-03

Family

ID=7157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91A KR102129402B1 (ko) 2019-10-18 2019-11-12 부력 방검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4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3156A (zh) * 2020-12-28 2021-04-09 丁祥书 一种应用于救生衣上的固定结构
KR102338725B1 (ko) * 2021-06-02 2021-12-14 주식회사 엔에이치 방탄조끼 착탈 장치 및 이를 채택한 방탄조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214A (ko) * 2012-10-31 2014-05-09 주식회사인스타 구명대 방탄조끼
KR20150071128A (ko) * 2013-12-18 2015-06-26 주식회사 효성 일방향 아라미드 시트와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방탄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4836A (ko) * 2017-03-14 2018-09-27 (주)에센루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
KR101902145B1 (ko) * 2018-02-06 2018-09-27 노인환 전기식 긴급 탈의장치를 갖는 방탄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214A (ko) * 2012-10-31 2014-05-09 주식회사인스타 구명대 방탄조끼
KR20150071128A (ko) * 2013-12-18 2015-06-26 주식회사 효성 일방향 아라미드 시트와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방탄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4836A (ko) * 2017-03-14 2018-09-27 (주)에센루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
KR101902145B1 (ko) * 2018-02-06 2018-09-27 노인환 전기식 긴급 탈의장치를 갖는 방탄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3156A (zh) * 2020-12-28 2021-04-09 丁祥书 一种应用于救生衣上的固定结构
KR102338725B1 (ko) * 2021-06-02 2021-12-14 주식회사 엔에이치 방탄조끼 착탈 장치 및 이를 채택한 방탄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6233A (en) Water safety and survival system
CN101850838B (zh) 消防员水域救援用救生衣
KR102129402B1 (ko) 부력 방검 조끼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20040157514A1 (en) Variably configured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also serving as an emergency distress marker
KR101182957B1 (ko)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US3952355A (en) Inflatable buoyancy aids
End The use of new equipment and helium gas in a world record dive
JP7083137B2 (ja) ライフジャケットになるリュックサックの使用方法
US5800228A (en) Free-driver permanently wearable self-rescue system
US6527479B1 (en) Break away counterweight with neutralizing buoyancy offset for diver's safety
KR20190105397A (ko) 해상활동 및 구명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라이프재킷
EP2417015A1 (en) Marine safety device
JP3806574B2 (ja) 水難救命用ウェストバッグ
GB2336134A (en) Life saving apparatus
KR102114278B1 (ko) 인명구조용 팽창식 수상 구조보드
CN212332934U (zh) 一种军警用救生式安全带
KR101920460B1 (ko) 구명조끼
KR20130012687A (ko) 구명동의
KR20210045810A (ko)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KR102025387B1 (ko) 부력 작업복
GB2528898A (en) Man overboard recovery system
KR20110020887A (ko) 구명부이를 이용한 구명슈트 장치와 그 방법
KR101961773B1 (ko) 목을 리프팅해줄 수 있는 구명조끼
KR102188597B1 (ko) 헬기구조용 로프 연결웨빙이 부착된 구명조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