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61B1 -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261B1
KR102129261B1 KR1020130152850A KR20130152850A KR102129261B1 KR 102129261 B1 KR102129261 B1 KR 102129261B1 KR 1020130152850 A KR1020130152850 A KR 1020130152850A KR 20130152850 A KR20130152850 A KR 20130152850A KR 102129261 B1 KR102129261 B1 KR 102129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in diode
electrode
ray detector
arr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831A (ko
Inventor
김대규
하성봉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2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65Imagers using a photoconductor layer
    • H01L27/14676X-ray, gamma-ray or corpuscular radiation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085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the device being sensitive to very short wavelength, e.g. X-ray, Gamma-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01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 H01L31/102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only one potential barrier
    • H01L31/105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only one potential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 being of the PIN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15Devices sensitive to very short wavelength, e.g. X-rays, gamma-rays or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리드 아웃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리드 아웃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액티브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제1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PIN층, 및 상기 PIN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PIN 다이오드, 상기 PIN 다이오드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라인, 및 상기 바이어스 라인과 상기 PIN 다이오드의 단차부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된 단차 보상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PIN 다이오드의 높은 단차를 감소시켜서 상기 바이어스 라인의 단선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Array substrate for X-ray Det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선 불량을 개선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X-ray)를 검출하기 위한 엑스레이 검출기는 엑스레이를 직접 검출하는 직접 방식과 엑스레이를 가시광선 영역의 광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이용하여 엑스레이를 검출하는 간접 방식이 있다.
상기 간접 방식의 엑스레이 검출기는 엑스레이를 가시광선 영역의 광으로 변환시키는 구성,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전자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 및 상기 전자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결국, 조사된 엑스레이를 최종적으로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엑스레이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엑스레이 검출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엑스레이 검출기는 기판(10), 박막 트랜지스터(25), PIN 다이오드(30), 및 신틸레이터(Scintillator, 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는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 액티브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PIN 다이오드(30)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신틸레이터(40)는 상기 PIN 다이오드(30) 상에 형성되며 엑스레이(X-ray)를 가시광선 영역의 광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엑스레이 검출기는 엑스레이(X-ray)가 상기 신틸레이터(40)로 조사되면 상기 신틸레이터(40)에서 엑스레이가 가시광선 영역의 광으로 변환되어 상기 PIN 다이오드(30)로 전달된다. 상기 PIN 다이오드(30)로 전달된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상기 PIN 다이오드(30)에서 전자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자 신호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를 거쳐 영상 신호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은, 기판(1) 상에 형성 되면서 게이트 전극(11), 액티브층(13), 소스/드레인 전극(14a, 14b)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게이트 절연막(12), 제1 층간절연막(15), PIN 다이오드(30), 제2 층간절연막(17), 리드아웃(Read out) 라인(18), 바이어스(bias) 라인(19), 및 보호막(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엑스레이 검출기에서 소자 특성을 크게 좌우하는 것이 PIN 다이오드(30)이다. 상기 PIN 다이오드(30)는 하부 전극(16a), 상부 전극(16c), 및 상기 하부 전극(16a)과 상부 전극(16c) 사이에 형성되며, P(positive)형 반도체층, I(intrinsic)형 반도체층 및 N(negative)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PIN층(16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PIN 다이오드(30)는 제품의 성능이 PIN층(16b)의 두께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두꺼운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PIN 다이오드(30)와 연결되는 바이어스 라인(19)이 상기 PIN 다이오드(30)의 두꺼운 막에 의한 단차에 의해 상기 PIN 다이오드(30)의 단차부(S)에서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PIN 다이오드(30) 상부에 형성된 보호막(20)도 단차부(S)에서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상기 PIN 다이오드(30)를 보호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상기 PIN 다이오드(30)의 높은 단차를 감소시켜서 상기 바이어스 라인(19)의 단선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리드 아웃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리드 아웃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액티브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제1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PIN층, 및 상기 PIN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PIN 다이오드, 상기 PIN 다이오드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라인, 및 상기 바이어스 라인과 상기 PIN 다이오드의 단차부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된 단차 보상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액티브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단차 보상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상기 액티브층 상에서 이격되어 마주보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1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소스 전극을 노출되게 하는 제1 컨택홀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소스 전극 상부의 기판 상에 하부 전극, PIN층, 및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PIN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PIN 다이오드 상부의 기판 상에 제2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층간절연막 및 제2 층간절연막에 제2 컨택홀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컨택홀이 형성된 기판 상에 리드 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PIN 다이오드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층은 상기 바이어스 라인과 상기 PIN 다이오드의 단차부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액티브층(13)과 동일한 층에서 상기 바이어스 라인(19) 및 상기 PIN 다이오드(30)의 단차부가 중첩되는 영역(S) 아래에 단차 보상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PIN 다이오드(30)의 높은 단차를 감소시켜서 상기 바이어스 라인(19)의 단선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엑스레이 검출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제조 공정도.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연결된다"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이 제3의 구성을 통해서 다른 구성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1" 및 "제2" 등의 수식어는 해당하는 구성들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하는 구성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은, 기판(100), 게이트 라인(115), 리드 아웃 라인(190), 박막 트랜지스터(250), PIN 다이오드(300), 바이어스(bias) 라인(200), 및 단차 보상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라인(115)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제1 방향,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 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상기 게이트 라인(115)과 리드 아웃 라인(190)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은 상기 게이트 라인(115)과 리드 아웃 라인(190)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는 게이트 전극(110), 액티브층(130), 소스 전극(150a) 및 드레인 전극(15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전극(110)은 상기 게이트 라인(115)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전극(110)은 상기 게이트 라인(115)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130)은 상기 게이트 전극(110)의 상측 및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50a, 150b)의 하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액티브층(130)은 상기 게이트 전극(110)과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50a, 150b) 사이의 중간층에 형성되어 전자가 이동하는 채널 역할을 한다.
상기 소스 전극(150a)은 상기 액티브층(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스 전극(150a)은 제1 컨택홀(H1)을 통해서 상기 PIN 다이오드(30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PIN 다이오드(300)에서 변환된 전자 신호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의 소스 전극(150a)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150b)는 상기 액티브층(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소스 전극(150a)과 마주하고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150b)은 제2 컨택홀(H2)을 통해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신호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의 드레인 전극(150b) 및 상기 드레인 전극(150b)에 연결된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을 거쳐서 영상 신호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PIN 다이오드(300)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의 소스 전극(150a)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PIN 다이오드(300)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전자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소스 전극(150a)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PIN 다이오드(300) 위에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의 상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제3 컨택홀(H3)을 통해 상기 PIN 다이오드(300)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PIN 다이오드(300)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 및 상기 PIN 다이오드(300)의 단차부(S)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PIN 다이오드(300)는 제품의 성능이 PIN 다이오드(300)의 두께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두꺼운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두꺼운 PIN 다이오드(300)의 높이로 인해 PIN 다이오드(300)의 단차부(S)에는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이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 및 상기 PIN 다이오드(300)의 단차부(S)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상기 단차 보상층(14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PIN 다이오드(300)의 높은 단차를 감소시켜서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의 단선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도 3의 A-B 라인의 단면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0) 상에는 게이트 전극(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110)을 포함한 기판(100) 전면에는 게이트 절연막(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는 액티브층(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티브층(130) 상에는 소스 전극(150a) 및 드레인 전극(150b)이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티브층(130)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소스 전극(150a) 및 드레인 전극(150b)과 접촉하는 영역에 불순물이 도핑된 오믹콘택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부이면서 바이어스 라인(200)과 PIN 다이오드(300)의 단차부(S)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상기 액티브층(130)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액티층(130)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상기 액티브층(130)과 다른 물질, 예를 들어 질화물 실리콘 또는 산화물 실리콘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다양한 여러 가지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50a) 및 드레인 전극(150b) 상에는 제1 층간절연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160)의 소정 영역에는 제1 컨택홀(H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컨택홀(H1)에 의해서 상기 소스 전극(150a)이 노출되게 된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160) 상에는 PIN 다이오드(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PIN 다이오드(300)는 하부 전극(170a), PIN층(170b), 및 상부 전극(17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전극(170a)는 상기 제1 층간절연막(16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컨택홀(H1)을 통해서 상기 소스 전극(150a)과 연결된다.
상기 PIN층(170b)은 상기 하부 전극(170a) 상에 형성된다. 상기 PIN층(170b)은 P(positive)형 반도체층, I(intrinsic)형 반도체층 및 N(negative)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부 전극(170a) 상에는 N형 반도체층, I형 반도체층, 및 P형 반도체층이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PIN층(170b)에 광이 조사되면 상기 I형 반도체층이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에 의해 공핍(depletion)이 되어 내부에 전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광에 의해 생성되는 정공 및 전자가 상기 전기장에 의해 드리프트(drift) 되어 각각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에서 수집되게 된다.
상기 상부 전극(170c)은 상기 PIN층(170b) 상에 형성되며, 바이어스 라인(200)과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PIN 다이오드(300)는 제품의 성능이 상기 PIN층(170b)의 두께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두꺼운 막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는 상기 상부 전극(170c)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라인(200)이 절단되는 불량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은 상기 PIN 다이오드(300)의 단차부(S)와 바이어스 라인(200)이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단차 보상층(14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PIN 다이오드(300)의 높이를 줄여서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이 절단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층간절연막(180)은 상기 PIN 다이오드(300)을 포함하여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막(180)의 소정 영역에는 제2 컨택홀(H2) 및 제3 컨택홀(H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컨택홀(H2)에 의해서 상기 드레인 전극(150b)가 노출되고, 상기 제3 컨택홀(H3)에 의해서 상기 상부 전극(170c)가 노출되게 된다.
리드 아웃 라인(190)은 상기 제2 층간절연막(18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은 상기 제1 층간절연막(160) 및 제2 층간절연막(180)에 구비된 제2 컨택홀(H2)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50)의 드레인 전극(150b)과 연결된다.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제2 층간절연막(18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제3 컨택홀(H3)을 통해 상기 상부 전극(170c)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 상부의 상기 제2 층간절연막(180)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210)은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 및 바이어스 라인(200)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층간절연막(180) 상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제조 공정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4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마스크 공정을 통해서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전극(110)을 패턴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1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듐(Nd), 구리(Cu), 또는 그들의 합금을 PECVD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증착하고, 증착한 물질 위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노광, 현상 및 식각 공정을 차례로 수행하는 소위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이외에, 금속물질의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그라비아 프린팅(gravure printing), 그라비아 오프셋 프린팅(gravure offset printing),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reverse offset printing), 플렉소 프린팅(flexo printing), 또는 마이크로 콘택 프린팅(microcontact printing)과 같은 인쇄 공정을 통해 패턴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한 패턴형성도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0)을 형성한 다음, 상기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절연막(120)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 마스크 공정을 통해서 액티브층(130) 및 단차 보상층(140)을 패턴 형성한다. 특히,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후술하는 바이어스 라인(200)과 PIN 다이오드(300)의 단차부(S)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한다.
상기 액티브층(130) 및 단차 보상층(140)은 동일한 마스크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되므로 추가 마스크 공정이 필요 없을뿐더러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 보상층(140)은 상기 액티브층(130)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액티브층(130)을 형성한 뒤 상기 액티브층(130)과 다른 물질 예를 들어, 질화물 실리콘 또는 산화물 실리콘으로 패턴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마스크 공정을 통해서 상기 액티브층(130) 상에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소스 전극(150a) 및 드레인 전극(150b)를 패턴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50a, 150b)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제1 층간절연막(160)을 증착한 후, 상기 소스 전극(150a)을 일부 노출되게 하는 제1 컨택홀(H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컨택홀(H1)은 드라이 에칭(dry etch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5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소스 전극(150a) 상부의 기판(100) 상에 하부 전극(170a), PIN층(170b), 및 상부 전극(170c)를 포함하는 PIN 다이오드(30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공정을 통해서 상기 제1 층간절연막(160) 상의 화소 영역에 하부 전극(170a)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170a)은 제1 컨택홀(H1)을 통해서 상기 소스 전극(150a)과 전기적으로 컨택된다.
그 뒤, 기판(100)의 전면에 광도전체막과 금속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다음,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상부 전극(170c)을 먼저 형성하고, 이후 마스크 공정을 추가로 진행하여 상기 하부 전극(170a)과 상부 전극(170c) 사이에 PIN층(170b)을 형성하여 PIN 다이오드(300)을 완성한다.
상기 PIN층(170b)은 상기 하부 전극(170a) 보다 좁은 면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 전극(170a)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PIN층(170b)의 외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노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판(100) 상에 PIN 다이오드(300)가 형성되면, 상기 PIN 다이오드(300) 상부의 기판 상에 제2 층간절연막(180)을 형성한다.
그 뒤, 상기 드레인 전극(150b)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층간절연막(160) 및 제2 층간절연막(180)에 상기 드레인 전극(150b)을 일부 노출되게 하는 제2 컨택홀(H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컨택홀(H2)은 드라이 에칭(dry etch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택홀(H2)과 동시에 제2 층간절연막(180)에 상기 상부 전극(170c)을 일부 노출되게 하는 제3 컨택홀(H3)을 형성한다.
다음, 도 5d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 상에 리드 아웃 라인(190) 및 바이어스 라인(200)을 형성한다.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은 상기 제2 컨택홀(H2)이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180) 상에 패턴 형성한다.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은 상기 제2 컨택홀(H2)을 통해서 상기 드레인 전극(150b)과 전기적으로 컨택된다.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과 동시에 패턴 형성한다.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제2 층간절연막(18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컨택홀(H3)을 통해 상기 상부 전극(170c)와 전기적으로 컨택된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라인(2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50) 상부의 상기 제2 층간절연막(180)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그 뒤, 상기 리드 아웃 라인(190) 및 바이어스 라인(200)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층간절연막(180) 상 전면에 보호막(210)을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각각의 구성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패턴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들의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에 대한 예를 설명하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0), 게이트 라인(115), 소스 전극(150a), 드레인 전극(150b), 하부 전극(170a), 리드 아웃 라인(190), 및 바이어스 라인(200) 각각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듐(Nd), 구리(Cu),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또는 합금의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제1 층간절연막(160), 제2 층간절연막(180), 보호막(210)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산화막 또는 질화막의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130) 및 PIN층(170b)는 비정질 실리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170c)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기판 110: 게이트 전극
115: 게이트 라인 120: 게이트 절연막
130: 액티브층 140: 단차 보상층
150a: 소스 전극 150b: 드레인 전극
160: 제1 층간 절연막 170a: 하부 전극
170b: PIN층 170c: 상부 전극
180: 제2 층간 절연막 190: 리드 아웃 라인
200: 바이어스 라인 250: 박막 트랜지스터
300: PIN 다이오드 H1: 제1 컨택홀
H2: 제2 컨택홀 H3: 제3 컨택홀
S: 단차부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리드 아웃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리드 아웃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액티브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제1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PIN층, 및 상기 PIN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PIN 다이오드;
    상기 PIN 다이오드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라인; 및
    상기 바이어스 라인과 상기 PIN 다이오드의 단차부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PIN 다이오드와 중첩되지 않는 단차 보상층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형성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층은 질화물 실리콘 또는 산화물 실리콘으로 형성된,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7.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액티브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단차 보상층을 패턴 형성하는 공정;
    상기 액티브층 상에서 이격되어 마주보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1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소스 전극을 노출되게 하는 제1 컨택홀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소스 전극 상부의 기판 상에 하부 전극, PIN층, 및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PIN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PIN 다이오드 상부의 기판 상에 제2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드레인 전극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층간절연막 및 제2 층간절연막에 제2 컨택홀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컨택홀이 형성된 기판 상에 리드 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PIN 다이오드의 상부 전극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층은 상기 바이어스 라인과 상기 PIN 다이오드의 단차부가 중첩되는 영역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PIN 다이오드와 중첩되지 않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동시에 형성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층은 질화물 실리콘 또는 산화물 실리콘으로 형성된,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
KR1020130152850A 2013-12-10 2013-12-10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2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50A KR102129261B1 (ko) 2013-12-10 2013-12-10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50A KR102129261B1 (ko) 2013-12-10 2013-12-10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31A KR20150067831A (ko) 2015-06-19
KR102129261B1 true KR102129261B1 (ko) 2020-07-03

Family

ID=5351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850A KR102129261B1 (ko) 2013-12-10 2013-12-10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34B1 (ko) * 2015-12-31 2023-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엑스레이 검출기용 어레이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
KR102630710B1 (ko) * 2015-12-31 2024-0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엑스레이 검출기용 어레이기판,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 엑스레이 검출기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및 엑스레이 검출기의 제조방법
CN109830562B (zh) * 2019-01-11 2021-08-06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探测器、探测器的制造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9462A (ja) * 1988-01-07 1989-07-17 Ricoh Co Ltd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ー
KR101318052B1 (ko) * 2009-12-10 2013-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엑스레이 검출용 포토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31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44553B (zh) 感光装置及其制造方法、探测基板和阵列基板
JP6099035B2 (ja)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x線画像検出装置
US10580818B2 (en) Imaging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141357B2 (en) Photosensor substrate
US20140231804A1 (en)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780140B2 (en) X-ray image sensor substrate
KR102424552B1 (ko) 엑스레이 검출기용 어레이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95908A (ja) フォト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127154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for high-resolution digital x-ray detector and high-resolution digital x-ray detector including the same
KR20100082631A (ko) 엑스레이 디텍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306873A1 (en) Radiation detecting panel
US9515118B2 (en) Radiation detecting panel
US896237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nsor
KR102129261B1 (ko)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95521B1 (ko)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56455B1 (ko)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10111218A1 (en) Imaging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90170884A1 (en) Imaging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50015890A (ko) 엑스레이 검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207B1 (ko) 엑스레이 검출기
KR20190028194A (ko) 엑스레이 검출기용 어레이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6859B1 (ko) 광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28195A (ko) 엑스레이 검출기용 어레이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3849B1 (ko) 엑스레이 검출기의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EP2810058A1 (en) Radiation detect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