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56B1 -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256B1
KR102129256B1 KR1020180055540A KR20180055540A KR102129256B1 KR 102129256 B1 KR102129256 B1 KR 102129256B1 KR 1020180055540 A KR1020180055540 A KR 1020180055540A KR 20180055540 A KR20180055540 A KR 20180055540A KR 102129256 B1 KR102129256 B1 KR 10212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ea
real estate
spac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66A (ko
Inventor
김원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랩
Priority to KR1020180055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2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물건을 탐색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는, 상기 부동산 물건의 탐색을 위한 면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상기 유닛 가이드에 따른 유닛에 대한 수량 정보인 유닛별 수량을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유닛의 면적과 상기 유닛별 수량을 이용하여 부동산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Real estate search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부동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주로 부동산의 위치, 시세, 거래 현황 등의 부동산 정보가 부동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지도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업무를 위한 사무실 공간을 구할 때에도 이러한 부동산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의 경우 실제 거주공간(혹은 사무공간)의 면적이 되는 전용면적, 입주민 모두가 함께 이용하는 공용면적,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의 합산 면적인 공급면적(분양면적, 임대면적 등) 등과 같이 다양한 면적에 관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이러한 용어를 모두 알고 있으면서 원하는 사무실 공간을 찾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0-0064231호 (2000.11.06 공개) - 부동산정보 통합검색 시스템
본 발명은 일반인도 손쉽게 사무실 공간의 확보를 위한 전용면적을 추정할 수 있게 도와주고, 이에 기초하여 부동산 물건 탐색을 수행하여 수요자에게 보다 적합한 부동산 물건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요 공간을 쓰임새에 따라 모듈화함으로써 추정된 전용면적을 가지는 부동산 물건에 대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듈들을 배치해 보게 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부동산 물건을 추천해 줄 수 있는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동산 물건을 탐색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로서, 상기 부동산 물건의 탐색을 위한 면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상기 유닛 가이드에 따른 유닛에 대한 수량 정보인 유닛별 수량을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유닛의 면적과 상기 유닛별 수량을 이용하여 부동산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부를 포함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유닛 가이드에 따른 유닛은 직원 업무 유닛, 임원 업무 유닛, 회의실 유닛, 탕비실 유닛, 창고 유닛, 휴게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면적 산출부는 상기 유닛의 면적과 상기 유닛에 대한 수량을 곱한 값을 모든 유닛에 대해 합산하여 전용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면적 산출부는 벽과 복도에 따른 면적 증가분을 반영하여 상기 전용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면적 산출부는 상기 전용면적에 맞춰 부동산 거래를 위한 거래면적을 추가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부동산 면적에 상응하는 부동산 물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유닛을 상기 부동산 물건에 대한 평면도 상에 가상으로 배치시키는 유닛 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유닛 배치부는 상기 평면도 상에서 상기 필요 수량이 설정된 유닛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자동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유닛 배치부는 상기 유닛에 대한 단위공간으로 상기 평면도를 분할하고, 상기 유닛의 단위공간과 상기 평면도의 단위공간이 매칭되도록 공간 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단위공간은 상기 유닛을 구성하는 소공간 중 최대면적을 가지는 소공간으로, 상기 유닛이 복수 개의 종류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의 가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상기 단위공간의 가로길이로 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의 세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상기 단위공간의 세로길이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동산 물건 탐색 장치에서 수행되는 부동산 탐색 방법으로서, 상기 부동산 물건의 탐색을 위한 면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닛 가이드에 따른 유닛에 대한 수량 정보인 유닛별 수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유닛의 면적과 상기 유닛별 수량을 이용하여 부동산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탐색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부동산 면적에 상응하는 부동산 물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유닛을 상기 부동산 물건에 대한 평면도 상에 가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인도 손쉽게 사무실 공간의 확보를 위한 전용면적을 추정할 수 있게 도와주고, 이에 기초하여 부동산 물건 탐색을 수행하여 수요자에게 보다 적합한 부동산 물건을 제시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 공간을 쓰임새에 따라 모듈화함으로써 추정된 전용면적을 가지는 부동산 물건에 대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듈들을 배치해 보게 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부동산 물건을 추천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공간 배치 방법의 순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에서 제공하는 유닛 가이드의 일례가 순차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공간 배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유닛의 공간 배치를 위한 유닛과 평면도의 단위공간 분석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100)는 가이드에 따라 유닛별 수량을 설정하는 간단한 과정만으로도 사무실 공간의 확보를 위한 전용면적의 추정이 가능하게 하고, 추정된 전용면적 및/또는 설정된 유닛 조합에 상응하는 부동산 물건을 탐색하여 수요자에게 적합한 부동산 물건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100)는 가이드부(110), 정보 획득부(120), 면적 산출부(130), 검색부(140),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유닛 배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 탐색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형태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사무실 공간의 면적(전용면적, 임대(공급)면적 등)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닛 가이드를 제공한다.
유닛 가이드는 사무실 공간의 면적 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유닛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유닛 가이드에 대해서는 추후 예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획득부(120)는 가이드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유닛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예컨대, 사무실 임대/매수 희망자)가 입력하는 유닛에 대한 수량(즉, 유닛별 수량) 정보를 획득한다.
유닛 가이드는 미리 설정된 유닛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되며, 사용자는 현재 화면 출력 중인 유닛에 대한 필요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유닛은 사무실 공간을 기능에 따라 보다 작게 구분한 소공간으로, 예를 들어 직원 업무 유닛(10), 임원 업무 유닛(20), 회의실 유닛(30), 탕비실 유닛(40), 창고 유닛(50), 휴게실 유닛(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닛은 별도의 유닛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될 수 있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이라 할지라도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각 유닛의 크기는 디폴트(default)로 정해져 있지만, 사용자가 수정할 수도 있다.
면적 산출부(130)는 정보 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유닛별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희망하는 사무실 공간을 부동산 거래하기 위해 요구되는 면적을 산출한다.
면적 산출부(130)는 1차적으로 유닛별 수량 정보에 상응하는 유닛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실제 면적인 전용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용면적은 각 유닛이 차지하는 면적과 해당 유닛의 수량과의 곱을 모두 합산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면적 산출부(130)는 2차적으로 전용면적에 기초하여 부동산 거래(예. 임대)를 위한 거래면적(임대면적 등)을 산출할 수도 있다.
부동산 물건마다 공용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전용면적에 대해서도 요구되는 거래면적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거래면적은 부동산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된 부동산 물건들에 대한 공용면적의 평균값을 활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검색부(140)는 면적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면적(전용면적 혹은 거래면적)에 따라 현재 부동산 거래가 가능한 부동산 물건을 검색한다. 부동산 물건은 별도의 부동산 데이터베이스(180)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원격의 서버 혹은 이미 서비스되고 있는 부동산 온라인 플랫폼과 연동하여 부동산 물건의 검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검색부(140)에 의해 검색된 부동산 물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출력부(150)에 의한 부동산 물건 정보의 출력은 기존에 제공되는 부동산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혹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100)는 검색된 부동산 물건의 평면도상에 앞서 선정된 유닛들을 공간 배치하는 유닛 배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부(140)에서는 부동산 물건을 검색할 때 해당 부동산 물건의 평면도도 함께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부동산 물건의 평면도를 화면에 출력하고, 수량이 1 이상으로 설정된 유닛들도 화면 상에 유닛 아이콘으로 중첩 표시되게 출력할 수 있다.
각 유닛 아이콘들은 드래그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여, 평면도 상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유닛들을 현재 검색된 부동산 물건의 평면도 상에 중첩적으로 표시하게 함으로써, 실제 해당 부동산 물건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사무실 공간을 꾸며볼 수 있고, 원하는 공간 배치가 확보되는지 확인해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닛 아이콘이 드래그되어 평면도 상에 배치될 때, 평면도의 축척에 맞춰 유닛 아이콘도 자동으로 축소 또는 확대될 수 있다.
또한, 각 유닛 아이콘은 회전 혹은 좌우반전, 상하반전이 가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100)는 부동산 거래 수요자가 희망하는 부동산 물건에 대한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유닛별 수량)를 수집하여, 실제 부동산 거래를 위해 필요한 정보(전용면적, 거래면적 등)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수요자가 원활한 부동산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더 나아가 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수요자에게 적합한 부동산 물건을 검색하여 추천해 줄 수 있고, 해당 부동산 물건에 대해 가상으로 공간 배치를 해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수요자의 니즈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족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부동산 탐색 방법에 대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공간 배치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에서 제공하는 유닛 가이드의 일례가 순차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탐색 장치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공간 배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유닛의 공간 배치를 위한 유닛과 평면도의 단위공간 분석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동산 탐색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부동산 탐색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부동산 탐색 장치(100)는 유닛 가이드를 출력한다(단계 S200). 이 경우 출력되는 유닛 가이드가 도 4 내지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유닛 가이드가 출력되면, 사용자로부터 각 유닛에 대한 필요 수량을 입력받는다(단계 S205).
사무실 공간의 전용면적 추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됨을 안내하는 안내화면이 표시된다(도 4의 (a) 참조).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직원 업무 유닛(10)을 사용할 직원 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4의 (b) 참조). 이 때 직원 업무 유닛(10)이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수량 입력해야 하는 유닛에 관해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직원 업무 유닛(10)은 직원 1인이 사무를 위해 사용하는 공간으로, 책상, 의자, 서랍장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타 직원 업무 유닛과의 구분을 위한 파티션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수치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는, 임원 업무 유닛(20)을 사용한 임원 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5의 (a) 참조). 임원 업무 유닛(20)은 예를 들어 책상, 의자 이외에 책장, 캐비닛, 회의탁자 및 의자들이 포함될 수 있고, 출입을 위한 문이 설치되어, 직원 업무 유닛(10)에 비해 4배 정도의 공간이 요구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회의실 유닛(30)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5의 (b) 참조). 회의실 유닛(30)은 예를 들어 회의탁자 및 의자들이 포함되고, 출입을 위한 문, 회의를 위한 전용스크린 혹은 화이트보드가 설치될 수 있다. 회의실 유닛(30)은 기본적으로 6-8인용을 기준으로 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더 많은 인원이 요구되는 경우 그 크기가 가변되게 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탕비실 유닛(40)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6의 (a) 참조). 탕비실 유닛(40)은 예를 들어 세절기, 복합기, 캐비닛, 정수기 등이 배치될 공간을 가지는 직사각형 공간일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창고 유닛(50)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6의 (b) 참조). 창고 유닛(50)은 문서, 서류, 샘플, 컴퓨터 장비 등을 보관할 공간으로 회의실 유닛(30)을 기준으로 하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휴게실 유닛(60)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7의 (a) 참조). 휴게실 유닛(60)은 직원 및 임원들의 휴게를 위한 공간으로, 모자보건법에 따른 수요공간이 분할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실제 공간 사용 시 간이벽의 설치, 복도와 같은 통로의 확보를 위한 면적의 증가분 반영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7의 (b) 참조). 면적 증가분은 예컨대 필수 면적의 10%일 수 있다.
유닛 가이드의 출력 및 유닛별 수량의 입력이 완료되면, 면적 산출부(130)는 각 유닛이 차지하는 면적과 각 유닛의 필요 수량을 곱한 결과를 모두 합산한 전용면적을 산출하고(단계 S210), 출력부(150)는 이 결과를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면적 산출부(130)는 전용면적 이외에 실제 부동산 거래를 위한 거래면적(예. 임대면적)을 추가적으로 산출하고(단계 S215), 출력부(150)는 이 결과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직원 업무 유닛(10), 임원 업무 유닛(20), 회의실 유닛(30), 탕비실 유닛(40), 창고 유닛(50), 휴게실 유닛(60)에 대한 면적 및 수량, 그리고 이들을 곱한 계산결과와 이들의 합산값, 간이벽 및 복도에 따른 면적 증가분을 반영한 추정 전용면적이 테이블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부동산 거래 실정에 따라 산출된 전용면적은 m2 이외에 PY 단위로 환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직원 업무 유닛(10), 임원 업무 유닛(20), 회의실 유닛(30), 탕비실 유닛(40), 창고 유닛(50), 휴게실 유닛(60)의 순서로 유닛별 수량을 입력받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들 유닛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용면적 및/또는 거래면적의 산출이 완료되면, 검색부(140)는 해당 전용면적 및/또는 거래면적에 매칭되는 부동산 물건을 검색하고(단계 S220),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부동산 물건의 검색은 별도의 부동산 데이터베이스(180)를 활용하거나 기존의 부동산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도 9 참조). 부동산 물건의 검색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부동산 물건의 검색이 완료된 후 면적 추정을 위해 획득한 유닛 정보를 활용한 공간 배치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유닛 배치부(160)는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유닛 및 검색된 부동산 물건의 평면도를 화면에 출력한다(단계 S300).
화면에 출력되는 유닛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수량이 1 이상 입력된 유닛은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량이 입력되지 않은 유닛도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출력된 유닛은 예를 들어 드래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단계 S305). 드래그 이동된 유닛은 평면도 상에 중첩 표시될 수 있다.
유닛이 평면도 상에 중첩 표시될 때, 평면도 축척에 맞춰 유닛이 축소 혹은 확대될 수 있다(단계 S310).
설정된 수량만큼의 유닛이 모두 평면도 상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가상으로 공간 배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단계 S315). 이러한 가상의 공간 배치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부동산 물건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희망하는 사무실 공간으로 꾸밀 수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유닛의 공간 배치 시 각 유닛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한다. 중첩되는 경우에는 해당 유닛에 대한 표현을 변경하여 배치 오류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할 수 있다. 혹은 중첩이 되지 않도록 해당 위치에의 배치가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닛의 공간 배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부동산 탐색 장치(100)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자동 수행 시 검색된 부동산 물건의 평면도는 전용면적에 해당하는 공간이 단위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도 11 참조).
단위공간(410)은 각 유닛들을 구성하는 소공간들 중에서 최대면적을 가지는 소공간이다.
단위공간(410)은 각 유닛들의 가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가로길이로 가지고, 각 유닛들의 세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세로길이로 가지는 직사각형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유닛의 가로(mm) x 세로(mm)는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직원 업무 유닛 : 1500 x 2000
임원 업무 유닛 : 3500 x 3500
회의실 유닛 : 3500 x 3500
탕비실 유닛 : 1500 x 4000
창고 유닛 : 3500 x 3500
휴게실 유닛 : 3500 x 3500
이 경우 가로길이의 최대공약수는 500, 세로길이의 최대공약수는 500이다.
따라서, 단위공간(410)은 500 x 500 크기의 소공간이다.
이 경우 직원 업무 유닛(10)은 가로로 3개, 세로로 4개, 총 12(=3 x 4)개의 단위공간(4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도(400)에 대해서도 전용면적에 해당하는 부분을 이러한 단위공간(410)으로 구획한 후, 각 유닛들이 단위공간 단위로 배치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유닛들의 배치는 해당 부동산 물건에 대해 기존 임대인이 적용하였던 공간 배치를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부동산 탐색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부동산 탐색 장치 110: 가이드부
120: 정보 획득부 130: 면적 산출부
140: 검색부 150: 출력부
160: 유닛 배치부

Claims (13)

  1. 부동산 물건을 탐색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로서,
    상기 부동산 물건의 탐색을 위한 면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상기 유닛 가이드에 따른 유닛에 대한 수량 정보인 유닛별 수량을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유닛의 면적과 상기 유닛별 수량을 이용하여 부동산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부;
    상기 부동산 면적에 상응하는 부동산 물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부; 및
    상기 유닛에 상응하는 유닛 아이콘을 상기 부동산 물건에 대한 평면도 상에 가상으로 배치시키는 유닛 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 배치부는 상기 평면도 상에서 상기 유닛별 수량이 설정된 상기 유닛 아이콘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자동 배치하고,
    상기 유닛 배치부는 상기 유닛이 복수 개의 종류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을 구성하는 소공간들 중 최대면적을 가지는 소공간을 단위공간으로 설정하되, 상기 단위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의 가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가로길이로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의 세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세로길이로 가지며,
    상기 유닛 배치부는 상기 평면도를 상기 단위공간으로 구획하고, 단위공간 단위로 매칭되도록 상기 유닛 아이콘을 상기 평면도 상에 중첩하여 공간 배치하고,
    상기 유닛 아이콘은 상기 평면도의 축척에 맞춰 자동으로 축소 혹은 확대되고, 회전 혹은 좌우반전, 상하반전이 가능하며,
    상기 유닛 가이드에 따른 유닛은 직원 업무 유닛, 임원 업무 유닛, 회의실 유닛, 탕비실 유닛, 창고 유닛, 휴게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산출부는 상기 유닛의 면적과 상기 유닛에 대한 수량을 곱한 값을 모든 유닛에 대해 합산하여 전용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산출부는 벽과 복도에 따른 면적 증가분을 반영하여 상기 전용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산출부는 상기 전용면적에 맞춰 부동산 거래를 위한 거래면적을 추가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탐색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부동산 물건 탐색 장치에서 수행되는 부동산 탐색 방법으로서,
    상기 부동산 물건의 탐색을 위한 면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닛 가이드에 따른 유닛에 대한 수량 정보인 유닛별 수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닛의 면적과 상기 유닛별 수량을 이용하여 부동산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부동산 면적에 상응하는 부동산 물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닛에 상응하는 유닛 아이콘을 상기 부동산 물건에 대한 평면도 상에 가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치 단계에서는 상기 평면도 상에서 상기 유닛별 수량이 설정된 상기 유닛 아이콘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자동 배치하고,
    상기 배치 단계에서 상기 유닛이 복수 개의 종류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을 구성하는 소공간들 중 최대면적을 가지는 소공간을 단위공간으로 설정하되, 상기 단위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의 가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가로길이로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의 세로길이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세로길이로 가지며,
    상기 배치 단계에서 상기 평면도를 상기 단위공간으로 구획하고, 단위공간 단위로 매칭되도록 상기 유닛 아이콘을 상기 평면도 상에 중첩하여 공간 배치하고,
    상기 유닛 아이콘은 상기 평면도의 축척에 맞춰 자동으로 축소 혹은 확대되고, 회전 혹은 좌우반전, 상하반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탐색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55540A 2018-05-15 2018-05-15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212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40A KR102129256B1 (ko) 2018-05-15 2018-05-15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40A KR102129256B1 (ko) 2018-05-15 2018-05-15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66A KR20190130866A (ko) 2019-11-25
KR102129256B1 true KR102129256B1 (ko) 2020-07-02

Family

ID=6873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40A KR102129256B1 (ko) 2018-05-15 2018-05-15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4887A1 (en) * 2020-06-02 2021-12-02 The Design People, Inc. DBA Agent Image Real estate to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444A (ja) * 2002-12-04 2004-07-02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ピュータによる住戸プランニング方法および記憶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123240A (ja) * 2006-11-13 2008-05-29 Sumitomo Forestry Co Ltd 建物情報検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231A (ko) 2000-08-31 2000-11-06 김형현 부동산정보 통합검색 시스템
KR20020064056A (ko) * 2001-01-31 2002-08-07 조문행 맞춤형 건축 설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444A (ja) * 2002-12-04 2004-07-02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ピュータによる住戸プランニング方法および記憶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123240A (ja) * 2006-11-13 2008-05-29 Sumitomo Forestry Co Ltd 建物情報検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66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0749B2 (en) Architectural planning system and process therefor
US20140074741A1 (en) Move management system
JP6262486B2 (ja) 収納設計計画書作成システム
KR102129256B1 (ko) 부동산 탐색 방법 및 장치
CN110770782A (zh) 对住宅房地产布局数据进行收集、搜索、评价和排名的系统和方法
Rauch et al. Lean management in hospitality: methods, ap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Mount Creative planning of special library facilities
US108855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l space management
CA30383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map generation
Barth et al. Analysis of two‐level support systems with time‐dependent overflow—a banking application
JP7102257B2 (ja) 住宅収納評価システム
KR20210022945A (ko) 공간 인테리어 색채추천방법
Bird Moving or relocating a library
JP6550203B2 (ja) 設計支援装置、設計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130008128A (ko) 스마트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이사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53578A (ko) 소규모 숙박업소의 객실료 결정 방법
JP727921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49651A (ja) オフィスレイアウトの自動設計提供システム
Shinta SIMULATION MODEL FOR OPTIMAL PRODUCTION QUANTITY DETERMINATION AND LEAD TIME REDUCTION IN MASS CUSTOMIZATION OF SINGLE PRODUCTION STAGE (CASE STUDY: PT MEGA ANDALAN KALASAN)
Undari et al. Students’ Satisfaction on Library Services at Faculty of Economics, Semarang State University
Khan et al. Smart store: the convergence of IKEA department store, augmented reality and RFID technology
Garcia-Diaz et al. Office Layout and Personnel Planning
Bemthuis Dynamic three-dimensional resource space allocation in a multi-item inventory environment
Smith The use of queuing networks and mixed integer programming to allocate resources optimally within a library layout
KR20220161834A (ko) 건축물 신축 예산 산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