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837B1 -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837B1
KR102128837B1 KR1020190011359A KR20190011359A KR102128837B1 KR 102128837 B1 KR102128837 B1 KR 102128837B1 KR 1020190011359 A KR1020190011359 A KR 1020190011359A KR 20190011359 A KR20190011359 A KR 20190011359A KR 102128837 B1 KR102128837 B1 KR 10212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yarn
knitting machine
warp knitting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찬
Original Assignee
강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찬 filed Critical 강호찬
Priority to KR102019001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8Devices for lubricating machine pa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16Warp beams; Bear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2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defects, e.g. holes, in knit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장치가 구비된 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경편기는,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사를 공급하는 원사 공급부(7)와; 상기 몸체(3)의 중간에 구비되어 니들에 의하여 상기 원사 공급부(7)로부터 공급된 원사(f1)에 의하여 레이스를 직조하는 직조부(5)와; 그리고 상부는 원사 가이드 축(16)에 연결되고 하부는 유동판(14)에 탄력부재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유동판(14)의 정역 반복 회전에 의하여 상하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원사 가이드 축(16)을 정역 회전시키며, 밀폐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내부의 윤활유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장치(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Apparatus for buffering yarn beam of warp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사를 직조하는 경우 원사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가이드 축에 장착되는 완충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탄력성을 높이고, 또한 완충부재의 구조를 밀폐형으로 개선함으로써 상하 왕복운동과정에서 스프링에 잔류하는 기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 경편기는 패턴빔에 원사를 권취하고, 이 원사를 직조부에 공급하여 레이스를 직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레이스 경편기(900)의 일 예가 도 1에 제시되는 바, 본체부(9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921)의 동력으로 직조공정을 위한 장치구동을 수행하는 구동부(920)와; 상기 구동부(920)에 의하여 지정 경로를 따라 인출되는 직물원단에 봉제사로써 장식사(D)를 조직하기 위한 직조부(930)로 구성된다.
상기 경편기는 통상적인 구조의 경편기를 의미하며, 본체부(910)에는, 직물원단과 장식사(D) 그리고 봉제사의 이송안내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롤(911) 및 가이드샤프트(912)가 횡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921)에 의한 상기 구동부(920)의 작용으로 본체부(910) 상측 가이드롤(911)들 중 하나에 장착된 원단빔(911-1)으로부터 직물원단이 권출과 동시에 여타의 가이드롤(911)들과 가이드샤프트(912)들을 거쳐 상기 직조부(920)로 이송 공급된다.
그리고, 직조부(920)는 캠축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Guide)와, 편침(Needle)과, 프레서(Presser)와 싱커(Sinker)가 연동함으로써 원사를 편성한다.
그리고, 가이드와 프레서 및 편침은 각각 가이드 바(GUIDE BAR)와 프레서 바의 래핑과 스윙운동에 의하여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바 및 프레서바는 경편기의 일측에 구비된 캠 구동부(923)와 체인(C)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캠 구동부(923)는 체인휠 구동부, 체인휠, 체인휠 구동 프레임, 푸시로드, 타임벨트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바 및 프레서 바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및 프레서는 패턴형성 장치부의 슬라이드 바의 좌우운동에 수직인 전후운동을 반복한다.
이러한 경편기에 있어서, 원사는 다수의 원사 가이드 축(912)에 의하여 직조부(920)로 공급된다.
이때, 원사 가이드 축(912)은 캠 구동부(923)에 연결됨으로써 전후방으로 왕복 전후진운동을 함으로써 직조부에 공급되는 원사를 반복적으로 전후진시킨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 구동부에 연결된 회동축(1)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유동판(3)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유동하고, 이 유동판(3)의 상측에 연결된 완충부재(5)가 원사 가이드 축(7)의 상부체인(9)을 정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원사 가이드축(7)에서 돌출된 원사 가이드바(8)가 전후진함으로써 원사를 직조부로 전후진하는 상태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환편기는 유동판과 원사 가이드 축을 연결하는 완충부재가 단순한 인장 스프링이 구조이고, 또한 인장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된 구조이며, 또한 스프링의 표면에는 오일, 그리스 등이 잔류하는 바, 이 상태에서 유도판의 상하 반복운동에 의하여 스프링도 반복적으로 팽창 및 수축을 할 때 스프링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 그리스가 외부로 비산됨으로써 원단을 오염시켜서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0-33632호(명칭: 레이스 기계의 원사 자동 송출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부재의 구조를 밀폐형으로 개선함으로써 상하 왕복운동과정에서 스프링에 잔류하는 기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경사빔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프링에 상,하부 연결바를 연결함으로써 상하 유동시 보다 효과적으로 탄력성을 발생시키는 경사빔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경편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경편기는,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사를 공급하는 원사 공급부(7)와;
상기 몸체(3)의 중간에 구비되어 니들에 의하여 상기 원사 공급부(7)로부터 공급된 원사(f1)에 의하여 레이스를 직조하는 직조부(5)와; 그리고
상부는 원사 가이드 축(16)에 연결되고 하부는 유동판(14)에 탄력부재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유동판(14)의 정역 반복 회전에 의하여 상하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원사 가이드 축(16)을 정역 회전시키며, 밀폐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내부의 윤활유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장치(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환편기 완충장치는 상부는 원사 가이드축의 상부 체인에 연결되고 하부는 캠 구동부에 연결된 유동판에 연결됨으로써 유동판의 정역방향 상하 유동에 의하여 승하강 운동을 함으로써 상부 체인을 당기거나 밀어서 원사 가이드축을 정역 반복 회전을 시키는 바, 완충부재가 승하강 운동을 할 때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의 외측을 케이스로 감싸므로써 내부에 충전된 기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부재는 구조를 개선하여 스프링에 상,하부 연결바를 연결함으로써 상하 유동시 보다 효과적으로 탄력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경편기의 완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완충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완충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완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경편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경편기를 포함하는 바, 이러한 경편기(900)는 본체부(9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921)의 동력으로 직조공정을 위한 장치구동을 수행하는 구동부(920)와; 상기 구동부(920)에 의하여 지정 경로를 따라 인출되는 직물원단에 봉제사로써 장식사(D)를 조직하기 위한 직조부(930)를 포함한다.
본체부(910)에는, 직물원단과 장식사(D) 그리고 봉제사의 이송안내를 위한 다수의 가이드롤(911) 및 가이드샤프트(912)가 횡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921)에 의한 상기 구동부(920)의 작용으로 본체부(910) 상측 가이드롤(911)들 중 하나에 장착된 원단빔(911-1)으로부터 직물원단이 권출과 동시에 여타의 가이드롤(911)들과 가이드샤프트(912)들을 거쳐 상기 직조부(920)로 이송 공급된다.
이러한 경편기에 있어서, 원사는 다수의 원사 가이드 축에 의하여 직조부(920)로 공급된다.
이때, 원사 가이드 축(16)은 캠 구동부(923)에 연결됨으로써 전후방으로 왕복 전후진운동을 함으로써 직조부(920)에 공급되는 원사를 반복적으로 전후진시킨다.
즉, 캠축 구동부(923)에 연결된 회동축(1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유동판(14)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유동하고, 이 유동판(14)의 상측에 연결된 완충부재(10)가 원사 가이드 축(16)을 정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원사 가이드 축(16)이 정역회전을 반복적으로 할 때, 원사 가이드 축(16)에서 돌출된 원사 가이드바(18)가 전후진하게 되므로 원사 가이드바(18)에 걸쳐진 원사는 직조부로 전후진하는 상태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회동축(12)의 유동판(14)에 연결되고, 상부는 원사 가이드 축(16)에 구비된 스프로켓(20)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동축(12)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유동판(14)이 상하로 유동할 때, 완충부재(10)도 같이 상하로 탄력적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원사 가이드 축(16)의 스프로켓(20)에 걸린 상부체인(22)을 당기거나 밀게 되므로 원사 가이드 축(16)을 정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완충장치(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완충장치(10)는 케이스(22)와; 케이스(22)의 하부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캡(24)과; 케이스(22)의 상부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캡(26)과; 케이스(22)의 내부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28)과; 일단(29)은 스프링(28)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프링(28)의 하부 및 하부캡(24)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유동판(14)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바(30)와; 일단(31)은 스프링(28)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프링(28)의 상부 및 상부캡(26)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원사 가이드 축(16)의 상부체인(22)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바(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완충장치(10)에 있어서,
케이스(2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28)으로부터 윤활유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하부캡(24)은 케이스(22)의 하부에 장착되며 한 쌍의 하부 관통홀(h1)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연결바(30)의 하부에 형성된 폐곡형상 부분은 한 쌍의 하부 관통홀(h1)을 통하여 하측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로 돌출된 폐곡형상 부분은 유동판(14)에 하부 롤러(42)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유동판(14)은 캠 구동부(912)의 회동축(12)에 연결됨으로써 정역방향으로 반복 회전하는 상태이다.
또한, 상부캡(26)은 케이스(22)의 상부에 장착되며 한 쌍의 상부 관통홀(h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연결바(32)는 한 쌍의 상부 관통홀(h2)을 통하여 상측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로 돌출된 폐곡형상 부분은 원사 가이드 축(16)의 상부체인(22)에 상부 롤러(4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28)은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부는 상부캡(26)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며, 하부는 하부캡(24)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스프링(28)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한 상부 연결바(32) 및 하부 연결바(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상부 연결바(32)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상부 프레임(38)과; 상부 프레임(38)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프링(28)의 하부에 걸리는 상부고리(31)와; 상부 프레임(38)의 상측에 장착되어 원사 가이드 축(16)의 상부체인(22)에 연결되는 상부 롤러(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완충부재(1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부체인(22)을 당기거나 밀게 되므로 원사 가이드 축(16)도 정역 방향으로 반복 회전하게 된다.
하부 연결바(30)는 이러한 상부 연결바(32)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다만 배치되는 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하부 연결바(30)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하부 프레임(40)과; 하부 프레임(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단(29)은 스프링(28)의 상부에 걸리는 하부 연결고리(33)와; 하부 프레임(40)의 하측에 장착되어 유동판(14)의 상부체인(22)에 연결되는 하부 롤러(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동판(14)이 정역 방향으로 반복 회전하는 경우, 하부 연결고리(33)가 승하강하게 되고, 하부 연결바(30)가 상하로 반복적으로 당겨지게 됨으로써 결국 스프링(28)도 같이 상하로 압축되거나 해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충장치(10)는 내부에 스프링(28)이 구비되고, 이 스프링(28)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부 연결바(32,30)가 각각 연결되어 상부캡(26) 및 하부캡(24)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부 연결바(32)는 상부 체인(22)에 연결되고 하부 연결바(30)는 유동판(14)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유동판(14)이 상하로 진동할 때 완충부재(10)가 상부 체인(22)을 유동시킴으로써 원사 가이드 축(16)이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윤활유가 케이스(22) 및 상하부캡(26,24)에 의하여 밀봉되어 외부로 비산됨으로써 원단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사를 공급하는 원사 공급부(7)와;
    상기 몸체(3)의 중간에 구비되어 니들에 의하여 상기 원사 공급부(7)로부터 공급된 원사(f1)에 의하여 레이스를 직조하는 직조부(5)와; 그리고
    상부는 원사 가이드 축(16)에 연결되고 하부는 유동판(14)에 탄력부재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유동판(14)의 정역 반복 회전에 의하여 상하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원사 가이드 축(16)을 정역 회전시키며, 밀폐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내부의 윤활유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장치(10)를 포함하며,
    완충장치(10)는 케이스(22)와; 케이스(22)의 하부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캡(24)과; 케이스(22)의 상부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캡(26)과; 케이스(22)의 내부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28)과; 일단은 스프링(28)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프링(28)의 하부 및 하부캡(24)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유동판(14)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바(30)와; 일단은 스프링(28)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프링(28)의 상부 및 상부캡(26)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원사 가이드 축(16)의 상부체인(22)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바(32)를 포함하며,
    상부 연결바(32)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상부 프레임(38)과; 상부 프레임(38)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프링(28)의 하부에 걸리는 상부고리(31)와; 상부 프레임(38)의 상측에 장착되어 원사 가이드 축(16)의 상부체인(22)에 연결되는 상부 롤러(40)를 포함하는 경편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연결바(30)는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하부 프레임(40)과; 하부 프레임(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스프링(28)의 상부에 걸리는 하부 연결고리(33)와; 하부 프레임(40)의 하측에 장착되어 유동판(14)에 연결되는 하부 롤러(42)를 포함하는 경편기.
  5. 제 1항에 있어서, 스프링(28)은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편기.
KR1020190011359A 2019-01-29 2019-01-29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 KR10212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59A KR102128837B1 (ko) 2019-01-29 2019-01-29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59A KR102128837B1 (ko) 2019-01-29 2019-01-29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837B1 true KR102128837B1 (ko) 2020-07-01

Family

ID=7160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359A KR102128837B1 (ko) 2019-01-29 2019-01-29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8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632A (ko) 2008-09-22 2010-03-31 삼성물산 주식회사 교량 측경간 가시설 양중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측경간 시공방법
KR101188793B1 (ko) * 2012-06-08 2012-10-09 (주)대광레이스 경편기의 원사 공급장치
KR101533190B1 (ko) * 2014-04-14 2015-07-02 주식회사 삼화실업 에어제트 직기의 오일비산 방지구조가 구비된 헬드프레임 헹거장치
KR20150004417U (ko) * 2014-05-29 2015-12-10 예병설 세탁기용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632A (ko) 2008-09-22 2010-03-31 삼성물산 주식회사 교량 측경간 가시설 양중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측경간 시공방법
KR101188793B1 (ko) * 2012-06-08 2012-10-09 (주)대광레이스 경편기의 원사 공급장치
KR101533190B1 (ko) * 2014-04-14 2015-07-02 주식회사 삼화실업 에어제트 직기의 오일비산 방지구조가 구비된 헬드프레임 헹거장치
KR20150004417U (ko) * 2014-05-29 2015-12-10 예병설 세탁기용 도어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1096A (en) Tufting machines for producing terrylike fabrics and fabrics produced thereby
CN105297300B (zh) 缝纫机
US3421929A (en) Tufting mechanism,method,stitches and article
CN1535337A (zh) 横机的喂纱装置及横机的喂纱方法
KR102128837B1 (ko) 경편기의 원사빔 완충장치
US4549414A (en) Knitting machine to produce figured fabrics
CN102154780A (zh) 一种多功能花边钩编机
KR101364557B1 (ko) 환봉 재봉기의 재봉땀 건너뜀 장치
CN1185379C (zh) 双链线迹缝纫机
CN101096795B (zh) 钩编织带机
US6904854B1 (en) Transverse longitudinal-cylinder sewing machine
US2759443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reversible pile fabric and a product therefrom known as "chenille"
US2895438A (en) Multiple needle automatic quilting machine
KR200408288Y1 (ko) 양면경편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
JP6247883B2 (ja) ミシン
KR100364337B1 (ko) 상향이송기구를구비한평바느질재봉틀
US20050126463A1 (en) Transverse longitudinal-cylinder sewing machine
CN100350091C (zh) 横式直筒缝纫机
CN1024207C (zh) 缝纫机
US1201084A (en) Overseaming sewing-machine.
KR101434043B1 (ko) 세폭자카드직기용 종광작동장치
US159653A (en) Improvement in looms
KR101844545B1 (ko) 낙석방지망 제조용 섬유로프 편직장치
KR860000028Y1 (ko) 망사지 직조횡편기
KR950005435B1 (ko) 고속 자카드 개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