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606B1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606B1
KR102128606B1 KR1020130073753A KR20130073753A KR102128606B1 KR 102128606 B1 KR102128606 B1 KR 102128606B1 KR 1020130073753 A KR1020130073753 A KR 1020130073753A KR 20130073753 A KR20130073753 A KR 20130073753A KR 102128606 B1 KR102128606 B1 KR 10212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signal
duplexer
antenn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085A (ko
Inventor
문영찬
박남신
최창섭
나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3007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6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MIMO경로 중 제1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제2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과; 제1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와, 제2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를 구비하는 제1 듀플렉서와; 제1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와, 제2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를 구비하는 제2 듀플렉서와; 제1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제1 안테나로 제공하며, 제1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제2 듀플렉서로 제공하며, 제2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제2 안테나로 제공하며, 제2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신호는 제1 듀플렉서로 제공하는 경로 변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BASE STATION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PCS, Cellular, CDMA, GSM, LTE, 등) 시스템의 중계기를 비롯한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방식으로 처리되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에 더욱 향상된 격리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를 비롯한 기지국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가 있을 수 있으며, 최근 무선 통신 안테나는 편파 다이버시티 방식을 적용하여 2T2R(2Tx/2Rx) MIMO 방식의 이중편파 안테나 구조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 각 송수신경로의 신호들은 각각 듀플렉서를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 신호를 격리하는 구조를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1에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2T2R MIMO 구조의 안테나 시스템(10)과, 이의 각 송수신 경로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듀플렉서(20, 21)가 개시되고 있다. 안테나 시스템(10)에는 2T2R 구조에서 제1경로(P0)에 대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안테나(Ant0; 100)와, 제2경로(P1)에 대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안테나(Ant1; 101)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 안테나(100, 101)는 서로 직교하는 편파를 발생하게 설치된다.
또한, 안테나 시스템(10)의 제1 및 제2 안테나(100, 101)와 각각 연결되어, 각각 제1 및 제2경로(P0, P1)의 송수신 신호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듀플렉서(20, 21)가 구비되며, 제1 듀플렉서(20)는 제1 송수신부(P0송수신부)(30)와 연결되고, 제2 듀플렉서(21)는 제2 송수신부(P1송수신부)(31)와 연결된다. 제1 송수신부(30)는 제1경로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며, 제2 송수신부(31)는 제2경로(P1)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한다.
제1 듀플렉서(20)는 제1경로(P0)에 대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송신필터(Tx0; 204) 및 수신필터(Rx0; 206)가 T-정션(T-junction)(202)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제2 듀플렉서(21)는 제2경로(P1)에 대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송신필터(Tx1; 214) 및 수신필터(Rx1; 216)가 T-정션(212)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제1경로(P0)에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격리도는 제1경로(P0)의 송신 필터(204)와 수신필터(206)를 T-정션(202)으로 연결한 제1 듀플렉서(20)의 구현 시 발생하는 격리도에 해당하게 된다. 즉, 제1 듀플렉서(20)의 송신단 및 수신단의 간의 격리도가 제1경로(P0)에서의 전체 송신 및 수신 격리도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2경로(P1)에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격리도는 송신 필터(214)와 수신필터(216)를 T-정션(212)으로 연결한 제2 듀플렉서(21)의 구현시 발생하는 송신단 및 수신단의 격리도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의 격리도를 증가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듀플렉서(20, 21)에서 필터링 특성(예를 들어, 스커트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실질적으로 유일하게 고려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송신 및 수신 필터들의 단수를 증가 하거나, 격리하고자 하는 주파수에 노치(notch)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필터의 사이즈와 제작 및 생산 난이도가 증가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장에서 요구되는 더 빠른 처리 속도 및 향상된 품질에 부응하기 위하여, 각 기지국은 소형(또는 초소형)셀로 진화하고 있으며, 안테나 시스템 및 기지국 장비가 일체형으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상기한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로 구성되는 듀플렉서를 더욱 작고 경량화하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듀플렉서의 사이즈 및 무게 등을 고려하면서, 상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 경로의 송신 및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듀플렉서의 사이즈 및 무게를 줄이면서도, 또는 듀플렉서의 개발 및 생산 난이도를 낮추면서도,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의 격리도를 높이거나, 일정 요구 수준의 격리도를 유지 및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경로 중 제1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MIMO 경로중 제2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제1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와, 상기 제2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를 구비하는 제1 듀플렉서와; 상기 제1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와, 상기 제2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를 구비하는 제2 듀플렉서와; 상기 제1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듀플렉서로 제공하며, 상기 제2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안테나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듀플렉서로 제공하는 경로 변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경로 중 제1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MIMO 경로중 제2경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제1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와, 상기 제2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를 구비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1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와; 상기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수신 필터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듀플렉서로 제공하는 경로 변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의 격리도 제공 장치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의해,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듀플렉서에서의 격리도 외에 30~50dB 수준의 추가적인 송수신 신호 격리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듀플렉서는 필터 구조 자체의 격리 특성에 의존하는 구조이므로, 원하는 격리도를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개수(단수) 이상의 공진기와 노치 구조가 필요하였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을 이용하여 30~50dB의 추가적인 격리도를 얻게 되면, 동등한 조건에서 비교적 적은 공진기 수로도 원하는 격리도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노치 구조의 개수를 줄임으로서 필터의 개발 및 생산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고 성능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더 작고 가벼운 필터 및 듀플렉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 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예와 유사하게,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2T2R MIMO 구조의 안테나 시스템(10)과, 이의 각 송수신 경로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듀플렉서(20, 21)가 개시되고 있다. 안테나 시스템(10)에는 2T2R 구조에서 제1경로(P0)에 대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안테나(Ant0; 100)와, 제2경로(P1)에 대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안테나(Ant1; 101)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 안테나(100, 101)는 서로 직교하는 편파를 발생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안테나 시스템(10)의 제1 안테나(100)는 제2 안테나(101)와, 제1 및 제2 듀플렉서(20, 21) 사이에는, 제1 및 제2 송수신 신호 경로를 변경하여, 제1 듀플렉서(20)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제1 안테나(100)로 제공하며, 제1 안테나(100)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제2 듀플렉서(21)로 제공하며, 제2 듀플렉서(21)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제2 안테나(101)로 제공하며, 제2 안테나(101)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제1 듀플렉서(20)로 제공하는 경로 변경부가 구비된다. 제1 서큘레이터(40) 및 제2 서큘레이터(41)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구성을 보면, 제1 서큘레이터(40)는 1번 단자를 통해 제1 듀플렉서(20)와 연결되며, 2번 단자는 제1 안테나(100)와 연결되며, 3번 단자는 제2 서큘레이터(41)의 3번 단자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1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2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3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3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1번 단자를 통해 출력된다.
제2 서큘레이터(41)는 1번 단자를 통해 제2 듀플렉서(21)와 연결되며, 2번 단자는 제2 안테나(101)와 연결되며, 3번 단자는 제1 서큘레이터(40)의 3번 단자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1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2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3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3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1번 단자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종래와 유사하게, 안테나 시스템(10)의 제1 및 제2 안테나(100, 101)와 각각 연결되어, 각각 제1 및 제2경로(P0, P1)의 송수신 신호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듀플렉서(20, 21)가 구비되는데, 제1 듀플렉서(20)는 제1 송수신부(P0송수신부)(30)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204)와 더불어, 종래와는 달리, 제2 송수신부(P1송수신부)(31)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206')를 구비한다. 즉, 제1 및 제2경로의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므로, 실질적으로 제1 듀플렉서(20)의 하드웨어적인 구조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나, 수신 필터(206')가 제2 송수신부(31)와 연결되며, 제2 경로의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제2 듀플렉서(21)는 제2 송수신부(P1송수신부)(31)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214)와, 제1 송수신부(30)의 수신 신호를 처하는 수신 필터(216')를 구비한다. 즉, 제2 듀플렉서(21)는 수신 필터(216')가 제1 송수신부(30)와 연결되며, 제1 경로의 수신 신호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된다.
제1 듀플렉서(20)는 제1경로에 대한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필터(204)와, 제2경로에 대한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필터(206')가 T-정션(T-junction)(202)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제2 듀플렉서(21)는 제2경로에 대한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필터(214)와, 제1경로에 대한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필터(216'가 T-정션(212)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1 듀플렉서(20)의 제1경로의 송신필터(204)에서 송신된 신호는 제1 서큘레이터(40)를 거쳐 안테나 시스템(10)의 제1 안테나(100)로 제공되어 공중(air)으로 방사된다. 공중에서 제1경로의 수신 신호는 제1 안테나(101)에서 수신되어 제1 서큘레이터(40)를 거쳐 제2 서큘레이터(41)로 제공된 후, 제2 듀플렉서(21)의 제1경로의 수신필터(216')에 제공된다. 이때 제1 경로의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는 제1 듀플렉서(20) 및 제2 듀플렉서(21)에 의해 분리되어 완벽한 격리도를 갖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듀플렉서(21)의 제2경로의 송신필터(214)에서 송신된 신호는 제2 서큘레이터(41)를 거쳐 안테나 시스템(10)의 제2 안테나(101)로 제공되어 공중(air)으로 방사된다. 공중에서 제2경로의 수신 신호는 제2 안테나(101)로 수신되어 제2 서큘레이터(41)로 제공되고, 제2 서큘레이터(41)에서 제1 서큘레이터(40)로 제공된 후, 제1 듀플렉서(20)의 제1경로의 수신필터(206')로 제공된다. 이때 제2 경로의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는 제1 듀플렉서(20) 및 제2 듀플렉서(21)에 의해 분리되어 완벽한 격리도를 갖게 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큘레이터들(40, 41)의 방향성을 이용하여 2T2R(또는 동등 이상) MIMO 기지국에서 송신단과 수신단의 격리도를 증가시키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10)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100, 101)는 서로 90도로 직교되게 설치되어, 공중(air)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때에, 안테나들(100, 101)간의 직교(orthogonal) 특성으로 인하여, 각 안테나들(100, 101)간의 송수신 신호는 통상 30dB 수준의 격리도를 얻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제2경로의 수신필터(206')는 T-정션(212)에 의해 제1경로의 송신필터(204)와 묶여 있기 때문에, 제1경로의 송신필터(204)의 격리 특성에 의해 격리도가 결정된다. 그런데, 제1경로의 송신 필터(204)와, 제2경로의 수신필터(206')은 각각 결과적으로 제1 안테나(100) 및 제2 안테나(10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두 안테나들(100, 101)들의 직교 특성에 의해 약 30dB 수준의 격리도를 갖게 된다. 따리서 제1경로의 송신 신호와 제2 경로의 수신 신호는 각 송수신 필터들(204, 206')의 격리도에 추가로 안테나들(100, 101)의 격리도 30dB를 얻게 된다. 제2 경로의 송신 신호와 제1 경로의 수신 신호도 마찬가지로 해당 송수신 필터들(214, 216')의 격리도에 추가로 안테나들(100, 101)의 격리도를 얻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의 격리도가 듀플렉서의 고유의 격리도 외에도, 안테나들의 직교 특성에 의해 얻어지는 30dB 수준의 추가적인 송수신 신호 격리도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에 요구되는 격리도가 예를 들어 90dB일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듀플렉서에서 60dB 수준의 격리도만 만족시키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종래에는 듀플렉서만을 이용하여 90dB의 격리도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듀플렉서의 구현시 구조 및 사이즈 측면에서 보다 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나, 제2 듀플렉서(21) 대신에, 제1경로의 수신 필터(23)가 제2서큘레이터(41)의 1번 단자에 연결되는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비교하여 제2경로의 송신 신호의 처리에 관한 구성 및 동작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다. 즉,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조는 2T2R MIMO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구조이나,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1T2R MIMO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실질적으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구조를 이중으로 채용한 구조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1T2R MIMO 방식을 이중으로 구비하여 2T4R MIMO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 예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서큘레이터(20)의 방향성이 순방향(시계방향)이며, 제2서큘레이터(21)의 방향성이 역방향(반시계방향)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그런데, 실제 제품 구현시는 순방향인 두 서큘레이터의 조합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방향인 서큘레이터(a, b)의 조합된 쌍은 전체적으로 4개의 신호 순환 전달 단자를 가지는 비가역 회로 구조(nonreciprocal circuit topology)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서큘레이터 쌍(40, 42)의 각 단자에 제1 듀플렉서(20), 제1 안테나(100), 제2 듀플렉서(21), 제2 안테나(101)를 연결하여, 상기 도 2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논리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간의 격리도 제공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안테나 시스템(10)에서 두 안테나가 서로 직교하는 편파를 발생하도록 설치되므로 격리도를 얻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두 안테나는 서로 직교하지는 않으나, 공간적으로 적절한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분리도를 확보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2T2R MIMO 방식에 해당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를 이중(또는 그 이상의 다중)으로 사용하여 4T4R(또는 그 이상의) MIMO 방식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듀플렉서들의 구조가 T-정션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외에도 해당 듀플렉서들의 구조는 도 3과 같이 서큘레이터를 이용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경로 중 제1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MIMO 경로중 제2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제1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와, 상기 제2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를 구비하는 제1 듀플렉서와;
    상기 제1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와, 상기 제2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를 구비하는 제2 듀플렉서와;
    상기 제1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듀플렉서로 제공하며, 상기 제2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안테나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듀플렉서로 제공하는 경로 변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경부는 제1 서큘레이터 및 제2 서큘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서큘레이터에서 1번, 2번 및 3번 단자는 각각 상기 제1 듀플렉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서큘레이터의 3번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서큘레이터에서 1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2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3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3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1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상기 제2 서큘레이터에서 1번, 2번 및 3번 단자는 각각 상기 제2 듀플렉서,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서큘레이터의 3번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서큘레이터에서, 1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2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3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3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1번 단자를 통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듀플렉서 및 제2 듀플렉서는 내부 송수신 필터들을 T-정션(T-junction)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서로 직교하는 편파를 발생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5.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경로 중 제1경로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MIMO 경로중 제2경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제1경로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 필터와, 상기 제2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를 구비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1경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와;
    상기 듀플렉서에서 제공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수신 필터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제공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듀플렉서로 제공하는 경로 변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경부는 제1 서큘레이터 및 제2 서큘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서큘레이터에서 1번, 2번 및 3번 단자는 각각 상기 듀플렉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서큘레이터의 3번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서큘레이터에서 1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2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3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3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1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상기 제2 서큘레이터에서 1번, 2번 및 3번 단자는 각각 상기 제1경로의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수신 필터,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서큘레이터의 3번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서큘레이터에서, 1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2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2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3번 단자를 통해 출력되며, 3번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1번 단자를 통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내부 송수신 필터들을 T-정션(T-junction)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서로 직교하는 편파를 발생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KR1020130073753A 2013-06-26 2013-06-2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KR10212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53A KR102128606B1 (ko) 2013-06-26 2013-06-2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53A KR102128606B1 (ko) 2013-06-26 2013-06-2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85A KR20150001085A (ko) 2015-01-06
KR102128606B1 true KR102128606B1 (ko) 2020-06-30

Family

ID=5247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753A KR102128606B1 (ko) 2013-06-26 2013-06-2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62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6386A1 (en) 2006-11-14 2010-02-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directional radio channel having multiple antenna
US20100093282A1 (en) 2008-10-15 2010-04-15 Nokia Siemens Networks Oy MULTI-TRANSCEIVER ARCHITECTURE FOR ADVANCED Tx ANTENNA MONITORING AND CALIBRATION IN MIMO AND SMART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9774B2 (ja) * 2009-09-21 2014-11-26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通信基地局の共用化装置
KR20110032229A (ko) * 2009-09-22 2011-03-30 알트론 주식회사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rf 중계기
US8908668B2 (en) * 2011-09-20 2014-12-0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Device for separat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6386A1 (en) 2006-11-14 2010-02-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directional radio channel having multiple antenna
US20100093282A1 (en) 2008-10-15 2010-04-15 Nokia Siemens Networks Oy MULTI-TRANSCEIVER ARCHITECTURE FOR ADVANCED Tx ANTENNA MONITORING AND CALIBRATION IN MIMO AND SMART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62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85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3406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装置
US10680790B2 (en) Antenna system
US110437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feed multi-band MIMO antenna system
US10454505B2 (en) Multi-frequency transceiver and base station
US9954265B2 (en) Two-transmitter two-receiver antenna coupling unit for microwave digital radios
US9917627B2 (en) Base sta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irculator arrangement to increase isolation between co-located antennas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214152A1 (en) Active Dual Antenna Arrangement
KR10212860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KR10212860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US20180248240A1 (en) Compact antenna feeder with dual polarization
US9917626B2 (en) Base sta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irculator arrangement to increase isolation between co-located antennas
JP2013021406A (ja) アンテナ装置
CN113872631B (zh) 收发装置和基站
EP3365944A1 (en)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 an antenna arrangement for triple band reception and transmission
KR102058060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 노드 시스템의 안테나 공용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