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060B1 -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060B1
KR102128060B1 KR1020180038907A KR20180038907A KR102128060B1 KR 102128060 B1 KR102128060 B1 KR 102128060B1 KR 1020180038907 A KR1020180038907 A KR 1020180038907A KR 20180038907 A KR20180038907 A KR 20180038907A KR 102128060 B1 KR102128060 B1 KR 10212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flight
information
spa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5790A (en
Inventor
좌정우
원중희
정구문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빅스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060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7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using congestion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at layers above the network layer
    • H04L47/19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at layers above the network layer at the transport layer, e.g. TCP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with rate being modified by the source upon detecting a change of network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B64C2201/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의 비행 도중에 제어명령을 통해 비행체의 제어가 불가능해지면 비행체가 추락하거나 잘못된 비행경로로 비행하여 목적지까지 도달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비행체를 제어할 때, 이동통신망의 통신 안정성 상태를 이용하여 통신안정성이 양호한 지역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이동통신사의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 또는 저장하고 있으며, 비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비행 공간을 식별하고 상기 현재 비행 공간의 통신 안정성을 판단하여 상기 현재 비행 공간의 통신 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 안정성이 안정적인 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aircraft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aircraft does not reach the destination by falling or flying in the wrong flight path when control of the vehicle becomes impossible through a control command during the flight of the vehicle At this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nd a method capable of safely flying to a destination by setting a flight path to an area having good communication stability using a communication stability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s received or stored,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s analyzed to identify the current flight space, and the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current flight space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current flight space. Provided is a vehicle that sets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that sets a flight path to a space in which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s stable when communication stability is unstable.

Description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및 그 방법{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의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감도가 좋은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비행체의 제어정보가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행체 및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set a flight path having good communication sensitivity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disconnect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relates to a vehicle and a method of establishing a flight path to prevent it.

최근 드론과 같은 무인기 비행체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본격적인 보급/활용에 앞서 비행체의 선제적으로 높은 신뢰도/보안성의 통신 및 안전 운항 체계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drones such as drones is expected to increase explosively,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high-reliability/security communication and safe navigation system for aircrafts prior to full-scale supply/utilization.

소형 무인기의 경우 가용 주파수, 페이로드, 대역폭 등의 제한으로 인해 중대형무인항공기에 사용되는 CNPC(control/non-payload communication : 원격통제소가 무인기를 통제하고 현재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체계)의 활용이 어려울 수 있어 최근에는 소형 무인기에 LTE나 장래 개발될 5G등의 통신을 활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In the case of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it is difficult to use CNPC (control/non-payload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system where the remote control station control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ceives the current status) used in medium and large unmanned aerial vehicles due to restrictions on available frequency, payload, and bandwidth. Therefore, it has recently been proposed to utilize communication such as LTE or 5G, which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a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LTE 또는 5G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주파수 및 통신 체계의 구축이 필요 없고 무인기의 식별, 감시 기능의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무인기에 적합한 구체적인 구현방식 및 요소 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When using LTE or 5G,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a separate frequency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it is easy to identify and monitor the UAV. Therefo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s and element technologies suitable for UAV is required.

현재 무인기의 통신은 비면허 ISM 대역인 근거리 대역 (2.4Ghz - 5.8Ghz) 통신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근거리 대역 통신 방식의 출력은 10mw로 제한되어 있어 무인기 통신은 근거리(최대 2KM)에서만 가능하고 장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Currently, UAV communication uses the short-range (2.4Ghz-5.8Ghz)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an unlicensed ISM band, and the output of the domestic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is limited to 10mw, so UAV communication is possible only at a short range (up to 2KM) and long distance It has a limitation in which communication is impossible.

최근 호주 RMIT 대학 항공 연구소에서 전세계 드론 운항 152건에 관한 사고률 조사한 결과, 드론 사고 발생 요인의 대부분이 데이터 링크 불량을 포함한 드론 제어 장비의 불량임이 밝혀졌으며, 가장 주요한 원인은 조종 통신의 단절이나 GPS 통신 단절이다.A recent survey of 152 drone operations worldwide by the RMIT University Av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ustralia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drone accidents are faulty drone control equipment, including data link failures, the most likely cause of which is a loss of control communications or GPS. Communication is broken.

향후 LTE 또는 5G 통신망을 활용할 경우에 대비해 그에 맞는 안정적인 무인기 통신 시스템의 개발과 무인기 비행 중 통신망이 두절되었을 경우 무인기를 임무 지점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도록 하는 솔루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In the future, it is time to develop a stable unmanned communic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case of using LTE or 5G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develop a solution to safely arrive at the mission point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lost during unmanned flight.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99094호(지상관제장비와 이종 통신 연결이 가능한 드론과 그 제어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99094 (Drones capable of connec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with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행체의 비행 도중에 제어명령을 통해 비행체의 제어가 불가능해지면 비행체가 추락하거나 잘못된 비행경로로 비행하여 목적지까지 도달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비행체를 제어할 때, 이동통신망의 통신 안정성 상태를 이용하여 통신안정성이 양호한 지역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aircraft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aircraft does not reach the destination by falling or flying in the wrong flight path when control of the vehicle becomes impossible through a control command during the flight of the vehicle At this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nd a method capable of safely flying to a destination by setting a flight path to an area having good communication stability using a communication stability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사의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 또는 저장하고 있으며, 비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비행 공간을 식별하고 상기 현재 비행 공간의 통신 안정성을 판단하여 상기 현재 비행 공간의 통신 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 안정성이 안정적인 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r stores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generates flight status information, analyzes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dentifies a current flight space, determines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current flight space, and determines the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current flight space. Provided is a vehicle that sets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that sets a flight path to a space in which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s stable when communication stability is unstable.

여기서,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는 해당 이동통신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의 이동통신사의 통신트래픽 정보, 통신감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ommunic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a region where a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provides a service.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사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비행체의 현재 비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행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상태 정보 생성부;와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공간의 통신상태에 따라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하는 비행공간 등급 설정부;와 상기 비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체의 현재 비행공간을 식별하는 비행공간 식별부; 및 상기 현재 비행공간을 기준으로 비행체의 다음 비행경로를 상기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상기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o receiv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nd a flight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ligh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flight status of the vehicle; and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 flight space class setting unit for setting a flight space clas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flight space; and a flight space identification unit for analyzing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current flight spac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a flight path by selecting a flight space having a better communication state from the current flight space and a neighboring flight space based on the current flight space based on the current flight space. hav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패킷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고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패킷을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be characterized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packe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ptimizing the communication packe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learning algorithm.

여기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상기 통신 패킷의 TCP 파라미터(parameter)를 계속적으로 변경하여 혼잡(congestion)을 예상하고 상기 통신 패킷의 flow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algorithm may be characterized by optimizing the flow of the communication packet by predicting congestion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TCP parameter of the communication packet.

여기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통신 패킷 손실(Packet Loss)이 심하거나 Latency 변경이 심한 경우에 TCP/IP 를 최적화하여 Throughput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algorithm may be characterized by maximizing throughput by optimizing TCP/IP when communication packet loss is severe or the latency change is severe.

여기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RTT(Round Trip Time)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혼잡(congestion)인 경우에 패킷 rate를 조정하여 상기 혼잡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algorithm may be characterized by continuously checking the round trip time (RTT) to avoid the congestion by adjusting the packet rate in the case of congestion.

또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공간의 통신상태를 구분하여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하는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와 비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체가 현재 비행하고 있는 비행공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비행공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비행체의 다음 비행경로가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 등급을 포함하여 설정되도록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to set the flight space class to set the flight space class by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flight space; and generating flight status information Step; And the step of analyzing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flight space that the vehicle is currently flying; And using the flight space class, setting a flight path such that a next flight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flight space includes a flight space class having better communication status among current flight spaces and neighboring flight spaces. It provides a method for setting the flight path us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패킷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고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패킷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packe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ptimizing the communication packe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learning algorithm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상기 통신 패킷의 TCP 파라미터(parameter)를 계속적으로 변경하여 혼잡(congestion)을 예상하고 상기 통신 패킷의 flow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algorithm may be characterized by optimizing the flow of the communication packet by predicting congestion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TCP parameter of the communication packet.

여기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통신 패킷 손실(Packet Loss)이 심하거나 Latency 변경이 심한 경우에 TCP/IP 를 최적화하여 Throughput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algorithm may be characterized by maximizing throughput by optimizing TCP/IP when communication packet loss is severe or the latency change is severe.

여기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RTT(Round Trip Time)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혼잡(congestion)인 경우에 패킷 rate를 조정하여 상기 혼잡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algorithm may be characterized by continuously checking the round trip time (RTT) to avoid the congestion by adjusting the packet rate in the case of congestion.

본 발명은 통신안정성이 좋은 곳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므로 비가시권 지역에서도 비행체의 제어를 끊김없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flight path to a place where communication stability is goo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rol of the vehicle can be seamlessly performed even in an invisible area.

또한, 본 발명은 통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통신패킷을 최적화할 수 있어 통신안정성이 떨어지는 지역에서도 비행체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communication packet so that communication is not disconnected, so that control of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even in a region where communication stability is poor.

도 1은 본 발명의 비행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경우에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craf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flight path to a flight space having a better communication state among a current flight space and a neighboring flight space when setting a flight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setting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terms used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the compon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comprising (or, provided)'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비행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craf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비행체(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면허 무선주파수 대역대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100 may be controllabl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controllable using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band.

이하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 나 4G/5G와 같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비행체를 제어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t will mainly be described to control the vehicl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Long Term Evolution) or 4G/5G.

본 발명의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100)는 통신부(110), 비행상태정보 생성부(120), 비행공간등급 설정부(130), 비행공간 식별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0 that sets the flight path us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flight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a flight space class setting unit 130, a flight space identification unit 140,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150.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사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o receiv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여기서, 이동통신사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CDMA,LTE,4G/5G 서비스를 통해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Here,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means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eans a servic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CDMA, LTE, and 4G/5G services.

통신 안정성 정보는 이동통신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의 이동통신사의 통신트래픽 정보, 통신감도 정보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망 내에서 통신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enables communication to be performed stably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communic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a region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es a service.

예를 들어, 기지국이 가까운 지역은 무선전파의 세기가 강하므로 기지국과 먼 지역보다는 통심감도가 더 좋다. 또한, 기지국과 가까운 지역이라 할지라도 해당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통신트래픽이 증가하게 되므로 통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radio frequency is stronger in an area near the base station, so the sensitivity is better than in an area far from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even in a region close to a base station, communication traffic may increase because the number of communication terminals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ncreases.

따라서, 통신 안정성 정보는 통신감도 정보뿐만 아니라 통신 트래픽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both communication sensitivity information as well as communication sensitivity information.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무인비행체의 제어통신 영역대인 비면허 ISM 대역인 근거리 대역(2.4Ghz - 5.8Ghz) 무선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지상관제센터(GCS : Ground Control Station)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round control is performed using a short-range (2.4Ghz-5.8Ghz)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an unlicensed ISM band, which is a control communication area of a general unmanned air vehicle. Communication with the center (GCS: Ground Control Station) is also possible.

비행상태정보 생성부(120)는 비행체(100)의 현재 비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행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비행상태 정보는 비행체의 위치, 고도, 속력, 진행방향 등의 비행체(100)의 현재 비행상태와 예측되는 비행경로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fligh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flight status of the vehicle 100, where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s a vehicle such as the location, altitude, speed,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 100) means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current flight condition and the predicted flight path.

이를 위해서 비행상태정보 생성부(120)는 각종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여기서, 비행상태정보 생성부(120)가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행상태 정보는 비행체의 주변 영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when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 camera,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비행공간등급 설정부(130)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공간의 통신상태에 따라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한다.The flight space class setting unit 130 analyzes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nd sets a flight space clas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flight space.

여기서, 비행공간의 통신상태는 이동통신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통신이 잘 수행되는지에 대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통신 감도가 좋은지 나쁜지에 대한 감도 상태정보와 통신 트래픽이 적은지 많은지에 대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Here,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flight space means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is performed well when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hat is, it means the sensitivity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is good or bad and the status on whether the communication traffic is low or high.

비행공간 식별부(140)는 비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체(100)의 현재 비행공간을 식별한다.The flight space identification unit 140 analyzes flight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current flight space of the vehicle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비행상태 정보는 비행체의 위치, 고도, 속력, 진행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비행상태 정보를 분석하면 비행체(100)의 현재 위치와 앞으로 이동하는 곳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ltitude, speed,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when analyzing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100 and the location of moving forward. have.

또한, 비행상태 정보에 비행체의 주변 영상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행체 주변의 영상을 분석하여 비행체가 비행하고 있는 위치,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비행공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the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know the current flight space including the loc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flying vehicle by analyzing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제어부(150)는 현재 비행공간을 기준으로 비행체의 다음 비행경로를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상기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한다.The control unit 150 sets a flight path by selecting a flight space having the better communication state from the current flight space and the neighboring flight spaces for the next flight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urrent flight space.

여기서, 제어부(150)는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패킷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고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패킷을 최적화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150 may analyze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packe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ptimize a communication packe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learning algorithm.

즉, 제어부(150)는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이력을 기록하고 이를 빅데이터 분석을 하거나 통신 과정마다 통신 패킷의 상태를 변경하여 최적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통신 알고리즘을 변경하여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통신 감도나 통신 트래픽이 변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통신 상태을 유지할 수 있는 통신 패킷 상태를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생성하여 이를 해당 통신 상태에 맞게 적용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50 records the communication histor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alyzes the big data, or changes the communication packet state for each communication process to change the communication algorithm so that optima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n algorithm for optimizing a communication packet state that can maintain an optimal communication state even when communication sensitivity or communication traffic changes, and applies i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여기서, 제어부(150)는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패킷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파라미터(parameter)를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학습알고리즘을 통해서 혼잡(congestion)을 예상하고, 혼잡을 회피하기 위해서 통신 패킷의 flow를 최적화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150 predicts congestion through a learning algorithm that continuously changes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parameter of a communication packe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avoid congestion The flow of communication packets can be optimized.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 패킷 손실(Packet Loss)이 심하거나 Latency 변경이 심한 경우에 TCP/IP를 최적화하여 Throughput을 최대화하는 학습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망에서의 통신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secure a communication stabi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performing a learning algorithm that optimizes TCP/IP to maximize throughput when communication packet loss is severe or the latency change is severe.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 패킷의 RTT(Round Trip Time)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혼잡(congestion)인 경우에 패킷 rate를 조정하여 혼잡을 회피하는 학습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망에서의 통신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ontinuously checks the round trip time (RTT) of the communication packet to adjust the packet rate in the case of congestion to perform a learning algorithm to avoid congestion to secure communication stabilit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You ma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경우에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flight path to a flight space having a better communication state among current flight spaces and neighboring flight spaces when setting a flight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는 비행체의 비행공간을 16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비행공간 등급은 A,B,C의 3개의 등급으로 표시하고 있다.In FIG. 2, the flight space of the vehicle is divided into 16 spaces, and the flight space class is represented by three classes: A, B, and C.

여기서, 비행공간 등급은 가장 통신상태가 좋은 공간을 A로 설정하고, 중간 통신상태는 B로 설정하고, 통신상태가 안 좋은 공간은 C로 표시한다.Here, the class of the flight space is set to A for the space with the best communication status, B to the intermediate communication status, and C for the space with poor communication status.

도 2에서 S는 비행체(100)의 출발지를 의미한다. In FIG. 2, S denotes the starting point of the vehicle 100.

비행체(100)가 출발지(S)에서 출발하면 그 다음 비행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비행체(100)의 위치인 출발지(S)에서 주변의 비행공간 중에서 가장 통신 상태가 좋은 13번 비행공간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비행체는 현재 비행공간인 13번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주변 비행공간인 9번 비행공간과 14번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인 14번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다음 비행경로로 설정한다.When the aircraft 100 departs from the origin S, the next flight space moves from the origin S, which i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ircraft 100, to flight space 13, which has the best communication status, among the surrounding flight spaces as described above. do. Then, the aircraft selects the current flight space, flight space No. 13 and neighboring flight spaces, flight space No. 9 and flight space 14, which have better communication status, and set flight path No. 14 as the next flight path. .

14번 비행공간으로 이동한 비행체(100)는 이웃하는 10번 비행공간과 15번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인 10번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10번 비행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한다.The vehicle 100 moved to flight space 14 moves by setting the flight path to flight space 10 by selecting flight space 10, which is a better communication space among neighboring flight spaces 10 and 15. do.

10번 비행공간으로 이동한 비행체(100)는 이웃하는 6번 비행공간과 9번 비행공간과 11번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인 11번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11번 비행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한다.The vehicle 100 that has moved to the flight space 10 moves to the flight space 11 by selecting the flight space No. 11, which has better communication status, from the neighboring flight spaces No. 6, No. 9, and No. 11 flight spaces. Set the path and go.

11번 비행공간으로 이동한 비행체(100)는 이웃하는 7번 비행공간과 12번 비행공간과 15번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인 12번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12번 비행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한다.The vehicle 100 moved to the 11th flight space and selected the 12th flight space, which has better communication status, from the neighboring 7th flight space, the 12th flight space, and the 15th flight space to fly to the 12th flight space. Set the path and go.

12번 비행공간으로 이동한 비행체(100)는 이웃하는 8번 비행공간과 16번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인 8번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8번 비행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한다.The aircraft 100 moved to flight space 12 moves by setting flight path to flight space 8 by selecting flight space 8, which is a better communication space among neighboring flight spaces 8 and 16. do.

8번 비행공간으로 이동한 비행체(100)는 이웃하는 4번 비행공간과 7번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인 4번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4번 비행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한다.The vehicle 100 moved to flight space 8 moves by setting the flight path to flight space 4 by selecting flight space 4, which is a better communication space among neighboring flight spaces 4 and 7 do.

4번 비행공간으로 이동한 비행체(100)는 이후 목적지(D)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한다.The vehicle 100 moved to the flight space 4 and then moves by setting a flight path to the destination D.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한 비행체의 최종 비행경로는 출발지(S)->13번 비행공간->14번 비행공간->10번 비행공간->11번 비행공간->12번 비행공간->8번 비행공간->4번 비행공간->목적지(D)가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nal flight path of the moved vehicle is the origin (S)->13 flight space->14 flight space->10 flight space->11 flight space->12 flight space->8 flight Flight Space->4 Flight Space->Destination (D).

본 발명의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는 이렇게 통신 안정성이 높은 지역내에서 비행경로가 설정되도록 하므로 통신 제어 신호가 끊어지지 않도록 비행경로가 설정되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The vehicle that sets the flight path us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light path to be set in an area with high communication stability, so that the flight path is set so that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is not broken, so that the flight can be safely performed to the destination.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setting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0 단계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통신 안정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비행체(100)가 해당 통신사의 통신 안정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Step S100 is a step of receiv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rver as described above, or the aircraft 100 may stor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ompany.

비행체(100)가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비행체(100)가 이동한 비행공간에 속하는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다.When the vehicle 100 receives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arrier server, the vehicle 100 receives it through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arrier belonging to the flight space where the vehicle 100 has moved.

이렇게 비행체(100)가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해당 비행체(100)가 비행하는 비행공간 및 주변의 비행공간의 통신 안정성 정보가 업데이트되므로 비행공간 등급이 새롭게 설정된다.When the vehicle 100 receives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the flight space and the surrounding flight space in which the corresponding vehicle 100 is flying is updated whenever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is received. The rating is newly set.

S200 단계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이다.Step S200 is a step of setting a flight space class by analyz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비행공간의 등급은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공간의 통신상태에 따라 등급을 설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lass of the flight space analyzes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nd sets the clas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flight space.

여기서, 통신 안정성 정보는 이동통신사가 자사의 기지국을 위치를 고려하여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의 통신 감도 및 통신 트래픽에 대한 정보와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의 통신 감도 및 통신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sensitivity and communication traffic in a region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sensitivity and communication traffic in a region where the base station is not installed,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operator. have.

따라서,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면 비행체(100)가 비행하고 있는 비행공간의 통신상태를 알 수 있다.Therefore,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know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flight space in which the vehicle 100 is flying.

S300 단계는 비행체(100)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비행체의 현재 비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In step S300, the vehicle 100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flight status of the vehicle using various sensors.

즉, 비행체의 GPS 위치정보, 고도정보, 이동방향정보, 각속고,선속도, 풍속, 온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at is, it includes information on GPS location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gular velocity, linear velocity, wind speed, temperature, etc. of the vehicle.

여기서, 비행체(100)가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행체(100)의 비행공간 주변의 영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when the vehicle 100 includes a camera, it may further include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flight space of the vehicle 100.

S400 단계는 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체가 현재 비행하고 있는 비행공간을 식별하는 단계이다.Step S400 is a step of analyzing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flight space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flying.

상술한 바와 같이 비행상태 정보에는 비행체(100)의 GPS 위치정보, 고도, 진행방향, 속력 및 풍속과 온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altitude, traveling direction, speed, wind speed, and temperature information.

따라서, 비행상태 정보를 분석하면 비행체의 현재 비행공간과 다음 이동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Therefore, by analyzing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urrent flight space and the next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또한, 비행체(100)에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행체 주변의 영상정보를 카메라로부터 획득하여 비행체의 주변의 영상정보를 분석하면 비행체의 현재 비행공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mera is included in the vehicle 100, the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is obtained from the camera and the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current flight space of the vehicle.

S500 단계는 통신상태에 따른 비행공간 등급을 이용하여 비행공간을 기준으로 비행체의 다음 비행경로를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즉, 통신 안정성 등급이 높은) 비행공간 내에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In step S500, the next flight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flight space by using the flight space clas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is within the flight space having a better communication state (ie, a high communication stability class) among the current flight space and the neighboring flight spaces. It is the step to set the flight path in

S600 단계는 상기의 단계를 거쳐 비행체가 목적지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Step S60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through the above steps,

비행체가 목적지(D)에 도착한 경우에는 모든 단계를 종료하고, 비행체가 목적지(D)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의 S300 단계부터 이하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When the vehicle has arrived at the destination (D), all steps are ended, and when the vehicle has not arrived at the destination (D), the following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from the above step S300.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임은 자명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비행체
110 : 통신부
120 : 비행상태정보 생성부
130 : 비행공간등급 설정부
140 : 비행공간 식별부
150 : 제어부
100: aircraft
110: communication unit
120: flight statu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flight space class setting unit
140: flight space identification unit
150: control unit

Claims (12)

이동통신사의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 또는 저장하고 있으며, 비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비행 공간을 식별하며 상기 현재 비행 공간의 통신 안정성을 판단하여 상기 현재 비행 공간의 통신 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 안정성이 안정적인 공간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사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비행체의 현재 비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행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상태 정보 생성부;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공간의 통신상태에 따라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하는 비행공간 등급 설정부;
상기 비행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체의 현재 비행공간을 식별하는 비행공간 식별부; 및
상기 현재 비행공간을 기준으로 비행체의 다음 비행경로를 상기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상기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을 선택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Receiving or stor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of a mobile carrier, generating flight status information, analyzing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a current flight space, and determining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current flight space to determine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current flight space. By setting the flight path to a space in which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s stable when unstable,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o receiv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 flight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ligh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current flight status of the vehicle;
A flight space class setting unit that analyzes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nd sets a flight space clas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flight space;
A flight space identification unit that analyzes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a current flight space of a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flight path by selecting a flight space having better communication status from the current flight space and a neighboring flight space based on the current flight space;
Air vehicle for setting a flight path us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는 해당 이동통신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의 이동통신사의 통신트래픽 정보, 통신감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traffic information, communica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es a flight path to set the flight path us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패킷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고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패킷을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communication state of a communication packet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ets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optimizing the communication packe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learning algorithm. Aircraf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상기 통신 패킷의 TCP 파라미터(parameter)를 계속적으로 변경하여 혼잡(congestion)을 예상하고 상기 통신 패킷의 flow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learning algorithm predicts congestion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TCP parameter of the communication packet, and sets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optimizing the flow of the communication packe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통신 패킷 손실(Packet Loss)이 심하거나 Latency 변경이 심한 경우에 TCP/IP 를 최적화하여 Throughput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learning algorithm is a vehicle that sets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maximizing throughput by optimizing TCP/IP when communication packet loss is severe or the latency change is seve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RTT(Round Trip Time)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혼잡(congestion)인 경우에 패킷 rate를 조정하여 상기 혼잡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learning algorithm continuously checks the Round Trip Time (RTT) to adjust the packet rate in the case of congestion to adjust the packet rate to set the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avoids the congestion.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 안정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안정성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공간의 통신상태를 구분하여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하는 비행공간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비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체가 현재 비행하고 있는 비행공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비행공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비행체의 다음 비행경로가 현재 비행공간과 이웃하는 비행공간 중에서 통신상태가 더 좋은 비행공간 등급을 포함하여 설정되도록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Receiv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and setting a flight space class for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flight space and setting a flight space class;
Generating flight status information;
Analyzing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a flight space i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flying; And
Setting a flight path so that a next flight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flight space is set to include a flight space class having a better communication status among current flight spaces and neighboring flight spaces using the flight space class;
How to set the flight path us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 패킷의 통신 상태를 분석하고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 패킷을 최적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alyzing a communication state of a communication packe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ptimizing the communication packe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learning algorithm;
Method for setting a flight path using the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상기 통신 패킷의 TCP 파라미터(parameter)를 계속적으로 변경하여 혼잡(congestion)을 예상하고 상기 통신 패킷의 flow를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learning algorithm is a method of establishing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optimizing the flow of the communication packet and predicting congestion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TCP parameter of the communication packe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통신 패킷 손실(Packet Loss)이 심하거나 Latency 변경이 심한 경우에 TCP/IP 를 최적화하여 Throughput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learning algorithm is a method of establishing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maximizing throughput by optimizing TCP/IP when communication packet loss is severe or latency changes are sever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학습알고리즘은 RTT(Round Trip Time)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혼잡(congestion)인 경우에 패킷 rate를 조정하여 상기 혼잡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안정성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learning algorithm is a method of establishing a flight path using communication stability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inuously checking the round trip time (RTT) and adjusting the packet rate in the case of congestion, the congestion is avoided.
KR1020180038907A 2018-04-03 2018-04-03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KR102128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07A KR102128060B1 (en) 2018-04-03 2018-04-03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07A KR102128060B1 (en) 2018-04-03 2018-04-03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90A KR20190115790A (en) 2019-10-14
KR102128060B1 true KR102128060B1 (en) 2020-06-30

Family

ID=6817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07A KR102128060B1 (en) 2018-04-03 2018-04-03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0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842B1 (en) 2020-07-22 2020-10-22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Emergency control device to respond in the event of a loss of communication or failure situation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517830B1 (en) * 2022-08-17 2023-04-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light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rban air mobil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19A (en)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KR101805975B1 (en) * 2015-02-25 2017-12-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n unmanned airborne vehicle for wireless network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70099094A (en) 2016-02-23 2017-08-31 (주)파인텔레콤 Drone capable of connecting with ground control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842B1 (en) 2020-07-22 2020-10-22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Emergency control device to respond in the event of a loss of communication or failure situation of a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517830B1 (en) * 2022-08-17 2023-04-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light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rban air mo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90A (en)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3957B2 (en) Maintaining network connectivity of aerial devices during unmanned flight
US10020872B2 (en) UAV for cellular communication
US9927807B1 (en) Command and control of unmanned vehicles using cellular and IP mesh technologies for data convergence
EP3507999B1 (en) Uav for cellular communication
EP3664479B1 (en) Uav supporte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US9866313B1 (en) UAV cellular communication service delivery
US11196157B1 (en) Optimizing joint aerial-layer networks using steerable antennas
Bekkouche et al. A service-based architecture for enabling UAV enhanced network services
CN111262614A (en) Unmanned aerial vehicle modular redundant communication
EP3485675A1 (en) Managing a parameter of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based on manned aviation data
US2020006841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28060B1 (en)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US20230174235A1 (en) Mobile device alternate network channels
US103682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management
EP3293893B1 (en) Ground direction of aircraft datalinks
EP33353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management
CA31579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able cellular networks
EP3287748B1 (en) An operation-aware aerial navigation system
KR20240041615A (en) Method for cellular-based aircraf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Wang et al. A DAG-Based Reliable Routing Mechanism for Dynamic UAV Mesh Network
Devoti et al. Taming Aerial Communication With Flight-Assisted Smart Surfaces in the 6G Era: Novel Use Cases, Requirements, and Solutions
Karras et al. Optical terminal requirements for aeronautical multi-hop networks
WO2023114463A1 (en) Wireless aircraft communication system
EP31395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cations manag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