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870B1 -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870B1
KR102127870B1 KR1020190029165A KR20190029165A KR102127870B1 KR 102127870 B1 KR102127870 B1 KR 102127870B1 KR 1020190029165 A KR1020190029165 A KR 1020190029165A KR 20190029165 A KR20190029165 A KR 20190029165A KR 102127870 B1 KR102127870 B1 KR 10212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drum
air
air hose
hos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Priority to KR102019002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20Calculating means; Controlling methods
    • B65H2557/24Calculating methods; Mathemat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공급이 가능하며, 풀림이 가능하도록 호스드럼에 감겨진 에어호스를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명구조원용 면체측에 구성되어 호스드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인명구조원의 구조작업이 수월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명구조원용 에어호스와 요구조자용 에어호스가 각각 감겨진 호스드럼을 필요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연동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명구조원이 에어호스를 소지하고 재난현장으로 이동할 때 각 에어호스를 쉽게 전달할 수 있고,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가 개별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에어호스에 의해 이동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Air hose supply for life saving}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공급이 가능하며, 풀림이 가능하도록 호스드럼에 감겨진 에어호스를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탱크의 휴대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의 안면을 보호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고,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생활이 늘고, 건축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테러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내부인원이 도피하지 못하여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최근 비상대피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화재나 독가스 등의 비상시에 내부인원의 비상탈출을 돕기 위한 비상용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화재와 같은 재난사고는 열과 화염, 유독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사람을 위험에 빠지게 한다. 화재 발생시 인사사고의 대부분은 화기로 인한 것이 아니라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이다. 통계에 따르면 화재로 인한 사망 중에 60% 이상이 가스와 연기에 질식하여 사망하는 것이고, 약 20% 정도만이 화상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알려진 바로는 화재가 발생한 후 2~5분 정도 경과하면 유독가스와 연기로 인해 질식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공기호흡기와 같은 공기공급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공기호흡기는 분진, 유해가스등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이나 산소결핍장소의 작업자, 지하철 등에서의 화재발생 및 화재 현장 등의 인명구조원(소방대원)들이 착용하여 안면을 보호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고자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호흡기는 코와 입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와, 이 마스크와 연결하여 공기저장부를 설치하고, 공기저장부에는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저장되도록 하고, 저장된 공기를 호흡에 사용하는 것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공기호흡기는 사용시간이 40~60분으로 짧으며, 15~20kg으로 무겁고, 비좁은 공간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사용법이 어려워 전문교육을 이수한 전문가만이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지금까지 개발된 화재 등의 비상용 호흡장치들은 크게 공기중의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방식과 사용자에게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는 방직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제품의 경우, 가격은 저렴하나, 화재 등으로 인하여 산소가 부족한 경우에는 대처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한편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은 소방관이나 스쿠버 다이버들이 사용하는 중대형 공기공급장치가 오래 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대형 제품들은 개인이 사용하기에는 필요이상으로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가격 또한 고가라는 문제점 때문에 전문요원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살펴볼 때, 공기공급시간을 늘릴 수 있으면서, 무게가 가벼우며, 소방관의 구조활동이 용이한 공기공급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699호 '전선 및 에어호스 권취구'를 살펴보면, 전선과 에어호스가 듀얼형태로 형성된 권취구로, 전원이나 공기공급이 필요로 하는 곳까지 전선 및 에어호스를 공급함으로써, 필요현장에 자유롭게 전원 및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권취장치가 개시되어 있음.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 에어호스와 전선이 감겨져 있는 각 드럼의 회동이 별도로 행해져 전선드럼과 에어호스드럼이 단순히 결합된 형태에 불과하여 권취시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699호 '전선 및 에어호스 권취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기 공급이 가능하며, 풀림이 가능하도록 호스드럼에 감겨진 에어호스와 해당 에어호스의 일단에 구성된 면체를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공기탱크의 휴대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의 안면을 보호하면서 공기를 공급하고,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명구조원용 면체측에 구성되어 호스드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인명구조원의 구조작업이 수월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명구조원용 에어호스와 요구조자용 에어호스가 각각 감겨진 호스드럼을 필요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연동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에어호스의 전달 및 권취를 현장의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는, 소방대원이 착용하는 소방대원용 면체와 연결된 제1 에어호스가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진 제1 호스드럼; 소방대원이 휴대하며 요구조자가 착용하는 요구조자용 면체와 연결된 제2 에어호스가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진 제2 호스드럼; 및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연동여부를 조절하는 연동락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동락킹부는, 상기 제2 호스드럼을 상기 제1 호스드럼 측으로 이동시키는 드럼이송모듈; 제1 호스드럼의 양측면 중 제2 호스드럼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 제2 호스드럼의 양측면 중 제1 호스드럼을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호스드럼은, 상기 드럼이송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호스드럼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워지면, 상기 제1 호스드럼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은,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가 각각 감겨지는 드럼실린더; 및 상기 드럼실린더의 양측면을 구성하여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 및 끼움돌기는,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가이드플레이트 중 마주보는 가이드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끼움홈의 측면 중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가이드하는 홈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끼움돌기의 측면 중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가이드하는 돌기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락킹부는, 상기 드럼이송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소방대원용 면체 측에 구성되며, 상기 드럼이송모듈을 통해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연동여부를 제어하는 연동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확인 및 분석하여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풀림길이를 확인하는 연산처리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소방대원용 면체 측에 구성되며,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확인된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풀림길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스공급길이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락킹부는, 상기 소방대원용 면체 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연동여부를 제어하는 연동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컨트롤러는, 후면부에 소방대원의 이동방향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컨트롤러는, 후면부에 소방대원의 이동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에 구성된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공기 공급이 가능하며, 풀림이 가능하도록 호스드럼에 감겨진 에어호스와 해당 에어호스의 일단에 구성된 면체를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공기탱크의 휴대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의 안면을 보호하면서 공기를 공급하고,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흡입을 방지하여 유독가스와 연기로 인해 질식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드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인명구조원이 구조작업을 함에 있어 상황에 따라 직접 에어호스를 조절할 수 있어 신속하게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명구조원용 에어호스와 요구조자용 에어호스가 각각 감겨진 호스드럼을 필요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연동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명구조원이 에어호스를 소지하고 재난현장으로 이동할 때 각 에어호스를 쉽게 전달할 수 있고, 인명구조원과 요구조자가 개별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에어호스에 의해 이동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호스드럼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감지하여 에어호스의 풀림길이 파악이 가능하고, 컨트롤러를 통해 실시간으로 풀림길이를 확인할 수 있어 인명구조원이 풀림길이를 고려하여 구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인명구조원 또는 구조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외부와의 거리를 확인하며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인명구조원 및 요구조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호스드럼과 제2 호스드럼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호스드럼의 끼움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호스드럼의 끼움돌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호스드럼과 제2 호스드럼의 연동 및 연동해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동컨트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조명모듈 및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연동컨트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호스 공급장치(A)는 인명구조원(이하, ‘소방대원’이라고 한다.)이 착용하는 소방대원용 면체(410)와 연결된 제1 에어호스(130)가 감겨진 제1 호스드럼(100), 요구조자(구조를 받는 자)가 착용하는 요구조자용 면체(420)와 연결된 제2 에어호스(230)가 감겨진 제2 호스드럼(200) 및 각 호스드럼(100, 200)의 연동여부를 조절하는 연동락킹부(300)를 포함한다.
소방대원용 면체(410)와 요구조자용 면체(420)는 외부 공기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어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으로, 착용자 머리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귀에 걸릴 수 있도록 걸이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소방대원용 면체(410)와 요구조자용 면체(420)는 각각 에어호스(130, 230)와 연결되며, 에어호스(130, 230)의 내부에는 착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된다.
에어호스(130, 230)는 소방대원용 면체(410)와 연결된 제1 에어호스(130)와, 요구조자용 면체(420)와 연결된 제2 에어호스(230)로 구성되며, 제1 에어호스(130)는 제1 호스드럼(100)에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고, 제2 에어호스(230)는 제2 호스드럼(200)에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져 구비된다.
제1 에어호스(130)와 제2 에어호스(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에어라인(131, 132)이 일체로 구성된다.
제1 호스드럼(100)은 상술한 제1 에어호스(130)가 감겨지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제1 드럼실린더(311)(120)와, 제1 드럼실린더(311)(1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1 에어호스(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호스드럼(200)은 제2 호스드럼(200)은 상술한 제1 에어호스(130)가 감겨지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제2 드럼실린더(311)(220)와, 제2 드럼실린더(311)(2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제2 에어호스(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플레이트(210)로 포함한다.
제1 에어호스(130)와 제2 에어호스(230)는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이 회전 또는 역회전 됨으로써 풀리거나 감겨질 수 있다.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은 후술한 연동락킹부(300)에 의해 상호 밀착되어 연동되어 회동되거나, 분리되어 각각 단독 회동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동락킹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호스드럼의 끼움홈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호스드럼의 끼움돌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동락킹부(300)는 제1 호스드럼(100) 및 제2 호스드럼(200) 중 어느 하나를 타 호스드럼측으로 이동시키는 드럼이송모듈(310), 제1 호스드럼(100) 및 제2 호스드럼(20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320), 타 호스드럼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드럼이송모듈(310)이 제2 호스드럼(200)을 이동시키고, 끼움홈(320)이 제1 호스드럼(100)에 구성되며, 끼움돌기(330)가 제2 호스드럼(200)에 구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먼저, 드럼이송모듈(310)은 제2 호스드럼(200)을 제1 호스드럼(100)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호스드럼(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311)와, 제2 호스드럼(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실린더(311)에 의해 전후이동되는 피스톤로드(312)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311)는, 모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피스톤로드(312)와 같이 제2 호스드럼(200)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끼움홈(320)은 제1 호스드럼(100)의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 중 제2 호스드럼(20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끼움돌기(330)는 제2 호스드럼(200)의 제2 가이드플레이트(210) 중 끼움홈(320)이 형성된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를 향하여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을 참조하면, 끼움홈(320)은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의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끼움돌기(330)는 끼움홈(320)에 대응하는 크기 및 개수로 제2 가이드플레이트(210)에 형성된다.
드럼이송모듈(310)의 구동에 의해 제2 호스드럼(200)은 제1 호스드럼(100)과 밀착되어 끼움돌기(330)와 끼움홈(320)이 결합됨으로써 연동이 가능하게 되고, 제2 호스드럼(200)이 제1 호스드럼(1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끼움돌기(330)와 끼움홈(320)이 분리되어 단독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호스드럼(100)의 끼움홈(320)에 제2 호스드럼(200)의 끼움돌기(330)가 삽입되면,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은 함께 회동되게 되며, 제1 호스드럼(100)의 끼움홈(320)으로부터 제2 호스드럼(200)의 끼움돌기(330)를 빼내게 되면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은 각각 단독 회동된다. 이와 같이 제2 호스드럼(200)의 이동을 통해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의 연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제1 에어호스(130)와 제2 에어호스(230)가 각각 감겨진 호스드럼(100, 200)을 연동하여 회동시키거나, 단독으로 회동시켜야 할 경우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소방대원이 구조현장에 진입하여 요구조자가 위치해 있는 곳으로 이동할 때는 제1 에어호스(130)와 제2 에어호스(230)를 연동시킨 상태에서 진입하는 것이 이동에 수월한 반면, 요구조자에게 요구조자용 면체(420)를 착용시킨 상태에서는 요구조자의 이동방법에 따라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의 회동을 독립적으로 하는 것이 수월할 수 있다. 또한, 소방대원용 면체(410)를 착용한 소방대원은 구조현장에 남게 되고, 요구조자용 면체(420)를 착용한 요구조자만 현장 밖으로 구조될 때에도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의 회동이 독립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방대원이 에어호스(100, 200)를 소지하고 구조현장으로 이동할 때 제2 에어호스(200)를 쉽게 전달할 수 있고, 소방대원과 요구조자가 개별로 이동해야 하거나, 요구조자의 구조방식을 취함에 있어서 에어호스(100, 200)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끼움홈(320)이 형성되는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는 끼움홈(320)의 측면 중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에, 끼움돌기(330)가 끼워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홈경사면(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111’은 베어링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돌기(330)는, 끼움돌기(330)의 측면 중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상기 끼움홈(320)에 끼워지도록 가이드하는 돌기경사면(331)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경사면(331)은 끼움홈(320)을 향하여 점차 일단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움홈과 끼움돌기(330)의 결합이 보다 수월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돌기경사면(331)이 형성된 끼움돌기(330)는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홈경사면(321)을 따라 안내되어 끼움홈(320)에 보다 쉽게 삽입이 가능하다.
도 4에서 미설명부호 ‘211’은 베어링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호스드럼과 제2 호스드럼의 연동 및 연동해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드럼이송모듈(310)의 피스톤로드(312)의 일단은 실린더(311)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2 호스드럼(200)과 연결된다. 제2 호스드럼(200)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312)의 일단은 제2 호스드럼(20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2 호스드럼(200)이 회동되도록 구비되므로 베어링(미부호)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호스 공급장치(A)의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은 연동해지를 통해 상호 분리가 가능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호스드럼(100)의 중심부로부터 제2 호스드럼(200)의 중심부로 관통된 회동축(510)을 포함한다.
회동축(510)은 제2 호스드럼(200)이 드럼이송모듈(310)에 의해 이동되는데 있어 간섭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은 회동되도록 구비되므로 회동축(510)과 각 호스드럼(100, 200) 사이에는 베어링(미부호)이 배치된다.
또한, 회동축(510)은 제2 호스드럼(200)에 삽입되는 일측에 구성된 가이드부(511)를 포함하고, 제2 호스드럼(200)은 가이드부(511)에 대응 하는 가이드홈(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호스드럼(200)은 회동축(510)의 가이드부(511)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며, 회동축(51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실린더(311)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312)는 제1 호스드럼(100)측으로 이동되거나 제2 호스드럼(200)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의 연동 및 연동해지가 가능하다.
도 5의 (a)는 제2 호스드럼(200)이 제1 호스드럼(100)과 분리되어 연동이 해지된 상태이며, 제1 호스드럼(100)은 회동축(510)에 지지되고, 제2 호스드럼(200)은 회동축(510) 및 피스톤로드(312)에 지지되어 각각 단독 회동이 가능하다.
도 5의 (b)는 드럼이송모듈(310)의 동작에 의해 제2 호스드럼(200)이 제1 호스드럼(100)에 밀착되어 끼움홈(320)과 끼움돌기(330)가 결합되어 상호 연동된 상태이며, 제1 호스드럼(100)은 회동축(510)에 지지되고, 제2 호스드럼(200)은 회동축(510) 및 피스톤로드(312)에 지지되어 제1 호스드럼(100) 및 제2 호스드럼(200) 중 적어도 하나의 회동에 의해 다른 하나도 함께 회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호스 공급장치(A)는 도 5의 (a)와 같이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이 연동해지된 상태를 기본상태인 것으로 설명했으나, 도 5의 (b)와 같이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이 연동된 상태를 기본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호스 공급장치(A)는, 제1 에어호스(130)와 연결된 소방대원용 면체(410)와, 제2 에어호스(230)와 연결된 요구조자용 면체(420)에 공급되는 공기는 에어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며, 에어탱크의 공기는 도 1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컨넥터(500’)와 연결되는 에어탱크라인(미도시)을 통해 공급이 가능하다.
제1 컨넥터(500)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는 회동축(510)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라인(미도시)으로 유동되고, 회동축(510) 내부의 에어라인은 도 5에 도시된 제1 회동형연결구(520)와 연결되어 제1 호스드럼(100)이 회동되더라도 선회되어 제1 에어호스(130)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컨넥터(500’)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는 피스톤로드(312)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라인(미도시)으로 유동되고, 피스톤로드(312) 내부의 에어라인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동형연결구(520’)와 연결되어 제2 호스드럼(200)이 회동되더라도 선회되어 제2 에어호스(230)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동컨트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동락킹부(300)는 구조를 실시하고 있는 소방대원이 연동락킹부(300)를 제어하여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의 연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연동컨트롤러(630)를 포함한다.
연동컨트롤러(630)는, 제1 에어호스(130)의 일단에 구성된 소방대원용 면체(410)측에 분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연동컨트롤러(630)와 드럼이송모듈(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연동컨트롤러(630)와 드럼이송모듈(310)은 상술한 제1 컨넥터(500)와, 제1 회동형연결구(520)를 통해 유선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현장에 진입하여 구조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소방대원이 현장 상황에 따라 드럼이송모듈(310)을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현장 외부에 있는 인원에게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의 연동 및 연동해지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하게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호스 공급장치(A)는 도 6을 참조하면, 제1 호스드럼(100)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감지센서(610)와, 회전감지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제1 에어호스(130) 및 제2 에어호스(230)의 풀림길이를 확인하는 연산처리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감지센서(610)는 엔코더 방식으로 제1 호스드럼(100)의 제1 가이드플레이트(110)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호스드럼(1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감지센서(610)는 연동해지되어 단독 회동되는 제2 호스드럼(200)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감지센서(61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확인 및 분석하는 연산처리부(620)는 제1 호스드럼(100) 및 제2 호스드럼(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호스드럼(100) 및 제2 호스드럼(200)의 외부에 별도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산처리부(620)는 연동컨트롤러(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산처리부(620)가 구성되는 경우, 드럼이송모듈(310)은 연산처리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동컨트롤러(630)는 연산처리부(620)에서 확인 및 분석된 제1 호스드럼(100) 및 제2 호스드럼(200) 중 적어도 하나의 풀림길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스공급길이표시부(6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스공급길이표시부(631)는 현재 제1 호스드럼(100)과 제2 호스드럼(200)의 연동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방대원이 소지하여 현장에 진입한 연동컨트롤러(630)를 통해 호스공급길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소방대원 또는 요구조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외부와의 거리 확인 또한 가능하고, 이를 통해 현장에 진입한 소방대원 및 구조되고 있는 요구조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호스드럼(100) 및 제2 호스드럼(200)의 연동상태를 확인하면서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현장 외부에 있는 인원에게 호스드럼(100, 200) 연동여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하게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조명모듈 및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연동컨트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동컨트롤러(630)는 어두운 구조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모듈(6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모듈(632)은 연동컨트롤러(630)의 후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소방대원의 이동방향에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조명모듈(632)의 온/오프(On/Off)는 연동컨트롤러(630)에 구성된 조작버튼(미부호)을 통해 가능하다.
또한, 연동컨트롤러(630)는, 구조현장을 촬영하여 현장의 외부에 있는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633)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633)은 연동컨트롤러(630)의 후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소방대원의 이동방향을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633)의 온/오프 또한 연동컨트롤러(630)에 구성된 조작버튼을 통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소방대원은 별도의 조명기구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어두운 구조현장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소지품을 줄일 수 있어 보다 편한 구조활동이 가능하며, 구조현장의 상황을 외부에 있는 인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구조현장 상황에 대한 외부의 판단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현장 또는 요구조자의 대한 대처가 수월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1 에어호스(130)와 제2 에어호스(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에어라인(131, 132)이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제1 에어호스(130)는 연동컨트롤러(63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케이블(132, 232)이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에어호스(230) 또한 필요에 따라 케이블(132, 232)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에어호스 공급장치
100 : 제1 호스드럼 110 : 제1 가이드플레이트
120 : 제1 드럼실린더 130: 제1 에어호스
200 : 제2 호스드럼 210 : 제2 가이드플레이트
220 : 제2 드럼실린더 230: 제2 에어호스
300 : 연동락킹부 310 : 드럼이송모듈
320 : 끼움홈 321 : 홈경사면
330 : 끼움돌기 331 : 돌기경사면
410 : 소방대원용 면체 420 : 요구조자용 면체
500 : 제1 컨넥터 500': 제2 컨넥터
610 : 회전감지센서 620 : 연산처리부
630 : 연동컨트롤러 631 : 호스공급길이표시부
632 : 조명모듈 633 : 카메라모듈

Claims (10)

  1. 소방대원이 착용하는 소방대원용 면체와 연결된 제1 에어호스가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진 제1 호스드럼;
    소방대원이 휴대하며 요구조자가 착용하는 요구조자용 면체와 연결된 제2 에어호스가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진 제2 호스드럼; 및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연동여부를 조절하는 연동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락킹부는,
    상기 제2 호스드럼을 상기 제1 호스드럼 측으로 이동시키는 드럼이송모듈;
    제1 호스드럼의 양측면 중 제2 호스드럼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 및
    제2 호스드럼의 양측면 중 제1 호스드럼을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끼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호스드럼은,
    상기 드럼이송모듈에 의해 상기 제1 호스드럼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워지면, 상기 제1 호스드럼과 함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은,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가 각각 감겨지는 드럼실린더; 및
    상기 드럼실린더의 양측면을 구성하여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 및 끼움돌기는,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가이드플레이트 중 마주보는 가이드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끼움홈의 측면 중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가이드하는 홈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끼움돌기의 측면 중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가이드하는 돌기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락킹부는,
    상기 드럼이송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소방대원용 면체 측에 구성되며, 상기 드럼이송모듈을 통해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연동여부를 제어하는 연동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확인 및 분석하여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풀림길이를 확인하는 연산처리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소방대원용 면체 측에 구성되며,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확인된 상기 제1 에어호스 및 제2 에어호스의 풀림길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스공급길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락킹부는,
    상기 소방대원용 면체 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1 호스드럼 및 제2 호스드럼의 연동여부를 제어하는 연동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컨트롤러는,
    후면부에 소방대원의 이동방향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컨트롤러는,
    후면부에 소방대원의 이동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에 구성된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10. 삭제
KR1020190029165A 2019-03-14 2019-03-14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KR10212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165A KR102127870B1 (ko) 2019-03-14 2019-03-14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165A KR102127870B1 (ko) 2019-03-14 2019-03-14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870B1 true KR102127870B1 (ko) 2020-06-29

Family

ID=7140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165A KR102127870B1 (ko) 2019-03-14 2019-03-14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8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806A (ja) * 1998-10-20 2000-04-25 Shigematsu Works Co Ltd 巻取り式ホースマスク
JP2000327231A (ja) * 1999-05-17 2000-11-28 Max Co Ltd エアホースドラム
US20040231723A1 (en) * 2003-03-13 2004-11-25 Harrington Jeffrey M. Remote control for hose operation
JP2015168504A (ja) *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ホース巻き取り装置及びこのホース巻き取り装置を搭載する高圧洗浄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806A (ja) * 1998-10-20 2000-04-25 Shigematsu Works Co Ltd 巻取り式ホースマスク
JP2000327231A (ja) * 1999-05-17 2000-11-28 Max Co Ltd エアホースドラム
US20040231723A1 (en) * 2003-03-13 2004-11-25 Harrington Jeffrey M. Remote control for hose operation
JP2015168504A (ja) *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ホース巻き取り装置及びこのホース巻き取り装置を搭載する高圧洗浄車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699호 '전선 및 에어호스 권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9128A1 (ko)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2014513B1 (ko) 산소순환호흡장치
US10788671B2 (en) Enhanced vision for firefighter using heads up display and gesture sensing
US20100078025A1 (en) Breathing Apparatus with Sensor
JP6841890B1 (ja) 電子制御による吸気の酸素配合と呼気の二酸化炭素除去の機能を有する再呼吸装置
KR20110053826A (ko) 유해작업장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복합형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2328A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및 이를 이용한 대원관리시스템
WO2013089714A1 (en) Hybrid self-rescue equipment
KR20110053827A (ko) 유해작업장 상황에 따른 작업자 작업량 제한 규칙에 대한 방법
KR102127870B1 (ko) 인명구조용 에어호스 공급장치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CN214633433U (zh) 一种具红外视觉增强ar显示功能的空气呼吸器
KR102128187B1 (ko) 듀얼형 에어호스 권취기
WO2021025492A1 (ko) 헤드형 공기질 위험 경고 및 개선장치
US6688309B2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515924B1 (ko) 공기호흡기용 면체 부착형 무선 다중경보시스템
KR102518496B1 (ko) 산소농도 측정용 산소 포집 시스템
KR20200104139A (ko) 산소량 표시장치를 갖는 마스크를 구비한 공기호흡장치
KR102347708B1 (ko) 유해 가스의 실시간 감지 센서모듈이 구비된 웨어러블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US20200376307A1 (en)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With Thermal Imaging Capabilities
US20160228731A1 (en) Non-Breathing Alarm for Self-Contained-Breathing-Apparatus (SCBA)
CN211675945U (zh) 一种全方位观察的正压式空气呼吸机面罩
KR102568617B1 (ko) 밀폐 구역의 안전 사고 예방 및 관리 시스템
CN112766692A (zh) 一种智慧城市用消防调度系统及其调度方法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