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21B1 -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 Google Patents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21B1
KR102127121B1 KR1020190155320A KR20190155320A KR102127121B1 KR 102127121 B1 KR102127121 B1 KR 102127121B1 KR 1020190155320 A KR1020190155320 A KR 1020190155320A KR 20190155320 A KR20190155320 A KR 20190155320A KR 102127121 B1 KR102127121 B1 KR 10212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llow
mixture
filler mixtur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영
김범석
정경헌
강희재
송헌영
우양이
Original Assignee
재인스기초건설 주식회사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인스기초건설 주식회사,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인스기초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 B28C7/02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by measuring the consistency or composition of the mixture, e.g. with supply of a missing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4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synthetic or waste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4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synthetic or waste calcium sulfate cements the synthetic calcium sulfate being a flue gas desulfurization 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4Harden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C04B2103/24Hardening reta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3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soil stabilis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충전재 원료 배합비율 및 배합량을 자동 조절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므로 현장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현장 상황에 적합한 경량 충전재 혼합물 물성을 충분히 구현하여 공동 복구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싸이로 탱크(100), 제어부(200), 제 1교반부(300), 아지데이터부(400), 기포발생부(500), 제 2교반부(600), 유량계(700), 주입부(80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Co-repair unit for on-site pouring of filling material}
본 발명은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재 원료 배합비율 및 배합량을 자동 조절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므로 현장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현장 상황에 적합한 경량 충전재 혼합물 물성을 충분히 구현하여 공동 복구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반함몰은 발생원인에 의해 자연적 현상에 의한 지반함몰(싱크홀)과 인위적 현상에 의한 지반함몰로 구분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지반함몰의 주요원인인 석회암층이 적기 때문에, 석회암 공동에 의한 지반함몰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최근 국내에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지반함몰은 인위적 현상에 의한 것으로서, 그 원인으로는 크게 상하수관의 손상 등에 의한 토사 유출, 터널 굴착 및 지하구조물 시공과 같은 지하공간개발 시의 시공관리 부실 등이 있다.
특히, 인구밀집도가 매우 높고, 수많은 상하수관, 지하매설물 시공, 터널 및 지하구조물 시공이 활발한 대도시, 특히 서울시의 경우에는 크고 작은 지반함몰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서울시에서 지난 5년간(2010년~2014년 상반기) 발생한 지반함몰 발생건수는 2010년 435건, 2011년 573건, 2012년 689건, 2013년 854건 및 2014년(상반기) 568건으로 총 3,119건인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이에 대한 함몰발생 규모를 지중의 공동크기로 분류하면, 대부분이 1m3미만의 소규모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m3이상의 큰 규모의 공동도 316건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 이러한 공동에 대한 기존 복구 공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현재 지반함몰 복구 방법으로는 개착 후 흙메우기 및 그라우팅 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개착 후 흙메우기 공법은 공동이 생긴 도로 주변을 통제한 후, 지반함몰이 일어난 도로를 개착하여 손실된 공동에 흙을 메우고 다짐을 한 후, 상부구조물(도로 등)을 재시공하는 방법이다. 이에 개착으로 인한 원지반 교란에 따른 지반 강도 저하, 복잡한 시공 과정, 공기가 길어져서 발생하는 공사비 증가, 통행제한으로 인한 민원발생 등의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공동 발생주변에 지하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주재료인 토사의 유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공동 복구에 요구되는 필요 이상의 토사가 사용되어 비경제적이며 비효율적인 복구방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토사의 다짐 시 지중매설물에 의해 최적의 다짐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그라우팅 공법은 비개착식으로 공동의 보수/보강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적용성의 용이함과 지반 내 간극까지 충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반 내부에 시멘트계 충전재와 함께 약액을 주입하기 때문에,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수반될 가능성이 있으며, 흙메우기와 동일하게 지하수 흐름에 기인하여 충진재료의 재료분리와 유실 가능성이 매우 높아 경제성 및 강도저하에 따른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850782호에서, 센서부(sensor); 제어부; 송수신부; 그리고 저장부; 를 추가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 중 GPR(Ground Penetrating Radar)을 통해 다변형 지반 신소재 섬유 포켓의 표면 상태를 추출한 뒤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탐지 모듈;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이전의 공동의 충진을 위해 사용한 팽창제가 채워진 다변형 지반 신소재 섬유 포켓의 이액제인 제 1 액제 및 제 2 액제에 대한 배합비를 네트워크와 연결된 외부 관리 서버로 요청하여 반환받은 뒤, 주재(베이스)인 제 1 액제로 폴리올과, 경화제인 제 2 액제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각각 사용하여 발포폴리우레탄이 형성되도록 하는 배합비 및 중량을 분석한 뒤, 센서부 중 촬상장치를 이용해 최초의 공동 발생시 촬영된 공동 형상의 전체 체적을 연산한 뒤, 공동이 다시 발생한 시간이 공동의 전체 체적에 따른 기준치 이하인 경우, 배합비로 폴리올의 중량을 단계(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조절하도록 상기 제 1 자동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배합비 조절 모듈; 을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공동의 규모 및 재료 특성에 따른 공동 발생 현장에서 보수/보강 재료 적용에 최적화된 주입 장비를 제공하려는 것이나, 현장 배합에 따른 재료 손실과 품질 등을 신뢰하기가 어려워 주어진 여건에 따라 정해진 시간 내에 정확한 계량 등을 통해 공동을 복구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정량적인 배합시스템의 부재로 투수성의 생명인 기포가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는 주입재의 배합이 거의 불가능한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충전재 원료 배합비율 및 배합량을 자동 조절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므로 현장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현장 상황에 적합한 경량 충전재 혼합물 물성을 충분히 구현하여 공동 복구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탈황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경화지연제, 분말 화이버, 속경성 시멘트,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수중 불분리제, 식물성 기포제, 과산화수소 기포제, 경화 촉진제, 물을 포함하는 충전재 원료를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복수의 싸이로 탱크(100); 상기 싸이로 탱크(100)에 저장된 충전재 원료의 공급량을 개별 제어하는 제어부(200); 상기 싸이로 탱크(100)에 연결되어,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탈황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경화지연제, 분말 화이버, 속경성 시멘트,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수중 불분리제를 각각 독립적으로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교반부(300); 상기 제 1교반부(300)에서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과 식물성 기포제를 혼합하여 기포 슬러리 혼합물을 형성하는 아지데이터부(400); 상기 아지데이터부(400)에 연결되어, 기포 슬러리 혼합물과, 기포발생부(500)를 거친 과산화수소 기포제와, 경화촉진제를 혼합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교반부(600); 상기 제 2교반부(600)에 연결되어, 충전재 혼합물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유량계(700); 및 상기 유량계(700)에 연결되어, 충전재 혼합물을 공동으로 주입하는 주입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3D 스캐너부재(220)를 이용하여 공동 내부 체적을 산출하고, 상기 체적 산출 값을 연산하여 제 1교반부(300)에서 슬러리 혼합물 제조량 및 기포발생부(500)를 통하여 과산화수소 기포제 혼합량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 스캐너부재(22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221)와, 받침대(221)에 설치되는 구동부에 의해 중공(1) 깊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봉(222)과, 로드봉(222) 하단부에 설치되어 중공(1) 바닥 지점을 검출하는 센서(223)와, 로드봉(222)을 타고 이동되거나, 로드봉(222)과 함께 이동되고, 로드봉(222)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중공(1) 내부 체적을 검출하는 3D 스캐너(2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교반부(300)와 아지데이터부(400)는 믹서프레임에 의해 적층 설치되고, 상기 믹서프레임(900)은, 아지데이터부(400)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910)과, 베이스프레임(910)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제 1교반부(3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종바(920)와, 종바(920)와 대응하는 제 1교반부(300) 외주면에 돌출되어 종바(920)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받침편(310)과, 받침편(310)과 종바(92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교반부(300)에 저장된 슬러리 혼합물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9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930) 검출 값은 제어부(200)로 전송되어 슬러리 혼합물 제조량이 실시간으로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80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810)와, 받침대(810)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복수의 피딩롤러부(820)와, 피딩롤러부(820)를 타고 중공(1) 깊이방향으로 투입 길이가 제어되는 주입관(830)과, 주입관(830)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경사노즐(842)이 구비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회전노즐부(840)와, 회전노즐부(840) 전방에 설치되어 밸브(852)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메인노즐부(8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중공(1) 내주면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과, 중공 내부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과, 중공 상층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을 단계적으로 제조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은 기포제가 미포함되고 경화촉진제가 포함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중공(1) 내주면 5~30mm 두께로 코팅되고, 상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은 경화지연제, 식물성 기포제, 과산화수소 기포제가 포함된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중공(1) 내부 체적의 80%를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은 기포제가 미포함되고 경화촉진제가 포함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에 의해 채워진 중공 상층을 마감하여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에 포함된 기포의 상부 누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800)의 주입관(830)은 밸브(852)에 의해 메인노즐부(850)가 닫힘 상태로 중공(1) 입구에서 깊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이 투입되고,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노즐부(840)가 회전운동되며 중공(1) 내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 투입이 완료된 후, 밸브(852)에 의해 메인노즐부(850)가 개방된 상태로 주입관(830)이 중공(1) 바닥에서 입구측으로 이동하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이 투입되어 중공(1) 내부 체적의 80%를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 투입이 완료된 후, 메인노즐부(850)를 통하여 상층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이 투입되어 중공(1) 상부를 마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부(80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810)와, 받침대(810)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복수의 피딩롤러부(820)와, 피딩롤러부(820)를 타고 중공(1) 깊이방향으로 투입 길이가 제어되는 주입관(830)과, 주입관(830) 단부에 설치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토출되는 메인노즐부(8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노즐부(850)는, 하단부로 갈수록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85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실린더실(851b)이 구비되는 노즐본체(851)와, 실린더실(851b)에 설치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 이동압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복수의 분배홀(853a)이 관통되는 피스톤(853)과, 경량 충전재 혼합물의 이동압력이 해제시 피스톤(853)을 상방향으로 복원 이송시키는 탄성체(854)와, 피스톤(853)의 분배홀(853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노즐본체(851)의 가이드레일(851a)을 타고 방사형으로 확장 인출되는 복수의 분배관(855)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입관(830)을 통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공급되면, 실린더실(851b)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피스톤(853)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피스톤(853)의 이동력에 의해 복수의 분배관(855)이 가이드레일(851a)을 타고 방사형으로 확장 인출된 상태로 피스톤(853)의 분배홀(853a)을 통하여 분배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복수의 분배관(855)을 타고 주입관(830)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토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충전재 원료 배합비율 및 배합량을 자동 조절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므로 현장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현장 상황에 적합한 경량 충전재 혼합물 물성을 충분히 구현하여 공동 복구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의 제 1교반부와 아지데이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의 3D 스캐너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의 주입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의 주입부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충전재 원료 배합비율 및 배합량을 자동 조절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므로 현장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현장 상황에 적합한 경량 충전재 혼합물 물성을 충분히 구현하여 공동 복구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싸이로 탱크(100), 제어부(200), 제 1교반부(300), 아지데이터부(400), 기포발생부(500), 제 2교반부(600), 유량계(700), 주입부(80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싸이로 탱크(100)는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탈황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경화지연제, 분말 화이버, 속경성 시멘트,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수중 불분리제, 식물성 기포제, 과산화수소 기포제, 경화 촉진제, 물을 포함하는 충전재 원료를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싸이로 탱크(100) 중 분말 형태의 충전재 원료가 저장되는 탱크는 하부에 스크루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액상의 충전재 원료가 저장되는 탱크는 하부에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와 밸브는 후술하는 제어부(20)에 의해 on/off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는 상기 싸이로 탱크(100)에 저장된 충전재 원료의 공급량을 개별 제어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200)에는 후술하는 3D 스캐너부재(220)를 이용하여 산출된 공동 내부 체적을 연산하여 충전재 원료 공급량을 자동 산출하는 자동모드 및 사용자에 의해 원료 공급량이 설정되는 수동모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3D 스캐너부재(220)를 이용하여 공동 내부 체적을 산출하고, 상기 체적 산출 값을 연산하여 제 1교반부(300)에서 슬러리 혼합물 제조량 및 기포발생부(500)를 통하여 과산화수소 기포제 혼합량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도 4에서, 상기 3D 스캐너부재(22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221)와, 받침대(221)에 설치되는 구동부에 의해 중공(1) 깊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봉(222)과, 로드봉(222) 하단부에 설치되어 중공(1) 바닥 지점을 검출하는 센서(223)와, 로드봉(222)을 타고 이동되거나, 로드봉(222)과 함께 이동되고, 로드봉(222)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중공(1) 내부 체적을 검출하는 3D 스캐너(224)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교반부(300)는 상기 싸이로 탱크(100)에 연결되어,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탈황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경화지연제, 분말 화이버, 속경성 시멘트,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수중 불분리제를 각각 독립적으로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도록 구비된다. 제 1교반부(300)는 각각의 싸이로 탱크(100)에 연결되고, 이때 제 1교반부(300)는 후술하는 로드셀(930)에 의해 중량이 실시간으로 검출되어 충전재 원료의 사용량이 검출되므로, 충전재 원료의 공급량 배합 비율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지데이터부(400)는 상기 제 1교반부(300)에서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과 식물성 기포제를 혼합하여 기포 슬러리 혼합물을 형성된다. 즉, 상기 아지데이터부(400)는 각각의 제 1교반부(300)에서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을 모아서 식물성 기포제와 혼합하는 구성으로서, 이때 식물성 기포제는 기포발생부(500)에 의해 기포 생성된 상태로 배합된다.
도 3에서, 상기 제 1교반부(300)와 아지데이터부(400)는 믹서프레임에 의해 적층 설치되고, 상기 믹서프레임(900)은, 아지데이터부(400)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910)과, 베이스프레임(910)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제 1교반부(3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종바(920)와, 종바(920)와 대응하는 제 1교반부(300) 외주면에 돌출되어 종바(920)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받침편(310)과, 받침편(310)과 종바(92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교반부(300)에 저장된 슬러리 혼합물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9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930) 검출 값은 제어부(200)로 전송되어 슬러리 혼합물 제조량이 실시간으로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교반부(600)는 상기 아지데이터부(400)에 연결되어, 기포 슬러리 혼합물과, 기포발생부(500)를 거친 과산화수소 기포제와, 경화촉진제를 혼합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제조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경화촉진제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제조 후, 중공으로 이동되는 시간, 거리를 고려하여 투입량이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700)는 상기 제 2교반부(600)에 연결되어, 충전재 혼합물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제어부(200)로 송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입부(800)는 유량계(700)에 연결되어, 충전재 혼합물을 공동으로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주입부(80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810)와, 받침대(810)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복수의 피딩롤러부(820)와, 피딩롤러부(820)를 타고 중공(1) 깊이방향으로 투입 길이가 제어되는 주입관(830)과, 주입관(830)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경사노즐(842)이 구비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회전노즐부(840)와, 회전노즐부(840) 전방에 설치되어 밸브(852)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메인노즐부(8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중공(1) 내주면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과, 중공 내부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과, 중공 상층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을 단계적으로 제조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은 기포제가 미포함되고 경화촉진제가 포함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중공(1) 내주면 5~30mm 두께로 코팅되고, 상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은 경화지연제, 식물성 기포제, 과산화수소 기포제가 포함된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중공(1) 내부 체적의 80%를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은 기포제가 미포함되고 경화촉진제가 포함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에 의해 채워진 중공 상층을 마감하여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에 포함된 기포의 상부 누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도 5 (a)에서, 상기 주입부(800)의 주입관(830)은 밸브(852)에 의해 메인노즐부(850)가 닫힘 상태로 중공(1) 입구에서 깊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이 투입되고,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노즐부(840)가 회전운동되며 중공(1) 내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 투입이 완료된 후, 도 5 (b)와 같이 밸브(852)에 의해 메인노즐부(850)가 개방된 상태로 주입관(830)이 중공(1) 바닥에서 입구측으로 이동하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이 투입되어 중공(1) 내부 체적의 80%를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 투입이 완료된 후, 도 5 (c)처럼 메인노즐부(850)를 통하여 상층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이 투입되어 중공(1) 상부를 마감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공동 복구시,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에 의해 공동 내주면 추가 붕괴가 방지됨과 더불어 이후 투입되는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의 손실이 방지되며, 또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가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와 상층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에 의해 감싸는 형태로 보호되어 기포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원형 그대로 유지되면서 중공 복구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에서, 상기 주입부(80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810)와, 받침대(810)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복수의 피딩롤러부(820)와, 피딩롤러부(820)를 타고 중공(1) 깊이방향으로 투입 길이가 제어되는 주입관(830)과, 주입관(830) 단부에 설치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토출되는 메인노즐부(8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노즐부(850)는, 하단부로 갈수록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85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실린더실(851b)이 구비되는 노즐본체(851)와, 실린더실(851b)에 설치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 이동압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복수의 분배홀(853a)이 관통되는 피스톤(853)과, 경량 충전재 혼합물의 이동압력이 해제시 피스톤(853)을 상방향으로 복원 이송시키는 탄성체(854)와, 피스톤(853)의 분배홀(853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노즐본체(851)의 가이드레일(851a)을 타고 방사형으로 확장 인출되는 복수의 분배관(855)으로 구성된다.
작동상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830)을 통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공급되면, 실린더실(851b)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피스톤(853)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피스톤(853)의 이동력에 의해 복수의 분배관(855)이 가이드레일(851a)을 타고 방사형으로 확장 인출된 상태로 피스톤(853)의 분배홀(853a)을 통하여 분배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복수의 분배관(855)을 타고 주입관(830)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토출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주입관(830)을 타고 이동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복수의 분배관(855)을 타고 주입관(830)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으로 분산 토출되므로 경량 충전재 혼합물 주입압력에 의한 공동(1) 내부 토사 유실이 방지되고,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경량 충전재 혼합물 주입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경량 충전재 혼합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5 ~ 20 중량부, 플라이애쉬 10 ~ 38 중량부, 탈황석고 5 ~ 15 중량부, 고로 슬래그 미분말 25 ~ 50 중량부, 경화지연제 0.04 ~ 1.3 중량부, 속경성 시멘트 2 ~ 10 중량부, 유동화제 0.05 ~ 0.4 중량부, 침강방지제 0.007 ~ 0.06 중량부, 수중 불분리제 0.1 ~ 6 중량부, 분말 화이버 0.5 ~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충전재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재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충전재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서 물 40 ~ 57 중량부를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식물성 기포제 8~15중량부를 혼합하여 기포제 희석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기포제 희석액을 기포발생기를 통과시켜 기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슬러리 100중량부에 대해서기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기포 1.7~5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기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에 과산화수소 기포제 4 ~ 6 중량부, 경화 촉진제 0.1 ~ 0.15 중량부를 혼합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경량 충전재 혼합물)를 제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형성된다.
10: 싸이로 탱크 200: 제어부
300: 제 1교반부 400: 아지데이터부
500: 기포발생부 600: 제 2교반부
700: 유량계 800: 주입부

Claims (8)

  1.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탈황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경화지연제, 분말 화이버, 속경성 시멘트,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수중 불분리제, 식물성 기포제, 과산화수소 기포제, 경화 촉진제, 물을 포함하는 충전재 원료를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복수의 싸이로 탱크(100);
    상기 싸이로 탱크(100)에 저장된 충전재 원료의 공급량을 개별 제어하는 제어부(200);
    상기 싸이로 탱크(100)에 연결되어,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탈황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경화지연제, 분말 화이버, 속경성 시멘트,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수중 불분리제를 각각 독립적으로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교반부(300);
    상기 제 1교반부(300)에서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과 식물성 기포제를 혼합하여 기포 슬러리 혼합물을 형성하는 아지데이터부(400);
    상기 아지데이터부(400)에 연결되어, 기포 슬러리 혼합물과, 기포발생부(500)를 거친 과산화수소 기포제와, 경화촉진제를 혼합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교반부(600);
    상기 제 2교반부(600)에 연결되어, 충전재 혼합물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유량계(700); 및
    상기 유량계(700)에 연결되어, 충전재 혼합물을 공동으로 주입하는 주입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3D 스캐너부재(220)를 이용하여 공동 내부 체적을 산출하고, 상기 체적 산출 값을 연산하여 제 1교반부(300)에서 슬러리 혼합물 제조량 및 기포발생부(500)를 통하여 과산화수소 기포제 혼합량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3D 스캐너부재(22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221)와, 받침대(221)에 설치되는 구동부에 의해 중공(1) 깊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로드봉(222)과, 로드봉(222) 하단부에 설치되어 중공(1) 바닥 지점을 검출하는 센서(223)와, 로드봉(222)을 타고 이동되거나, 로드봉(222)과 함께 이동되고, 로드봉(222)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중공(1) 내부 체적을 검출하는 3D 스캐너(2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교반부(300)와 아지데이터부(400)는 믹서프레임에 의해 적층 설치되고, 상기 믹서프레임(900)은, 아지데이터부(400)가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910)과, 베이스프레임(910)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제 1교반부(3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종바(920)와, 종바(920)와 대응하는 제 1교반부(300) 외주면에 돌출되어 종바(920)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받침편(310)과, 받침편(310)과 종바(92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교반부(300)에 저장된 슬러리 혼합물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9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셀(930) 검출 값은 제어부(200)로 전송되어 슬러리 혼합물 제조량이 실시간으로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80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810)와, 받침대(810)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복수의 피딩롤러부(820)와, 피딩롤러부(820)를 타고 중공(1) 깊이방향으로 투입 길이가 제어되는 주입관(830)과, 주입관(830)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경사노즐(842)이 구비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회전노즐부(840)와, 회전노즐부(840) 전방에 설치되어 밸브(852)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메인노즐부(8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중공(1) 내주면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과, 중공 내부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과, 중공 상층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을 단계적으로 제조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은 기포제가 미포함되고 경화촉진제가 포함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중공(1) 내주면 5~30mm 두께로 코팅되고, 상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은 경화지연제, 식물성 기포제, 과산화수소 기포제가 포함된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중공(1) 내부 체적의 80%를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은 기포제가 미포함되고 경화촉진제가 포함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로서,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에 의해 채워진 중공 상층을 마감하여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에 포함된 기포의 상부 누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800)의 주입관(830)은 밸브(852)에 의해 메인노즐부(850)가 닫힘 상태로 중공(1) 입구에서 깊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이 투입되고,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 토출압력에 의해 회전노즐부(840)가 회전운동되며 중공(1) 내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코팅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1) 투입이 완료된 후, 밸브(852)에 의해 메인노즐부(850)가 개방된 상태로 주입관(830)이 중공(1) 바닥에서 입구측으로 이동하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이 투입되어 중공(1) 내부 체적의 80%를 채우도록 구비되며, 상기 채움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2) 투입이 완료된 후, 메인노즐부(850)를 통하여 상층 마감용 경량 충전재 혼합물(C3)이 투입되어 중공(1) 상부를 마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800)는, 중공(1) 입구 주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810)와, 받침대(810)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복수의 피딩롤러부(820)와, 피딩롤러부(820)를 타고 중공(1) 깊이방향으로 투입 길이가 제어되는 주입관(830)과, 주입관(830) 단부에 설치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토출되는 메인노즐부(8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노즐부(850)는, 하단부로 갈수록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85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실린더실(851b)이 구비되는 노즐본체(851)와, 실린더실(851b)에 설치되어 경량 충전재 혼합물 이동압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복수의 분배홀(853a)이 관통되는 피스톤(853)과, 경량 충전재 혼합물의 이동압력이 해제시 피스톤(853)을 상방향으로 복원 이송시키는 탄성체(854)와, 피스톤(853)의 분배홀(853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노즐본체(851)의 가이드레일(851a)을 타고 방사형으로 확장 인출되는 복수의 분배관(855)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입관(830)을 통하여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공급되면, 실린더실(851b)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피스톤(853)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피스톤(853)의 이동력에 의해 복수의 분배관(855)이 가이드레일(851a)을 타고 방사형으로 확장 인출된 상태로 피스톤(853)의 분배홀(853a)을 통하여 분배되는 경량 충전재 혼합물이 복수의 분배관(855)을 타고 주입관(830)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토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KR1020190155320A 2019-11-28 2019-11-28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KR102127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20A KR102127121B1 (ko) 2019-11-28 2019-11-28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20A KR102127121B1 (ko) 2019-11-28 2019-11-28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21B1 true KR102127121B1 (ko) 2020-06-29

Family

ID=7140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20A KR102127121B1 (ko) 2019-11-28 2019-11-28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32B1 (ko) * 2022-09-26 2023-10-19 김용혁 유동성 채움재 조성물
KR102641178B1 (ko) * 2022-12-12 2024-02-27 김용혁 유동성 경량 채움재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07B1 (ko) * 2009-07-21 2010-06-17 에스이엠 주식회사 시멘트나 석고를 이용하여 얻은 경량기포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136133B1 (ko) * 2009-06-24 2012-04-20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토출압력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기포콘크리트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기포콘크리트 시공 자동화시스템
KR102038266B1 (ko) * 2019-03-11 2019-10-31 신영건설(주)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039863B1 (ko) * 2019-02-28 2019-11-27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지중포인트 클라우드 라이다 영상을 이용한 지하공동탐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33B1 (ko) * 2009-06-24 2012-04-20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토출압력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기포콘크리트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기포콘크리트 시공 자동화시스템
KR100963907B1 (ko) * 2009-07-21 2010-06-17 에스이엠 주식회사 시멘트나 석고를 이용하여 얻은 경량기포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2039863B1 (ko) * 2019-02-28 2019-11-27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지중포인트 클라우드 라이다 영상을 이용한 지하공동탐사 장치
KR102038266B1 (ko) * 2019-03-11 2019-10-31 신영건설(주)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32B1 (ko) * 2022-09-26 2023-10-19 김용혁 유동성 채움재 조성물
KR102641178B1 (ko) * 2022-12-12 2024-02-27 김용혁 유동성 경량 채움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5097B2 (en) Method for saturating cavities present in a mass of soil or in a body in general
KR102127121B1 (ko) 공동 채움용 충전재를 현장 타설하는 공동 복구장치
CN105887837A (zh) 一种现场地面搅拌水泥土桩的施工方法
CN103469701B (zh) 现场集成式制备泡沫轻质土填筑高铁路基施工方法
Lee et al. Shear strength and interface friction characteristics of expandable foam grout
Liu et al. Construction techniques and quality test and evaluation of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mixed with fly ash as subgrade material
KR101746654B1 (ko) 광산 대규모 채굴공동 보강을 위한 골재 그라우트 기둥 시공 방법
KR102104488B1 (ko) 투수성 경량 충전재 시공방법
Adaska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 (CLSM)
Jiang et al. Experimental study and engineering application of polypropylene fiber shotcrete for bored tunnels in water-rich strata
CN114961790A (zh) 盾构同步注浆施工方法及其施工效果评价方法
CN115030733A (zh) 一种防止地层土量损失或地表沉降的注浆方法
ITRE20090095A1 (it) Metodo di consolidamento dei terreni mediante iniezione di resine espandenti
CN114508109A (zh) 一种用泡沫轻质混凝土作为基坑回填材料的施工方法
Goodfellow Concrete for underground structures: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Maher et al. MAT-758: Constructability Benefits of the Use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Fill (LFCF) in Pavement Applications
Ma et al. The study on development of light-weight foamed mortar for tunnel backfill
KR100387105B1 (ko) 비다짐 무침하 채움재,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시공방법
Barnes Foamed concrete: Application and specification
Park Effect of large void formation on strength of cemented glass beads
Li et al. Mechanical behaviors and deformation properties of retaining wall formed by grouting mould-bag pile
CN103161305B (zh) 一种超厚混凝土顶板施工方法
Huang et al. Application of premixed solidified soil in backfilling of foundation trench
US10864655B2 (en) Manufactures,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uctural cellular lightweight concrete
Maithili A Study of Different Materials Used, Suggested Properties and Progress in CL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