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87B1 -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87B1
KR102127087B1 KR1020200023388A KR20200023388A KR102127087B1 KR 102127087 B1 KR102127087 B1 KR 102127087B1 KR 1020200023388 A KR1020200023388 A KR 1020200023388A KR 20200023388 A KR20200023388 A KR 20200023388A KR 102127087 B1 KR102127087 B1 KR 10212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housing
discharg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곤
Original Assignee
허만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곤 filed Critical 허만곤
Priority to KR102020002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에 교체가 용이하게 모듈화된 이물질 제거수단을 내설하고, 공기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판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사후관리가 용이하며, 집진판에 포집된 이물질 제거시 상기 집진판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거하므로 인해 안정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집진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의 외측에 밀폐된 별도의 설치공간부에 설치하므로 이물질로부터 이동수단을 보호할 수 있어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Dry Cleaning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에 교체가 용이하게 모듈화된 이물질 제거수단을 내설하고, 공기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판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사후관리가 용이하며, 집진판에 포집된 이물질 제거시 상기 집진판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거하므로 인해 안정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 집진기는 높은 먼지 제거효율을 가지며 적은 동력으로 대량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 각광받고 있으나, 전기 집진기 내에 포집된 먼지는 집진전극의 표면에 쌓이게 되고, 이 먼지들을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 어야만 높은 먼지 제거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 집진기의 집진전극에 부착된 먼지를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으로, 이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집진전극에 부착된 먼지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방법에는 추타(追打)에 의한 제거방법, 집진전극에 물을 흘리거나 고압 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습식(濕式) 제거방법, 고온의 스팀이나 공기를 집진전극에 분사하는 에어(air) 제거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집진전극에 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습식방식의 전기 집진기는, 방전 와이어와 평판 형태의 집진전극 사이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다량의 단극성 이온들이 생겨나고, 이것은 흡입된 먼지들을 전기적으로 하전(荷電)시키게 되며, 하전된 먼지는 집진전극과 포집 대응전극 사이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집진전극 쪽으로 끌려가 집진전극의 표면에 부착되어 포집되는 것으로, 집진전극에서 포집된 먼지는 주기적으로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씻겨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집진전극을 향한 다수의 노즐은 노즐 이송대에 의하여 집진전극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청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집진전극에 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습식방식의 전기 집진기는, 포집된 먼지의 성분에 다량의 유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탈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추타시 먼지의 재비산이 일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집진전극을 물로 세척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은 집진전극의 세정시 필연적으로 폐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발생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추가적인 시설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03-0016328호에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가 게시된 바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는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살펴보면, 공기중의 먼지를 흡입하고 전기적으로 하전하여 제거하는 전기 집진기의 집진전극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를 갖는 자동 재생형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전극(2)과 포집 대응전극(3) 사이를 상,하 이동하며 집진전극(2)과 포집 대응전극(3)의 표면에 밀착되는 스크래퍼(20)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래퍼(20)를 집진전극(2)의 상,하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시켜 먼지를 제거하되, 상기 스크래퍼(20)의 일측에 고정되는 스크래퍼 이송대(10)와 상기 스크래퍼 이송대(10)의 양쪽으로 결합되는 이송나사(11)와 상기 이송나사(11)를 회전시키는 모터(12)로 구성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집진전극(2)과 포집 대응전극(3)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스크래퍼(20)를 집진전극(2)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한 스크래퍼(20)는 4개의 평판형 탈진날(21)을 마름모 형태로 설치하되, 상기 탈진날(21)의 내측에는 양측으로 결합대(22)를 형성하고, 상기 탈진날(21)의 측면에 위치하는 결합대(22)는 힌지(23)로 연결하는 한편 탈진날(21)의 상,하에 위치하는 결합대(22)는 연결대(25)의 양측에 힌지(24)로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대(25)에는 4개의 탈진날(21) 중앙에 위치하는 프레임(27)에 스프링(26)으로 결합한 것으로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 번째로, 집진전극(2)의 이물질 제거는 이송수단의 모터(12)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이송나사(11)를 회전시키고 그로 인해, 스크래퍼(20)가 설치된 스크래퍼 이송대(10)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집진전극(2)의 최일측과 최타측에 설치된 집진전극(2)의 각 일면 즉, 각 외측면은 스크래퍼(20)의 설치불가로 인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다라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로, 스크래퍼(2)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의 이송나사(11)에 시간 경과에 따른 이물질이 눌어붙거나 부식으로 인해 손상될 경우, 스크래퍼(20)를 이동시킬 수 없어 상기 이송수단을 교체하여야 할 경우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즉, 이송수단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스크래퍼(20)가 이동할 수 없으므로 인해, 집진전극(2)을 모두 분해하여 제거한 후, 이송수단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로, 스크래퍼(20)의 탈진날(21)에 긴장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스프링(26)이 시간 경과에 의해 손상되므로 인해 상기 스크래퍼(20)의 탈진날(21)이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결국,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 전체의 수명이 단축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네 번째로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는,
특허출원번호 10-2003-0016328호, 출원일; 2003년03월15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에 교체가 용이하게 모듈화된 이물질 제거수단을 내설하고, 공기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판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사후관리가 용이하며, 집진판에 포집된 이물질 제거시 상기 집진판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거하므로 인해 안정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집진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의 외측에 밀폐된 별도의 설치공간부에 설치하므로 이물질로부터 이동수단을 보호할 수 있어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는, 고전압인가부가 일면에 부설되고, 일측에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출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기집진기용 하우징과,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전압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와, 상기 방전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이 상기 방전극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 양외측면에 별도의 설치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각 일단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집진부에 고정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실린더를 포함한 집진부용 이동수단과, 상기 방전부와 집진부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가 실린더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집진부용 이동수단은, 상기 안내홀을 수용하면서 전기집진기용 하우징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내부에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게 구비된 이동수단용 챔버와, 상기 이동수단용 챔버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면서 일단과 타단은 고정브라켓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에 분해 및 조립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부의 구동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피스톤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방전부와 집진부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 틀 형상의 이물질제거용 고정프레임과, 상기 집진부의 집진판이 접촉되지 않게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제거용 고정프레임의 양내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집진부가 집진부용 이동수단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이물질제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에 따르면, 이물질 제거수단을 모듈화하고, 집진판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서,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사후관리가 용이하며, 집진판에 포집된 이물질 제거시 상기 집진판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거하므로 인해 안정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집진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의 외측에 밀폐된 별도의 설치공간부에 설치하므로 이물질로부터 이동수단을 보호할 수 있어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 스크래퍼 내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의 방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의 집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의 이물질제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의 집진부와 이물질제거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100)는, 고전압인가부(50)가 일면에 부설되고, 일측에는 유입부(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유출부(112)가 상기 유입부(111)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과,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전압인가부(50)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123)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120)와, 상기 방전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4)이 상기 방전극(123)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130)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양외측면에 별도의 설치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각 일단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집진부(130)에 고정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130)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142a)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실린더(14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부용 이동수단(140)과, 상기 방전부(120)와 집진부(13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130)가 한 쌍의 실린더(142)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4)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은,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체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11)와 마주보는 타측에는 이물질이 포집된 청정의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출부(112)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후술할 집진부(130)의 구동프레임 일단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홀(11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의 전면 일측에는 고전압을 방전부(120)측으로 인가하기 위해 고전압인가부(50)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방전부(120)는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전압인가부(50)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방전부(120)는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양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 구비되는 절연애자(121)와, 상기 절연애자(121)의 각 타단에 상기 고전압인가부(50)와 전원선을 매개로 접속되면서 일단과 타단이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홈(122a)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방전극고정부재(122)와, 상기 방전극고정부재(122)의 고정홈(122a)에 각 일단과 타단이 끼움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양면은 끝단이 뾰족한 돌출부(123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방전극(12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방전부(120)는 전류 손실을 줄여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상,하 2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집진부(130)는 상기 방전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4)이 상기 방전극(123)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가능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집진부(130)는 각 일단이 상기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의 실린더(142)에 갖추어진 피스톤(142a)에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홀(113)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방전부(120)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프레임(131)과, 상기 구동프레임(131)의 각 타단에 일단이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각 타단은 일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집진판 설치프레임(132)과, 상기 집진판 설치프레임(132)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 설치프레임(132) 사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설치된 전극봉(133) 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방전부(120)의 방전극(123) 사이에 교번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집진판(13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집진부(130)는, 집진판(134)이 방전극(123)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방전극(123)측으로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면, 다량의 전자들이 상기 집진판(134)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방전극(123)과 집진판(134) 사이의 공기분자는 전자들과 결합하여 이온화되며, 이온화된 공기분자와 분진의 결합으로 인하여 분진은 하전되고, 하전된 분진입자와 접지된 접진판(134) 사이에 전기적인 쿨롱힘이 작용하여 대전된 집진판(134)의 표면에 부착되는 원리에 의해 공기 중의 분진이 상기 집진판(134)에 포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양측에 별도의 설치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각 일단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집진부(130)에 고정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130)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은 상기 안내홀(113)을 수용하면서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내부에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게 구비된 이동수단용 챔버(141)와, 상기 이동수단용 챔버(141)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면서 일단과 타단은 고정브라켓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에 분해 및 조립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130)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부(130)의 구동프레임(131)에 고정 연결되는 피스톤(142a)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실린더(142)로 구성된다.
상기한 이물질제거수단(150)은 상기 방전부(120)와 집진부(13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130)가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의 실린더(142)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134)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이물질제거수단(150)은 상기 방전부(120)와 집진부(12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 틀 형상의 이물질제거용 고정프레임(151)과,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4)이 접촉되지 않게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제거용 고정프레임(151)의 양내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집진부(130)가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집진판(134)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이물질제거부재(1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이물질제거부재(152)의 상면 끝단부는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4)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접촉됨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용 경사부(152a)와, 상기 안내용 경사부(152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되, 끝단부는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4) 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4~8°의 각도록 절곡된 스크래퍼(152b')가 형성된 제거부(152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제거수단(150)의 이물질제거부재(152)는 집진판(134)이 이동할 거리만큼만 이격되게 좁게 형성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한 집진판(134)의 간격을 좁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저전압으로도 집진시킬 수 있어서, 고전압 사용에 비해 화재나 감전과 같은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를 장시간 구동함에 따른 집진부(130)의 다수의 집진판(134)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이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의 이동수단용 챔버(141)에 각각 내설된 한 쌍의 유압실린더(142)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각 피스톤(142a)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의 유입부(111)가 형성된 상부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42)의 피스톤(142a)이 상승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13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집진부(130)의 상승으로 다수의 집진판(134)은 이물질제거수단(150)의 이물질제거부재(152)를 지나가게 된다.
상기 다수의 집진판(134)이 이물질제거부재(152)를 지나가는 중에 상기 집진판(134)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6°로 경사진 제거부(152b)의 스크래퍼(152b')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상기한 이물질제거수단(150)의 이물질제거부재(152)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집진부(130)를 분해하지 않고도 교체가 가능하다.
즉, 이물질제거부재(152)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의 유압실린더(142)를 구동시켜 집진부(130)를 상승시킨다.
그로 인해, 상기 집진부(130)와 이물질제거수단(150)이 이격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수단(150)을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으로부터 분해한 후 교체하면 되므로 이물질제거수단(150)의 교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이 이물질이 유입되는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외측면에 밀폐되게 설치된 이동수단용 챔버(141)에 내설되므로 인해 이물질로부터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을 보호할 수 있어서, 작동불량을 최소화하면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 고전압인가부 100 ;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110 ; 전기집진기용 하우징 120 ; 방전부
130 ; 집진부 140 ; 집진부용 이동수단
150 ; 이물질제거수단

Claims (4)

  1.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는,
    고전압인가부(50)가 일면에 부설되고, 일측에는 유입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출부(112)가 상기 유입부(111)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과;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전압인가부(50)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123)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120)와;
    상기 방전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4)이 상기 방전극(123)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130)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양외측면에 별도의 설치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각 일단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집진부(130)에 고정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130)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142a)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실린더(14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부용 이동수단(140)과;
    상기 방전부(120)와 집진부(13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130)가 한 쌍의 실린더(142)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134)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은, 안내홀(113)을 수용하면서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내부에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게 구비된 이동수단용 챔버(141)와, 상기 이동수단용 챔버(141)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면서 일단과 타단은 고정브라켓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에 분해 및 조립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130)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부(130)의 구동프레임(131)에 고정 연결되는 피스톤(142a)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실린더(1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2. 삭제
  3.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는,
    고전압인가부(50)가 일면에 부설되고, 일측에는 유입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출부(112)가 상기 유입부(111)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과;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전압인가부(50)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123)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120)와;
    상기 방전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4)이 상기 방전극(123)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분진을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130)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양외측면에 별도의 설치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각 일단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집진부(130)에 고정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집진부(130) 전체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142a)을 각각 갖추어 구비되는 한 쌍의 실린더(142)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부용 이동수단(140)과;
    상기 방전부(120)와 집진부(13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130)가 한 쌍의 실린더(142)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134)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수단(150)은, 상기 방전부(120)와 집진부(13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 틀 형상의 이물질제거용 고정프레임(151)과,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4)이 접촉되지 않게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제거용 고정프레임(151)의 양내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집진부(130)가 집진부용 이동수단(140)의 구동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집진판(134)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이물질제거부재(1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재(152)의 상면 끝단부는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4)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접촉됨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용 경사부(152a)와, 상기 안내용 경사부(152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되, 끝단부는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4) 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스크래퍼(152b')가 형성된 제거부(152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KR1020200023388A 2020-02-26 2020-02-26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KR10212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88A KR102127087B1 (ko) 2020-02-26 2020-02-26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88A KR102127087B1 (ko) 2020-02-26 2020-02-26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087B1 true KR102127087B1 (ko) 2020-06-25

Family

ID=7140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88A KR102127087B1 (ko) 2020-02-26 2020-02-26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0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328A (ko) 2003-01-13 2003-02-26 이도형 영지버섯과 아카시아버섯의 혼합 청정 음료수
KR101570113B1 (ko) * 2014-09-29 2015-11-18 한국기계연구원 탈진장치가 구비된 전기집진기
KR101891799B1 (ko) * 2017-11-24 2018-08-24 주식회사 반석테크 체적 가변식 함체 승강구조를 갖는 이동식 사일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328A (ko) 2003-01-13 2003-02-26 이도형 영지버섯과 아카시아버섯의 혼합 청정 음료수
KR101570113B1 (ko) * 2014-09-29 2015-11-18 한국기계연구원 탈진장치가 구비된 전기집진기
KR101891799B1 (ko) * 2017-11-24 2018-08-24 주식회사 반석테크 체적 가변식 함체 승강구조를 갖는 이동식 사일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55B1 (ko) 집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집진장치
AU2006309419B2 (en) Single 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7641718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O2018090990A1 (zh) 一种具有自动清理功能的电场装置
CN103313795A (zh) 使用多交叉针离子产生器的感应式静电集尘器
WO2007073020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induction voltage
KR101570113B1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전기집진기
JP2014100642A (ja) 電気集塵装置
KR101115605B1 (ko) 전기집진장치
KR20190094604A (ko)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JP3958020B2 (ja) 電気集塵器
JP4685008B2 (ja) 電気集塵器
KR101436381B1 (ko)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102127087B1 (ko) 건식클리닝 전기 집진장치
KR100773757B1 (ko) 자동세정형 여과장치
KR100800297B1 (ko) 배플 주행식 전기 집진기의 청소장치
KR100543348B1 (ko) 자동 재생형 전기집진기
CN115213013B (zh) 一种烟气净化机
KR100667271B1 (ko) 방전극 주행식 전기 집진기 청소 장치
KR100836346B1 (ko) 전기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컨디셔너
KR102308868B1 (ko) 전기 집진기
KR102331012B1 (ko) 전기 집진기
KR100215285B1 (ko) 자동세정식 전기집진장치
CN215541782U (zh) 一种湿法静电除尘器
CN219615802U (zh) 一种方便清理粉尘的湿式电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