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639B1 -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639B1
KR102126639B1 KR1020190171933A KR20190171933A KR102126639B1 KR 102126639 B1 KR102126639 B1 KR 102126639B1 KR 1020190171933 A KR1020190171933 A KR 1020190171933A KR 20190171933 A KR20190171933 A KR 20190171933A KR 102126639 B1 KR102126639 B1 KR 10212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mensional
pattern
len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운선
Original Assignee
그린비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비월드(주) filed Critical 그린비월드(주)
Priority to KR102019017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6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and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pecifically, provided are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capable of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capable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device or the like, by using a lens layer having a convex lens to maximize the color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a viewing angle, a three-dimensional effect, or the lik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 {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볼록렌즈를 갖는 렌즈층을 통해 투사되는 이미지 패턴의 3차원의 입체감의 부여에 따른 다양한 입체다중패턴을 구현하고, 또한 시야각의 변화에 따라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등의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커버용으로 적용시 심미성을 향상할 수 있는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specifically,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pattern projected through the lens layer having a convex le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to multi-col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viewing angle, so it is possible to convert to mult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three-dimensional patterns that can improve aesthetics when applied for a rear cover attached to the back of a case such as a mobile device. It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케이스는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기 위해 차별화된 제품 표면의 디자인을 채용하거나, 또는 금속 소재의 케이스를 이용하여 견고하고 고급스러운 금속성의 질감을 구현하기도 한다.The case of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st mobile devices adopts a differentiated product surface design to stimulate the consumer's purchasing desire, or a metal case is used to implement a robust and luxurious metallic texture.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단순한 금속 광택을 구현하는 것을 넘어서, 다양한 3차원 입체 패턴 등을 구현함으로써 외관을 차별화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케이스에 금속성의 질감과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사출성형하여 제조된 케이스에 입체변환필름 등을 부착하여 금속성의 색상과 질감을 갖는 외관을 구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this regard, attempts have been made to differentiate the appearance by implementing various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patterns, etc., in addition to realizing simple metallic luster in the case of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devices. For example, in order to realize a metallic texture and color on a case manufactured through a general plastic injection process, an attempt to realize an appearance having metallic color and texture by attaching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to a case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Is being made.

상기와 같은 입체변환필름에 사용되는 평면적인 이미지 패턴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대표적으로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lenticular lens sheet)를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As a technique for stereoscopically recognizing a planar image pattern used in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method using binocular disparity, and typically a technique using a lenticular lens sheet. This is known.

상기 렌티큘러 렌즈 시트는 표면에 다수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magnifying lens)가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초점 거리에 상기 볼록렌즈의 굴절율을 고려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면, 시야각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이 인식되고, 또한 양안 시차에 의해 2차원적으로 인쇄된 이미지 패턴을 3차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e lenticular lens sheet includes a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semicircular convex lense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surface. When the printed layer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vex lens at the focal length of the lenticular lens sheet, different patterns ar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3D images of two-dimensionally printed image patterns are recognized by binocular parallax. I can do it.

또한 스테레오 인쇄(stereoscopic print) 내지는 홀로그램 인쇄를 통해 제조된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모바일 기기 등의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과 입체적 형상 또는 동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by attaching a lenticular lens sheet manufactured through stereoscopic printing or hologram printing to the back of a case such as a mobile devic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art various colors and three-dimensional shapes or dynamic images.

이러한 입체변환필름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2645호(2019. 08. 08.)에는 양안 시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반원주형 볼록렌즈(45)가 배열된 렌즈층, 상기 렌즈층 하부에 구비되는 2 이상의 초점거리층 및 상기 초점거리층 하부에 구비되는 이미지 형성층을 포함하는 필름시트 및 상기 필름시트를 포함하는 전사재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4024호(2018. 06. 14.)에는 반투명 컬러 잉크로 그라데이션층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파스텔 톤 메탈 감을 갖는 그라데이션 미감을 구현해 낼수 있는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a plurality of semi-circular convex lenses 45 are arranged in a manner capable of exhibiting a binocular parallax effect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2645 (2019. 08. 08.). A film sheet including a lens layer, two or more focal length layers provided under the lens layer and an image forming layer provided under the focal length layer, and a transfer material including the film sheet are disclosed,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 -2018-0064024 (2018. 06. 14.) discloses a gradation decorative film capable of realizing a gradation aesthetic feeling with a pastel tone metal feeling by directly forming a gradation layer with a translucent color in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그런데, 종래의 입체변환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의 평평한 면이 기재층(2)과 밀착되게 구성되고, 상기 기재층(2)의 일면으로 이미지 패턴(3a)을 갖는 이미지층(3)과 증착층(4) 및 인쇄층(5)이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입체변환필름은 상기 렌즈(1)의 볼록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표면에 울퉁불퉁한 질감을 형성하고 또한 표면으로 이물질이 낄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사용자가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입체변환필름은 구현할 수 있는 컬러 및 디자인이 제한적이므로, 보다 독특한 개성을 연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어 사용자가 입체변환필름의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입체변환필름의 경우에는 두꺼운 두께로 인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 분야가 제한되고, 입체감 및 화상의 선명도가 불량하여 광학적 특성이 불량하여 다양한 3차원의 입체 이미지를 얻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as shown in FIG. 1, the flat surface of the lens 1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layer 2, and has an image pattern 3a as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The image layer 3 and the deposition layer 4 and the printing layer 5 ar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However,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vex portion of the lens 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forming a rugged texture on the surface and also having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can be caught on the surface, so that the user avoids use. there was.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has limited color and design that can be implemented, there is a limit in meeting the needs of users who want to create a more unique personali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avoids using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the fields that can be applied are limited due to the thick thickness, and it is practically limited to obtain various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due to poor optical characteristics due to poor stereoscopic and image clarity.

본 발명은 볼록렌즈를 갖는 렌즈층을 이용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상의 변화 및 3차원의 입체감 부여에 따른 다양한 입체 형상의 발현이 가능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의 발현이 우수한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lens layer having a convex lens, it is possible to express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shapes according to a change in color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and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us, a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with excellent visual effec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converting a stereoscopic film.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는, 이형지(10); 상기 이형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접착층(20); 상기 제 1 접착층(20)의 하부에 접착되어 구비되는 제 1 기재층(30);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 구비되되, 복수 개의 볼록렌즈(45)가 형성된 렌즈층(40); 상기 렌즈층(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접착층(50); 상기 제 2 접착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기재층(60); 상기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렌즈(4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51)이 형성된 이미지층(80); 및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 구비되는 증착층(90)을 포함하며, The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stereoscopic film structure 100 for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release paper (10); A first adhesive layer 20 provided under the release paper 10; A first base layer 30 provided by being adh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A lens layer 40 provid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30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formed thereon; A second adhesive layer 50 provided below the lens layer 40; A second base layer 60 provided under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An image layer 80 provided under the second base layer 60 and having an image pattern 51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nd an evaporation layer 90 provided under the image layer 80,

상기 증착층(90)의 하부에는 인쇄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A printed lay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90.

또한, 상기 이미지층(80)은 볼록렌즈(45)의 직경과 대응되는 길이를 2등분 이상으로 분리하여, 2개 이상의 이미지 패턴(51)을 볼록렌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하며, 상기 이미지 패턴(51)은 인쇄, 증착 및 홀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재층(30)과 제 2 기재층(60)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mage layer 80 separates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nvex lens 45 into two or more parts, and repeatedly arranges two or more image patterns 5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vex lens direction. The image pattern 51 is formed by combining any one or more of printing, vapor deposition, and hologram, and the first base layer 30 and the second base layer 60 are made of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desirable.

그리고, 상기 렌즈층(40)에 형성된 볼록렌즈(45)는 50 ~ 1000LPI(Lens per inch)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렌즈(45)의 두께(TL)는 5 ~ 150 ㎛이며, 굴절율은 1.57 ~ 1.8이며, 상기 제 2 접착층(50)의 굴절율은 1.2 ~ 1.4 인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convex lens 45 formed in the lens layer 40 is formed of 50 to 1000 LPI (Lens per inch), the thickness (T L ) of the convex lens 45 is 5 ~ 150 ㎛, the refractive index is 1.57 ~ 1.8,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is preferably 1.2 ~ 1.4.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는 종래의 입체변환필름 대비 시야각의 변화에 따른 색상의 변화 및 3차원의 입체감 부여 등이 우수하여 다양한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51)의 3차원의 입체감 및 색상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의 발현이 우수함으로써, 이를 부착하는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의 심미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color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and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effect compared to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devices to which it is attached, by expressing the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image pattern 51 exposed to the outside and visual effects according to changes in color.

도 1은 종래의 입체변환필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단면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에 따라 색상변화가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a, b)와, 3차원의 입체무늬가 형성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c)의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multi-color transformabl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dimensional multi-dimensional pattern and a multi-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multi-color transformation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a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a, b) capable of changing color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c) in which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6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hav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dictionary used in general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입체변환필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단면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에 따라 색상변화가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a, b)와, 3차원의 입체무늬가 형성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c)의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Hereinafter,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and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a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three-dimensional multi-dimensional 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of a 3D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a multi-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3D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multi-col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conversion, and FIG. 5 shows a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a, b) capable of changing color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pattern It is a photograph of the formed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c), and FIG. 6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3D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필름 구조체로서, 이형지(10); 상기 이형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접착층(20); 상기 제 1 접착층(20)의 하부에 접착되어 구비되는 제 1 기재층(30);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 구비되되, 복수 개의 볼록렌즈(45)가 형성된 렌즈층(40); 상기 렌즈층(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접착층(50); 상기 제 2 접착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기재층(60); 상기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렌즈(4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51)이 형성된 이미지층(80); 및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 구비되는 증착층(9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structure capable of converting a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for a back cover attached to the back of a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device, as shown in FIG. 2, Release paper 10; A first adhesive layer 20 provided under the release paper 10; A first base layer 30 provided by being adh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A lens layer 40 provid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30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formed thereon; A second adhesive layer 50 provided below the lens layer 40; A second base layer 60 provided under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An image layer 80 provided under the second base layer 60 and having an image pattern 51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nd an evaporation layer 90 provided under the image layer 80.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형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제조가 완료된 후에는 제거됨으로써, 상기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가 상기 제 1 접착층(20)에 의해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케이스의 후면부에 접착되게 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elease paper 10 is removed after the manufacturing of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reby eliminating th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is adher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device by the first adhesive layer 20.

또한 상기 이형지(10)는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최외곽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에 내마찰성,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lease paper 10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ar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friction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to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상기 이형지(10)는 종이, 비닐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가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케이스의 후면부에 부착될 때, 상기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로부터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이형지(10)를 상기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이형지(10)의 일측면에는 액상의 투명 실리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실록산 폴리머 등으로 구성된 이형물질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lease paper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aper, vinyl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a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device. When it is, it is removed from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release paper 10 from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s described above, a release material composed of liquid transparent silicone, acrylic resin, polyethylene wax, or siloxane polym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paper 1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상기 이형지(10)의 하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착층(2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접착층(20)은 제조완료된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를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케이스의 후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이형지(10)를 제거한 후 상기 제 1 접착층(20)을 이용하여 상기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를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케이스의 후면부에 부착하게 된다. 2 and 3, a first adhesive layer 20 is provided below the release paper 10.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a configuration for attaching the manufactured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rear portion of a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device, and after removing the release paper 10, the first adhesive layer By using (20),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device.

상기 제 1 접착층(20)은 각종 접착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소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또는 고무계 수지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using various adhesive resins, specifically, poly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polyamide resin,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chlorinate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or rubber based It can be formed using a resin or the like.

즉, 상기와 같은 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후술하는 제 1 기재층(30)에 콤마 코팅(comma coating), 메이어바 코팅(mayer bar coating),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 스퀴즈 코팅(squeeze coating) 등의 다양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접착층(20)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a comma coating, a mayer bar coating, a gravure coating, a squeeze coating on the first base lay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adhesive composed of the resi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using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상기 제 1 접착층(20)의 하부에는 제 1 기재층(3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기재층(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층(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 first base layer 3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adhesive layer 20. 2 and 3, the first base layer 30 is provided on the lens layer 40 and the convex lens 45 provided on the lens layer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Will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제 1 기재층(30)은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90% 이상이고, 표면의 평활도가 균일하여 휘도의 편차를 가져오지 않는 소재 즉,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base layer 30 has a transmittance of 90% or more of incident light, and the surface has a uniform smoothness, so that a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a variation in luminance, that is,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It is preferred to use.

또한 상기 제 1 기재층(30)의 두께는 해상도와 3차원의 입체감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해상도와 적절한 3차원의 입체감이 발휘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기재층(30)은 두께가 15 ~ 100 ㎛인 얇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ree-dimensiona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5 to 100 µm for the first base layer 30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high resolution and an appropriat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effect can be exhibit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는 렌즈층(40)이 구비된다. 상기 렌즈층(40)은 복수 개로 형성된 볼록렌즈(45)가 구비된다. 2 and 3, a lens layer 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30. The lens layer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formed.

이때 상기 볼록렌즈(45)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균일한 굴절률과 곡률반경 및 동일한 렌즈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vex lens 45 is continuously form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uniform refractive index and curvature radius and the same lens pitch.

상기 렌즈층(40)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볼록렌즈(45)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이미지층(80)에 평면으로 인쇄된 이미지 패턴(51)에 입체감을 부여하거나, 또는 시야각에 따라 색상변화를 부여하게 된다. 즉, 평면상으로 인쇄된 이미지 패턴(51)이 상기 볼록렌즈(45)에 의해 굴절되고, 좌측 눈과 우측 눈의 시야 각도의 차이를 통해 3차원의 입체 이미지로 구현되거나 또는 시야각에 따라 색상변화를 발현하게 된다. The convex lens 45 formed in plural number in the lens layer 40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image pattern 51 printed in a plane on the image layer 80 to be described later, or changes color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given. That is, the image pattern 51 printed on the plane is refracted by the convex lens 45, and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through a difference in the viewing angle betwee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r th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To express.

상기 렌즈층(40)은 관측자의 시각적 착시 현상에 의해서 3차원의 입체감을 느끼며, 이러한 3차원의 입체감은 이미지 패턴(51)의 크기와 조밀도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렌즈층(40)은 볼록렌즈(45)의 형상을 리소그라프(lithograph) 또는 레이저 에칭 등의 방법을 통하여 금형을 제작한 후 제조하게 된다. The lens layer 40 feels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the observer's visual illusion, and the three-dimensional effect is determined by a difference in size and density of the image pattern 51. Generally, the lens layer 40 is manufactured after manufacturing a mold through a method such as lithography or laser etching of the shape of the convex lens 45.

상기 렌즈층(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볼록렌즈(45)가 돌출형성된 층으로써, 그 굴절율이 1.57 ~ 1.8로서, UV경화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ens layer 40 is a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re protruded, the refractive index of which is 1.57 to 1.8, and can be formed using a UV curing resin.

상기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는 UV경화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외선을 활성 에너지로 하여 경화가능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에폭시(epoxy)계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polyester(meta)acrylate),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epoxy(meta)acrylate),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urethane(meta)acrylate),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볼록렌즈(45)의 재질로서 가장 바람직하다.The convex lens 45 provided in the lens layer 40 may be made of a UV curable resi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urable resin using ultraviolet light as an active energy.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ster-based resins; Epoxy-based resins; (Meth)acrylates such as polyester(meth)acrylate, epoxy(meta)acrylate, urethane(meth)acrylate, etc. System resin; And mixtures thereof. Among them, a (meth)acrylate-based resin is most preferable as a material for the convex lens 45 from the viewpoint of optical properties.

상기와 같은 볼록렌즈(45)를 형성하기 위한 UV경화수지는 1.57 ~ 1.8 범위의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UV경화후 수지의 굴절율이 상기와 같은 범위를 갖는 경우에 투과율의 증가로 인한 광확산 효과의 저감 및 투과율의 감소로 인한 휘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UV-curing resin for forming the convex lens 45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has a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1.57 to 1.8, and light diffusion due to an increase in transmittanc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sin has the above-described range after UV curing.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eduction in luminanc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effect and the reduction of the transmittance.

즉, 상기 볼록렌즈(45)는 상기 제 1 기재층(30)과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이 상기 볼록렌즈(4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의 3차원의 입체감 및 색상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의 발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vex lens 45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ase layer 30, so that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vex lens 45, so that the user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expression of a visual effect according to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color change of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본 발명에 따른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의 두께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렌즈(45)의 바닥면으로부터 최고점까지의 높이인 TL은 바람직하게는 5 ~ 150 ㎛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onvex lens 45 provided in the lens lay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x lens 45 to the highest point as shown in FIG. 4, T L is preferably 5 It may be ~ 150 ㎛.

또한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에 따라 상기 제 2 기재층(60)과 볼록렌즈(45)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의 3차원의 입체감 및 색상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의 발현을 더욱 극대화하도록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ase layer 60 and the convex lens 45 according to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is adjusted. It is possible to adjust to maximize the expression of the visual effe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ree-dimensional effect and color.

본 발명의 렌즈층(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볼록렌즈(45)를 일정하게 배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ns lay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re regularly arranged as shown in FIG. 3.

또한 상기 볼록렌즈(45)는 0.01 ~ 5 mm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고, 굴절율은 1.57 ~ 1.8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록렌즈(45)가 상기와 같은 굴절율을 갖는 경우에 투과율의 증가로 인한 광확산 효과의 저감 및 은폐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휘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convex lens 45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0.01 to 5 mm, and the refractive index is preferably 1.57 to 1.8. That is, when the convex lens 45 has the refractive index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light diffusion effect and a decrease in hiding power due to an increase in transmittance, and also a decrease in luminance.

상기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는 바람직하게는 UV경화수지를 볼록렌즈(45)의 형태로 도포한 후, 이를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렌즈층(40)은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의 투사를 용이하게 하고, 어떤 방향에서도 이미지 패턴(51)에 3차원의 입체감을 부여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의 발현을 극대화하게 된다. The convex lens 45 provided in the lens layer 40 is preferably formed by applying UV curing resin in the form of a convex lens 45, and then curing it by ultraviolet light. The lens layer 4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acilitates projection of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and give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effect to the image pattern 51 in any direction. The expression of phosphorus effect is maximized.

이때 상기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의 형성밀도는 50 ~ 1000 LPI(lines per 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록렌즈(45)의 형성밀도는 1 인치(inch) 길이의 선상에 형성된 볼록렌즈(45)의 갯수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록렌즈(45)가 50 LPI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미지 패턴(51)의 해상도가 불량하게 되고, 1000 LPI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밝기가 저하되어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ormation density of the convex lens 45 provided in the lens layer 40 is preferably 50 to 1000 lines per inch (LPI). That is, the formation density of the convex lens 45 can be expressed by the number of convex lenses 45 formed on a line of 1 inch long.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vex lens 45 is formed to less than 50 LPI, the resolution of the image pattern 51 becomes poor, and when it exceeds 1000 LPI, the brightness of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to be manufactured decreases. It becomes uncomfortable to use.

이때,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은 상기 렌즈층(40)을 통하여 더욱 용이하게 투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렌즈(45)의 너비와 대응되는 길이를 2등분 이상으로 분리하여, 2개 이상의 이미지 패턴(51)을 볼록렌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방으로 3차원의 입체 형상이 발현하게 되고,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색상변화가 극대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is to be more easily projected through the lens layer 40, as shown in Figure 3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convex lens 45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length into two or more equal parts, and to repeatedly arrange two or more image patterns 5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vex lens direction. Accordingly,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hape is expressed in all directions, and color change can be maximized according to a user's viewing angle.

상기 렌즈층(40)의 하부에는 제 2 접착층(5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접착층(50)은 상기 렌즈층(40)과 제 2 기재층(60)을 접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굴절율이 1.2 ~ 1.5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A second adhesive layer 50 is provided below the lens layer 40.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is configured to bond the lens layer 40 and the second base layer 60, and a resin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2 to 1.5 may be used.

상기 제 2 접착층(50)의 하부에는 제 2 기재층(6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기재층(60)은 상기 제 1 기재층(30)과 동일하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에 따라서 촛점 조절을 위해 상기 제 2 기재층(60)의 두께를 조절 할 수 있다. A second base layer 60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The second base layer 60 may be composed of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base layer 3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60 may be adjusted for focusing according to a lenticular lens. Can be adjusted.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는 이미지 패턴(51)이 형성된 이미지층(80)이 구비된다. 위에서 설명한 렌즈층(40)은, 다수의 볼록렌즈(45)가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렌즈층(40)의 초점 거리에 상기 볼록렌즈(45)의 패턴을 고려하여 이미지층(8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은 양안 시차에 의해 2차원적으로 인쇄된 이미지 패턴(51)을 3차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시야각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인식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an image layer 80 on which an image pattern 51 is formed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base layer 60. The lens layer 40 described above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When the image layer 80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tern of the convex lens 45 at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layer 40,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is 2 due to binocular parallax. The dimensionally printed image pattern 51 can be recognized in three dimensions, and also recognized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또한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은 렌즈층(40)에 적합하도록 그래픽 작업된 이미지를 인쇄, 증착 또는 홀로그램 등의 방법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층(80)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오프셋(Off-Set), 실크 렌즈 필름(Silk Screen), 잉크젯(Ink-Jet)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may be formed by combining one or more methods such as printing, vapor deposition, or hologram on a graphic-worked image to be suitable for the lens layer 40. In the case of printing the image layer 80, an offset (Off-Set), a silk lens film (Silk Screen), inkjet (Ink-Jet)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이미지층(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층(8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층(40)의 빛의 굴절을 고려하여 편집된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패턴(51)이 구비된다. The image layer 80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base layer 60 as described above, and the image layer 80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on of light of the lens layer 40 as shown in FIG. 3. The edited two or more image patterns 51 are provided.

즉, 상기 이미지층(80)에는 이미지 패턴(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이미지 패턴(51)은 렌즈층(40)에서의 광학적인 빛의 굴절을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때 원하는 이미지 패턴(51) 2개 또는 그 이상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45)의 직경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교대로 배열하게 된다. That is, an image pattern 51 is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and the image pattern 51 is manufactured by synthesizing two or more images in consideration of optical light refraction in the lens layer 40. do. At this time, two or more of the desired image patterns 51, as shown in FIG. 3, the diameters of the convex lenses 45 are equally divided and alternately arranged.

이때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은 인쇄. 증착 또는 홀로그램을 통해 형성하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is print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by vapor deposition or hologram, or a combination thereof.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는 증착층(9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증착층(90)은 3 ~ 500 n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미지층(80)의 투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shown in FIG. 3, a deposition layer 90 is provided below the image layer 80. At this time, the deposition layer 90 is preferably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3 ~ 500 nm, it is preferable to form to increase the projection rate of the image layer 8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증착층(90)은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 증착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ion layer 90 may be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n electron beam deposition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는 무선충전 및 통신장애를 극복하고,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증착층(90)을 실리콘 옥사이드(SiO2), 티타늄 옥사이드(TiO2), 산화알루미늄(Al2O3),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등을 이용하여 전자빔(electron beam) 증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obstacles, an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the deposition layer 90 is silicon oxide ( It is preferable to perform electron beam deposition using SiO 2 ), titanium oxide (Ti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indium tin oxide (ITO), or the like.

상기 전자빔(electron beam) 증착공정은 원료물질을 전자빔(electron beam)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어 표면에 증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SiO2), 티타늄 옥사이드(TiO2), 산화알루미늄(Al2O3),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등을 전자빔 증착공정을 통해 증착층(90)을 형성하게 되면, 모바일 기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며, 또한 금속을 사용하지 아니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자기파 차폐 현상으로 인한 통신장애를 유발하지 않게 된다.The electron beam deposition process is a method of depositing a raw material in a plasma state by heating a raw material by an electron beam, and depositing it on the surface. The silicon oxide (SiO 2 ), titanium oxide (Ti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indium tin oxide (Indium Tin Oxide, ITO), etc., when the deposition layer 90 is formed through an electron beam deposition process, wireless charging of a mobile device is possible, and no metal is used. It does not cause a communication obstacle due to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henomenon of mobile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착층(90)의 하부에는 인쇄층(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이미지층(80)이 볼록렌즈(45)의 방향으로 투사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단으로 배경을 이루는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인쇄층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의 3차원의 입체감 및 색상 변화를 더욱 극대화하여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d lay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90. When the image layer 80 is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x lens 45, the printing layer is provided to form an image forming a background at the bottom of the image layer 80. By providing the printing lay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urther maximiz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color change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to be projected.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는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51)의 3차원의 입체감 및 색상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의 발현이 우수함으로써, 이를 부착하는 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부에 부착되어 심미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the multi-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sual effect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color change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image pattern 51 exposed to the outside. By having excellent expression, it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to attach it, a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aesthetic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적층시트 형성단계(S100)와 하부적층시트 형성단계(S200) 및 상기 상부적층시트 형성단계(S100)에서 생성된 상부적층시트(120)와, 하부적층시트 형성단계(S200)에서 형성되는 하부적층시트(150)를 접착하는 합지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shown in FIG. 6, the upper layered sheet forming step (S100) and the lower layered sheet forming step (S200) and the upper layered sheet forming step (S10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amination step (S300) of bonding the upper laminated sheet 120 and the lower laminated sheet 150 formed in the lower laminated sheet forming step (S200).

또한 상기 상부적층시트 형성단계(S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재층 준비단계(S110)와, 상기 제 1 기재층 준비단계(S110)에서 준비된 제 1 기재층(30)의 상부에 제 1 접착층(20)을 형성하는 제 1 접착층 형성단계(S120)와, 상기 제 1 접착층 형성단계(S120)에서 형성된 제 1 접착층(20)의 상부에 이형지(10)를 부착하는 이형지 부착단계(S130) 및 상기 제 1 필름층(30)의 하부에 복수 개의 볼록렌즈(45)가 돌출형성되는 렌즈층(40)을 적층하는 렌즈층 적층단계(S14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layer sheet forming step (S100),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substrate layer preparation step (S110), and the first substrate layer preparation step (S110) prepared in the first substrate layer 30 A first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120) of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20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formed in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120) of the release paper to attach the release paper (10)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n attaching step (S130) and a lens layer stacking step (S140) of stacking a lens layer 40 o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re protruded under the first film layer 30.

그리고 상기 하부적층시트 형성단계(S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재층(60)을 준비하는 제 2 기재층 준비단계(S210);와, 상기 제 2 기재층 준비단계(S210)에서 준비된 제 2 필름층(60)의 상부에 제 2 접착층(50)을 형성하는 제 2 접착층 형성단계(S220)와, 상기 제 2 필름층 준비단계(S210)에서 준비된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이미지층(80)을 형성하는 이미지층 형성단계(S230)와, 및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 증착층(90)을 형성함으로써 하부적층시트(150)를 완성하는 증착층 형성단계(S24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lower layer sheet forming step (S200), as shown in Figure 6, a second substrate layer preparation step (S210) for preparing the second substrate layer 60; And, the second substrate layer preparation step ( A second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220) of forming a second adhesive layer 50 on top of the second film layer 60 prepared in S210), and a second base layer prepared in the second film layer preparing step (S210) ( 60) an image layer forming step (S230) of forming an image layer 80 on the lower portion, and deposition to complete the lower layer sheet 150 by forming a deposition layer 90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mage layer 80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 layer forming step (S240).

상기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제조방법은, 상기 상부적층시트 형성단계(S100)에서 제조된 상부적층시트(120)와, 하부적층시트 형성단계(S200)에서 제조되는 하부적층시트(150)를 합지하여 접착하는 합지단계(S300)를 거쳐 수행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aminated sheet 120 prepared in the upper laminated sheet forming step (S100), and the lower laminated sheet produced in the lower laminated sheet forming step (S200) It is performed through a lamination step (S300) of laminating and bonding the 150.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적층시트 형성단계(S100)에서 상기 제 1 기재층 준비단계(S110)는,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울퉁불퉁한 질감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볼록렌즈(45)의 표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단계이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first substrate layer preparation step (S110) in the step (S100) of forming the upper lamination sheet prevents the convex lens 45 provided in the lens layer 4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uneven. This is a step performed to prevent texture and also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on the surface of the convex lens 45.

이때 사용되는 제 1 기재층(30)은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90% 이상이며, 표면의 평활도가 균일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의 필름을 이용하고, 이때 상기 제 1 기재층(30)의 두께는 15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substrate layer 30 is used is a film of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terial having a transmittance of 90% or more of the incident light and a uniform surface smoothness, wherein the first substrate layer 30 The thickness is preferably 15 to 100 μm.

상기와 같이 제 1 기재층 준비단계(S110)에서 준비된 제 1 기재층(30)의 상부에는 제 1 접착층 형성단계(S120)를 통해 제 1 접착층(20)을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layer 30 prepared in the first substrate layer preparation step S110 through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120.

상기 제 1 접착층(20)은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소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또는 고무계 수지 등을 사용하여 공지된 다양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게 된다.The first adhesive layer 20 is a polyacrylic-based resin, polystyren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chlorinated polyolefin-based resin, chlorinate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or rubber-based resin, and various known coating methods are specifically used. It is formed by using.

상기와 같이 제 1 기재층(3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접착층(20)의 상부에는 이형지(10)를 부착하는 이형지 부착단계(S13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형지(10)는 본 발명의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가 완료된 후에는 제거되어 상기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가 제 1 접착층(20)에 의해 모바일 기기 등의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종이, 비닐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 release paper attaching step (S130) of attaching a release paper 10 to the top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30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release paper 10 is removed after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is attached to the back of a case such as a mobile device by the first adhesive layer 20 As a configuration,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aper, vinyl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상기와 같이 이형지 부착단계(S130)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 복수 개의 볼록렌즈(45)가 돌출성형된 렌즈층(40)을 적층하는 렌즈층 적층단계(S14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렌즈층 적층단계(S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 볼록렌즈(45)가 접촉되도록 적층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fter performing the release paper attaching step (S130) as described above, a lens layer stacking step (S140)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re formed to protrude and mold the lens layer 40 under the first base layer 30 (S140). ). The lens layer stacking step (S140) can be easily performed by stacking the convex lens 45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layer 30 as shown in FIG. 3.

상기 렌즈층 적층단계(S140)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로 제조되는 일측면에 UV경화수지를 이용하여 볼록렌즈(45)가 형성된 렌즈층(40)을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 적층함으로서 수행할 수 있다. In the lens layer laminating step (S140), the lens layer 40 having the convex lens 45 formed on one side made of an acrylic resin or a urethane resin using a UV curing resin is formed under the first base layer 30. It can be carried out by laminating on.

즉, 상기 렌즈층 적층단계(S140)는, 먼저 UV경화수지를 도포한 후, 볼록렌즈(45)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의 패턴면을 상기 도포된 UV경화수지상에 위치시킨 후, 가압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와 같이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기 UV경화수지가 경화되면서 볼록렌즈(45)이 형상이 UV경화수지의 상면에 전사됨으로써 상기 와 같이 볼록렌즈(45)가 형성된 렌즈층(40)의 제조가 완료된다. That is, in the step of laminating the lens layer (S140), after first applying the UV curing resin, after placing the pattern surface of the mold having the shape of the convex lens 45 on the applied UV curing resin, while pressing Irradiate with ultraviolet light. As the UV cured resin is cured by the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nvex lens 45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V cured resin, thereby manufacturing the lens layer 40 on which the convex lens 45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do.

상기와 같이 제조된 렌즈층(40)을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 적층함으로써 상기 렌즈층 적층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The lens layer stacking step (S140) may be performed by stacking the lens layer 4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under the first base layer 30.

상기와 같이 렌즈층 적층단계(S140)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부적층시트(12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후에는 상부적층시트(120)와 별도로 하부적층시트(150)를 제조하게 된다. By performing the lens layer laminating step (S140) a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of the upper laminated shee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Thereafter, the lower laminated sheet 150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laminated sheet 120.

상기 하부적층시트 형성단계(S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재층(60)을 준비하는 제 2 기재층 준비단계(S210)와, 상기 제 2 기재층 준비단계(S210)에서 준비된 제 2 기재층(60)의 상부에 제 2 접착층(50)을 형성하는 제 2 접착층 형성단계(S220)와, 상기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이미지층(80)을 형성하는 이미지층 형성단계(S230)와,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 증착층(90)을 형성하여 하부적층시트(150)를 완성하는 증착층 형성단계(S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ower layer sheet forming step (S200), as shown in Figure 6, a second base layer preparation step (S210) for preparing the second base layer 60, and the second base layer preparation step (S210) A second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220) of form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layer 60 prepared in, and forming the image layer 80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layer 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layer forming step (S230) and a deposition layer forming step (S250) of forming the deposition layer 90 under the image layer 80 to complete the lower laminated sheet 150.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 2 기재층 준비단계(S210)는, 하부적층시트(150)의 상부를 이루는 제 2 기재층(60)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기재층은 렌티큘러 렌즈의 촛점 조절을 위해 두께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재층(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second base layer preparation step (S210) is a step of preparing the second base layer 60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lamination sheet 150, wherein the second base layer is the focus of the lenticular lens.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for. It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base layer 30.

상기 제 2 기재층 준비단계(S210)에서 준비되는 제 2 기재층(60)의 상부에는 제 2 접착층 형성단계(S220)를 통해 제 2 접착층(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착층(50)은 이후에 합지단계(S300)에서 상부적층시트(120)와 하부적층시트(150)를 부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 2 접착층 형성단계(S220)는 상기 제 2 기재층(60)의 상부에 제 1 접착층(20)과 동일한 소재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소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또는 고무계 수지 등을 공지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A second adhesive layer 50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layer 60 prepared in the second substrate layer preparation step (S210)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220).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is provided to attach the upper laminated sheet 120 and the lower laminated sheet 150 in the lamination step (S300).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forming step (S220), polyacrylic resin, polystyrene resin, polyamide resin,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chlorinated, which is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dhesive layer 20 on the second base layer 60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or rubber-based resin may be formed using a known coating method.

이후에는 상기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이미지층(80)을 형성하는 이미지층 형성단계(S230)을 거치게 된다.Thereafter, an image layer forming step (S230) of forming the image layer 80 under the second base layer 60 is performed.

상기 이미지층 형성단계(S230)는 상기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이미지층(8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미지층(80)이 형성되는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는 볼록렌즈(45)의 굴절율을 고려하여 이미지 패턴(51) 2개 이상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렌즈(45)의 직경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교대로 배열하게 된다. The image layer forming step (S230) is a step of forming the image layer 80 under the second base layer 60,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layer 60 on which the image layer 80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vex lens 45, as shown in FIG. 3, two or more image patterns 51 are divided evenly by dividing the diameter of the convex lens 45 evenly.

이때, 상기 이미지층(80)에 구비되는 이미지 패턴(51)은 증착, 홀로그램 또는 인쇄 등의 방법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인쇄의 방법은 오프셋(Off-Set), 실크 렌즈 필름(Silk Screen), 잉크젯(Ink-Jet)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mage pattern 51 provided on the image layer 80 may be formed by combining one or more methods such as deposition, hologram or printing.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method of printing may be an offset (Off-Set), a silk lens film (Silk Screen), inkjet (Ink-Jet) or the like.

상기 이미지층(80)을 인쇄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오프셋 인쇄 장비를 이용하여 오프셋 인쇄를 통해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프셋 인쇄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패턴(51)의 크기를 3 ㎛ 부터 표현이 가능하다. When the image layer 80 is formed by printing,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form it through offset printing using an offset printing equipment. When using such an offset printing equipment, the size of the image pattern 51 can be expressed from 3 μm.

한편, 상기 이미지 패턴(51)을 증착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주석 등의 금속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해 증착된 이미지 패턴(51)을 형성하게 된다.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의 경우 반도체 공정에서 주로 이용되는 패턴형성공정 중의 하나로,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수십 ~ 수백 ㎚ 사이즈의 이미지 패턴(51)까지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pattern 51 is formed by evaporation, a metal such as tin is deposited under the second base layer 60, and the image pattern 51 deposited through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formed. Is done. In the case of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t is one of the pattern forming processes mainly used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Whe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used, even the image pattern 51 having a size of tens to hundreds of nm can be formed.

또한 홀로그램은 3D 홀로그램 표면처리된 홀로그램 원단을 이미지 패턴(51)으로 UV 경화 또는 합지시키게 되면, 종래의 평면 이미지나 입체무늬를 적용한 것과 달리 이미지 패턴(51)의 3D 입체 효과를 시각적으로 극대화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ogram is UV cured or laminated with the 3D hologram surface-treated hologram fabric as the image pattern 51. Improve it.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들은 양안의 시차가 발생할 수 있는 위치로 다양한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시야각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패턴(5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은 도 5의 (c)와 같은 입체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며, 또한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에 따라 색상변화가 가능한 이미지 패턴(51)의 형성이 가능하다. The image patterns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to positions where binocular parallax may occur, and also various types of image patterns 51 in which color changes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Can be. That is,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is capable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s shown in (c) of FIG. 5, and also, as shown in (a) and (b) of FIG. 5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form an image pattern 51 capable of changing color.

이에 따라, 회전 또는 시야각에 따라 색상이 변환되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3차원의 입체 패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col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r viewing angle, or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pattern of various shapes may be displayed.

한편,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되는 이미지 패턴(51)들의 수직적인 위치 관계는 상기 렌즈층(40)에 형성된 볼록렌즈(45)의 촛점거리와 관련이 있다. 즉, 상기 렌즈층(40)과 이미지층(80)의 수직적인 위치관계가 상기 렌즈층(40)에 형성된 볼록렌즈(45)들의 초점이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된 각 이미지 패턴(51)들에 위치하도록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의 두께나 곡률반경 등이 적절히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볼록렌즈(45)의 굴절율도 함께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image patterns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is related to the focal length of the convex lens 45 formed on the lens layer 40. That is, the vert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ns layer 40 and the image layer 80 is the focus of the convex lenses 45 formed in the lens layer 40, each image pattern 51 formed in the image layer 80 The thickness or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vex lens 45 provided in the lens layer 40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be located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vex lens 45 can also be adjusted, of course.

상기 이미지층 형성단계(S230)의 이후에는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 증착층(90)을 형성하는 증착층 형성단계(S250)를 수행하게 된다. After the image layer forming step (S230 ), a deposition layer forming step (S250) of forming the deposition layer 90 under the image layer 80 is performed.

상기 증착층 형성단계(S250)는 상술한 이미지층(80)이 상기 볼록렌즈(45)의 방향으로 투사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층(80)의 배경을 이루는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증착층(90)의 구성을 통하여, 일반 이미지와 3차원의 이미지의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3차원 입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The deposition layer forming step (S250) is to form an image constituting the background of the image layer 80 when the above-described image layer 80 is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x lens 45, such a deposition lay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90), it is possible to form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image of various form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general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상기와 같이 증착층 형성단계(S250)를 수행함으로써, 하부적층시트(150)의 제조가 완료된다.By performing the deposition layer forming step (S250) as described above, manufacturing of the lower laminated sheet 150 is completed.

상기 증착층(90)은 진공 상태에서 금속이나 무기물 또는 그 화합물을 가열, 증발시켜 그 증기를 얇은 막으로 입히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90 may be formed through a process of heating and evaporating a metal or inorganic material or a compound thereof in a vacuum to coat the vapor with a thin film.

상기 증착층(90)은 인듐등의 소재가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 증착된 것으로서,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의 배경에 금속 질감을 구현함은 물론, 상기 이미지층(80)에 형성된 이미지 패턴(51)을 선명하게 하여 입체감 및 컬러 변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e deposition layer 90 is a material such as indium deposi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mage layer 80, as well as implementing a metal texture on the background of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image layer 80, as well as the image By sharpening the image pattern 51 formed on the layer 80, it is possible to maximiz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color convers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층(80)과 증착층(90)의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단계(S250)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이미지층(80)과 증착층(90) 사이에 이미지층(8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이미지층(80)의 투사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printing layer forming step (S250) of forming a printing layer between the image layer 80 and the deposition layer 90. That is, when the image layer 80 is formed between the image layer 80 and the deposition layer 9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jection rate of the image layer 80.

상기와 같이 상부적층시트 형성단계(S100)를 거쳐 제조된 상부적층시트(120)와, 하부적층시트 형성단계(S200)를 통해 제조된 하부적층시트(150)는 이후에 이를 합지하는 합지단계(S3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합지단계(S300)에서는 하부적층시트(150)의 상부에 상부적층시트(120)를 적층한 후에 롤러 프레스 등으로 압착하여 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적층시트(150)의 상부에는 제 2 접착층(50)이 구비됨으로, 상기 제 2 접착층(50)에 의하여 상기 상부적층시트(120)와 하부적층시트(150)를 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lamination sheet 120 manufactured through the upper lamination sheet forming step (S100) and the lower lamination sheet 150 manufactured through the lower lamination sheet forming step (S200) are later laminated to the lamination step ( S300). In the laminating step (S300), after laminating the upper lamination sheet 1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lamination sheet 150, it is laminated by pressing with a roller press or the like. That is, a second adhesive layer 50 is provided on the lower laminated sheet 150 so that the upper laminated sheet 120 and the lower laminated sheet 150 can be laminated by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do.

상기와 같이 상부적층시트(120)와 하부적층시트(150)를 합지함으로써, 3차원의 입체감 및 색상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의 발현이 우수한 본 발명의 3차원 입체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By combining the upper stacked sheet 120 and the lower stacked sheet 150 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expression of the visual effect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impression and color change. The possible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is comple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perimental example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xperimental examples are possible therefrom. In addi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입체변환필름 구조체
10 : 이형지
20 : 제 1 접착층
30 : 제 1 기재층
80 : 이미지층
90 : 증착층
100: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 release paper
20: first adhesive layer
30: 1st base material layer
80: image layer
90: deposition layer

Claims (9)

이형지(10);
상기 이형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접착층(20);
상기 제 1 접착층(20)의 하부에 접착되되, 렌즈층(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층(40)에 구비되는 볼록렌즈(4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기재층(30);
상기 제 1 기재층(30)의 하부에 구비되되, 복수 개의 볼록렌즈(45)가 형성된 렌즈층(40);
상기 렌즈층(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접착층(50);
상기 제 2 접착층(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기재층(60);
상기 제 2 기재층(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볼록렌즈(4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51)이 형성된 이미지층(80); 및
상기 이미지층(80)의 하부에 구비되되, 실리콘 옥사이드(SiO2), 티타늄 옥사이드(TiO2), 산화알루미늄(Al2O3),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가 증착되어 형성되는 증착층(9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Release paper 10;
A first adhesive layer 20 provided under the release paper 10;
A first substrate layer (adher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20, provided on the lens layer 40 to prevent the convex lens 45 provided in the lens layer 4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30);
A lens layer 40 provid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30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formed thereon;
A second adhesive layer 50 provided below the lens layer 40;
A second base layer 60 provided under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An image layer 80 provided under the second base layer 60 and having an image pattern 51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convex lenses 45; And
It is provided below the image layer 80, but is formed by depositing silicon oxide (SiO 2 ), titanium oxide (Ti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and indium tin oxide (ITO). Deposition layer 90; a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for the back cover of a mobile devic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90)의 하부에는 인쇄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In claim 1
A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3D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for a back cover of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inting layer is additionally provid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90.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층(80)은 볼록렌즈(45)의 직경과 대응되는 길이를 2등분 이상으로 분리하여, 2개 이상의 이미지 패턴(51)을 볼록렌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In claim 1
The image layer 8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nvex lens 45 is divided into two or more parts, and two or more image patterns 51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vex lens direction.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mobile device back cover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패턴(51)은 인쇄, 증착 및 홀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In claim 3
The image pattern 51 is formed by combining any one or more of printing, vapor deposition, and hologram. 3D multi-pattern for a back cover of a mobile device and a stereoscopic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층(30)과 제 2 기재층(60)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In claim 1
The first base layer 30 and the second base layer 60 are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for the back cover of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of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structure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층(40)에 형성된 볼록렌즈(45)는 50 ~ 1000 LPI(Lens per inch)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x lens 45 formed in the lens layer 40 is formed from 50 to 1000 LPI (Lens per inch), a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and multi-color conversion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the back cover of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45)의 두께(TL)는 5 ~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x lens 45 has a thickness (T L ) of 5 to 150 μm, a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for mobile device rear cover and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45)의 굴절율은 1.57 ~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x lens 45 has a refractive index of 1.57 to 1.8, a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for a back cover of a mobile device, and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50)의 굴절율은 1.2 ~ 1.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후면커버용 3차원 다중패턴 및 멀티컬러 변환이 가능한 입체변환필름 구조체(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has a refractive index of 1.2 to 1.4, a three-dimensional multi-pattern for a back cover of a mobile device, and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film structure 100 capable of multicolor conversion.
KR1020190171933A 2019-12-20 2019-12-20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KR102126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33A KR102126639B1 (en) 2019-12-20 2019-12-20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33A KR102126639B1 (en) 2019-12-20 2019-12-20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639B1 true KR102126639B1 (en) 2020-06-26

Family

ID=7113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933A KR102126639B1 (en) 2019-12-20 2019-12-20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63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6210A (en) * 2007-09-28 2009-04-23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body and article with label
KR101042501B1 (en) * 2010-11-17 2011-06-17 이주현 A lens array sheet with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filter
KR20110070141A (en) * 2009-12-18 2011-06-24 정희석 Stereoscopic shee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20137784A (en) * 2011-06-13 2012-12-24 이명주 Three dimensional printed film
KR20170134148A (en) * 2016-05-27 2017-12-06 이용희 Case with 3d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6210A (en) * 2007-09-28 2009-04-23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body and article with label
KR20110070141A (en) * 2009-12-18 2011-06-24 정희석 Stereoscopic shee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042501B1 (en) * 2010-11-17 2011-06-17 이주현 A lens array sheet with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filter
KR20120137784A (en) * 2011-06-13 2012-12-24 이명주 Three dimensional printed film
KR20170134148A (en) * 2016-05-27 2017-12-06 이용희 Case with 3d fil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8886B2 (en) Security device
GB2552083A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ecurity documents and security devices
CN109285439B (en) Image-text anti-counterfeiting structure based on micro-lens arra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8131665A1 (en) Coloring structure, display body, coloring sheet, mo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ing structure
JP2018112732A (en) Color development structure, display body, color development sheet, comp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development structure
KR2019011848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coration element
CN108556508A (en) Multiple images display body
KR102019054B1 (en) Multiple pattern security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212275B2 (en) LAMINATED SHEET,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SHEET, AND MOLDED BODY
JP5245430B2 (en) Display and labeled goods
KR102126639B1 (en) 3-Dimensional stereoscopic film structure for a back cover of mobile device
KR101644830B1 (en) Security image film manufacturing method with micron unit of thickness based on micro-lenz
CN115981025A (en) Micro-optical imag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36874B1 (en) Three dimensional sheet comprising lenticular sheet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the same
JP5141024B2 (en) Inserts and molded products
JP5861261B2 (en) Micro lens decoration
JPWO2014083610A1 (en) Decorative film
CN108002710A (en) Cover-plate glass stepped construction and its processing method
CN214941926U (en) Decorative buckle plate with variable visual effect
JP5845567B2 (en) Micro lens decoration
KR20090130960A (en) Surface treated lenticula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051879B1 (en) Micro-pattern mold, stereoscopic lens sheet using the same mol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lens sheet
JP2008051855A (en) Stereo printed matter
WO2019124322A1 (en) Display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body
CN209787223U (en) Decorative film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