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388B1 -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388B1
KR102126388B1 KR1020190106294A KR20190106294A KR102126388B1 KR 102126388 B1 KR102126388 B1 KR 102126388B1 KR 1020190106294 A KR1020190106294 A KR 1020190106294A KR 20190106294 A KR20190106294 A KR 20190106294A KR 102126388 B1 KR102126388 B1 KR 10212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anguage
user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현
강예미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안지현
강예미
이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현, 강예미, 이수빈 filed Critical 안지현
Priority to KR102019010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은 각각의 대상자의 청력 발달과정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와 로봇형 전자기기를 이용한 제 2언어 재활용 컨텐츠를 통해 대상자들의 언어 재활에 역효과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상자들에게 필요한 체계적인 언어 재활을 조력할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모든 학습 과정에서 대상자의 음성, 행동, 표정 등의 반응정보를 저장하여 서버로 송신해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분석,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제 3 언어재활용 컨텐츠가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아이들의 현재 상태나, 고유 성향파악, 유치원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에 대한 이용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해 부모와 교사에게 전달 및 피드백함으로써 유치원과 가정의 연계율을 최대로 하여 1:1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LANGUAGE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AF}
본 개시는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의 소리인식을 돕는 하는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산업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공지능을 통한 학습이나 어플리케이션 및 전자도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 방법은 종래의 발달된 고도의 기술들을 통하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교실, 인공지능교실 등으로 실시 되어왔다. 이러한 미래 기술을 이용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교육용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었는데, 이들 중 대표적인 제품이 청각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글래스 등이다.
한국 특허출원 10-2016-0028826 등에 공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는 청각장애인이 착용 하여 수화를 하면 이를 인식하여 변역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10-2017-0100074는 스마트 글래스에 관한 기술로, 상대방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해 자막으로 보여주는 스마트 기기이다. 이와 같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교육 제품들은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시각적 언어인 수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청력이 0에 가까운 청각 장애인들의 수는 급격히 줄고 있다. 이에 따라 청각장애인들은 대부분 미약한 청력을 가지기 때문에, 수화보다는 구화를 선호하는 현재 청각장애인들의 언어 체계 변화의 측면에 비추어 볼 때, 종래 수화를 이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 글래스는 직접적인 사용자의 편리성과 맞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단일하게 사용되는 전자기기들과 소프트웨어는 존재하지만 학습에 도움이 되는 여러 서비스, 플랫폼을 한번에 연계해서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플랫폼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청각장애인에게 필요한 반복적인 학습 자극을 바탕으로 한 교육 진행의 어려움과, 가정 연계교육을 진행에 있어서의 미흡함을 가져온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일회적으로, 또는 일방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청각장애인 학습자의 성향, 취약한 학습부분을 파악한 후에 이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연계 학습 서비스가 요구된다.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은 각각의 대상자의 청력 발달과정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와 로봇형 전자기기를 이용한 제 2언어 재활용 컨텐츠를 통해 대상자들의 언어 재활에 역효과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상자들에게 필요한 체계적인 언어 재활을 조력할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모든 학습 과정에서 대상자의 음성, 행동, 표정 등의 반응정보를 저장하여 서버로 송신해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분석,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제 3 언어재활용 컨텐츠가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청각장애인들의 현재 상태나, 고유 성향파악, 유치원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에 대한 이용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해 부모와 교사에게 전달 및 피드백함으로써 유치원과 가정의 연계율을 최대로 하여 1:1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대상자 정보를 기초로 대상자의 성향을 판별하여 해당 성향정보를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10); 특정 언어재활용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음성신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비교하고 사용자 입력신호의 정확도에 따라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며 연계치료용 카드를 인쇄하고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를 송신하는 디지털 사이니지(20); 연계치료용 카드의 인식을 따라 사용자에게 제 2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로봇형 전자기기(30);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성향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성향정보에 매칭되는 언어재활방식을 선정하고 언어재활방식에 대응되는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로봇형 전자기기로 제공하고. 사용자별 성향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로봇형 전자기기가 작동되도록 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입력되는 이용정보데이터와 로봇형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서버(40);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의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성향정보를 서버(40)로 송신하고, 서버는 성향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단계; (B) 서버(40)에서 수집, 분석된 사용자의 성향정보에 매칭되는 언어재활방식을 선정하고 선정된 언어재활방식에 대응되는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디지털 사이니지와 로봇형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C) 디지털 사이니지(20)에서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수신 받아 특정 언어재활용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자의 입력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D) 디지털 사이니지(20)에서 비교결과에 따라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며 연계치료용 카드를 인쇄하고 사용자의 이용데이터정보를 서버(40)로 송신하는 단계; (E) 로봇형 전자기기(30)에서 연계치료용 카드를 로봇의 센서인식부에 인식하고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F) 로봇형 전자기기(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대응되는 제 2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서버(40)로 송신하는 단계; (G) 서버(40)는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입력되는 이용정보데이터와 로봇형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반응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및 (H)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재활치료구동데이터에 상응하는 제 3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 및 방법은, 각각의 대상자들의 청력 발달과정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와 로봇형 전자기기를 이용한 제 2언어재활용 컨텐츠를 통해 대상자들의 청력 발달에 역효과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상자들에게 필요한 체계적인 언어 발달을 조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학습 과정에서 대상자의 음성, 행동, 표정 등의 반응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해 분석,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제 3 언어재활용 컨텐츠가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대상자들의 현재 상태나, 고유 성향파악, 학습단계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에 대한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지도자에게 전달, 피드백함으로써 대상자와 사용자의 연계율을 최대로 하여 24시간 1:1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 1,2,3 언어 재활용 컨텐츠들을 연계하여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실질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기술은 미리 언급한 것과 같이 현황 및 조사내용,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대부분 상대방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해 자막으로 보여주거나 손동작을 인식 하여 보여 주는 등 수화를 인식하는 등 수화 위주에 기술이었다.
이와 같은 기존 종래 기술은 수화와 같이 시각적인 설명에만 급급하며 이는 시각적 재활 치료 수단인 수화보다 구화의 교육이 필요한 청각장애인, 특히 연령대가 어린 청각장애 아동에게도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는 구화교육의 효과적인 연계에 초점을 두어,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둘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 및 방법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노력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많이 실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지만 정작 조기 치료가 중요한 청각장애인, 특히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언어 치료 서비스는 미비하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기술은 즉각적인 언어재활 치료에 획기적인 대안이 될 것이며, 단순히 언어 교육뿐 아니라 대상자의 성향을 분석한 맞춤형 재활 서비스가 되어 기존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확장성 있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 특히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청각장애 아동 중 학령기(만 5세 ~ 초등교육과정)의 아이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가 될 것이며 감성적 교류, 많은 언어표현 기회제공과 적절하고 지속적인 청각적, 언어적 피드백을 통해 아동의 언어적 치료 개선과 청각장애인의 단체 활동을 통한 사회성 증진에 적극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 및 방법은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청각장애 복지사와 인터뷰 결과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의 교육은 통상적인 교육기관과 같이 똑같은 교육을 받고 전문가의 지도 하에 개인적인 통지물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는 전문가의 인원수 부족, 가정에서 피드백이 필요한 교육 부족 등으로 인해 각각 다른 청력의 발달을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인이 개개인의 교육을 효과적으로 받지 못하고 있다.”하는 답변을 얻은 적이 있다.
또한 실제 청각장애인의 보호자의 경우도 가정과의 중재 부분에서 가정교육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인터뷰 결과를 얻었다. 이런 현 기술의 문제점으로 참고 했을 때,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은 청각장애인의 교육 발달의 효과적인 연계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교육이 열악한 청각장애인 교육문제는 아직까지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다. 때문에 상기의 발명은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청력장애교육 센터와의 인터뷰 결과, 가정의 학습이 연계되지 않아서 교육의 프로세스가 끊기는 경우가 많다는 대답을 얻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연동의 사용하면 청각장애인의 교육과정을 살펴볼 수 있고 이에 맞게 교육을 순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계교육을 통해서 이행되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회성이 아닌 연속, 지속적인 단계의 언어치료 제공할 수 있다. 청각장애인의 재활 서비스는 온/오프라인상에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나 1회성으로 유치원/재활센터에서 일회적으로 행해지며 이것은 감각 기관을 매번 상기 시켜주어야 하는 청각장애인에게 잠재적 발달 가능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실제 청각장애인과 청각장애복지관의 전문가들과의 질의응답 결과, 가정과의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각교육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이에 실시예에서는 3단계의 언어재활 서비스로 일회적인 서비스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연계, 순환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반복적인 자극을 통해 감각의 균형적 발달 도움이 된다. 청각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다르게 의식적으로 청각적 교육을 스스로 집중하는데 미숙하며 오감 중에 하나의 감각이 둔하기 때문에 불균형적 감각경험을 학습할 경우, 감각융합에 어려움을 겪으며 촉각방어와 같은 정신적 장애를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각장애인이 24시간, 촉각, 시각에 노출되는 만큼의 청각을 경험시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사회성 증진이 가능하다. 우리의 연계시스템의 교육 대상자가 장애인이기 때문에, 단지 교육만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비장애인과 잘 어울리기 위한 사교성의 성장도 고려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아날로그에서 유튜브, 넷플릭스 등과 같이 디지털로의 교육 플랫폼 변화에 입각하여 스크린 놀이와 로봇과 함께하는 현대적 디지털 놀이의 플랫폼을 통해 또래 타인과의 교류 시 언어표현에 있어 좀더 유연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향분석을 실행한 후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은 서버(40), 디지털자이니지(20), 로봇(30) 및 단말기(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대상자 정보를 기초로 대상자의 성향을 판별하여 해당 성향정보를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디지털 사이니지(20)는 특정 언어재활용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비교하고 해당 정확도에 따라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한다.
로봇형 전자기기(30)는 연계치료용 카드를 인쇄하고 해당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를 송신하는 연계치료용 카드의 인식을 따라 사용자에게 제 2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한다.
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성향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성향정보에 매칭되는 언어재활방식을 선정하고 상기 언어재활방식에 대응되는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디지털 사이니지와 로봇형 전자기기로 제공하여 해당 성향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와 로봇형 전자기기가 작동되도록 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입력되는 이용정보데이터와 로봇형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반응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서버는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은 재활치료구동데이터에 상응하는 제 3 언어재활용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의 단말기(10)는 제1입력부(11), 제1데이터수집부(12), 제1데이터 분석부(13), 학습컨텐츠제공부(14), 제1출력부(15), 제1송신부(16), 제1수신부(17) 및 제1음성인식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서버(40)는 제4송신부(42), 제4데이터 수집부(43), 제 2데이터 수집부(44) 및 제 4 수신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로봇(30)은 제3입력부(31), 제3음성인식부(32), 제3데이터 수집부(33), 동화 출력부(34), 제3송신부(35), 제3수신부(36) 및 제2센서인식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디지털 사이니지(20)는 제2입력부(21), 제2음성인식부(22), 제1센서인식부(23), 제2데이터수집부(24), 제2출력부(25), 제2송신부(26), 제2수신부(27) 및 인쇄부(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의 제1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대상자 정보를 입력받고 제1음성인식부(18)는 대상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학습제공부(14)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을 제공받는다. 단말기(10)의 제1출력부(15)는 학습제공부에 일치되는 음을 출력하고, 제1송신부(16)는 수집, 분석된 데이터들을 서버로 송신한다. 제1수신부(17)는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받는다.
디지털 사이니지(20)의 제2입력부(21)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원을 입력받고, 제2음성인식부(22)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1센서인식부(23)는 터치센서 등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고, 제 2데이터수집부(24)는 센서인식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2출력부(25)는 입력과 일치되는 음을 출력하고 제2송신부(26)는 수집, 분석된 데이터들을 서버로 송신한다. 제2수신부(27)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다.
인쇄부(28)는 수집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오늘의 동화카드를 인쇄한다.
로봇형 전자기기(30)의 제3입력부(31)는 사용자로부터 전자기기로 전원을 입력받고, 제3음성인식부(32)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제3데이터수집부(33)는 음성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동화출력부(34)는 센서인식부에서 인식된 내용과 일치하는 동화책을 읽어주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3송신부(35)는 서버(40)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송신한다. 제 3수신부(36)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다. 제2 센서인식부(37)는 디스플레이에서 인쇄된 동화카드의 QR코드를 인식한다.
실시예에서 서버(40)는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와 반응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빅데이터(41)는 서버(4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응용할 때 사용하고 제 4송신부(42)는 분석된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 4데이터수집부(43)는 수신 받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제 2데이터분석부(44)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제 4수신부(45)는 전자기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언어재활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이다.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의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S1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사용자에 입력된 성향정보를 수집하고 S2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성향정보를 서버(40)로 송신한다. S30 단계에서 서버(40)는 상기 성향정보를 수집 및 분석한다. S40 단계에서는 서버(40)에서 수집, 분석된 상기 사용자의 성향정보에 매칭되는 언어재활방식을 선정하고 S50 단계에서는 선정된 언어재활방식에 대응되는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추출하여 S60 단계에서 디지털 사이니지(20)로 재활치료 구동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S70 단계에서는 서버(40)에서 로봇형 전자기기(30)으로 재활치료 구동데이터를 전송한다. S80 단계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20)에서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수신 받아 특정 언어재활용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수신자의 입력신호를 비교한다. S90 단계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20)에서 비교결과에 따라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며 연계치료용 카드를 인쇄한다. S10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이용데이터정보를 서버(40)로 송신한다.
S110 단계에서는 로봇형 전자기기(30)에서 연계치료용 카드를 로봇의 센서인식부에 인식하고 데이터를 입력한다.
S120 단계에서는 로봇형 전자기기(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대응되는 제 2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수집하고 S130 단계에서 반응정보를 서버(40)로 송신한다.
S140 단계에서 서버(40)는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입력되는 이용정보데이터와 로봇형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반응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S150 단계에서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재활치료구동데이터에 상응하는 제 3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대상자, 사용자의 음성, 터치 등의 반응정보를 신호인식센서부를 통해 수신 이를 분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그림으로 맞추어 맞추어진 그림의 움직임이 표시, 음성과 송출과 함께 사용자의 학습을 유도한다. 대상자가 상기의 음성을 올바르게 따라 할 경우 연계치료용 카드가 인쇄되고 해당 대상자의 이용정보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는 유치원/언어치료 센터 등 내부의 공간에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을 접목시켜 대상자의 청각 발달 교육을 체험 형식으로 돕는다. 이 교육은 단체 활동으로 진행되어, 청각적 자극을 통한 청각 치료와 더불어 대상자의 사회성, 사교성 증진에도 도움을 준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디스플레이에서 대상자들은 사이니지에 부착된 오디오를 통해 나오는 음성을 듣고 올바른 소리를 파악하여 이를 터치하고, 화면을 올바르게 다 터치하게 되면 동화책의 한 장면이 완성된다. 장면 내 등장인물들은 사이니지에서 움직이며 간단한 대사를 하고 대상자는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따라 하며 단문 교육을 실시한다. 대상자가 올바르게 단문교육을 완료하였다면, 사이니지에서의 인쇄부분에서 연계치료용 카드가 인쇄된다. 이러한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는 청각장애인의 흥미를 유발하는 동시에 청각재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제2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센서인식부에서 상기 연계치료용 카드의 인식을 받아 대상자에게 연계치료용 카드와 상응하는 동화의 이야기를 출력하고 질문을 통해 대상자의 언어학습을 유도한다. 이후 상기의 언어학습에 대응하는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 1언어재활 교육인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청력발달을 촉진하고 단문 교육을 실시하였다면 상기 제 2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대상자의 1:1케어를 해줄 수 있는 로봇을 이용해이를 기준으로 대상자들의 1:1케어를 해줄 수 있는 이동이 가능한 로봇을 이용해 장문 교육과 더불어 구화 교육을 위한 제 2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한다. 대상자가 동화책에서 배울 단어를 반복적으로 정확히 발음을 해주고 대상자가 따라 하는 소리를 음성인식, 녹음하여 목표 달성 여부를 파악하고 대상자가 이를 잘 발음했을 경우 대상자에게 장문(아동일 경우 동화책 등)을 읽어주며 그를 활용한 문장이나 단어의 교육을 시작하고 발음이 잘 안 되는 경우 교육 이후 대상자들이 수행하지 못한 단어와 문장들을 서버로 송신해 빅데이터화 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 대상자가 가정에서 사용자와 효과적으로 복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3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서버로부터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상응하는 4단계의 교육컨텐츠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4단계에는 음의 인식, 음의 변별, 음의 확인 및 음의 이해 단계를 각각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출력하여 보여주며, 출력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서버로 송신하는 시스템을 포함한 언어재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향분석을 실행한 후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3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유치원/언어재활센터 등의 언어치료기관의 교육 중재 내용을 사용자에 연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고안된 컨텐츠 이다. 대상자와 사용자 간 소통을 주 목적으로 하루의 수업 활동 동안 로봇이 기록하고 빅데이터화하여 서버로 송신해 서버에서 빅데이터화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한다.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의 사용자는 송신된 대상자의 정보와 교육 진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성향분석과 그에 따른 중재 방법, 가정에서의 후 교육 프로그램, 대상자 케어 기능 등을 동반한다. 사용자는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정에 필요한 후 학습을 할 수 있고, 이를 전문가에게 보내 즉각적인 학습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상기의 전문가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가정 중재 내용을 확인, 부족한 내용을 다음 수업 시간에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대상자를 교육하고 서버를 통해 빅데이터화한 대상자의 교육 상태를 확인하며 다음 교육의 커리큘럼에 반영하여 대상자 개개인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단말기
11: 제1입력부
12: 제1데이터 수집부
13: 제1데이터 분석부
14: 학습 제공부
15: 제1출력부
16: 제1송신부
17: 제1수신부
18: 제1음성 인식부
20: 디지털 사이니지
21: 제2입력부
22: 제2음성 인식부
23: 제1센서 인식부
24: 제2데이터 수집부
25: 제2출력부
26: 제2송신부
27: 제2수신부
28: 인쇄부

Claims (10)

  1.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대상자 정보를 기초로 대상자의 성향을 판별하여 해당 성향정보를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10);
    특정 언어재활용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음성신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의 정확도에 따라 제 1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며 연계치료용 카드를 인쇄하고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를 송신하는 디지털 사이니지(20);
    상기 연계치료용 카드의 인식을 따라 사용자에게 제 2 언어재활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로봇형 전자기기(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성향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성향정보에 매칭되는 언어재활방식을 선정하고 상기 언어재활방식에 대응되는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상기 로봇형 전자기기로 제공하고. 사용자별 성향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로봇형 전자기기가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입력되는 이용정보데이터와 상기 로봇형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서버(40);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40); 는
    상기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재활치료구동데이터에 상응하는 제 3 언어재활용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사용자의 음성, 터치를 포함하는 반응정보를 신호인식센서부를 통해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된 신호에 해당하는 그림으로 맞추어 상기 그림의 움직임이 표시, 음성과 송출과 함께 사용자의 학습을 유도하고, 사용자가 상기의 음성을 올바르게 따라 할 경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20); 는 연계치료용 카드를 인쇄하고 해당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를 서버(40)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센서인식부에서 상기 연계치료용 카드의 인식을 받아 사용자에게 연계치료용 카드와 상응하는 동화 이야기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20); 에서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질문을 통해 언어학습을 유도하고, 언어학습 컨텐츠에 대응하는 반응정보를 수집하여 서버(40)로 송신하고
    상기 제3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상기 서버(40)로부터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수신하고, 상기 재활치료구동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의 인식, 음의 변별, 음의 확인, 음의 이해를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교육 프로그램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출력하여 보여주며, 상기의 출력화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서버(4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40)는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와 반응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20)는
    대상자가 동화책에서 배울 단어를 반복적으로 정확히 발음을 해주고 대상자가 따라 하는 소리를 음성인식, 녹음하여 목표 달성 여부를 파악하고 목표달성 여부에 따라 대상자에게 장문을 읽어주며 문장이나 단어의 교육을 시작하고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교육 이후 대상자들이 수행하지 못한 단어와 문장들을 서버로 송신해 빅데이터화 하여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여, 대상자가 가정에서 복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 언어 재활용 컨텐츠는
    서버로부터 재활치료구동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상응하는 4단계의 교육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4단계의 교육컨텐츠는 음의 인식, 음의 변별, 음의 확인 및 음의 이해 단계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정에서 필요한 학습을 하고, 학습 결과를 전문가에게 보내 즉각적인 학습 피드백을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하고,
    상기의 전문가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가정 중재 내용을 확인하고, 부족한 내용을 다음 수업 시간에 반영하여 대상자를 교육하고 서버를 통해 빅데이터화한 대상자의 교육 상태를 확인하며 다음 교육의 커리큘럼에 반영하여 대상자 개개인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 는
    사용자에 의해 대상자 정보가 입력되는 제1입력부(11);
    대상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제1데이터수집부(12);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제1데이터분석부(13);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제1음성인식부(18);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을 제공하는 학습제공부(14);
    상기의 학습제공부에 일치되는 음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15);
    상기의 수집, 분석된 데이터들을 서버로 송신하는 제1송신부(16);
    상기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받는 제1수신부(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20); 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2음성인식부(22);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제1센서인식부(23);
    상기 제 1 센서 인식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데이터수집부(24);
    상기의 입력과 일치되는 음을 출력하는 제2출력부(25);
    상기의 수집, 분석된 데이터들을 서버로 송신하는 제2송신부(26);
    상기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제2수신부(27); 및
    상기의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늘의 동화카드를 인쇄하는 인쇄부(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형 전자기기(30); 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이 입력되는 제3입력부(31);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제3음성인식부(32);
    음성데이터를 수집하는 제3데이터수집부(33);
    제3음성 인식부에서 인식된 내용과 일치하는 동화책을 소리로 출력하는 동화출력부(34);
    상기 서버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송신하는 제 3송신부(35);
    상기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제 3수신부(36); 및
    디스플레이에서 인쇄된 동화카드의 QR코드를 인식하는 제2 센서 인식부(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정보데이터와 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서버(40); 는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응용할 때 사용하는 빅데이터(41);
    상기의 분석된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4송신부(42);
    수신 받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제 4데이터수집부(43);
    상기의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제 2데이터분석부(44); 및
    상기 전자기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는 제 4수신부(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06294A 2019-08-29 2019-08-29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KR10212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94A KR102126388B1 (ko) 2019-08-29 2019-08-29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94A KR102126388B1 (ko) 2019-08-29 2019-08-29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388B1 true KR102126388B1 (ko) 2020-06-24

Family

ID=7140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294A KR102126388B1 (ko) 2019-08-29 2019-08-29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363A (ko) 2020-12-15 2022-06-22 송민호 인공지능을 이용한 장애인의 보행 재활 훈련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907A (ko) * 2007-06-26 2008-12-31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망을 이용한 지능형 로봇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5321A (ko) * 2014-02-13 2015-08-21 (주)코어테크놀로지 언어발달 장애인을 위한 교육 시스템
KR101730906B1 (ko) * 2015-10-22 2017-05-12 (주)크래들코리아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90006348A (ko) * 2017-07-10 2019-01-18 조희정 말소리 교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907A (ko) * 2007-06-26 2008-12-31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망을 이용한 지능형 로봇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5321A (ko) * 2014-02-13 2015-08-21 (주)코어테크놀로지 언어발달 장애인을 위한 교육 시스템
KR101730906B1 (ko) * 2015-10-22 2017-05-12 (주)크래들코리아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90006348A (ko) * 2017-07-10 2019-01-18 조희정 말소리 교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363A (ko) 2020-12-15 2022-06-22 송민호 인공지능을 이용한 장애인의 보행 재활 훈련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şmanoğlu Current perspectives on pronunciation learning and teaching
Hawkridge et al. New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education of disabled children and adults
Mantzikos et al. Difficulties and Barriers in the Education of Deaf and Hard of Hearing Individuals in the Era of COVID-19: The Case of Greece--A Viewpoint Article.
KR20160077200A (ko) 언어-관련 장애들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컴퓨팅 기술들
Schneider et al. Presentation Trainer: what experts and computers can tell about your nonverbal communication
KR102126388B1 (ko) 청각장애인용 언어재활시스템 및 방법
Simonsen et al. Great expectations: Perspectives on cochlear implantation of deaf children in Norway
Mitra et al. 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in AI-assisted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exceptional needs
Langdon et 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interpreter in interactions with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arents, and students
Karasu Development of emergent literacy skills of a child with hearing loss: a longitudinal case study
Gil et al. Corrective feedback to second language learners of American Sign Language
Alzahrani The Implement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with a Deaf Student with Autism
Jensen Corrective feedback to spoken errors in adult ESL classrooms
ZAHAF et al. Difficulties of Deaf and Hard of Hearing Pupils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e Case of: Boussaid Aicha and Fatima Rahmania middle schools in Ain Temouchent
Garcia Increasing Phonemic Awareness in Intellectually Impaired Students by Using Wilson’s Fundations Phonics Program in a Self-Contained Classroom
Pérez-Aguirre et al. Bidirectional Braille-speech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blind Students
BETTACH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ubtitling on EFL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Fernández et al. Beyond the Spoken Word: Examining the Nature of Teacher Gesturing in the Context of an Elementary Engineering Curriculum for English-Learner Students
Gregersen et al. Teaching and Research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Theory-and Research-Based Practices
CITRA NEGOTIATING ENGLISH TEACHING STRATEGIES FOR SPECIAL NEEDS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ASE STUDY IN: SLB PKK BANDAR LAMPUNG)
Almeida-Verdu et al. People with Hearing Loss: Effects of Reading Instruction on Vocal Verbal Repertoire
Timm Performing arts interpreting: Qualification, recognition, and betterment through education
Page Outcomes and considerations for children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preschool and primary students
ElKhereiji Self-efficacy of vision-impaired students: impacts of technology-enhanced language learning
Lim Schooling and the spoken language of children who are deaf or hard-of-hearing in Singapore: A study of its history, of recent developments and of current concerns of key stakehol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