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076B1 -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 Google Patents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076B1
KR102126076B1 KR1020180057430A KR20180057430A KR102126076B1 KR 102126076 B1 KR102126076 B1 KR 102126076B1 KR 1020180057430 A KR1020180057430 A KR 1020180057430A KR 20180057430 A KR20180057430 A KR 20180057430A KR 102126076 B1 KR102126076 B1 KR 10212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acking
time
cumulativ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2136A (en
Inventor
이정철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5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76B1/en
Publication of KR2019013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용기와 뚜껑부와의 접촉부위를 밀폐하는 패킹을 구비하는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조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취사를 수행하고, 취사가 완료될 때마다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여 누적 취사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패킹이 사용된 이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취사 횟수가 미리 설정된 패킹 교체 기준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및 상기 누적 경과 시간이 패킹 교체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면,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packing for sealing a contact portion between a cooking container and a lid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container o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nd user input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in response to the input unit,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visual signal or an audible signal, and the user input to perform cooking, and counting the number of cooking every time cooking is completed to calculate a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When the elapsed time since the packing is used is cumulatively counted to calculate the cumulative elapsed time, when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reaches a preset number of packing replacement reference times and when the cumulative elapsed time reaches the packing replacement reference time When any one of them is satisfie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may be included.

Description

패킹 교체 시기 판단 기능을 구비한 조리 기기 및 패킹 교체 시기 판단 방법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Cook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function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packing and how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packing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조리 기기에서 패킹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timing of a packing in the cooking appliance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such a function.

조리 기기, 예를 들어서, 전기 보온 밥솥은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열을 가하여 취사를 수행하거나 또는 내용물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보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 보온 밥솥은, 쌀과 물, 또는 취사된 밥이 수용되는 내솥과, 내솥의 상부를 덮는 뚜껑을 구비한다. 이때, 내솥과 뚜껑이 접하는 부분은 수증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실리콘과 같은 탄성이 있고 내열성을 가진 부재로 밀폐된다.The cooking appliance, for example, an electric thermal rice cooker, may perform cooking by applying heat to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or perform a warming operation to maintain the contents at a constant temperature.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includes an inner pot in which rice and water or cooked rice are accommodated, and a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At this time,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pot and the lid is sealed with an elastic and heat-resistant member such as silicone to prevent water vapor from leaking.

이때, 실리콘 재질의 패킹은 전기 보온 밥솥에서 취사를 수행한 횟수가 누적됨에 따라서 또는 보온 동작을 수행한 누적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패킹의 물성이 변화하여 충분한 탄성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내솥과 뚜껑 사이에서 수증기의 누출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은 열에 노출되지 않더라도 시간이 갈수록 노화하여 경화될 수 있어서 내솥과 뚜껑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없게 된다. 밀폐 상태가 완전하지 못하여 수증기가 누출되면, 내솥에 담긴 쌀과 물에 또는 취사된 밥에 열에너지가 충분히 전달될 수 없고 전달된 열에너지가 수증기의 누출과 함께 외부로 손실되므로, 전기 보온 밥솥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절한 시점에 패킹을 교체할 수 있도록 조리 기기는 누적 취사 횟수, 누적 보온 시간 또는 패킹의 사용 경과 시간, 즉 누적 경과 시간 등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패킹 교체 시점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 At this time, the packing of the silicone material does not provide sufficient elasticity due to the change in the properties of the packing as the number of times the cooking is performed in the electric insulated rice cooker accumulates or as the cumulative time for performing the warming operation increases,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lid. Can leak water vapor. In addition, even if the packing is not exposed to heat, it can age and harden over time, making it impossible to completely seal the inner pot and the lid. When the water vapor leaks due to the incomplete sealing condition, the heat energy cannot be su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rice and water in the inner pot or cooked rice, and the transferred heat energy is lost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leakage of water vapor. It will decrease. Therefor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replace the packing at an appropriate time, the cooking appliance needs to inform the user of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based on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the cumulative warming time, or the elapsed use time of the packing.

한편, 사용자들의 조리 기기 사용 패턴이 다양화됨에 따라서, 다양한 조건을 기초로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서, 조리 기기의 취사 기능이 많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누적 취사 횟수를 기준으로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하고, 조리 기기의 보온 기능이 장시간 이용될 경우, 누적 보온 시간을 기초로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하며, 조리 기기의 취사 기능 또는 보온 기능이 많이 이용되지 않을 경우, 누적 경과 시간을 기초로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하여야 패킹 교체 시점이 도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user's cooking appliance usage pattern is diversifie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iming of packing replacement based on various conditions. For example, when the cooking fun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frequently used,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and when the keeping fun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cumulated warming time. In addition, when the cooking function or the heat preservation fun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s not used much,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ime of packing replacement based on the cumulative elapsed time to prevent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from being overlook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패킹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고 패킹의 교체 시기를 시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방법 및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method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when to replace the packing and guiding the user when the packing is to be replaced visually and visually.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용기와 뚜껑부와의 접촉부위를 밀폐하는 패킹을 구비하는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조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취사를 수행하고, 취사가 완료될 때마다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여 누적 취사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패킹이 사용된 이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취사 횟수가 미리 설정된 패킹 교체 기준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및 상기 누적 경과 시간이 패킹 교체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면,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packing for sealing a contact portion between a cooking container and a lid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container o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nd user input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in response to the input unit, a display unit outputting a visual signal or an audible signal, and the user input to perform cooking, and counting the number of cooking every time cooking is completed to calculate a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When the elapsed time since the packing is used is cumulatively counted to calculate the cumulative elapsed time, when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reaches a preset number of packing replacement reference times and when the cumulative elapsed time reaches the packing replacement reference time When any one of them is satisfie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may be includ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패킹의 교체 시기 판단 방법에 의하면, 조리 기기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적절한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는 패킹의 교체 시기를 시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placement time of a packing of a cooking appliance and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oking appliance may determine an appropriate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a user's usage pattern. 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may automatically guide the user to the time of replacement of the packing audio-visually.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용기와 뚜껑부 간의 접촉부위를 밀폐하는 패킹을 구비하는 조리용 기기로서, 예를 들어서 전기 보온 밥솥, 멀티 쿠커, 로봇 쿠커, 전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packing for sealing a contact portion between a cooking container and a lid par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ectric insulated rice cooker, a multi-cooker, a robot cooker, an electric pot, and the like. Can.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에서는 전기 보온 밥솥(100)을 조리 기기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In FIG. 1,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보온 밥솥(100)은 본체부(10) 및 뚜껑부(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서, 내솥(12) 및 패킹(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 and a lid portion 20, and as a detachable configuration, an inner pot 12 and a packing 24 may be further provided. .

내솥(12)은 조리 용기로서, 쌀과 물 또는 취사된 밥이 수용될 수 있다. 내솥(12)이 본체부(10)에 안착되면, 본체부(10) 내부에 배치되는 가열부(예컨대, 도 2의 14)가 내솥(12)을 가열할 수 있다. The inner pot 12 is a cooking container, in which rice and water or cooked rice can be accommodated. When the inner pot 12 is seated on the body portion 10, a heating unit (eg, 14 in FIG. 2)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may heat the inner pot 12.

뚜껑부(20)는 내솥(12)의 상부를 덮을 수 있으며, 뚜껑부(20)가 내솥(12)의 상부를 덮을 때 내솥(12)과 맞닿는 부분에 패킹(24)이 장착될 수 있다. 패킹(24)은 내솥(12)과 뚜껑부(20)를 밀폐하여 수증기가 누출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d portion 20 may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12, and when the lid portion 20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12, a packing 24 may be mounted on a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ot 12. The packing 24 seals the inner pot 12 and the lid portion 20 to prevent water vapor from leaking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입력부(17) 및 표시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7)는 버튼, 스마트 다이얼, 마이크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8)는 시각적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 또는 압전소자와 같은 청각적 음향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7) 및 표시부(18)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부(20)에 구비될 수도 있다.An input unit 17 and a display unit 18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unit 10. The input unit 17 may include various input means capable of receiving user input, such as a button, a smart dial, and a microphone. The display unit 18 may include visual display means, and may further include audible sound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or a piezoelectric element. 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17 and the display unit 18 is It may be provided on the lid portion 20.

한편, 패킹(24)은 열에 노출되면 물성이 변화될 수 있으며, 강한 열에 노출될수록 물성의 변화 정도가 클 수 있다. 또한 패킹(24)은 열에 노출되지 않더라도 시간이 갈수록 노화하여 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패킹(24)은 전기 보온 밥솥(100)에서 취사를 수행한 횟수가 누적됨에 따라서 또는 보온 동작을 수행한 누적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열화될 수 있으며, 패킹(24)의 사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열화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cking 24 may change when exposed to heat, and the degree of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may increase as exposed to strong heat. In addition, the packing 24 can be cured by aging over time even when not exposed to heat. Therefore, the packing 24 may be deteriorated as the number of times cooking is performed in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accumulates or as the cumulative time for performing the warming operation increases, the use time of the packing 24 increases. It may deteriorate.

이와 같이, 패킹(24)이 열화되어 밀폐 상태가 완전하지 못하면 전기 보온 밥솥(100)의 성능이 저하되므로, 패킹(24)은 적절한 시점에 교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보온 밥솥(100)은 누적 취사 횟수뿐만 아니라, 누적 보온 시간 및 누적 경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패킹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보온 밥솥(100)은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를 기초로 누적 취사 횟수를 카운트하고, 누적 취사 횟수를 기초로 패킹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전기 보온 밥솥(100)은, 패킹의 교체 시기를 표시부(18)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패킹 교체를 안내할 수 있다. As such, if the packing 24 is deteriorated and the sealing state is not complete,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deteriorates, so the packing 24 should be replaced at an appropriate time.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packing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umulative cooking time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as well as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In addition,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may count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based on the weight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and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packing based on the cumulative cooked foods.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may guide the user to replace the packing by outputt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packing through the display unit 18.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조리 기기의 본체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내용은 도 1의 전기 보온 밥솥(100)의 본체부(10)에 적용될 수 있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may indicate a main body portion of a cooking appliance, and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appli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 of the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100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200)는 가열부(14), 제어부(15), 메모리(16), 입력부(17) 및 표시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부, 뚜껑부에 장착되는 패킹 및 내솥과 같은 조리 용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조리 기기(200)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를 센싱하거나 또는 조리물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 등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include a heating unit 14, a control unit 15, a memory 16, an input unit 17, and a display unit 18.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include a cooking unit such as a lid unit, a packing mounted on the lid unit, and an inner po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appliances,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200 Alternatively, other components such as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external state or sensing a temperature of a cooking product may be further provided.

가열부(14)는 조리 용기(예컨대 도 1의 내솥(12))를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 용기에 배치되어, 조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4)는 전기 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 방식, 고주파 유도 전기장을 이용하는 유도 가열 방식, 대상물에 전자기파를 인가하여 자체 발열시키는 마그네트론 방식, 대상물에 광파 등을 조사하여 가열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열부(14)의 가열 동작은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14 may heat the cooking container (eg, the inner pot 12 of FIG. 1) or disposed in the cooking container to he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The heating unit 14 has various types such as an electric resistance method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al resistance, an induction heating method that uses a high-frequency induction electric field, a magnetron method that self-heats by applying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object, and a method of irradiating light waves and the like to the object to heat them. Can be implemented.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4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

제어부(15)는 조리 기기(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제어부(15)는 로직 회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입력부(26)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computer, an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5 may include a logic circuit,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e controller 15 may receive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26, and perform a control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제어부(15)는 가열부(14)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가열부(14)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거나, 가열부(1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조리 용기 또는 조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부(14)의 동작 시간 또는 가열량 등을 제어함으로써, 취사 동작(또는 조리 동작이라고 함) 및 보온 동작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취사 동작 및 보온 동작들에 대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가열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취사 동작과 보온 동작 각각에 따라서 가열부(14)의 동작 시간 및/또는 가열량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취사 메뉴들(즉, 요리 종류) 각각에 대하여 가열부(14)의 동작 시간 및/또는 가열량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취사 메뉴들에 따른 취사 알고리즘들 및 보온 알고리즘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15)는 취사 알고리즘들 및 보온 알고리즘을 기초로 가열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4.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the heating unit 14 or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14. The control unit 15 controls the operating time or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ing unit 14 based on the measurement temperature of the cooking container o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thereby implementing a cooking operation (or a cooking operation) and a warming operation. Can.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heating unit 14 according to an algorithm set for cooking and warming operations. For example, the operation time and/or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ing unit 14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of the cooking operation and the warm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unit 14 for each of the cooking menus (ie, cooking type) ), the operating time and/or the heating amount may be set differently. As such, the cooking algorithms and the warm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s may be set differently, and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heating unit 14 based on the cooking algorithms and the warming algorithm.

또한, 제어부(15)는 후술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패킹 교체 시기 판단 방법에 따라서,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패킹 교체 시점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표시부(18)를 통해 사용자에게 패킹 교체를 안내할 수 있다. 패킹 교체 시기 판단 방법, 즉 패킹 교체 시기 판단 알고리즘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 determines a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has arrived, the display unit 18 is provided to the user. You can guide the packing replacement. The packing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method, that is, the packing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algorithm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메모리(16)는 제어부(15)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6)는 취사 메뉴들에 따른 취사 알고리즘들 및 보온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취사 메뉴들에 대한 가중치 및/또는 가중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는 패킹 교체 시기 판단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는 제어부(15)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230)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The memory 16 may store control algorith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 and/or various data generated by execution of the control algorithms. For example, the memory 16 may store cooking algorithms and a warm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s, and may store weights and/or weighting times for the cooking menus. Also, the memory 16 may store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n to replace the packing. The memory 16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device or a nonvolatile memory device. Further, the memory 16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5, for example, may be a regist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230.

입력부(17)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버튼들은 물리 버튼들 또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다이얼은 기계식 다이얼 또는 정전식 터치 다이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7)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7 may receive a user inpu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and/or smart dials for receiving various user inputs.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button or a touch button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including a decompression method and a capacitive method. The smart dial can be implemented as a mechanical dial or capacitive touch dial. 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7 may include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voice input.

사용자 입력은 취사 동작의 시작, 취사 동작의 취소, 취사 메뉴의 선택, 취사 동작의 예약, 보온 동작의 시작, 보온 동작의 종료 등을 지시하는 입력일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다양한 종류의 취사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은 다양한 동작의 취사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 입력은 조리 기기(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또는 설정들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may be an input for instructing the start of the cooking operation, the cancellation of the cooking operation, the selection of the cooking menu, the reservation of the cooking operation, the start of the warming operation, the end of the warming operation, and the like.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cooking menus to the user, and the user input may be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cooking menus of various operations. In addition to this, the user input may include inputs for selecting various functions or settings provided by the cooking appliance 200.

표시부(18)는 조리 기기(2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대응하는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표시부(1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LED)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8)는 스피커 또는 압전 소자와 같은 청각적 음향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7)와 디스플레이부(28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8)는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패킹 교체 시점이 도래하였음을 안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8 may display status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8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ED (OLED) display, an active-matrix OLED (AMOLED), or a flexible display. In addition, information provided to a user may be visually displayed.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8 may further include audible sound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or a piezoelectric element. 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17 and the display unit 28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The display unit 18 may visually or audibly output the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to guide the user that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has arrived.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조리 기기의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이며,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of determining a packing replacement tim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gether.

조리 기기(200)의 제어부(15)는, 공장 출하 후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패킹 교체 시기 판단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후술되는 단계에 따라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패킹 교체를 안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determines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the steps described below by automatically executing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algorithm after factory shipment or by user manipulation, and guides the user to replace the packing can do.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리 기기(200)는 취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취사를 완료할 수 있다(S310). 사용자가 입력부(17)를 조작함으로써, 취사 동작의 시작 입력 또는 취사 동작의 예약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5)가 설정된 취사 메뉴에 따른 취사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취사를 수행할 수 있다. 취사 중단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5)의 제어 하에 취사가 완료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perform cooking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complete cooking (S310).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17, when the start input of the cooking operation or the reservation input of the cooking oper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5 may perform cooking by executing a cook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set cooking menu. If the cooking interruption input is received or an unexpected situation does not occur, cooking can be comple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

취사가 완료되면, 제어부(15)는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320). 제어부(15)는 이전에 산출된 누적 취사 횟수에 취사 횟수, 예컨대 1을 누적함으로써, 누적 취사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When cooking is complete, the controller 15 may accumulate the number of cooking in operation (S320). The control unit 15 may calculate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by accumulating the number of cooked foods, for example, 1, in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previously calculated.

이후, 제어부(15)는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340). 기준 횟수는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기준 횟수가 1000회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5)는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인 1000회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340 ). The reference number may be preset in the manufacturing stage or may be set by user manipulation.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number is set to 1000, the control unit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is 1000 or more as the reference number.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다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50). 표시부(18)는 제어부(15)의 제어 하에, 패킹 교체 시점임을 안내하는 알림 신호, 즉 패킹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8)는 디스플레이 및 음향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8)는 디스플레이에 패킹 교체 알림 표시, 예컨대 패킹 교체 알림 아이콘 또는 깜빡임 신호를 표시하거나, 패킹 교체 알림 멘트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8)는 패킹 교체 알림 멘트를 소정 횟수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8)는 패킹 교체 알림 멘트를 소정 횟수 출력하고, 동시에 패킹 교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패킹 교체 알림 아이콘은 패킹 교체가 감지될 때까지 표시될 수 있다. If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S3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for guiding when it is time to replace the packing, that is, a packing replacement request signal.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a display and sound output means. The display unit 18 may display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display, for example,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icon or a blinking signal, or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message in voice.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messag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messag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simultaneously display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icon, wherein the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icon may be displayed until a packing replacement is detected.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전술한 단계들 S310, S320, S330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계속하여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If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has not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steps S310, S320, S330,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한편, S310 단계에서 취사가 완료되면, 제어부(15)는 패킹(24)이 사용된 이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340). 이로써 제어부(150)는 패킹(24)이 사용된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경과 시간은 일(日) 단위로 누적 카운트될 수 있으며 누적 경과 시간은 날짜(日數)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50)는 소정 횟수 이상 취사가 완료된 이후부터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소정 횟수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조리 기기(200)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횟수(예컨대 5회 이상)로 설정될 수 있다. 조리 기기(200)의 공장 출하 전에 테스트 단계에서 취사가 수행될 수 있는데, 소정 횟수 이상 취사가 완료된 이후부터 경과 시간이 누적 카운트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조리 기기(200)를 사용함에 따라서 패킹(24)이 사용된 이후부터의 경과 시간이 누적 카운트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cooking is completed in step S310, the controller 15 may accumulate the elapsed time since the packing 24 is used (S34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may calculate the cumulative elapsed time when the packing 24 is used. In an embodiment, the elapsed time may be cumulatively counted in units of days,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may be days.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accumulate an elapsed time since cooking is comple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be set to a number of times (for example, 5 or more times) substantially enough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using the cooking appliance 200. Cooking may be performed in the test stage before the factory ship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since the elapsed time has been accumulated since the cooking is comple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acking (24) as the user actually uses the cooking appliance 200 ), the elapsed time since it is used may be cumulatively counted.

제어부(15)는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350). 제1 기준 시간은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500일이 제1 기준 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5)는 누적 경과 시간이 500일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S350).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be preset in the manufacturing stage or may be set by user manipulation. As an example, when 500 days is set as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is 500 days or more.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다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S360),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340). If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S360), and if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not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continue to count the elapsed time It can be done (S340).

패킹 교체 알림 신호가 출력된 후, 제어부(15)는 패킹이 교체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70). 사용자가 낡은 패킹을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하였다면, 패킹(24)의 탈착에 의해 물리적으로 또는 전자기적으로 조작되는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패킹(24)의 교체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5)는 상기 신호를 기초로 패킹의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fter the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packing has been replaced (S370). If the user replaces the old packing with a new packing, a signal indicating the replacement of the packing 24 may be input by an operation of a switch that is phys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by detachment of the packing 24, and the control unit 15 ) May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the packing based on the signal.

패킹이 교체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는 계속하여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8)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5)는 패킹 교체 알림 신호가 출력된 이후로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패킹 교체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는 소정 횟수의 패킹 교체 알림 멘트 또는 알림 표시를 출력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소정 횟수의 패킹 교체 알림 멘트 또는 알림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이 교체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취사가 수행 및 완료되었다면, 제어부(15)는 전술한 패킹 교체 시기 판단 단계들(S310, S320, S330, S340, S350)에 따라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has not been replaced,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 to continuousl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5 may control the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to be output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ince the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 may output a predetermined number of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s or notifications, and th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utput a predetermined number of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s or notifications. In addition, if cooking is performed and completed again while the packing is not replaced, the control unit 15 determines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acking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steps S310, S320, S330, S340, and S350. Can.

패킹이 교체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5)는 누적 취사 횟수 및 누적 경과 시간을 초기화하고(S380), 전술한 단계들에 따라서 교체된 패킹에 대하여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is replaced, the control unit 25 initializes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S380), and may determine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for the replaced packin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5)는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한 경우 및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적응적으로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reaches the reference number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15 notifies the packing replacement of the display unit 18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 sig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packing adaptively to the user's usage pattern.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조리 기기(200)의 취사 기능을 많이 사용하지 않아, 누적 취사 횟수는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누적 경과 시간이 기준 경과 시간에 도달하였다면, 패킹(24)이 열화 되었을 확률이 높으므로 패킹(24)이 교체될 필요가 있다. 반면, 사용자가 조리 기기(200)의 취사 기능을 많이 사용할 경우, 누적 경과 시간이 기준 경과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다면, 패킹(24)이 열화 되었을 확률이 높으므로 패킹(24)이 교체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누적 취사 횟수 또는 누적 경과 시간 중 하나에 기초하여 패킹(24) 교체 시점을 판단할 경우,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패킹 교체 시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기초로 패킹(24)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하나의 조건이 설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조리 기기(200) 사용 패턴은 시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는 바, 사용자에게 적절한 패킹 교체 시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cooking fun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a lot, and the cumulative cooking time has reached the reference elapsed time even if the cumulative cooking number has not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the probability that the packing 24 is deteriorated Since this is high, the packing 24 needs to be replaced.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uses the cooking fun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a lot, even if the cumulative elapsed time has not reached the reference elapsed time, if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times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packing 24 is deteriorated. The packing 24 needs to be replaced. However, when determining the time to replace the packing 24 based on one of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or the cumulative elapsed time, it may not be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an appropriate packing replacement time. In addition, even if one condition is set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packing 24 based on the user's usage pattern using the cooking appliance 200, the user's cooking appliance 200 usage pattern changes with time As such, it may not be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n appropriate packing replacement point.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 교체 시점 판단 방법에 따르면,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한 경우 및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면 표시부(18)가 패킹 교환 알림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조리 기기(200)의 사용 패턴이 상이한 다양한 사용자들 각각에게 적절한 패킹 교환 시점을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리 기기(200) 사용 패턴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더라도, 적절한 패킹 교환 시점을 안내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is satisfied, the display unit 18 is packed By outputting the exchange notifica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guide the appropriate packing exchange timing to each of various users who have different usage patterns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and even if the usage pattern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is changed over time, proper packing You can guide the timing of the exchange.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조리 기기의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이며,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of determining a packing replacement tim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gether.

조리 기기(200)는 취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취사를 완료할 수 있다(S410). 조리 기기(200)의 제어부(15)가 설정된 취사 메뉴에 따른 취사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취사가 수행 및 완료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미리 설정된 다양한 취사 알고리즘들 중 취사 메뉴에 따른 취사 알고리즘에 따라서 가열부(14)를 제어함으로써, 취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취사 메뉴는 조리 기기(200)의 제조 단계에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기본 취사 메뉴이거나 또는 바로 이전에 취사가 수행된 취사 메뉴일 수 있다. 또는 취사 메뉴는 입력부(17)를 통해 수신된 취사 메뉴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취사 중단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5)의 제어 하에 취사가 완료될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perform cooking and complete cooking (S410). By executing the cook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set cooking menu, the control unit 15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perform and complete cooking. The control unit 15 may execute the cooking function by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14 according to the cook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among various preset cooking algorithms. At this time, the cooking menu may be a basic cooking menu set in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or by an operation of the user, or may be a cooking menu in which cooking was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Alternatively, the cooking menu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sel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7. If the cooking interruption input is received or an unexpected situation does not occur, cooking can be comple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

취사가 완료되면, 제어부(15)는 완료된 취사에 대하여,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S420). 이물이 많이 발생하거나 기름기가 많이 발생하는 메뉴, 취사 과정에서 온도가 높게 올라가는 메뉴, 취사 시간이 긴 메뉴, 고압이 요구되는 메뉴 등과 같이 패킹(도 1의 24)이 열화되는 환경을 상대적으로 많이 제공하는 메뉴인 경우 가중치가 높게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 기기(200)가 전기 보온 밥솥일 경우, 잡곡밥 또는 죽과 같이 가열량 또는 가열 시간이 길게 설정된 취사 메뉴에 대한 가중치는, 일반 백미에 대하여 설정된 가중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When cook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5 may assign a weight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to the completed cooking (S420). Provides a relatively large environment in which packing (24 in FIG. 1) is deteriorated, such as a menu in which a lot of foreign substances are generated or greasy, a menu having a high temperature during cooking, a menu having a long cooking time, and a menu requiring high pressure. In the case of the menu, the weight may be given high. For example, when the cooking appliance 200 is an electric-heated rice cooker, a weight for a cooking menu set with a long heating amount or a heating time, such as grain rice or porridge, may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weight set for ordinary white rice.

실시예에 있어서, 취사 메뉴들 각각에 대한 가중치는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16)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5)는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참조하여 취사 완료된 취사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5)는 완료된 취사에 적용된 취사 알고리즘의 가열량, 조리 시간 등을 참조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weights for each of the cooking menus may be preset and stored in the memory 16, and the control unit 15 may assign weights to the cooks that have been cook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t weights.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 may assign weights by referring to the heating amount and cooking time of the cooking algorithm applied to the completed cooking.

제어부(15)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취사가 완료될 때마다 이전에 산출된 누적 취사 횟수에 현재 완료된 취사에 따른 취사 횟수를 더함으로써 누적 취사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데, 이때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된 취사 횟수를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일반 백미, 잡곡밥, 죽 및 압력찜에 대하여 가중치가 각각 '1', '1.2', '1.5' 및 '2'로 설정되고, S410 단계에서 죽 취사가 수행된 경우, 제어부(15)는 이전까지 카운트된 누적 취사 횟수에 가중치가 적용된 취사 횟수 '1.5'를 더하여 누적 취사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까지의 누적 취사 횟수가 '10'일 경우, S430 단계 수행에 따라서 카운트된 누적 취사 횟수는 '11.5'로 산출될 수 있다. 만약, S410 단계에서 일반 백미 취사가 수행되었다면, 누적 취사 횟수는 '11'로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troller 15 may accumulate the number of cooking by applying a weight (S43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 may count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by adding the number of cooking according to the currently completed cooking to the previously calculated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each time the cooking is completed, wherein the number of cooking applied with the weight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You can add For example, if the weight is set to '1', '1.2', '1.5', and '2', respectively, for general white rice, mixed rice, porridge, and pressure steamed rice, and if porridge cooking is performed in step S410, the control unit 15 ) May calculate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by adding the weighted cooking number '1.5' to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previously counted. Accordingly, when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ed foods up to the previous time is '10',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ed foods counted according to step S430 may be calculated as '11.5'. If the normal white rice cooking is performed in step S410, the accumulated cooking number may be calculated as '11'.

제어부(15)는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40).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다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S470),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계속하여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S440). If the accumulated cooking number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S470), and if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has not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repeat the above steps to continue packing. You can determine when to replace.

한편, S410 단계에서 취사가 완료되면, 제어부(15)는 패킹(24)이 사용된 이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으며(S450),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60).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다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S470),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제어부(15)는 계속하여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450). On the other hand, when cooking is completed in step S410, the control unit 15 may count the elapsed time since the packing 24 is used (S450), and determine whether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It can be (S460). If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S470), and if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not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15 continues The elapsed time may be accumulated (S450).

전술한 바와 같이,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한 경우 및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5)는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S470), 패킹 교체 알림 신호가 출력된 후, 패킹이 교체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80). 패킹이 교체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는 계속하여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8)를 제어할 수 있으며, 패킹이 교체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는 누적 취사 횟수 및 누적 경과 시간을 초기화하고(S490), 교체된 패킹에 대하여 전술한 단계들(S410, S420, S430, S440, S450, S460)에 따라서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S470 단계, S480 단계 및 S490 단계는, 도 3의 S360 단계, S370 단계, 및 S38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5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f any one of the conditions when the cumulative cooking number reaches the reference number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ime is satisfied. (S470), after the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acking is replaced (S48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has not been replaced,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 to continuousl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is replaced, the control unit 15 may accumulate the number of cooking and cumulative elapsed time. Initializing the time (S49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 S420, S430, S440, S450, S460) for the replaced packing. Steps S470, S480, and S49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steps S360, S370, and S380 of FIG. 3,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취사 메뉴들 각각에 대하여 가열부(14)의 동작 시간 및/또는 가열량 등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취사 수행된 취사 메뉴에 따라서 패킹(24)의 열화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 교체 시점 판단 방법에 따르면, 조리 기기(200)는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된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취사 메뉴에 따라 패킹(24)의 열화도가 상이한 점을 반영하여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기기(20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반영한 적절한 패킹 교체 시점을 안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operating time and/or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ing unit 14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of the cooking menus. Therefor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packing 24 may vary depending on the cooking menu performed. According to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oking appliance 200 accumulates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weigh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unted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and then displays the cooking menu.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packing by reflecting that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packing 24 is different. Therefore,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guide a proper packing replacement time point reflecting a user's usage pattern.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조리 기기의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이며,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of determining a packing replacement tim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gether.

조리 기기(200)는 취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취사를 완료할 수 있다(S510). 조리 기기(200)의 제어부(15)가 설정된 취사 메뉴에 따른 취사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취사가 수행 및 완료될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perform cooking and complete cooking (S510). By executing the cook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set cooking menu, the control unit 15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perform and complete cooking.

취사가 완료되면, 제어부(15)는 완료된 취사에 대하여,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 및 가중 시간을 부여할 수 있다(S520). 이물이 많이 발생하거나 기름기가 많이 발생하는 메뉴, 온도가 높게 올라가는 메뉴, 취사 시간이 긴 메뉴, 고압이 요구되는 메뉴 등이 취사 수행된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 및 상대적으로 긴 가중 시간이 부여될 수 있다. When cook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5 may assign weights and weighting times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to the completed cooking (S520). When cooking is performed with a large number of foreign substances or a greasy menu, a menu with a high temperature, a menu with a long cooking time, or a menu requiring high pressure, a relatively high weight and a relatively long weighting time may be given. have.

제어부(15)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고(S530).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540).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계속하여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으며,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다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570). 이후, 패킹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S580), 및 패킹이 교체된 것으로 판단되면 누적 취사 횟수 및 누적 경과 시간을 초기화할 수 있다(S590). S530 단계, S540 단계, S570 단계, S580 단계 및 S590 단계는 도 4의 S430 단계, S440 단계, S470 단계, S480 단계 및 S490 단계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5 accumulates the number of cooking by applying a weight (S53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of times (S540). If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has not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by repeating the aforementioned steps. If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ed foods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the display unit 18 sends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t can be output (S570).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cking is replaced (S58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is replaced,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and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may be initialized (S590). Step S530, step S540, step S570, step S580 and step S590 are the same as steps S430, S440, S470, S480, and S490 of FIG. 4,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S510 단계에서 취사가 완료되면, 제어부(15)는 패킹(24)이 사용된 이후부터의 경과 시간 및 가중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550). 이로써 제어부(150)는 패킹(24)이 사용된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의 S45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함으로서,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취사가 완료될 때마다 S530 단계에 따라서 취사 메뉴에 기초하여 부여된 가중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경과 시간은 일(日) 단위로 누적 카운팅될 수 있으며, 가중 시간 또한 일 단위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이전까지 카운트된 누적 경과 시간이 200일이고, S510 단계에서 완료된 취사에 대하여 5일의 가중 시간이 부여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5)는 200일에 5일을 누적 카운트하여 205일의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oking is completed in step S510, the control unit 15 may accumulate the elapsed time and weighted time since the packing 24 is used (S55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may calculate the cumulative elapsed time when the packing 24 is used. As described in step S450 of FIG. 4, the control unit 15 may calculate the cumulative elapsed time by cumulatively counting the elapsed time, and furthermore, each time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weight is given based on the catering menu according to step S530. Time can be cumulatively counted. In an embodiment, the elapsed time may be cumulatively counted in units of days, and the weighted time may also be applied in units of day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umulative elapsed time counted before is 200 days, and that a weighting time of 5 days has been given to the cooking completed in step S510, the controller 15 accumulates 5 days on 200 days and accumulates 205 days. The cumulative elapsed time of can be calculated.

이후, 제어부(15)는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S560),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다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S570),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제어부(15)는 계속하여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550). Thereafter, the controller 15 determines whether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S560), and if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S570), if the accumulated elapsed time has not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15 may continue to count the elapsed time (S550).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 교체 시점 판단 방법에 따르면,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함에 있어서,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고,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함에 있어서,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조리 기기(200)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반영한 적절한 패킹 교체 시점을 안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acking replacement timing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ccumulating counting of the number of cooking, weighting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is applied, and cumulative counting of elapsed time, weighting time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is applied to the cooking appliance. The 200 may guide a proper packing replacement time point reflecting a user's usage pattern.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조리 기기의 패킹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이며,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thod of determining a packing replacement tim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gether.

도 6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200)의 제어부(15)는 취사가 수행 및 완료되면(S610), 완료된 취사에 대하여,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S620). 가중치 적용된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630). 이후, 제어부(15)는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S440)함으로써,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S610 단계, S620 단계, S630 단계 및 S640 단계는 도 4의 S410 단계, S420 단계, S430 단계 및 S440 단계와 동일한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15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performs weighting according to the cooking menu for the completed cooking (S610) when the cooking is performed and completed (S610). The weighted number of cooking can be cumulatively counted (S630).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is reach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accumulated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S440). Step S610, step S620, step S630, and step S640 are the same as steps S410, S420, S430, and S440 of FIG. 4,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조리 기기(200)는 누적 취사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과 병렬적으로 보온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누적 보온 시간을 기초로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accumulate the warming time in parallel with coun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and determine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based on the counted warming time.

취사 완료에 연속하여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서, 조리 기기(200)는 보온을 시작할 수 있다(S615). 제어부(15)는 취사가 완료되면 연속하여 보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7)의 보온 버튼을 조작함에 따른 보온 시작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보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5)가 보온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보온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15)는 보온 알고리즘에 따라서, 가열부(14)의 가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start keeping warm in response to the completion of cooking or when a user inpu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s received (S615). The control unit 15 may continuously execute the warming function when cooking is complete.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 of starting warming according to a user operating the warming button of the input unit 17 is received, the warming function may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5 executing a warming algorithm, warming may be performed, and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ing unit 14 according to the warming algorithm.

보온이 수행되는 동안 제어부(15)는 보온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625). 실시예에 있어서, 보온 시간은 시간 단위로 누적 카운트될 수 있다. While the warming is performed, the controller 15 may accumulate the warming time (S625). In an embodiment, the warming time may be cumulatively counted in units of hours.

이후, 조리 기기(200)는 보온을 종료할 수 있다(S635). 제어부(15)는 보온 알고리즘에 따라서 보온 시작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보온 기능을 종료하거나, 사용자의 보온 종료 예약 입력, 또는 사용자의 보온 종료 입력에 따라서 보온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end the warming (S635). The controller 15 may terminate the warming func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warming starts according to the warming algorithm, or may end the warming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warming end reservation input or a user's warming end input.

제어부(15)는 누적 보온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645). 제2 기준 시간은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5000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5)는 누적 보온 시간이 5000 시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accumulated warming time has reached the second reference time (S645). The second reference time may be preset in the manufacturing stage or may be set by user manipulation. As an example, when 5000 hours is set as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15 may determine whether the accumulated warming time is 5000 hours or more.

누적 보온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다면, 표시부(18)가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S650), 누적 보온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제어부(15)는 보온이 수행됨에 따라, 계속하여 보온 시간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S615). If the cumulative warming time has reached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display unit 18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S650), and if the cumulative warming time has not reached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15 may maintain warmth. As it is performed, the warming time may be continuously accumulated (S615).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한 경우 및 누적 경과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5)는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S650), 패킹 교체 알림 신호가 출력된 후, 패킹이 교체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660). 패킹이 교체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는 계속하여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8)를 제어할 수 있으며, 패킹이 교체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는 누적 취사 횟수 및 누적 경과 시간을 초기화하고(S670), 교체된 패킹에 대하여 전술한 단계들(S610, S620, S630, S640, S615, S625, S635 및 S645)에 따라서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S650 단계, S660 단계 및 S670 단계는, 도 3의 S360 단계, S370단계, 및 S380 단계와 유사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5 ma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condition of any one of the cumulative cooking number reaches the reference number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ime (S650). After the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acking is replaced (S6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has not been replaced, the control unit 15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 to continuously output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ing is replaced, the control unit 15 may accumulate the number of cooking and cumulative elapsed time. Initializing the time (S67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s (S610, S620, S630, S640, S615, S625, S635, and S645) for the replaced packing. Steps S650, S660, and S670 are similar to steps S360, S370, and S380 of FIG. 3,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 교체 시점 판단 방법에 따르면, 누적 취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한 경우 및 누적 보온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면 표시부(18)가 패킹 교환 알림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적응적으로 패킹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조리 기기(200)는 사용 패턴이 상이한 다양한 사용자들 각각에게 적절한 패킹 교환 시점을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더라도, 적절한 패킹 교환 시점을 안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packing replacement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 in which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and the cumulative keeping time has reached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display unit 18 notifies the packing replacement By outputting the signal, it is possible to adaptively determine the timing of packing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pattern. The cooking appliance 200 may guide an appropriate packing exchange time to each of various users with different usage patterns, and may guide an appropriate packing exchange time even if the user's usage pattern changes over tim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inology in this specificatio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전기 보온 밥솥 200: 조리 기기
10: 본체부 12: 내솥
14: 가열부 15: 제어부
16: 메모리 17: 입력부
18: 표시부 20: 뚜껑부
24: 패킹
100: electric insulated rice cooker 200: cooking equipment
10: main body 12: inner pot
14: heating unit 15: control unit
16: Memory 17: Input
18: display unit 20: lid
24: Packing

Claims (9)

조리 용기와 뚜껑부와의 접촉부위를 밀폐하는 패킹을 구비하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조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취사를 수행하고, 취사가 완료될 때마다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여 누적 취사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패킹이 사용된 이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취사 횟수가 미리 설정된 패킹 교체 기준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및 상기 누적 경과 시간이 패킹 교체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면, 패킹 교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적 취사 횟수 산출 시 취사 완료된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된 취사 횟수를 누적 카운트하며, 제1 취사 메뉴가 제2 취사 메뉴보다 취사 시간이 길거나 또는 취사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게 올라갈 경우, 상기 제1 취사 메뉴에 대하여 설정되는 가중치는 상기 제2 취사 메뉴에 대하여 설정되는 가중치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In the cooking apparatus having a packing for sealing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ooking vessel and the lid portion,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container o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user input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visual or audible signal; And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cooking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and when cooking is completed, the number of cooking is cumulatively counted to calculate a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and the cumulative count is counted for the time elapsed since the packing was used. The elapsed time is calculated, and when one of the cases in which the cumulative cooking time reaches a preset packing replacement reference number and the cumulative elapsed time reaches the packing replacement reference time is satisfied, the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When calcula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cooking, the control unit accumulates counting the number of cooking weighted according to the completed cooking menu, and the first cooking menu has a longer cooking time than the second cooking menu or the temperature rises relatively high in the cooking process. In case, the weight set for the first cooking menu is higher than the weight set for the second cooking menu.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취사가 완료될 때마다 상기 취사 완료된 상기 취사 메뉴에 따른 가중 시간을 이전에 산출된 누적 경과 시간에 더하여 상기 누적 경과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Each time cooking is completed, the cooking applian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mulative elapsed time is calculated by adding a weighted time according to the cooked menu to which the cooking was completed, to a previously calculated cumulative elapsed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 시간은 일(日) 단위로 카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elapsed time is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nted in units of day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킹이 새로운 패킹으로 교체된 것이 감지될 때까지 상기 표시부가 패킹 교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controls to display a packing replacement notification icon until it is detected that the packing is replaced with a new packing.
제1 항에 있어서,
전기 보온 밥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According to claim 1,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electric insulating rice coo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57430A 2018-05-18 2018-05-18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KR102126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430A KR102126076B1 (en) 2018-05-18 2018-05-18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430A KR102126076B1 (en) 2018-05-18 2018-05-18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920A Division KR102213169B1 (en) 2020-06-17 2020-06-17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136A KR20190132136A (en) 2019-11-27
KR102126076B1 true KR102126076B1 (en) 2020-06-23

Family

ID=6873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430A KR102126076B1 (en) 2018-05-18 2018-05-18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16189A1 (en) 2018-12-10 2022-01-20 Md Healthcare Inc. Weissella bacteria-derived nanovesicle and us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82B1 (en) * 2004-12-21 2006-10-26 웅진쿠첸 주식회사 Apparatus for noticing checking time of electric rice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717A (en)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Apparatus for packing checking time noticing of electric pressure coo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82B1 (en) * 2004-12-21 2006-10-26 웅진쿠첸 주식회사 Apparatus for noticing checking time of electric rice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136A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58913B (en) Heating device
US9012814B2 (en) Cooking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for cook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cooking device
CN105078199B (en) The control method of electric cooker and electric cooker
KR102126076B1 (en)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JP4470115B2 (en) Electric rice cooker with display customization function
CN109567557A (en) A kind of detection method and device of electric cooker
KR102213169B1 (en) Cooker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of cook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cking change time
JP2013158390A (en) Electric rice cooker
CN111061202A (en) Cooking method, cooking applian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9871050B (en) Cooking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cooking appliance
KR102275845B1 (en) Cooker having change menu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142406B1 (en) Cook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5008793A (en) Rice cooker
JP2018086247A (en) rice cooker
US20220341791A1 (en) Apparatus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an object
CN101978216B (en) Coo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46270A (en) Soaking time control method of electric cooker
KR102336124B1 (en) Cooker having successive cooking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261564B1 (en) Cooker having successive cooking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2010088648A (en) Rice cooker
KR20210013980A (en) A method for standardizing recipe of cooktop
JP2018086246A (en) rice cooker
KR102226617B1 (en) Cooker including sensor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0054515A1 (en) Cooking apparatus
JP2019047907A (en) ric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