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012B1 -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Google Patents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6012B1 KR102126012B1 KR1020200018406A KR20200018406A KR102126012B1 KR 102126012 B1 KR102126012 B1 KR 102126012B1 KR 1020200018406 A KR1020200018406 A KR 1020200018406A KR 20200018406 A KR20200018406 A KR 20200018406A KR 102126012 B1 KR102126012 B1 KR 1021260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ground
- plate spring
- power terminal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는 한 쌍의 코드 홀을 갖는 플러그 삽입 홀더가 형성된 전면 하우징; 상기 전면 하우징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코드홀로 코드가 동시에 삽입될 때만 개방되는 안전소켓 유닛; `ㄷ`자 구조를 가지며 양 말단 부위가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는 접지핀; 상기 플러그 삽입 홀더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접지핀의 후면에 형성되어, 해당 접지핀과 접촉함으로써 통전되어 접지핀과 동일한 접지전압을 가지는 복수의 접지 단자; 삽입되는 접지선 및 전원선이 인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력으로 고정시키는 판스프링; 전도성 도체가 세로방향으로 기립 형성되어 상기 전원선을 고정시키고 있는 판스프링과 접촉하면서, 삽입되는 플러그의 코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판스프링과 전원 단자가 수용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여 전원 단자에 사용되는 구리의 사용량을 30%가량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과적으로는 제조단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로 삽입되는 코드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의 구조를 세로방향으로 형성시켜 전원 단자에 사용되는 구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센트에 사용되는 전원 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납작하게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말단부위가 90도 만큼 비틀어져 코드 삽입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 단자는 납작한 부분의 말단부위를 90도 비틀어야 하는 제조상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무엇보다 세로방향으로만 형성시킨 전원 단자에 비해 구리의 사용량이 많아 콘센트의 단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는 콘센트로 삽입되는 코드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의 구조를 세로방향으로 형성시켜 전원 단자에 사용되는 구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는 한 쌍의 코드 홀을 갖는 플러그 삽입 홀더가 형성된 전면 하우징; 상기 전면 하우징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코드홀로 코드가 동시에 삽입될 때만 개방되는 안전소켓 유닛; `ㄷ`자 구조를 가지며 양 말단 부위가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는 접지핀; 상기 플러그 삽입 홀더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접지핀의 후면에 형성되어, 해당 접지핀과 접촉함으로써 통전되어 접지핀과 동일한 접지전압을 가지는 복수의 접지 단자; 삽입되는 접지선 및 전원선이 인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력으로 고정시키는 판스프링; 전도성 도체가 세로방향으로 기립 형성되어 상기 전원선을 고정시키고 있는 판스프링과 접촉하면서, 삽입되는 플러그의 코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상기 판스프링과 전원 단자가 수용되는 후면 하우징; 및 상기 후면 하우징 배면으로 인입되는 전선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고압으로 통전되는 판스프링과 전원 단자로 배선된 상기 후면 하우징 내부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전원 단자는 상이한 극성을 인가받는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는 구리재질로 양말단부가 말려 플러그의 코드가 삽입될 수 있는 타원형의 홀이 형성된 코드 삽입홀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고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전원접촉 밸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제1 전원 단자 수용부 및 제2 전원 단자 수용부는 일측의 상기 코드 삽입홀을 수용하기 위한 일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 타측의 상기 코드 삽입홀을 수용하기 위한 타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 상기 전원접촉 밸리와 양단에 형성되는 코드 삽입홀 사이 단자 부분의 기립을 유지하기 위해 일측과 타측의 코드 삽입홀 수용부와 제1 또는 제2 전원 단자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기립유지부와 제2 기립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는 콘센트로 삽입되는 코드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의 구조를 세로방향으로 형성시켜 전원 단자에 사용되는 구리의 사용량을 30%가량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과적으로는 제조단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는 전원단자를 세로방향으로 형성시켜 콘세트를 좀더 컴팩트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원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전면 하우징과 안전소켓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접지핀, 접지 단자, 및 절연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판스프핑 및 전원단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후면 하우징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후면 하우징 바닥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전면 하우징과 안전소켓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접지핀, 접지 단자, 및 절연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판스프핑 및 전원단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후면 하우징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의 후면 하우징 바닥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는 전면 하우징(100), 안전소켓 유닛(200), 접지핀(300), 접지 단자(400), 절연판(500), 판스프링(600), 전원 단자(700), 및 후면 하우징(80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 홀더(110)가 삽입되는 플러그의 헤드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삽입 홀더(110)의 내부 정면으로는 플러그의 코드가 삽입되는 한 쌍의 코드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전소켓 유닛(200)은 상기 전면 하우징(100) 후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코드홀(111)로 코드가 동시에 삽입될 때만 코드홀(111)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안전 소켓 유닛(200)은 한 쌍의 코드홀(111)로 젖가락과 같은 물건을 꽂을 경우 개방을 차단하여 코드 이외의 물체를 꽂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전 소켓 유닛(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기출원된 등록특허공보 10-2001669(2019.07.12)로 대신한다.
한편, 상기 접지핀(300)은 `ㄷ`자 구조로 양 말단 부위가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결합부(310)는 전선인 배선되는 벽체의 콘센트 결합 소켓과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삽입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지 단자(400)는 상기 플러그 삽입 홀더(11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접지핀(300)의 후면에 형성되어, 해당 접지핀(300)과 접촉함으로써 통전되어 접지핀(300)과 동일한 접지전압을 가지게 된다.
특히, 상기 접지 단자(400)는 가로방향 접지부(410)과 해당 가로방향 접지부(410)의 양단에서 기립되어 형성된 세로방향 접지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세로방향 접지부(420)는 상기 플러그 삽입 홀더(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삽입되는 플러그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접지전압으로 통전시켜게 된다.
즉, 상술한 상기 접지 단자(400)는 전기기구의 표면이나 사람의 몸에 닿을 우려가 있는 곳의 전위를 접지전압인 OV로 하여 감전의 위험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복수의 상기 접지 단자(4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세로방향 접지부(420)와 반대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내측 접지부(4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측 접지부(430)는 접지핀(300)이 아닌 상기 후면 하우징(800)의 배면으로 삽입되는 접지선과 연결된 접지 판스프링(610)에 접촉하여 상기 접지 단자(400)의 가로방향 접지부(410)와 세로방향 접지부(420)를 접지시킨다.
상기 절연판(500)은 상기 후면 하우징(800) 배면으로 인입되는 전선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고압으로 통전되는 판스프링(600)과 전원 단자(700)로 배선된 상기 후면 하우징(800) 내부를 절연시킨다.
즉, 상기 절연판(500)은 상기 후면 하우징(800)의 입구를 막을 수 있게 결합하여 플러그를 꽂고 뽑을 때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습기나 먼지 등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절연판(500)과 상기 후면 하우징(800)이 결합할 때, 접촉되는 부분에 얇은 실리콘막(510)이 형성되어 방진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연판(500) 주변으로 흡습막(520)이 도포되어 장마철이나, 습도가 높은 경우 습도를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습막(520)은 콘센트 사용시 발생하는 미열에 의해 흡수된 습기가 증발되어 건조됨에 따라 원래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어 지속적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상기 접지핀(300), 접지 단자(400), 및 절연판(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로 결합된다.
상기 판스프링(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판스프링(610), 제1 전원 판스프링(620), 및 제2 전원 판스프링(630)을 포함한다.
상술한 상기 접지 판스프링(610), 제1 전원 판스프링(620), 및 제2 전원 판스프링(630)은 상기 후면 하우징(800)에 수용되어, 해당 후면 하우징(800)의 배면으로 인입되는 접지 전선, 제1 전원 전선, 제2 전원 전선가 접촉하여 각각 접진전압, 제1 전원전압 및 제2 전원전압으로 통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전원 전선과 제2 전원 전선은 각각 `+`극성과 `-`극성, 또는 `-`극성과 `+`극성으로 상이하게 대전(帶電)되어 있다.
상기 접지 판스프링(610), 제1 전원 판스프링(620), 및 제2 전원 판스프링(630)은 한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은 판 형상의 수평판부(601), 수평판부(510)의 일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수직판부(602), 수직판부(602)의 하단에서 타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제1경사판부(603), 제1경사판부(603)의 타측단에서 타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제2경사판부(604), 제2경사판부(604)의 타측단에서 일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제3경사판부(605), 제3경사판부(605)의 일측단에서 타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제4경사판부(6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단자(700)는 제1 전원 단자(710) 및 제2 전원 단자(7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원 단자(710)는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재질로 이루어지며 세로방향으로 기립된 상태에서 양말단부가 말려 타원형의 코드 삽입홀(701)이 형성되고 중간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내측으로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상기 제1 전원 판스프링(62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는 전원접촉 밸리(70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전원 단자(720)는 상기 제1 전원 단자(710)와 동일한 구조로 설치방향만 상이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후면 하우징(8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판스프링 수용부(810), 제1 전원 판스프링 수용부(820), 제2 전원 판스프링 수용부(830), 제1 전원 단자 수용부(840), 및 제2 전원 단자 수용부(850)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 판스프링 수용부(810), 제1 전원 판스프링 수용부(820), 제2 전원 판스프링 수용부(830)는 상기 후면 하우징(800)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접지 판스프링(610), 제1 전원 판스프링(620), 및 제2 전원 판스프링(630)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수용한다.
한편, 상기 제1 전원 단자 수용부(840)는 일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841), 제1 기립유지부(842), 제2 기립유지부(843), 타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844)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 단자(700)를 수용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단자(710, 720)의 양단에 형성되는 코드 삽입홀(701)은 각각 일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841)와 타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844)에 수용되고, 양단에 형성되는 코드 삽입홀(701)과 전원접촉 밸리(702) 사이의 단자 부분은 상기 제1 기립유지부(842)와 제2 기립유지부(843)에 수용되어 세로방향으로 기립을 유지하고, 상기 전원접촉 밸리(702)는 상기 제1 전원 판스프링 수용부(820)에 제1 전원 판스프링과 함께 수용된다.
삽입되는 플러그의 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하우징(800)에 장착된 극성이 상이한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단자(710, 720)의 코드 삽입홀(701) 각각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 하우징(8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홀(860), 제1 전원선 삽입홀(870), 및 제2 전원선 삽입홀(8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지선 삽입홀(860), 제1 전원선 삽입홀(870), 및 제2 전원선 삽입홀(880)은 한쌍의 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쌍의 홀 사이에는 가압버튼(890)이 더 구비되어 내부의 판 스프링을 가압함으로써 접지선, 제1 전원선, 또는 제2 전원선의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접지선 삽입홀(860)로 삽입된 접지선은 상기 접지 판스프링(610)과 접촉하여, 상기 접지 판스프링(610)과 접촉하는 상기 접지 단자(400)의 내측 접지부(430)를 접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접지부(430)구 구비됨에 따라 상지 접지핀(300)은 `ㄷ`자 구조에서 불필요한 중간 부분을 제거하고 양 말단 부위가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부(310)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선 삽입홀(870)로 삽입되는 제1 전원선은 상기 제1 전원 판스프링(620)과 접촉하여 해당 제1 전원 판스프링(620)이 제1 전원선으로 인가되는 극성의 전원으로 대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전원선 삽입홀(880)로 삽입되는 제2 전원선은 상기 제2 전원 판스프링(630)이 제1 전원 판스프링(620)과 반대 극성의 전원으로 대전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면 하우징
200 : 안전소켓 유닛
300 : 접지핀
400 : 접지 단자
500 : 절연판
600 : 판스프링
700 : 전원 단자
800 : 후면 하우징
200 : 안전소켓 유닛
300 : 접지핀
400 : 접지 단자
500 : 절연판
600 : 판스프링
700 : 전원 단자
800 : 후면 하우징
Claims (8)
- 한 쌍의 코드홀을 갖는 플러그 삽입 홀더가 형성된 전면 하우징;
상기 전면 하우징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코드홀로 코드가 동시에 삽입될 때만 개방되는 안전소켓 유닛;
`ㄷ`자 구조를 가지며 양 말단 부위가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부를 가지는 접지핀;
상기 플러그 삽입 홀더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접지핀의 후면에 형성되어, 해당 접지핀과 접촉함으로써 통전되어 접지핀과 동일한 접지전압을 가지는 복수의 접지 단자;
삽입되는 접지선 및 전원선이 인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력으로 고정시키는 판스프링;
전도성 도체가 세로방향으로 기립 형성되어 상기 전원선을 고정시키고 있는 판스프링과 접촉하면서, 삽입되는 플러그의 코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상기 판스프링과 전원 단자가 수용되는 후면 하우징; 및
상기 후면 하우징 배면으로 인입되는 전선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고압으로 통전되는 판스프링과 전원 단자로 배선된 상기 후면 하우징 내부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판;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접지핀과 직접 접촉하는 가로방향 접지부;
상기 가로방향 접지부의 양단에서 기립되어 형성된 세로방향 접지부;를 포함하되, 어느 하나의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세로방향 접지부와 반대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내측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단자는
상이한 극성을 인가받는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는 구리재질로 양말단부가 말려 플러그의 코드가 삽입될 수 있는 타원형의 홀이 형성된 코드 삽입홀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고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전원접촉 밸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접지선과 연결되는 접지 판스프링;
전원선과 연결되고, 해당 전원선의 전원을 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1전원 단자에 전달하는 제1 전원 판스프링; 및
상기 제1 전원 판스프링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전원선과 연결되고 해당 전원선의 전원을 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2전원 단자에 전달하는 제2 전원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우징은
한 쌍의 상지 접지 판스프링을 이격되게 수용하는 접지 판스프링 수용부;
한 쌍의 제1 전원 판스프링을 이격되게 수용하는 제1 전원 판스프링 수용부;
한 쌍의 제2 전원 판스프링을 이격되게 수용하는 제2 전원 판스프링 수용부;
상기 제1 전원 단자를 수용하는 제1 전원 단자 수용부;
상기 제2 전원 단자를 수용하는 제2 전원 단자 수용부;
상기 접지 판스프링에 연결되는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홀;
상기 제1 전원 판스프링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1 전원선 삽입홀; 및 상기 제2 전원 판스프링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2 전원선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우징은
접지선과 전원선의 삽입과 인출을 돕기 위해 한 쌍의 상기 접지선 삽입홀, 상기 제1 전원선 삽입홀, 및 제2 전원선 삽입홀 사이에 형성된 가압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단자 수용부 및 제2 전원 단자 수용부는
일측의 상기 코드 삽입홀을 수용하기 위한 일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
타측의 상기 코드 삽입홀을 수용하기 위한 타측 코드 삽입홀 수용부;
상기 전원접촉 밸리와 양단에 형성되는 코드 삽입홀 사이 단자 부분의 기립을 유지하기 위해 일측과 타측의 코드 삽입홀 수용부와 제1 또는 제2 전원 단자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기립유지부와 제2 기립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406A KR102126012B1 (ko) | 2020-02-14 | 2020-02-14 |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406A KR102126012B1 (ko) | 2020-02-14 | 2020-02-14 |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6012B1 true KR102126012B1 (ko) | 2020-06-23 |
Family
ID=7113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8406A KR102126012B1 (ko) | 2020-02-14 | 2020-02-14 |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601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0568B1 (ko) * | 2011-09-07 | 2012-06-28 | 주식회사 위너스 | 체결구조가 개선된 매입형 콘센트 |
KR101596009B1 (ko) * | 2014-09-22 | 2016-02-19 | (주)두남 | 조립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콘센트 |
KR101710917B1 (ko) * | 2016-02-22 | 2017-03-02 |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 성능기반 안전콘센트 |
KR101774949B1 (ko) | 2017-02-27 | 2017-09-05 | (주)성진엠케이 | 대기전력 차단형 콘센트 |
KR101916327B1 (ko) * | 2018-06-07 | 2018-11-09 | (주)대성 |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
KR102058411B1 (ko) * | 2019-09-20 | 2019-12-23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접지형 콘센트 |
-
2020
- 2020-02-14 KR KR1020200018406A patent/KR1021260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0568B1 (ko) * | 2011-09-07 | 2012-06-28 | 주식회사 위너스 | 체결구조가 개선된 매입형 콘센트 |
KR101596009B1 (ko) * | 2014-09-22 | 2016-02-19 | (주)두남 | 조립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콘센트 |
KR101710917B1 (ko) * | 2016-02-22 | 2017-03-02 |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 성능기반 안전콘센트 |
KR101774949B1 (ko) | 2017-02-27 | 2017-09-05 | (주)성진엠케이 | 대기전력 차단형 콘센트 |
KR101916327B1 (ko) * | 2018-06-07 | 2018-11-09 | (주)대성 |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
KR102058411B1 (ko) * | 2019-09-20 | 2019-12-23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접지형 콘센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98229A1 (en) | Safety socket | |
US6132257A (en) |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 |
US20060094272A1 (en) | Plastic gate for electrical outlets | |
US7364466B2 (en) | Short-circuit preventive universal memory card connector | |
TWI737405B (zh) | 安全插座 | |
NO20031288L (no) | Fj¶relement, kobling av kompresjonstype, elektroakustisk delholder med innebygde sonder | |
CN101154778A (zh) | 防脱落的电源插头插座组 | |
KR20030049119A (ko) | 콘센트와 플러그 구조체 | |
KR102126012B1 (ko) | 세로방향 전원 단자를 갖는 콘센트 | |
US5172295A (en) | Voltage limiter arrangement with receiving member for connection to a surge arrester magazine | |
US3950063A (en) | Connector for looped wire | |
US4690474A (en) | Electric outlet and plug | |
CN106500064B (zh) | 电连接件及led照明装置 | |
US3210717A (en) | Safety connector plug | |
KR200442907Y1 (ko) |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 |
CN105745791B (zh) | 具有护套夹的电连接器 | |
TW202037016A (zh) | 多工型軌道插座 | |
CN104143714B (zh) | 台用分接器 | |
CN208797323U (zh) | 转换插座的内连接结构 | |
US2496413A (en) | Polarized fuse pin plug | |
HUP0103791A2 (en) | Electric appliance switch comprising a fuse seat | |
US2465100A (en) | Base and holder for electric lamps | |
CN110440184A (zh) | 轨道灯的轨道组件 | |
CN205693090U (zh) | 一种安全插座 | |
KR200263495Y1 (ko) | 전선 수용 공간이 구비된 멀티 콘센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