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524B1 -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524B1
KR102125524B1 KR1020180162036A KR20180162036A KR102125524B1 KR 102125524 B1 KR102125524 B1 KR 102125524B1 KR 1020180162036 A KR1020180162036 A KR 1020180162036A KR 20180162036 A KR20180162036 A KR 20180162036A KR 102125524 B1 KR102125524 B1 KR 102125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roots
tree
citrus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범
진성범
문영일
윤수현
박경진
김상숙
김민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6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감류 나무의 뿌리에서 자근의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키트 및 상기 조성물 또는 키트를 이용하여 만감류의 자근발생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자근이 발생된 만감류 나무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자근의 형성으로 인한 만감류의 생산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etermining scion root of citrus hybrid}
본 발명은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만감류 나무의 뿌리에서 자근의 발생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키트, 및 상기 조성물 또는 키트를 이용하여 만감류의 자근발생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내 농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온주밀감을 포함한 감귤 품종들의 증식은 비교적 왜성(dwarf) 이면서 내한성이 강한 탱자 품종을 대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온주밀감 품종은 접목부위에서 자근발생이 없으나, 최근, 만감류 과원에서는 대목인 탱자의 뿌리가 아닌 접수인 부지화에서 뿌리가 내리는 자근(自根: scion root)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자근이 발생된 나무들은 해거리와는 다르게 2년 이상 정상나무에 비해 착화량이 확연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특징인데 만감류 재배농가들이 과원에서 나무를 잘 살피지 않는다면 초기에는 그 차이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그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근나무에 대한 초기 대처에 실패하여 나중에는 자근피해로 수량감소와 과실품질 저하의 이중고로 농가에 많은 피해를 끼치고 있다.
상기 자근의 생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략적으로 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자근으로 의심되는 뿌리를 절단하여 시간이 지난 후 절단된 부위에서 발생되는 신초를 보고 확인하는 뿌리절단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자근발생이 대체로 접목부위 위 부분에서 발생되는 특징이 있기에 이를 통하여 접목부위 경계부위를 기점으로 위에서 발생되거나 경계부분이 없어지면서 매끈한 뿌리가 발생된다면 자근으로 판단하는 방법이며, 세 번째 방법은 자근뿌리는 대목인 탱자뿌리에 비해 세근이 굵고 뻣뻣한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뿌리를 굴취후 자근 유무를 판별하는 방법이고, 네 번째 방법은 자근이 형성되지 않은 뿌리 수피껍질을 벗기면 짙은 노란색을 띠는 수피색을 나타내지만, 자근의 뿌리는 연녹색의 수피색을 나타냄을 이용하여 자근 유무를 판별하는 방법이며, 다섯 번째 방법은 시료조직을 채취 후 DNA를 분리한 다음 SRAP 마커를 이용해 판별하는 방법이다(원예과학기술지 제33권 별호Ⅱ [초록집], 2015.10, 164-164).
그러나, 상기 5가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자근여부를 판단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거나 또는 자근의 발생여부를 명확히 구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뿌리절단법이나, 접목부위를 관찰하는 방법의 경우, 자근이 생성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고, 세근의 형태 또는 수피색을 확인하는 방법의 경우, 전적으로 관찰자의 기준에 따라 수행되므로, 객관성이 낮아 명확한 구별이 어려우며, SRAP 마커를 이용해 판별하는 방법의 경우, 대체로 여러개의 밴드가 검출되기 때문에, 마커가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만감류의 일종인 부지화의 자근을 판별하기 위하여, 부지화 자근의 게놈 DNA에 존재하는 마커서열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개발하였다(한국등록특허 제1869781호). 그러나,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부지화의 자근 판별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다른 만감류에는 적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만감류에서 자근의 생성여부를 보다 명확하고 간결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만감류 자근의 게놈 DNA에 존재하는 마커서열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만감류의 자근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 또는 키트를 이용하여 만감류의 자근발생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만감류에서 자근의 생성여부를 보다 명확하고 간결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유전자 마커를 이용해 판별하는 방법에 주목하였다. 현재까지 개발된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방법의 경우, PCR 방법을 이용하여 자근 특이적인 마커를 증폭시키는데, 증폭된 결과가 자근이 발생된 만감류 뿐만 아니라 자근이 발생되지 않은 만감류에서도 나타나고, 자근이 발생된 만감류에서 나타난 증폭산물이 다중 밴드를 형성하므로, 객관적인 판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자근이 형성되지 않은 만감류의 게놈은 증폭시키지 않고,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의 게놈만을 증폭시키며,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의 게놈을 증폭시킬 경우, 단일 밴드의 증폭산물만을 얻을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개발하였다.
이처럼,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의 게놈에 포함된 마커염기서열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만감류의 자근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서열번호 1 및 4; 서열번호 1 및 5; 서열번호 1 및 6; 서열번호 2 및 4; 서열번호 2 및 6;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기쌍으로 구성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만감류"란, 나무에서 완전히 익도록 두었다가 수확하여, 다른 품종보다도 늦게 생산되는 감귤류를 의미하는데, 대체로 감귤류의 나무를 탱자나무 대목에 접목시킨 형태의 나무에서 생성되는 감귤류가 이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만감류는 만감류 나무, 탱자나무 대목에 접목시킨 감귤류 나무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들 표현은 모두 만감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만감류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부지화(한라봉), 탐나는 봉(탐라봉), 청견, 세또까, 황금향, 레드향, 천혜향, 진지향, 카라향 등의 감귤품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자근(自根: scion root)"이란, 측근(側根)이라고도 호칭되며,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작은 뿌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근은 감귤류 나무를 탱자나무 대목에 접목시킨 감귤류 나무에서 생성된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감귤류는 탱자나무 대목 위에 접목된 후, 과실을 맺게되는데, 이때, 뿌리는 탱자나무의 뿌리를 이용하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접목된 감귤류로부터 뿌리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접목된 감귤류로부터 생성된 뿌리를 자근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용어 "판별"이란, 탱자나무 대목에 접목시킨 감귤류 나무에서 자근의 생성이 의심되는 경우, 의심되는 자근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게놈 DNA에 자근 특이적인 마커 염기서열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구성하는 각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다:
SCAR F01 : 5'-CAAACCGGAATCCCAAAGGAAAACC-3'(서열번호 1)
SCAR F02 : 5'-CAAAACAAACCCAAGTACACG-3'(서열번호 2)
SCAR R01 : 5'-GACTGCGTACGAATTATGGGCAAAC-3'(서열번호 4)
SCAR R02 : 5'-GCAAACGTGGGATCTTGCGTG-3'(서열번호 5)
SCAR R03 : 5'-GAGTACTGGCTCTGCTTATAC-3'(서열번호 6)
본 발명의 용어 "특이적인 서열"이란 다른 유전자와 반응 시에는 PCR 산물을 합성하지 않으면서 진단대상 유전자가 존재할 때만 이를 주형으로 하여 PCR 산물을 합성할 수 있는 일련의 염기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나무를 판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프라이머 세트(a pair of primers)"란 진단대상 유전자를 PCR을 이용하여 증폭시키기 위한 염기서열들로, 하나의 진단대상 유전자에 정방향 프라이머와 역방향 프라이머가 세트를 이루어 반응하여 PCR 산물을 합성한다. 이때, 상기 정방향과 역방향 프라이머 세트가 결정되면 이로부터 합성되는 PCR 생성물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만감류 및 자근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의 판별용 키트는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 및 4; 서열번호 1 및 5; 서열번호 1 및 6; 서열번호 2 및 4; 서열번호 2 및 6;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기쌍으로 구성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나무를 특이적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별용 키트는 바람직하게 PCR 반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DNA 중합효소 및 그 완충용액 및 상기 기재한 조성의 PCR 반응 완충용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PCR 산물의 증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기영동 수행에 필요한 구성성분 또는 진단 기준표들이 본 발명의 키트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조성물 또는 키트를 이용하여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나무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나무를 판별하는 방법은 (a) 자근의 형성 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만감류 나무로부터 유래된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게놈 DNA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가하고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을 수행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a) 단계에서 수득한 시료는 만감류 나무로부터 수득하고, 이로부터 게놈 DNA를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잎, 뿌리, 줄기, 꽃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시료로 부터 게놈 DNA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 시료를 마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c) 단계는 통상적인 전기영동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c) 단계를 통해, 증폭산물이 확인된 경우, 상기 만감류 나무에서 자근이 형성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자근이 발생된 만감류 나무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자근의 형성으로 인한 만감류의 생산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자근이 발생된 "청견"품종의 감귤나무의 뿌리 부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b는 자근이 발생된 "세또까"품종의 감귤나무의 뿌리 부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대조군과 자근이 형성된 4종의 만감류 뿌리에서 수득한 게놈 DNA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9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으로 PCR 증폭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3a는 대조군과 자근이 형성된 "청견" 품종(KR1, KR2, KR3 및 KR4)의 나무 뿌리에서 수득한 게놈 DNA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으로 PCR 증폭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3b는 대조군과 자근이 형성된 "세또까" 품종(CR1, CR2, CR3 및 CR4)의 나무 뿌리에서 수득한 게놈 DNA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으로 PCR 증폭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근이 형성된 감귤나무의 구별
탱자 대목에 접목되어 재배되는 "청견"품종의 감귤나무와 "세또까"품종의 감귤나무의 외관을 관찰하여 자근이 발생된 개체를 선발하였다(도 1a 및 1b).
도 1a는 자근이 발생된 "청견"품종의 감귤나무의 뿌리 부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b는 자근이 발생된 "세또까"품종의 감귤나무의 뿌리 부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a 및 1b에서 보듯이, 외관상으로도 자근이 형성된 "청견"품종의 감귤나무와 "세또까"품종의 감귤나무를 구별할 수 있었고, 이들 구별된 감귤나무에서 착과된 결과를 비교하면, 정상적인 감귤나무 보다 자근이 형성된 감귤나무에서 착과수준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특이적 마커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감귤류 중에서 만감류의 감귤나무를 유전자를 대상으로 자근의 발생된 만감류 특이적 유전자를 발굴하고, 상기 발굴된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개발하였다.
SCAR F01 : 5'-CAAACCGGAATCCCAAAGGAAAACC-3'(서열번호 1)
SCAR F02 : 5'-CAAAACAAACCCAAGTACACG-3'(서열번호 2)
SCAR F03 : 5'-CAAAAAGGGGCAACACAGAAC-3'(서열번호 3)
SCAR R01 : 5'-GACTGCGTACGAATTATGGGCAAAC-3'(서열번호 4)
SCAR R02 : 5'-GCAAACGTGGGATCTTGCGTG-3'(서열번호 5)
SCAR R03 : 5'-GAGTACTGGCTCTGCTTATAC-3'(서열번호 6)
상기 개발된 3종의 포워드 프라이머와 리버스 프라이머를 조합하여 9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을 설정하였다(표 1).
프라이머 염기쌍
명칭 F(서열번호) R(서열번호)
SCAR-P1
SCAR-P2
SCAR-P3
SCAR-P4
SCAR-P5
SCAR-P6
SCAR-P7
SCAR-P8
SCAR-P9
SCAR F01(1)
SCAR F01(1)
SCAR F01(1)
SCAR F02(2)
SCAR F02(2)
SCAR F02(2)
SCAR F03(3)
SCAR F03(3)
SCAR F03(3)
SCAR R01(4)
SCAR R02(5)
SCAR R03(6)
SCAR R01(4)
SCAR R02(5)
SCAR R03(6)
SCAR R01(4)
SCAR R02(5)
SCAR R03(6)
실시예 3: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를 대상으로 한 PCR 분석
먼저, 만감류에 해당하는 품종의 감귤 중에서, 자근이 형성된 "부지화" 품종(SR), 자근이 형성된 "탐나는 봉" 품종(TR), 자근이 형성된 "세또까" 품종(CR) 및 자근이 형성된 "청견" 품종(KR)의 나무 뿌리로부터 각각의 게놈 DNA를 수득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정상 탱자의 뿌리(PR)에서 수득한 게놈 DNA를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수득한 각각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 설정한 9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을 이용한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PCR 조건은 94℃ 5분동안 DNA를 변성시킨 후 94℃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40초로 총 35회 증폭한 다음 72℃에서 5분 동안 신장과정을 형성하였다.
끝으로, 상기 PCR을 수행하여 얻어진 각각의 증폭산물을 전기영동하여 각 증폭산물의 생성여부를 확인하였다(도 2).
도 2는 대조군과 자근이 형성된 4종의 만감류 뿌리에서 수득한 게놈 DNA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9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으로 PCR 증폭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9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 중에서,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은 대조군의 게놈 DNA에 포함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증폭시키지 않고, 자근이 형성된 4종의 만감류의 게놈 DNA에 포함된 폴리뉴클레오티드만을 증폭시킨 반면, 4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5, P7, P8 및 P9)은 대조군과 자근이 형성된 4종의 만감류의 게놈 DNA에 포함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모두 증폭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2의 결과로부터, 상기 9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 중에서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을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를 판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의 효과 검증
상기 실시예 3의 결과로부터 확인된,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를 판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이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의 다른 개체의 식별에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4-1: 자근이 형성된 "청견" 품종의 식별
자근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된 "청견" 품종의 나무 중에서 무작위로 4개의 개체(KR1, KR2, KR3 및 KR4)를 선발하고, 이들 선발된 개체의 나무 뿌리에서 각각의 게놈 DNA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4개 개체(KR1, KR2, KR3 및 KR4)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사용하고,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을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3a).
도 3a는 대조군과 자근이 형성된 "청견" 품종(KR1, KR2, KR3 및 KR4)의 나무 뿌리에서 수득한 게놈 DNA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으로 PCR 증폭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3a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은 대조군의 게놈 DNA에 포함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혀 증폭시키지 않으면서도, 자근이 형성된 "청견" 품종(KR1, KR2, KR3 및 KR4)의 게놈 DNA에 포함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모두 증폭시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2: 자근이 형성된 "세또까" 품종의 식별
자근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된 "세또까" 품종의 나무 중에서 무작위로 4개의 개체(CR1, CR2, CR3 및 CR4)를 선발하고, 이들 선발된 개체의 나무 뿌리에서 각각의 게놈 DNA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4개 개체(CR1, CR2, CR3 및 CR4)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사용하고,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을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3b).
도 3b는 대조군과 자근이 형성된 "세또까" 품종(CR1, CR2, CR3 및 CR4)의 나무 뿌리에서 수득한 게놈 DNA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으로 PCR 증폭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3a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5세트의 프라이머 염기쌍(P1, P2, P3, P4 및 P6)은 대조군의 게놈 DNA에 포함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전혀 증폭시키지 않으면서도, 자근이 형성된 "세또까" 품종(CR1, CR2, CR3 및 CR4)의 게놈 DNA에 포함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모두 증폭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Composition for determining scion root of citrus hybrid <130> KPA181286-KR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aaaccggaa tcccaaagga aaacc 25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aaaacaaac ccaagtacac g 21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caaaaagggg caacacagaa c 21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gactgcgtac gaattatggg caaac 25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caaacgtgg gatcttgcgt g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gagtactggc tctgcttata c 21

Claims (7)

  1. 만감류의 자근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서열번호 1 및 4; 서열번호 1 및 5; 서열번호 1 및 6; 서열번호 2 및 4; 및 서열번호 2 및 6;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프라이머 세트로서, 상기 만감류는 부지화(한라봉), 탐나는 봉(탐라봉), 청견, 세또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귤 품종인 것인, 프라이머 세트.
  2. 삭제
  3.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로서,
    상기 만감류는 부지화(한라봉), 탐나는 봉(탐라봉), 청견, 세또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귤 품종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 또는 제3항의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만감류 자근 판별용 키트로서,
    상기 만감류는 부지화(한라봉), 탐나는 봉(탐라봉), 청견, 세또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귤 품종인 것인, 키트.
  5. (a) 자근의 형성 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만감류 나무로부터 유래된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게놈 DNA에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 또는 제3항의 만감류 자근 판별용 조성물을 가하고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PCR을 수행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나무를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만감류는 부지화(한라봉), 탐나는 봉(탐라봉), 청견, 세또까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귤 품종인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시료는 만감류 나무의 잎, 뿌리, 줄기 또는 꽃인 것인,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나무를 판별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를 통해, 증폭산물이 확인된 경우, 상기 만감류 나무에서 자근이 형성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인, 자근이 형성된 만감류 나무를 판별하는 방법.

KR1020180162036A 2018-12-14 2018-12-14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KR10212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36A KR102125524B1 (ko) 2018-12-14 2018-12-14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36A KR102125524B1 (ko) 2018-12-14 2018-12-14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524B1 true KR102125524B1 (ko) 2020-06-22

Family

ID=7114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036A KR102125524B1 (ko) 2018-12-14 2018-12-14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453A (ko) * 2019-12-17 2021-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금향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306A (ko) * 2014-09-26 2016-04-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탄소 질소 비율 측정을 통한 자근 발생 판별방법
KR101869781B1 (ko) * 2017-09-13 2018-06-21 대한민국 부지화 자근의 판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306A (ko) * 2014-09-26 2016-04-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탄소 질소 비율 측정을 통한 자근 발생 판별방법
KR101869781B1 (ko) * 2017-09-13 2018-06-21 대한민국 부지화 자근의 판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 Citrus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 No. 11-1390000-003915-01 *
Seok-Beom Kang et al. Korean J Environ Agric (2012) Vol.31 No.4 pp.313-317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발간번호 11-1390000-003915-0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453A (ko) * 2019-12-17 2021-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금향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KR102272206B1 (ko) 2019-12-17 2021-07-02 대한민국 황금향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wrence et al. Taxonomy and multi-locus phylogeny of cylindrocarpon-like species associated with diseased roots of grapevine and other fruit and nut crops in California
EP2240598B1 (en) Marker genetically linked to tobamovirus resistance in cucumber and the use thereof
Basım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ternaria alternata causing leaf spot of olive tree (Olea europaea) in Turkey
KR102125524B1 (ko) 만감류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van der Merwe et al. Occurrence of canker and wood rot pathogens on stone fruit propagation material and nursery trees in the western Cape of South Africa
Sezer et al.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fioriniae infection of hazelnut
Chitrampalam et al. Effect of Fusarium tricinctum on growth of soybean and a molecular-based method of identification
Akgül et al. Current status of grapevine trunk disease pathogens on asymptomatic nursery-produced grapevines in Türkiye.
Everhart et al. Spatial patterns of brown rot epidemics and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analyzing fine-scale genetic structure of Monilinia fructicola populations within peach tree canopies
KR101869781B1 (ko) 부지화 자근의 판별용 조성물
Sanchez et al.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Phytophthora species in pear commercial orchards in Argentina
KR102272206B1 (ko) 황금향의 자근 판별용 조성물
KR20130077298A (ko) 고추 역병 종 구분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102175124B1 (ko) 박과 작물 감염 바이러스 다중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106755541B (zh) 一种荷叶离褶伞鉴别用分子标记及引物和探针
Birişik et al. A preliminary account on apple viruses in Mediterranean region of Turkey
KR101909786B1 (ko) 로젤리니아 네카트릭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CN106868145B (zh) 一种烟色垂膜菇鉴别用分子标记及引物和探针
Lilja et al. Cultural and PCR-based identification of the two most common fungi from cankers on container-grown Norway spruce seedlings
RU2731290C1 (ru) СПОСОБ СКРИНИНГА АГРЕССИВНОГО ИЗОЛЯТА ВОЗБУДИТЕЛЯ ФОМОЗА ПОДСОЛНЕЧНИКА (Phomamacdonaldii Boerema)
Back et al. Occurrence and analysis of apple blotch-like symptoms on apple leaves
Prodorutti et al. Genetic diversity of Armillaria spp. infecting highbush blueberry in northern Italy (Trentino region)
CN108165649A (zh) 水稻抗褐飞虱主效基因qBph4(t)的分子标记及其应用
KR101498110B1 (ko) 검은점뿌리썩음병 저항성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JP3413490B2 (ja) 微生物感染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