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385B1 -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 Google Patents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85B1
KR102125385B1 KR1020180168487A KR20180168487A KR102125385B1 KR 102125385 B1 KR102125385 B1 KR 102125385B1 KR 1020180168487 A KR1020180168487 A KR 1020180168487A KR 20180168487 A KR20180168487 A KR 20180168487A KR 102125385 B1 KR102125385 B1 KR 10212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upport
work beam
blank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장수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명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명신산업(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to KR102018016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nk heating method. Introduced is the blank heating method which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reduce cost. A blank is heated by using a heating device in which a heating chamber into which the blank is input is arranged in a multistage vertically. Equal to or more than two heating devic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and blanks are fed to heat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at different times so that the blanks are discharged from the heat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at different times.

Description

블랭크 가열방법{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Blank heating method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본 발명은 핫스탬핑을 위한 블랭크 가열방법, 특히 복수의 히팅 챔버가 상하로 다단 배열된 가열장치를 이용한 블랭크 가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nk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and particularly to a blank heating method using a heat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ing chambers are vertically arranged in multiple stages.

연비 규제나 안전법규의 강화 등으로 차량 부품의 경량화 및 고강도화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다. 그 결과 1 기가 파스칼(GPa)급의 초고강도강 부품이 상용화되어 있고 최근에는 2 기가급 강의 개발까지 추진되고 있다.The demand for weight reduction and high strength of vehicle parts is very high due to the regulation of fuel efficiency and strengthening of safety regulations. As a result, 1-giga Pascal (GPa) grade ultra-high-strength steel parts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recently, 2 giga-grade steel has been promoted.

일반적으로 강판의 강도가 증가하면 연신율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진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제안된 것이 핫스탬핑이다. 핫스탬핑은 강판을 오스테나이트화 온도 이상, 예로서 900℃ 이상 가열한 후, 프레스 성형과 동시에 급냉시키므로, 가공성이 우수하다.In general, when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increases, the elongation decreases, resulting in poor workability. Hot stamping i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Hot stamping is excellent in workability since the steel sheet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austenitizing temperature, for example, 900°C or higher, and rapidly cooled at the same time as press forming.

종래 핫스탬핑에서 강판을 연속 이송하면서 가열하는 전기로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전기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공정속도가 느리고 유지비용도 높다. 한국등록특허 제1045839호에 전기로에 고주파유도가열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가열로가 소개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hot stamping, an electric furnace for heating while continuously transporting a steel sheet was mainly used. Such an electric furnace requires a large space, the process speed is slow, and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45839 introduces a hybrid heating furnace that combines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with an electric furnace.

위 하이브리드 가열로는 종래 전기로에 비해 공정시간의 단축, 설비 공간의 축소, 유지비용의 절감을 보장한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가열로도 한계는 있다. 비약적인 공정개선 및 비용절감에도 불구하고, 2차 가열로로 사용되는 전기로의 길이가 아직 길며 생산성의 향상과 비용 절감이라는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The above hybrid heating furnace ensures a reduction in process time, a reduction in facility space, and a reduction in maintenance costs compared to a conventional electric furnace. However, hybrid heating furnaces also have limitations. Despite the significant process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the length of the electric furnace used as the secondary heating furnace is still long, and there is still a need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reduce costs.

차량 경량화에 대한 요구 증대로 핫스탬핑 부품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핫스탬핑을 위한 블랭크 가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가열시간을 단축하거나, 가열로를 길게 연장해서 더 많은 블랭크를 투입해서 가열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가열시간의 단축은 한계가 있고 가열로를 길게 연장하는 것은 초기 설비비 및 운영비용의 상승을 야기한다.The application of hot stamping parts is expanding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lighter vehicles.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blank heating for hot stamping,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heating time or to extend the heating furnace for a long time to inject more blanks to heat treatment. The shortening of the heating time is limited and the long extension of the heating furnace causes an increase in initial equipment cost and operating cost.

전기로와 같은 연속식 가열로 외에 핫스탬핑에 배치식 가열로가 사용될 수 있다. 배치식은 연속식에 비해 점유하는 공간이 작으며, 제작비 및 유지비 면에서도 연속식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배치식은 다단의 히팅 챔버를 구비하더라도, 하나의 히팅 챔버에 오직 하나의 강판이 투입되며 가열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In addition to continuous heating furnaces such as electric furnaces, batch heating furnaces can be used for hot stamping. The batch type occupies less space than the continuous type, and is superior to the continuous type in terms of produc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However, even if the batch type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heating chamber, only one steel plate is put into one heating chamber and the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because it must wait until heating is complet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블랭크 가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blank heating method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ducing costs.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드시 위에 언급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미처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 기재되는 사항에 의해서도 이해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other problems not already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matters described below.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서로 구획된 히팅 챔버가 상하로 다단으로 배열된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블랭크를 가열한다. 이 다단 가열장치는 폭방향으로 2열 이상 병렬 배치될 수 있다. 가열장치가 폭방향으로 2열로 배치된 경우, 블랭크들은 좌측의 제1 가열장치와 우측의 제2 가열장치에 교대로 투입 및 취출된다. 제1 가열장치와 제2 가열장치의 블랭크 이송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heat the blank by using a heating device that is arranged in multiple steps up and down heating chambers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housing. This multi-stage heating device can be arranged in parallel in two or more rows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heating devices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the blanks are alternately input and taken out from the first heating device on the left and the second heating device on the right. The blank transfer speed of the first heating device and the second heating device may be the same.

상기 가열장치의 히팅 챔버에는 히터; 길이방향 일단의 입구와 타단의 출구에 마련된 도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지지대;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지지대와 교번 배열된 워크빔;이 마련될 수 있다.A heater in the heating chamber of the heating device; A door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other end; Support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work beam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support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빔은 폭방향으로 배치된 회전바에 연결되며, 회전바는 폭방향으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며, 회전바의 회전 운동에 의한 워크빔의 회전 거동에 의해 지재대에 올려진 블랭크가 입구 측에서 출구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워크빔은 회전 거동의 상사점에서 지지대보다 위에 놓이며 하사점에서 지지대보다 아래에 놓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beam is connected to a rotation bar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otation bar rotates in a circle around a rotation axi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supported by rotational motion of the work beam by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 bar. The blank placed on can be transferred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The work beam can be placed above the support at the top dead center of rotational behavior and below the support at the bottom dead center.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빔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의 상면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워크빔의 하면 및/또는 지지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beam. Protrusion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also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urthermore, protrusions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beam and/or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빔 및 지지대는 세로방향 길쭉한 형상으로서 중공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beam and the support may be hollow in a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빔은 브래킷을 매개로 회전바에 연결되며, 브래킷은 회전바에 고정된 베이스; 워크빔의 좌우 양사이드가 밀착되도록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레그; 및 워크빔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레그 사이를 연결하는 서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레그와 워크빔을 관통하는 제1 패스너에 의해 워크빔이 레그 사이에 조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제2 패스너에 의해 회전바에 고정되며, 제2 패스너의 조작에 의해 브래킷의 고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beam is connected to a rotating bar via a bracket, and the bracket comprises a base fixed to the rotating bar; Legs extending from the base so that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ork beam are in close contact; And a support connecting the legs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beam is supported. The work beam can be fastened and fixed between the legs by a first fastener penetrating the leg and the work beam. In addition, the base is fixed to the rotating bar by the second fastener, it can be configured to be adjusted to the fixed height of the bracket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asten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 챔버는 내열빔에 의해 구획되며, 내열빔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양단이 하우징에 거치 고정되며 폭방향으로 밀착 배열되어 히팅 챔버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chamber is partitioned by a heat-resistant beam, and the heat-resistant beam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housing and arranged closely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the bottom of the heating chamb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는 히팅 챔버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각각 마련된 지지블록에 그 양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지지블록은 지지대가 끼워지는 안착홈과 워크빔이 통과하는 요홈을 구비하며, 요홈은 안착홈보다 깊고 폭이 넓게 형성되며, 지지블록에는 다른 지지블록의 대응 부위와 맞대어 외부로부터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연장부가 마련되며, 도어는 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can be fixed by fit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block provid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heating chamber, respectively. The support block has a seating groove through which the support is fitted and a recess through which the work beam passes, and the recess is formed deeper and wider than the seating groove, and the fork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block from the outside against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other support block. A horizontal extension is provided to form the opening, and the door can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장치는 배치식으로 구성되어 점유 공간이 작고 제작비 및 유지비의 절감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device is configured in a batch type, so that the occupied space is small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 챔버 입구 측에 투입된 블랭크를 출구 측으로 이송하면서 가열하므로 생산성이 우수하다. 히팅 챔버 내에서 블랭크는 회전운동하는 워크빔에 의해 이송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이송된다. 목표 가열온도 및 히팅 챔버의 길이를 고려하여 블랭크의 이송 및 정지가 조절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nk inputted to the inlet side of the heating chamber is heated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outlet side, and thus productivity is excellent. In the heating chamber, the blank is transported while repeating transport and stop by a rotating work beam. Transfer and stop of the blank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heating temperature and the length of the heating chamb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된 블랭크들이 제1 가열장치와 제2 가열장치에서 교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가열장치들 후단에 배치된 프레스 성형금형의 대기시간이 짧아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ed blanks can be alternately discharged from the first heating device and the second heating device, the waiting time of the press molding mold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heating devices is shortened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빔 및 지지대의 수명이 길고 히팅 챔버로부터의 열손실이 적으며, 수리 및 보정이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 of the work beam and the support is long, heat loss from the heating chamber is small, and repair and correction are easy.

도 1은 핫스탬핑용 블랭크 가열장치의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블랭크 이송방식을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장치에 사용된 후 손상된 워크빔과 지지대를 각각 보여준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가열장치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입구 측을 보여준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워크빔, 회전바 및 이들을 결합하는 브래킷을 보여준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히팅 챔버의 바닥을 보여준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라 히팅 챔버에 설치된 지지대와 워크빔을 보여준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록을 보여준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돌기가 형성된 지지대를 보여준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 따른 블랭크 가열장치를 보여준다.
1 shows an example of a blank heating device for hot stamping.
FIG. 2 shows a blank transfer method of the heating device shown in FIG. 1.
3 and 4 show the damaged work beam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after being used in the heating device shown in FIG. 1.
5 shows a blank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shows the inlet side of the heating device shown in FIG. 5.
7 shows a work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otating bar and a bracket that combines them.
8 shows the bottom of the heating cha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shows a support beam and a work beam installed in a heating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shows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shows a support on which a projectio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shows a blank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여러 특징적인 측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들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될 수 있고,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그리고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understand various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equivalent components or parts may be deno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and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a clea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 한정이 없는 한, 제2 요소가 제1 요소 '상'에 배치되거나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된다고 하는 것은,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은 물론 제1 및 제2 요소의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된 것을 허용하는 의미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등의 방향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점도 이해될 필요가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second element is disposed on the first element'on' or that the two elements are'connected' to each other, as well as the two elements directly contact each other, the first and the first It needs to be understood to mean that a third element is interposed between the elements of the two elements.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direction expressions such as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에 배치식과 연속식이 혼합된 블랭크 가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블랭크 이송방향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은 L, 좌우 폭방향은 W로 표시되어 있다.1 shows a blank heating device in which a batch type and a continuous type are mixed. In FIG. 1, the leng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lank transfer direction is indicated by L, and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are indicated by W.

도 1을 참조하면, 가열장치는 하우징(100) 내에 서로 구획된 히팅 챔버(10)가 다단으로 적층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 the heat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ing chambers 10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housing 100 are stacked and arranged in multiple stages.

히팅 챔버(10)의 바닥 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0)와 워크빔(30)이 폭방향으로 교번 배열되며, 천정 측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다. 입구 측에서 히팅 챔버(10)에 투입된 블랭크는 워크빔(30)에 의해 출구 측으로 이송된다.On the bottom side of the heating chamber 10, a support 20 and a work beam 3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heater 40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spac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ceiling side. do. The blank introduced into the heating chamber 10 from the inlet side is transferred to the outlet side by the work beam 30.

히팅 챔버(10)의 입구와 출구 측에는 각각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바(50)가 마련된다. 워크빔(30)의 일단은 입구 측의 회전바(50)에 연결되며 타단은 출구 측의 회전바(50)에 연결된다. 각 회전바(50)는 폭방향으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운동을 하며, 회전바(50)에 의해 워크빔(30)이 회전한다.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heating chamber 10, rotation bars 50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One end of the work beam 3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ar 50 on the inlet 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ar 50 on the outlet side. Each rotary bar 50 rotates in a circular motion around a rotation axi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work beam 30 is rotated by the rotary bar 50.

가열장치의 입구 측에는 회전바(50)의 회전운동을 위한 전동모터(110)가 마련된다. 전동모터(110)의 구동력은 기어박스(120) 및 회전체(미도시)를 통해 회전바(50)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바(50)의 회전은 다양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회전바(50)의 회전운동은 전기 구동되는 크랭크 축에 의할 수 있다.On the inlet side of the heating device, an electric motor 110 f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bar 50 is provided.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bar 50 through the gear box 120 and a rotating body (not show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50 can be by various methods. As one exampl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bar 50 may be by an electric driven crankshaft.

출구 측의 회전바(50)는 입구 측 회전바(50)의 회전운동에 의해 단순히 종동되거나, 입구 측 회전바(50)와 같이 전동모터(110)에 의해 능동 회전할 수 있다.The exit side rotation bar 50 may be driven simply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entrance side rotation bar 50 or may be actively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110 like the entrance side rotation bar 50.

도 2에는 워크빔(30)의 회전운동과 이에 의한 블랭크 이송과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In Figure 2,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ork beam 30 and the blank transfer process thereby are shown in order.

도 2에서 보듯이, 폭방향으로 배치된 회전바(50)에 연결된 워크빔(30)은 회전바(50)의 회전운동에 의해 마찬가지로 원을 그리는 회전거동을 보인다. 전동모터(110)의 구동력이 기어박스(120)를 거쳐 회전체(130)에 전달되며, 회전체(130)의 회전운동은 회전체(130)에 편심 연결된 워크빔(30)에 전달된다.As shown in FIG. 2, the work beam 30 connected to the rotational bar 50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exhibits a rotational motion of drawing a circle similarly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al bar 50.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110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body 130 via the gear box 120,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body 130 is transmitted to the work beam 30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130.

도 2의 (a)는 워크빔(30)이 회전거동의 하사점에 놓인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하사점에서 워크빔(30)은 지지대(20)보다 아래에 놓인다. 히팅 챔버(10)의 입구 측으로 투입된 블랭크(1)는 지지대(20)에 올려진다.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rk beam 30 is placed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rotational behavior, and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work beam 30 is placed below the support 20. The blank 1 introduced into the inlet side of the heating chamber 10 is placed on the support 20.

도 2의 (b)는 전동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워크빔(30)이 회전하여 상사점에 놓인 상태가 도시된 것으로, 워크빔(30)은 상사점에서 지지대보다 위에 놓인다. 하사점에서 상사점에 이르는 과정에 지지대(20)에 놓여 있던 블랭크(1)는 워크빔(30)으로 옮겨져 이동된다.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rk beam 30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110 and placed at the top dead center, and the work beam 30 is placed above the support at the top dead center. In the process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top dead center, the blank 1 placed on the support 20 is moved to the work beam 30 and moved.

도 2의 (c)와 (d)에서 보듯이, 상사점에서 다시 하사점으로 이르는 과정에 워크빔(30)에 놓인 블랭크(1)는 출구 측으로 이송되며, 워크빔(30)에 놓여 있던 블랭크(1)는 다시 지지대(20)로 옮겨진다.As shown in (c) and (d) of FIG. 2, the blank 1 placed on the work beam 30 in the process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is transferred to the exit side, and the blank placed on the work beam 30 (1) is moved back to the support (20).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히팅 챔버(10) 내에서 블랭크(1)는 회전운동하는 워크빔(30)에 의해 이송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이송된다. 전동모터(110)는 정해진 간격으로 작동하여 워크빔(30)을 회전시킨다. 워크빔(30)의 회전궤적 크기, 회전 속도 및 주기(혹은 회전 간격)를 조절하여 히팅 챔버(10) 내에서 블랭크(1)의 체류시간 혹은 평균적인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blank 1 in the heating chamber 10 is conveyed while repeating conveying and stopping by the work beam 30 rotating. The electric motor 110 operat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rotate the work beam 30. By adjusting the size, rotation speed and period (or rotation interval)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work beam 30, the residence time of the blank 1 or the average transfer speed in the heating chamber 10 can be adjusted.

위와 같은 가열장치는 히팅 챔버(10)의 길이, 즉 가열장치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고 히팅 챔버(10) 내에 여러 개의 블랭크를 투입하여 연속로에서와 같이 가열할 수 있다. 이는 설치 및 유지 비용의 절감은 물론 상당정도의 생산성까지 보장한다. The hea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can shorten the length of the heating chamber 10, that is, the length of the heating device, and heat it as in a continuous furnace by introducing several blanks into the heating chamber 10. This not only reduc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but also ensures considerable productivity.

위와 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열장치는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다.In spite of the above many advantages, the heating device needs to be improved.

도 3a에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장치에 사용된 후 손상된 워크빔(30)이 도시되어 있다.3A shows a damaged work beam 30 after being used in the heating device shown in FIG. 1.

핫스탬핑 블랭크로 Al 도금강판이 주로 사용된다. Al 도금이 히팅 챔버(10) 내에서 용융되기 전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도록 가열장치가 제어된다. 그러나 Al 도금의 일부는 용융되어 워크빔(30)에 묻는 현상이 발생되고, 공정이 계속될수록 Al 도금의 이염은 누적되고 워크빔(30) 내부로의 확산이 진행된다. Al 도금은 세라믹재의 워크빔(30)에 침투하여 높은 경도를 갖는 경질 조직(A)을 형성한다(도 3b 참조).As a hot stamping blank, Al plated steel sheet is mainly used. The heating device is controlled to form an oxide film before the Al plating melts in the heating chamber 10. However, a part of the Al plating is melted and a phenomenon occurs on the work beam 30, and as the process continues, odour of Al plating accumulates and diffusion into the work beam 30 progresses. Al plating penetrates into the work beam 30 of the ceramic material to form a hard structure A having a high hardness (see FIG. 3B).

도 3a에서 보듯이, Al 도금의 확산으로 인한 경질 조직(A)은 물결 무늬를 이루듯이 형성되며, 크랙은 Al 도금이 깊게 침투된 영역들(A1) 간의 경계 영역(A2)에서 주로 발생된다. 조업 중단과 재개의 반복으로 인한 워크빔(30)의 열팽창 수축 과정에, 경질화가 많이 진행된 영역(A1)과 상대적으로 연질인 영역(A2) 간의 차이로 인해 크랙이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크랙 및 파손으로 인해 워크빔(30)의 수명이 매우 짧고 잦은 조업 중단이 야기된다.As shown in FIG. 3A, the hard tissue A due to the diffusion of Al plating is formed as a wave pattern, and cracks are mainly generated in the boundary area A2 between the areas A1 deeply penetrated by Al plating. In the process of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work beam 30 due to the interruption of operation and resumption, it is believed that cracks are generated du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 A1 where the hardening has progressed and the region A2 which is relatively soft. Due to such cracks and breaks, the life of the work beam 30 is very short and frequent operation stoppage is caused.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장치에 사용된 후 손상된 지지대(20)가 도시되어 있다.4 shows a damaged support 20 after being used in the heating device shown in FIG. 1.

지지대(20)는 밑면이 넓고 블랭크 지지부가 수직하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대(20)는 워크빔(30)과 마찬가지로 세라믹으로 제작되는데, 워크빔(30)보다는 수명이 다소 길지만, 자중과 Al 도금의 침투로 인한 경질 조직으로 인해 파손이 문제된다.The support 20 is formed in a ⊥ shape with a wide base and a blank support extending vertically. The support 20 is made of ceramic, like the work beam 30, which has a slightly longer life than the work beam 30, but is damaged due to its own weight and hard structure due to penetration of Al plating.

도 5에는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가열장치의 전면, 즉 입구 측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앞서 설명된 가열장치와 동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도면부호도 그대로 사용된다.5, the front side of the blank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is, the inlet side is shown. Parts that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may be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the heat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they are.

도 5에서 보듯이, 가열장치는 하우징(100) 내에 서로 구획된 7개의 히팅 챔버(10)가 적층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히팅 챔버(10)의 입구에는 블랭크를 투입하기 위한 포크 진입구(11)가 마련된다. 포크는 로봇 아암에 장착되며 블랭크를 그 위에 올려 놓고 이송하여 히팅 챔버(10) 내로 투입한다.As shown in FIG. 5, the heat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n heating chambers 10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housing 100 are stacked. The entrance of the heating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 fork entrance 11 for introducing a blank. The fork is mounted on the robot arm, and the blank is put on it and transferred to be input into the heating chamber 10.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가열장치의 전면 일부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제1 챔버(10a)의 입구는 도어(140)에 의해 닫혀 있고, 제2 및 제3 챔버(10b,10c)의 입구는 열려 있다.6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5. The entrance of the first chamber 10a is closed by the door 140, and the entrances of the second and third chambers 10b and 10c are open.

도 6을 참조하면, 워크빔(30)이 히팅 챔버(10)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열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워크빔(30)과 이에 인접한 워크빔(30)의 사이에는 지지대(20)가 배치된다. 히팅 챔버(10)의 입구에는 길이방향으로 포크 진입구(11)가 마련되며, 입구 측 마련된 도어(140)가 포크 진입구(11)를 개폐한다. 블랭크의 투입을 위해 도어(140) 개방되며, 블랭크 삽입 후 도어(140)에 의해 히팅 챔버(10)의 입구가 폐쇄된다. 도어(140)의 개폐 작동은 폭방향으로 연장된 로드(141)의 회전작동에 의한다.Referring to FIG. 6, the work beams 30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ting chamber 10, and although not shown, a support 20 is provided between the work beams 30 and the work beams 30 adjacent thereto. Is placed. The entrance of the heating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 fork entranc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oor 140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pens and closes the fork entrance 11. The door 140 is opene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blank, and the entrance of the heating chamber 10 is closed by the door 140 after inserting the blank.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140 is caused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d 14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도 7에는 브래킷(60)을 이용하여 회전바(50)에 고정된 워크빔(30)이 도시되어 있다.7 shows the work beam 30 fixed to the rotating bar 50 using the bracket 60.

워크빔(30)은 단면으로 볼 때 세로방향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이다. 예로서 워크빔(30)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 파이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워크빔(30)은 경량이며 열팽창 수축으로 인한 크랙이나 파손 가능성을 낮춘다.The work beam 30 is formed in a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d is hollow inside the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work beam 30 can be understood as a hollow pi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rounded corners. The work beam 30 is lightweight and reduces the possibility of cracks or breakage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브래킷(60)은 회전바(50)에 고정된 베이스(61), 워크빔(30)의 좌우 양사이드가 밀착되도록 베이스(61)로부터 연장된 레그(62), 및 워크빔(30)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레그(62) 사이를 수평 연결하는 서포트(63)를 구비한다.The bracket 60 includes a base 61 fixed to the rotating bar 50, legs 62 extending from the base 61 so that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ork beam 30 are in close contact, and a bottom surface of the work beam 30 The support 63 is provided to horizontally connect the legs 62 so as to be supported.

수평방향으로 레그(62)와 워크빔(30)을 관통하는 제1 패스너(64)에 의해 워크빔(30)이 레그(62) 사이에서 조임 고정된다. 베이스(61)는 제2 패스너(65)에 의해 회전바(50)에 고정된다. 제2 패스너(65)로는 간편하게 브래킷(60)의 높이, 즉 워크빔(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무두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The work beam 30 is fastened and fixed between the legs 62 by the first fastener 64 passing through the leg 62 and the work beam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ase 61 is fixed to the rotating bar 50 by a second fastener 65. As the second fastener 65, a headless bolt may be used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bracket 60, that is, the height of the work beam 30.

도 8에는 히팅 챔버(10)의 바닥을 구성하는 내열빔(70)이 폭방향으로 밀착 배열된 것을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at the heat-resistant beams 70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heating chamber 10 are close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히팅 챔버(10) 내의 온도는 900℃ 이상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이웃하는 히팅 챔버들 간의 사이를 구획하기 위해 강판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없다. 반면 이웃하는 히팅 챔버들이 서로 구획되지 않는다면 히팅 챔버(10) 내의 온도 제어 및 유지가 어렵다.Since the temperature in the heating chamber 10 is very high at 900° C. or higher,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a steel plate to partition between adjacent heating chambers. On the other hand, if the neighboring heating chambers are not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control and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heating chamber 10.

이웃하는 히팅 챔버(10)들 간의 구획은 세라믹재의 내열빔(70)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내열빔(7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양단이 하우징(100)에 거치 고정된다. 내열빔(70)의 길이방향 중간 중간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가 있다면 좋겠지만, 히팅 챔버(10) 내 고온 환경으로 인해 중간의 지지부재는 제한된다. 고온에서 내열빔(70)은 자중에 의해 파손된다. 파손된 내열빔(70)은 비교적 간단히 새 것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파손이 심하지 않은 경우 뒤집어서 사용될 수 있다.The partition between neighboring heating chambers 10 is made using a heat-resistant beam 70 of ceramic material. The heat-resistant beam 70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mounted and fixed to the housing 100. It would be nice if there was a member for supporting it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resistant beam 70, but due to the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 the heating chamber 10,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is limited. At high temperatures, the heat-resistant beam 70 is broken by its own weight. The broken heat-resistant beam 70 can be replaced with a relatively new one, and can be used upside down if the damage is not severe.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입구와 출구 측의 히팅 챔버(10) 바닥에는 지지블록(80)이 폭방향으로 밀착 배열된다. 지지대(20)는 입구와 출구 측의 지지블록(80)에 그 양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지지블록(80)은 지지대(20)의 설치뿐만 아니라 교체나 수리도 용이하게 하다. 지지대(20)는 지지블록(80)에 양단이 거치 고정될 뿐이다. 지지대(20)나 워크빔(30)의 중간에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는 마련되지 않는다.8 and 9, the support block 80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heating chamber 10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The support 20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block 80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The support block 80 facilitates replacement or repair as well as installation of the support 20. The support 20 only has both ends fixed to the support block 80.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20 or the work beam 30, a member for supporting them is not provided.

도 10에는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록(8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10 shows an example of a support block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블록(80)은 지지대(20)가 끼워지는 안착홈(81)과 워크빔(30)이 통과하는 요홈(82)을 구비한다. 요홈(82)은 워크빔(30)의 회전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안착홈(81)보다 깊고 폭이 넓다. 지지블록(80)에는 다른 지지블록의 대응 부위와 맞대어 외부로부터 포크를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구(11)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연장부(83)가 마련된다.9 and 10, the support block 80 includes a seating groove 81 into which the support 20 is fitted and a recess 82 through which the work beam 30 passes. The recess 82 is deeper and wider than the seating groove 81 to allow rotational movement of the work beam 30. The support block 8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extension 83 for forming an entrance 11 through which a fork can be entered from the outside by facing a corresponding part of another support block.

도 11에는 Al 도금의 침투로 인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워크빔(30)에 형성된 돌기(3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FIG. 11, projections 31 formed on the work beam 30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to prevent cracks due to penetration of Al plating.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블랭크(1)가 접촉되는 워크빔(3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31)가 이격 배열된다. 돌기(31)는 2.0~3.0mm의 폭(혹은 길이방향 두께), 2.0~3.0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그리고 80.00mm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돌기(31)를 형성한 경우, 워크빔(30)의 수명은 평균 2배 이상 증가하는 결과를 보인다.9 and 11, the projections 31 are arrang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beam 30 to which the blank 1 is contacted. The projection 31 is preferably formed to a width of 2.0 to 3.0 mm (or a thick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eight of 2.0 to 3.0 mm. And it is preferably formed at a distance of 80.00mm. When the projections 31 are formed in this way, the life of the work beam 30 increases by an average of 2 times or more.

돌기(31)의 폭 2.0mm 미만이나 높이 3.0mm 초과는 가공의 어려움을 야기하며 2.0~3.0mm에서 얻을 수 있는 것 이상의 효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돌기(31)의 폭 3.0mm 초과나 높이 2.0mm 미만에서는 Al 도금의 이염량 및 침투 깊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거나 얻어지는 상태의 변동성이 커진다. 돌기(31) 간의 간격은 블랭크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조절될 필요가 있으나, 대체로 적용되고 있는 블랭크를 기준으로 80.00mm 전후의 간격이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projection 31 less than 2.0 mm or more than 3.0 mm in height causes difficulties in processing and does not guarantee an effect beyond that obtained from 2.0 to 3.0 mm. When the width of the projection 31 is greater than 3.0 mm or less than 2.0 mm, the tendency for the amount of dyeing and penetration depth of the Al plating to increase is increased or the variability of the obtained state becomes large. The spacing between the projections 31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r size of the blank, but the spacing between about 80.00 mm is preferred based on the blank being applied.

돌기(31)는 워크빔(30)의 상면뿐만 아니라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워크빔(30)의 상면이 블랭크를 지지하도록 사용한 후, 아직 크랙이나 파단의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뒤집어서 하면이 블랭크를 지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워크빔(30)의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된다.The projection 3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beam 30. After 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beam 30 to support the blank, if there is still no problem of cracking or breaking, it can be used in such a way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beam supports the blank, and helps to extend the life of the work beam 30. do.

도 12에는 지지블록(80)에 끼워진 지지대(20)가 도시되어 있다.In FIG. 12, a support 20 fitted to the support block 80 is shown.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블랭크(1)가 접촉되는 지지대(2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21)가 이격 배열된다. 돌기(21)는 워크빔(30)의 돌기(31)과 같은 수치 범위로 형성된다. 돌기(31)는 지지대(20)의 상면뿐만 아니라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수명 연장을 위해 일정기간 후 뒤집어서 사용될 수 있다.9 and 12, the projections 21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to which the blank 1 is contacted. The projections 21 are formed in the same numerical range as the projections 31 of the work beam 30. The projection 3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and may be used upside down after a certain period to extend the life.

지지대(20)는 워크빔(30)과 마찬자리로, 단면으로 볼 때 세로방향 길쭉한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20)는 경량이며 열팽창 수축으로 인한 크랙이나 파손 가능성을 낮춘다.The support 20 is similar to the work beam 30, and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with an empty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n elongat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support 20 is lightweight and reduces the possibility of cracks or breakage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도 13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가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3 shows a blank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블랭크 가열장치는 폭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제1 가열장치(101)와 제2 가열장치(10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열장치(101,102)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blank heating device includes a first heating device 101 and a second heating device 102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devices 101 and 102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ea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1 가열장치(101)와 제2 가열장치(102) 사이에는 격벽(103)이 마련될 수 있고, 각 가열장치는 회전바(50)의 회전운동을 위한 전동모터(11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열장치(101)와 제2 가열장치(102)의 블랭크 이송속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이송속도를 달리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A partition wall 10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hea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heating device 102, and each heat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motor 110 f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bar 50, respectively. You can. Blank transfer speeds of the first hea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heating device 102 may be the same. Of course, it would not be impossible to set the feed rate differently.

도 1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가열방법을 살펴본다.A blank he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각 입구 측에서 블랭크들은 교대로 제1 가열장치(101)와 제2 가열장치(102)에 투입된다. 예로서 제1 가열장치(101)에 블랭크를 투입한 후, 시간 간격을 두고 제2 가열장치(102)에 블랭크를 투입한다. 제1 가열장치(101)와 제2 가열장치(102)의 블랭크 이송속도는 동일할 수 있으며, 이들 장치(101,102)의 각 출구에서 투입된 순서대로 교대로 가열된 블랭크가 배출될 수 있다.At each inlet side, the blanks are alternately fed to the first hea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heating device 102. As an example, a blank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eating apparatus 101, and then a blank is injected into the second heating apparatus 102 at a time interval. Blank transfer speeds of the first heat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heating device 102 may be the same, and alternately heated blanks may be discharg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input at each outlet of the devices 101 and 102.

가열장치들(101,102)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는 각각 포크를 갖는 로봇이 1개씩 배치될 수 있다.One robot having a fork may be dispos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heating devices 101 and 102, respectively.

제1 및 제2 가열장치(101,102)은 각각 블랭크가 투입되는 히팅 챔버(10)가 상하로 다단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가열장치(101,102)는 각각 히팅 챔버(10)가 상하방향 7단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열장치에 의하면 히팅 챔버(10) 내에서의 블랭크 가열시간 자체를 단축하지 않더라도, 한꺼번에 많은 블랭크를 가열 처리할 수 있다. 프레스 성형기의 블랭크 냉각성능이 향상되고 있기에, 블랭크들의 투입 및 배출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생산성의 비약적인 향상이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heating devices 101 and 102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ing chambers 10 into which blanks are input are arranged vertically. Referring to FIG. 13, the heating chambers 10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devices 101 and 102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seven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such a heating device, even if the blank heating time itself in the heating chamber 10 is not shortened, it is possible to heat many blanks at once. Since the blank cooling performance of the press molding machine is improving,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improve productivity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input and discharge of the blanks.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 히팅 챔버 11: 포크 진입구
20: 지지대 21, 31: 돌기
30: 워크빔 40: 히터
50: 회전바 60: 브래킷
70: 내열빔 80: 지지블록
100: 하우징 110: 모터
10: heating chamber 11: fork entrance
20: Support 21, 31: projection
30: work beam 40: heater
50: swivel bar 60: bracket
70: heat-resistant beam 80: support block
100: housing 110: motor

Claims (5)

블랭크가 투입되는 히팅 챔버가 상하로 다단 배열된 가열장치를 이용한 블랭크 가열방법으로서,
상기 가열장치를 2개 이상 폭방향으로 병렬 배치하고, 폭방향 병렬 배치된 가열장치들에 블랭크를 서로 다른 시간에 투입하여 병렬 배치된 가열장치들로부터 서로 다른 시간에 블랭크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히팅 챔버에는 히터; 길이방향 일단의 입구와 타단의 출구에 마련된 도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지지대;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지지대와 교번 배열된 워크빔이 마련되고,
상기 워크빔은 폭방향으로 배치된 회전바에 연결되며, 회전바는 폭방향으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며, 회전바의 회전 운동에 의한 워크빔의 회전 거동에 의해 지재대에 올려진 블랭크가 입구 측에서 출구 측으로 이송되며, 워크빔은 회전 거동의 상사점에서 지지대보다 위에 놓이며 하사점에서 지지대보다 아래에 놓이고,
상기 워크빔과 지지대 각각의 적어도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워크빔은 브래킷을 매개로 회전바에 연결되며,
상기 브래킷은 회전바에 고정된 베이스; 워크빔의 좌우 양사이드가 밀착되도록 베이스로부터 연장된 레그; 및 워크빔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레그 사이를 연결하는 서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레그와 워크빔을 관통하는 제1 패스너에 의해 워크빔이 레그 사이에 조임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는 제2 패스너에 의해 회전바에 고정되며, 제2 패스너의 조작에 의해 브래킷의 고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가열방법.
As a blank heating method using a heating device in which the heating chamber in which the blank is introduced is vertically arranged in multiple steps,
Two or more of the heating devices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in parallel, and the blanks are discharged at different times from the heat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at different times by inputting the blanks to the heating device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in parallel,
The heating chamber includes a heater; A door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other end; Support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work beam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support in the width direction,
The work beam is connected to a rotating bar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otating bar rotates in a circle around a rotation axi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raised on the paper table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ork beam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bar. The blank is transferred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and the work beam lies above the support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rotational behavior and below the support at the bottom dead center,
Protrusions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on at least the upper surfaces of the work beams and the support,
The work beam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ar via a bracket,
The bracket includes a base fixed to a rotating bar; Legs extending from the base so that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ork beam are in close contact; And a support connecting the legs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beam is supported.
The work beam is fastened and fixed between the legs by a first fastener penetrating the leg and the work beam,
The base is fixed to the rotating bar by a second fastener, the blank he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just the fixed height of the bracket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aste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빔 및 지지대는 세로방향 길쭉한 형상으로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가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beam and the support is a blank he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in the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폭 2.0~3.0mm, 높이 2.0~3.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가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ion is 2.0 ~ 3.0mm width, blank he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eight of 2.0 ~ 3.0m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 챔버는 내열빔에 의해 구획되며, 내열빔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양단이 하우징에 거치 고정되며 폭방향으로 밀착 배열되어 히팅 챔버의 바닥을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는 히팅 챔버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각각 마련된 지지블록에 그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지지블록은 지지대가 끼워지는 안착홈과 워크빔이 통과하는 요홈을 구비하며, 요홈은 안착홈보다 깊고 폭이 넓게 형성되며, 지지블록에는 다른 지지블록의 대응 부위와 맞대어 외부로부터 포크를 진입시킬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연장부가 마련되며, 도어는 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가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chamber is divided by a heat-resistant beam, the heat-resistant beam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are fixed to the housing and arranged in close contact in the width direction to constitute the bottom of the heating chamber,
The support is fitted and fix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locks provided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heating chamber,
The support block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through which the support is fitted and a recess through which the work beam passes, the recess is formed deeper and wider than the seating groove, and the support block is engaged with a corresponding portion of another support block to enter the fork from the outside. A blank he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extension is provided to form a possible opening, and the doo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is opening.
KR1020180168487A 2018-12-24 2018-12-24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KR1021253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487A KR102125385B1 (en) 2018-12-24 2018-12-24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487A KR102125385B1 (en) 2018-12-24 2018-12-24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385B1 true KR102125385B1 (en) 2020-06-22

Family

ID=7114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487A KR102125385B1 (en) 2018-12-24 2018-12-24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38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21Y2 (en) * 1986-02-17 1990-01-31
KR20130118468A (en)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포스코 Working beam of heating furnace
JP2014005957A (en) * 2012-06-22 2014-01-16 Chugai Ro Co Ltd Walking beam furnace
KR101831200B1 (en) * 2017-01-02 2018-02-22 신성열연(주) Hot stamping heating furnace transport equipment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21Y2 (en) * 1986-02-17 1990-01-31
KR20130118468A (en)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포스코 Working beam of heating furnace
JP2014005957A (en) * 2012-06-22 2014-01-16 Chugai Ro Co Ltd Walking beam furnace
KR101831200B1 (en) * 2017-01-02 2018-02-22 신성열연(주) Hot stamping heating furnace transport equipment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36310U (en) A kind of energy-efficient tempering furnace of roller shaft type
US4012190A (en) Annealing lehr
JP2009285728A (en) Heating apparatus and heating method of steel plate for hot press forming
CN1013220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steel components in a continuous furnace
CA3035505C (en) Hot press device
KR102080553B1 (en) Multi-stack heating apparatus for hot stamping
KR102125385B1 (en) Heating method for hot stamping
KR101277864B1 (en) Apparatus for heat treatment of hot forming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formed parts
EP2546592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metallurgical material
CN113789434A (en) Heat treatment processing device for hot work die steel
EP2245404B1 (en) Improved burning system
US1400367A (en) Furnace and method of conveying materials therethrough
KR101289105B1 (en) Furnace for heating material and heating method of use it
KR101278967B1 (en) Heating apparatus, high frequency furnace and roller unit for hot stamping
KR20150029354A (en) Heat treatment apparatus with inductive heating
US6036485A (en) Annealing furnace
KR101003205B1 (en) Heating oven for press hardening process
EP1705444A1 (en) Furnace for heat treatment of metallic draw pieces
WO2019204385A1 (en) Microwave heating of boron steel blanks prior to the hot-stamping process
EP1172621A1 (en) High-productivity steel heating furnace, particularly for rolling plants
CA1170449A (en) Method of operating a reheating furnace in a hot rolling line and a reheating furnace employed therefor
KR101320267B1 (en) H-beam cooling device
CN207227473U (en) Equipment for conveying at least one heated component
EP1083396B1 (en) Kiln for firing industrial articles
CN113249559A (en) Continuous furnace for hot forming and press hard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