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993B1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993B1
KR102124993B1 KR1020190059781A KR20190059781A KR102124993B1 KR 102124993 B1 KR102124993 B1 KR 102124993B1 KR 1020190059781 A KR1020190059781 A KR 1020190059781A KR 20190059781 A KR20190059781 A KR 20190059781A KR 102124993 B1 KR102124993 B1 KR 10212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dust concentration
power
reference valu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연
김동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커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커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커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59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POWER ENERGY ACCORDING TO FINE DUST CONCENTRA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에너지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품질 또는 안전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력의 품질이 저하된다면 효율성이 낮아질 뿐 아니라, 전력 설비의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안전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전력 시스템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거나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안전 문제 발생시 관리자도 초동 대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력 에너지의 사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 및 진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여 전력 에너지의 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전력 에너지의 흐름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순환기 등을 가동하는 비율이 높아지므로 전력수요에 큰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전력 에너지를 관리함에 있어 미세먼지 농도를 고려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안전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전력 에너지를 관리함으로써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관련 설비들의 수명을 최대한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서버(20), 게이트웨이(30), 전력 분석기(40), 미세먼지 센서(50) 및 분전반(6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전반(60)은 건물 등과 같이 일정 공간 내의 전력 분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전반(60)에는 전력 분석기(40)가 설치된다.
전력 분석기(40)는 전력 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EMS 서버(2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전력 분석기(40)는 메인 채널과 분기 채널별로 3상별 및 합산에 대하여, 전류, 전압,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률, 전류고조파, 전압고조파 및 상불평형 등 총 11개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일정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게이트웨이(30)를 통해 EMS 서버(20)에 전송하고, EMS 서버(20)는 각 항목별로 최소값, 최대값 및 평균값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0)는 실내외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50)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게이트웨이(30)를 통해 EMS 서버(2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0)은 EMS 서버(20)로부터 전력 에너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EMS 서버(20)는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전력 분석기(4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 진단 및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서버(20)에 포함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를 참조하면 EMS 서버(20)는 통신부(21), 제어부(22) 및 저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EMS 서버(20)는 통신부(21)를 통해 게이트웨이(30)와 통신을 수행하며, 게이트웨이(3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3)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저장부(23)에는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가 저장될 뿐 아니라, 전력 에너지 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저장부(2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는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로부터 용도별 및 장비별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고,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사용량을 각각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와 전력 사용량에 따라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데 전체 전력 사용량(모든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이 낮다면, 미세먼지 감소를 위해 사용 가능한 전력량에 여유가 있다는 뜻이므로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예를 들어, 공기청정기 및 공기순환기 등)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데 전체 전력 사용량이 높다면, 미세먼지 농도의 감소보다는 전체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우선순위를 가지므로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가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들이 저장부(2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전체 전력 사용량이 제2 기준값 미만이라면(제1 조건),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전체 전력 사용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이라면(제2 조건),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는 무조건 제1 조건일 때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거나, 제2 조건일 때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제1 조건인 경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의 최소값을 보장하고, 제2 조건인 경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의 최대값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제3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이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제1 조건인 경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이 제3 기준값 미만이라면 이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는 제2 조건인 경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이 제3 기준값 이상이라면 이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조건(제1 조건 및 제2 조건) 시 보장하고자 하는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의 최소값 및 최대값은,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전력량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제3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는 요청에 따라서 저장부(23)에 저장된 전력 데이터들을 분석하거나 가공하고, 그 결과를 통신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MS 서버(20)는 전력 에너지 관리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및 분석 컴포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모든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력 에너지에 대해서 전기품질 검사 및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장치들의 수명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서 가동률이 변화하게 되므로, 해당 장치들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면,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 전기품질 및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라면,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 전기품질 및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사용량에 따라서 앞으로의 장치들에 대한 전력 공급 계획을 설정할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2)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각의 평균값에 따라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일정 시간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평균값 및 전체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을 과거에 누적된 데이터(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에 따라 각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력량 변화에 대한 데이터 등)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평균값들에 따라 이후에 각 장치들에 공급할 전력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2)는 통신부(21)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 예측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하거나 또는 이미 설정된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수정할 수도 있다. 이때도 제어부(22)는 예측된 미세먼지 농도를 과거에 누적된 데이터(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에 따라 각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력량 변화에 대한 데이터 등)와 비교함으로써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EMS 서버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EMS 서버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포함된 모든 단계들은 EMS 서버(20)의 제어부(22)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제어부(22)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302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한다.
도 4에는 도 3의 302 단계에 포함되는 세부단계들을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로부터 용도별 및 장비별 전력 사용량을 확인한다. 402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사용량을 각각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도 4의 402 단계에 포함되는 세부단계들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과 비교한다. 502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변경되는 제3 기준값을,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과 비교한다. 503 단계에서 제어부(22)는 501 단계 및 502 단계의 두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501 단계의 비교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전체 전력 사용량이 제2 기준값 미만이라면,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제3 기준값을 설정하고, 502 단계의 비교 결과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이 제3 기준값 미만이라면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501 단계의 비교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전체 전력 사용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이라면,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제3 기준값을 설정하고, 502 단계의 비교 결과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이 제3 기준값 이상이라면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면, 602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 전기품질 및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가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판단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라면, 603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 전기품질 및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가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702 단계에서 제어부(22)는 산출된 각각의 평균값에 따라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일정 시간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평균값 및 전체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을 과거에 누적된 데이터(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에 따라 각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력량 변화에 대한 데이터 등)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평균값들에 따라 이후에 각 장치들에 공급할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선택적으로 703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703 단계에서 제어부(22)는 미세먼지 농도 예측데이터에 기초하여, 702 단계에서 설정된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전력 에너지를 관리함으로써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관련 설비들의 수명을 최대한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청구하는 권리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 20: EMS 서버
30: 게이트웨이 40: 전력 분석기
50: 미세먼지 센서 60: 분전반

Claims (18)

  1.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 전기 관련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를 조정하며,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전력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 예측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 예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수정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로부터 용도별 및 장비별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사용량을 각각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와,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서 변경되는 제3 기준값을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전체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2 기준값 미만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상기 제3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3 기준값 미만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전체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상기 제3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 전기품질 및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각의 평균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상기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미세먼지 농도 예측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 예측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전력 에너지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미세먼지 농도 및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에 따라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 전기 관련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를 조정하며,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전력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하고, 미세먼지 농도 예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 예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항목에 대한 전력 데이터로부터 용도별 및 장비별 전력 사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전력 사용량을 각각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서 변경되는 제3 기준값을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전체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2 기준값 미만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상기 제3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3 기준값 미만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전체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상기 제3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를 위한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 감소와 관련된 장치들에 대해서 전기품질 및 전기안전 검사를 수행하는 주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기간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및 전체 전력 사용량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각각의 평균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상기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예측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세먼지 농도 예측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에너지 공급 계획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9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전력 에너지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9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59781A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12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81A KR102124993B1 (ko)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81A KR102124993B1 (ko)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993B1 true KR102124993B1 (ko) 2020-06-19

Family

ID=7113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781A KR102124993B1 (ko)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063B1 (ko) * 2015-12-04 2016-12-1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측정 및 표시를 위한 가로수 장치,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41450A (ko) * 2016-10-14 2018-04-24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중요도 분류를 이용한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KR101881509B1 (ko) * 2017-12-29 2018-07-24 유상열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KR20180123290A (ko)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타온 Hems용 ai모듈을 통한 지능형 홈 에너지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063B1 (ko) * 2015-12-04 2016-12-1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측정 및 표시를 위한 가로수 장치,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41450A (ko) * 2016-10-14 2018-04-24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중요도 분류를 이용한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KR20180123290A (ko)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타온 Hems용 ai모듈을 통한 지능형 홈 에너지 관리 장치
KR101881509B1 (ko) * 2017-12-29 2018-07-24 유상열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42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prediction of power usage for a change to another performance state
US20160371170A1 (en) Stateful detection of anomalous events in virtual machines
Zapater et al. Leakage and temperature aware server control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data centers
US20110208911A1 (en) Storage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TWI502541B (zh) 管理繪圖引擎功率消耗之方法、系統及設備
US20130166243A1 (en) Test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stability of electronic devices
CN102959510A (zh) 用于计算机功率和资源消耗建模的方法和系统
US11003239B2 (en)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E102016009224A1 (de) Verbesserte Leistungssteuerung von Datenspeicherarrays
US94891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I/O performance anomaly detection in datacenter
US20170017288A1 (en) Determining power capping policies for a computer device
CN106354241A (zh) 一种数据的掉电保护装置、系统及方法
US10108522B1 (en) Sampling technique to adjust application sampling rate
US9612603B2 (en) Calibration of voltage regulator
US20130197895A1 (en) Real-time server management
CN116155956A (zh) 一种基于梯度决策树模型的多路复用通信方法及系统
KR20200012335A (ko) 과금 기간 내 누진 요율 및 시간대별 소비 전력 패턴을 고려한 가전 기기의 효율적 사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7925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parameters in a computer system
KR102124993B1 (ko)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0007583B2 (en) Generating a data structure to maintain error and connection information on components and use the data structure to determine an error correction operation
US201503556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loads
US9454306B2 (en) Capturing demand on storage capacity and performance capability
US9367442B2 (en) Allocating memory usage based on voltage regulator efficiency
KR102069793B1 (ko) 전력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3338257B (zh) 一种多媒体会议电源设备管理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