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40B1 -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40B1
KR102124840B1 KR1020190111323A KR20190111323A KR102124840B1 KR 102124840 B1 KR102124840 B1 KR 102124840B1 KR 1020190111323 A KR1020190111323 A KR 1020190111323A KR 20190111323 A KR20190111323 A KR 20190111323A KR 102124840 B1 KR102124840 B1 KR 102124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inlet
pressure
flui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기
Original Assignee
김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기 filed Critical 김형기
Priority to KR102019011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형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펌프가 가동될 때 유체를 흡입하는 입구 쪽으로 압력을 피드백시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흡입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체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임펠러(1)와, 상기 임펠러(1)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싱(3),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된 유체 흡입구(5) 및,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임펠러(1)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송출하는 송출구(7)를 갖추어 이루어진 원심형 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싱(3)의 전면벽(3a)에 상기 유체 흡입구(5)와 송출구(7)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흡입구(5)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하여 반경의 바깥쪽을 향하여 뻗어 있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형성되고,상기 압력전달통로(13)는 케이싱(3)의 전면벽(3a)면에 송출구(7) 쪽으로 위치한 입구(13c)보다 흡입구(5) 쪽으로 위치한 출구(13d)가 넓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스로트(13a)와, 상기 스로트(13a) 위에 설치된 커버(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로트(13a)위에 설치되는 커버(13b)는 스로트(13a)의 길이보다 짧게 하고 그 폭은 스로트(13a)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13b)가 덮이지 않고 개방된 스로트(13a)의 양쪽 선단이 압력전달통로(13)의 입구(13c)와 출구(13d)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cavitation of the centrifugal pump}
본 발명은 원심형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심펌프가 가동될 때 유체를 흡입하는 입구 쪽으로 압력을 피드백시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흡입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형 펌프와 축류 펌프는 임펠러가 모터에 의해 구동하면서, 임펠러의 중심방향으로 유입된 유체를 임펠러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송출구를 통하여 내보내게 되어 있다.
이렇게 유체를 흡입구 쪽에서 흡입하여 가합한 후에 송출구 쪽으로 내보내는 과정에서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는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압력이 감소하여 액체가 끓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캐비테이션 또는 공동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공동현상은 펌프의 효율을 급격하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내부표면을 파손시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며 소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793974호(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에서 축방향으로 유체를 흡입하여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배출하는 원심펌프에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쪽에 공동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함과 더불어 임펠러의 앞뒤 방향 압력차이로 인하여 임펠러가 뒤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한 원심형 펌프의 공동현상방지장치를 제안하였다.
그 구조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임펠러(1)와, 상기 임펠러(1)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싱(3),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된 유체 흡입구(5) 및,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임펠러(1)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송출하는 송출구(7)를 갖추어 이루어진 원심형 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싱(3)의 전면벽(3a)에 상기 유체 흡입구(5)와 송출구(7)를 연통시키는 압력전달통로(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1)의 뒷면과 밀착하는 케이싱(3)의 뒷벽(19)에도 압력전달통로(21)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전달통로(13)는 케이싱(3)의 벽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스로트(13a)와 상기 스로트(13a) 위에 설치된 커버(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로트(13a)위에 설치되는 커버(13b)는 스로트(13a)의 길이보다 커버(13b)의 길이를 짧게 하고 그 폭은 스로트(13a)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13b)가 덮이지 않고 개방된 스로트(13a)의 양쪽 선단이 압력전달통로(13)의 입구(13c)와 출구(13d)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1)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임펠러(1)의 축방향(C)으로 유체를 유입하여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가압 배출하는 원심형 펌프에서, 상기 임펠러(1)에 의해 유체를 유입하는 유체 유입구(5)와 임펠러(1)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토출하는 송출구(7) 사이의 펌프 케이싱(3) 몸체에 상기 송출구(7)의 압력을 유입구(5) 쪽으로 피드백해 주기 위한 압력전달통로(13)를 형성시켜 원심 펌프의 입구 쪽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임펠러(1) 뒤쪽의 펌프 케이싱(3)의 수직의 뒷벽(19)에도 압력전달통로(21)를 형성시켜, 임펠러(1)의 바깥쪽과 임펠러(1)의 축부분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임펠러(1)의 양쪽 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임펠러(1)가 뒤쪽으로 밀려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펌프 케이싱(3)의 곡선연결부와 수직벽(19)에 형성시킨 압력전달통로(13,21)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펌프 케이싱(3)의 곡선 연결부에 반경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송출구(7)의 압력을 유입구(5)쪽으로 전달되어지게 하는 압력전달의 효과를 높이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1)에 의해 가압된 유체가 송출되는 송출구(7)의 압력이 상기 압력전달통로(13,21)를 통하여 펌프의 유입구쪽으로 전달되어지게 함으로써, 펌프의 유입구(5)쪽 압력이 보상되어 공동현상 즉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압력전달통로(13,21)가 펌프 케이싱(3) 본체의 임펠러(1)의 앞뒤쪽 모두에 형성시킴으로써, 임펠러(1) 전후면의 압력이 항상 균등하게 분포되어지게 하여 임펠러(1)가 뒤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송출구(7) 쪽의 압력을 압력전달통로(13,21)를 통하여 입구부(5)쪽으로 피드백시키는 구조를 가지지만,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전달통로부(13,21)의 스로트(13a,21a)는 압력이 유입되는 입구(13c,21c)와 출구(13d,21d)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송출구(7) 쪽의 압력이 입구부(5) 쪽으로 신속히 피드백되지 못하게 된다.
즉, 송출구(7) 쪽의 압력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입구부(5) 쪽으로 신속하게 압력이 피드백되어야 캐비테이션을 신속하게 줄일 수 있게 되지만, 스로트(13a,21a)의 입구(13c,21c)와 출구(13d,21d)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므로 입구(13c,21c)와 출구(13d,21d) 사이에 압력차이가 그리 크지 않게 되어 상대적으로 압력의 전달이 원할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송출구(7)의 압력이 흡입구(5)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커지게 되므로, 흡입되는 유체가 케이싱(3)과 임펠러(1) 사이의 공간으로 역류함으로써 이로 인한 펌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 제10-0793974호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로트의 입구보다 출구의 크기를 넓게 하여 송출구쪽의 압력이 입구부쪽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더욱 최소화하며, 아울러 케이싱의 유체유입경로상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 링형으로 돌출된 역류방지부를 형성하여 송출구와 유입구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는,
유체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유체 흡입구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임펠러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송출하는 송출구를 갖추어 이루어진 원심형 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싱의 전면벽에 상기 유체 흡입구와 송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흡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경의 바깥쪽을 향하여 뻗어 있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전달통로는
케이싱의 전면벽면에 송출구 쪽으로 위치한 입구보다 흡입구 쪽으로 위치한 출구가 넓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스로트와, 상기 스로트 위에 설치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로트위에 설치되는 커버는 스로트의 길이보다 짧게 하고 그 폭은 스로트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덮이지 않고 개방된 스로트의 양쪽 선단이 압력전달통로의 입구와 출구를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전면벽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동심원 형태로 된 복수의 링형 역류방지부가 돌출되어 상기 송출구 쪽에서 입구부 쪽으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형 역류방지부는 커버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의 케이싱(3)에 유체의 송출구(7)와 흡입구(5)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시킨 압력전달통로(13)가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송출구(7) 쪽으로부터 흡입구(5) 쪽으로 신속히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테이션 발생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류방지부(2)에 의해 압력이 높은 송출구(7) 쪽으로부터 압력이 낮은 흡입구(5) 쪽으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해 원심형 펌프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1의 압력전달통로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압력전달통로와 링형 역류방지부가 형성된 구조를 보인 도.
도5 및 도6은 스로트와 링형 역류방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압력전달통로와 링형 역류방지부가 형성된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5 및 도6은 스로트와 링형 역류방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되는 원심펌프는 유체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임펠러(1)와, 상기 임펠러(1)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싱(3),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된 유체 흡입구(5) 및,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임펠러(1)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송출하는 송출구(7)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임펠러(1)는 연결축(9)을 통하여 연결된 모터(11)에 의해 구동하면서 흡입구(5)를 통하여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는 상기 임펠러(1)에 의해 가속되어 송출구(7)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임펠러(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싱(3)의 전면벽(3a)에 압력전달통로(13)가 형성되어 상기 유체 흡입구(5)와 송출구(7)를 연통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력전달통로(13)는 임펠러(1)에 의해 가속된 유체가 송출구(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임펠러(1)의 흡입력에 의해 송출구(7)에서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나 압력이 높기에 문제가 없으나 흡입구(5)쪽에서는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압력이 낮으므로 공동현상의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송출구(7)와 흡입구(5) 사이의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압력전달통로(13)를 통하여 송출구(7)의 압력이 흡입구(5)쪽으로 피드백(feedback)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송출구(7)의 압력이 흡입구(5)쪽으로 피드백 되면 흡입구(5)의 압력이 보상되어 흡입구(5)에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압력전달통로(13)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전달통로(13)를 흡입구(5)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하여 반경의 바깥쪽을 향하여 뻗어 있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송출구(7)의 압력이 흡입구(5)쪽으로 고르게 전달되게 할수가 있다.
상기의 압력전달통로(13)는 송출구(7) 쪽으로부터 흡입구(5)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압력이 높은 송출구(7) 쪽으로부터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흡입구(5) 쪽으로 압력이 쉽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압력전달통로(13)의 흡입구(5) 쪽의 너비가 송출구(7) 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송출구(7) 쪽으로부터 흡입구(5) 쪽으로의 압력배출이 용이해지므로, 압력전달이 수월하게 되며, 아울러 흡입구(5) 쪽으로 압력전달이 보다 고르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원주형으로 배치된 압력전달통로(13)의 흡입구(5) 쪽 부위가 이웃하는 압력전달통로의 흡입구 쪽 부위와 서로 근접하도록 형성된다면, 흡입구(5)의 전 영역으로 압력이 고르게 전달되어 흡입되는 유체에 고른 압력이 부가됨으로써 캐비테이션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압력전달통로(13)는 도5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3)의 전면벽(3a)에 소정의 깊이, 예컨대 약 2mm정도의 깊이로 사다리꼴 형태의 스로트(13a)를 형성시키고, 상기 스로트(13a) 위에 커버(13b)를 설치하여 상기 압력전달통로(13)가 유체이송통로(15)와 분리된 통로를 이루게 함으로써, 유체이송통로(15)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와 상기 압력전달통로(13)를 따라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이 서로 분리되어질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스로트(13a)위에 설치되는 커버(13b)는 스로트(13a)의 길이보다 커버(13b)의 길이를 짧게 하고 그 폭은 스로트(13a)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도5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3b)가 덮이지 않고 개방된 스로트(13a)의 양쪽 선단이 압력전달통로(13)의 입구(13c)와 출구(13d)를 이루게 한다.
이때 입구(13c)보다 출구(13d)의 너비가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구(5) 쪽으로 압력의 전달이 매우 용이해지면서 흡입구(5)의 전 영역에 걸쳐서 고르게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송출구(7)의 높은 압력의 유체가 입구(13c)를 통하여 화살표(17)의 방향으로 유입되어 유입되어 흡입구(5)쪽으로 전달되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임펠러(1)의 뒤쪽에 위치한 펌프 케이싱(3)의 뒷벽(19)에도 상기 압력전달통로(13)와 동일한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진 압력전달통로(21)를 형성시킬 수 있는데, 연결축(9)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압력전달통로(21)가 형성되며, 또한 출구(21d)의 너비가 입구(21c)쪽보다 크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되어, 송출구(7)의 높은 압력을 임펠러(1)의 뒤쪽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임펠러(1) 뒤쪽의 중심부에는 상기 흡입구(5)의 압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임펠러(1)의 뒤쪽부분에는 압력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압력전달통로(13)에 의하여 송출구(7)의 높은 압력이 흡입구(5)쪽으로 전달되면 임펠러(1)의 앞쪽 부분 압력이 임펠러(1)의 뒤쪽 부분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임펠러(1)가 뒷벽(19)쪽으로 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1)의 뒷면과 밀착하는 케이싱(3)의 뒷벽(19)에도 압력전달통로(21)를 형성시킴으로써 송출구(7)의 압력이 임펠러(1)의 앞뒤쪽 벽에 형성된 압력전달통로(13)와 압력전달통로(21)를 통하여 고르게 전달되게 하여, 임펠러(1)의 앞뒤쪽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임펠러(1)가 뒤쪽으로 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전달통로(21) 역시 임펠러(1)의 앞쪽에 형성된 압력전달통로(13)와 마찬가지로 케이싱(3)의 뒷벽(19)에 약 2mm정도의 깊이로 사다리꼴 형태의 스로트(21a)를 형성시키고, 상기 스로트(21a) 위에 커버(21b)를 설치하여 상기 압력전달통로(21)가 유체이송통로(15)와 분리된 통로를 이루게 함으로써, 유체이송통로(15)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와 상기 압력전달통로(21)를 따라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이 서로 분리되어질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스로트(21a)위에 설치되는 커버(21b)는 스로트(21a)의 길이보다 커버(21b)의 길이를 짧게 하고 그 폭은 스로트(21a)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도5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1b)가 덮이지 않고 개방된 스로트(21a)의 양쪽 선단이 압력전달통로(21)의 입구(21c)와 출구(21d)를 이루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5)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송출구(7)의 압력이 상기 압력전달통로(13)를 통하여 흡입구(5)로 용이하면서도 고르게 전달되어 유체의 흡입구(5)에서 캐비테이션 즉, 공동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임펠러(1)의 뒷면과 밀착하는 케이싱(3)의 뒷벽(19)에 형성된 압력전달통로(21)를 통하여 송출구(7)의 높은 압력이 임펠러(1)의 뒷벽 내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전달통로(13)에 의하여 균형 잡힌 압력을 유지하는 임펠러(1)의 앞쪽 압력에 비하여 임펠러(1)의 뒤쪽 압력이 낮지 않게 함으로써, 임펠러(1)가 전면 쪽의 높은 압력에 의해 뒷벽 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임펠러가 고장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송출구(7) 쪽의 압력이 흡입구(5) 쪽보다 과도하게 높을 때 유체이송통로(15)를 통하여 흡입된 유체가 역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부(2)를 전면벽(3a)에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역류방지부(2)는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심원 형태로 된 복수의 링형 구조로서, 흡입구(5)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하여 전면벽(3a)에 복수의 링형 역류방지부(2)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역류방지부(2)의 상단부위와 임펠러(1)의 간격은 수 ㎛ ~ 수 mm를 가질 수 있는데, 송출구(7)와 흡입구(5)의 압력차이가 큰 펌프인 경우에는 그 간격을 좁게 하고, 반대로 압력차이가 상대적으로 작다면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송출구(7)와 흡입구(5)의 압력차이가 큰 경우에는 송출구(7)의 높은 압력이 흡입구(5) 쪽으로 쉽게 역류하여 펌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전면벽(3a)에 링 형태로 된 복수의 역류방지부(2)를 형성함으로써 유체이송통로(2)의 간격을 좁혀 역류를 방지하는 차단벽의 역할을 하면서도 흡입된 유체가 송출구(7) 쪽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역류방지부(2)는 송출구(7)와 흡입구(5) 간의 압력차이에 따라 갯수가 결정되는데, 압력이 높은 펌프인 경우에는 많은 갯수의 링형 역류방지부(2)를 형성시키고,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펌프인 경우에는 그 보다 적은 갯수의 역류방지부(2)를 형성시키게 된다.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역류방지부(2)는 압력전달통로(13)의 입구(13c)와 출구(13d)를 막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13b)의 상단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 : 임펠러
2 : 역류방지부
3 : 케이싱
5 : 흡입구
7 : 송출구
9 : 연결축
11 : 모터
13 : 압력전달통로
13a : 스로트
13b : 커버
13c : 입구
13d : 출구

Claims (3)

  1. 유체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임펠러(1)와, 상기 임펠러(1)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싱(3),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된 유체 흡입구(5) 및, 상기 케이싱(3)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임펠러(1)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송출하는 송출구(7)를 갖추어 이루어진 원심형 펌프에 있어서,
    압력전달통로(13)가 상기 임펠러(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싱(3)의 전면벽(3a)에 상기 유체 흡입구(5)와 송출구(7)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흡입구(5)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하여 반경의 바깥쪽을 향하여 뻗어 있으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전달통로(13)는
    케이싱(3)의 전면벽(3a)면에 송출구(7) 쪽으로 위치한 입구(13c)보다 흡입구(5) 쪽으로 위치한 출구(13d)가 넓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스로트(13a)와, 상기 스로트(13a) 위에 설치된 커버(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로트(13a)위에 설치되는 커버(13b)는 스로트(13a)의 길이보다 짧게 하고 그 폭은 스로트(13a)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13b)가 덮이지 않고 개방된 스로트(13a)의 양쪽 선단이 압력전달통로(13)의 입구(13c)와 출구(13d)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의 전면벽(3a)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동심원 형태로 된 복수의 링형 역류방지부(2)가 돌출되어 상기 송출구(7) 쪽에서 입구부(5) 쪽으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역류방지부(2)는 커버(13b)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KR1020190111323A 2019-09-09 2019-09-09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KR10212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23A KR102124840B1 (ko) 2019-09-09 2019-09-09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23A KR102124840B1 (ko) 2019-09-09 2019-09-09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40B1 true KR102124840B1 (ko) 2020-06-19

Family

ID=7113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23A KR102124840B1 (ko) 2019-09-09 2019-09-09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629A (ko) 2020-08-12 2022-02-21 배동균 원심펌프
CN114263616A (zh) * 2021-12-28 2022-04-01 大福泵业有限公司 一种降低气蚀作用的离心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398U (ja) * 1992-02-21 1993-09-21 日機装株式会社 ポンプ用インペラ
KR970001516B1 (en) * 1994-12-31 1997-02-11 Lg Electronics Inc Impeller of centrifugal pump
KR100793974B1 (ko) * 2006-11-22 2008-01-16 김형기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398U (ja) * 1992-02-21 1993-09-21 日機装株式会社 ポンプ用インペラ
KR970001516B1 (en) * 1994-12-31 1997-02-11 Lg Electronics Inc Impeller of centrifugal pump
KR100793974B1 (ko) * 2006-11-22 2008-01-16 김형기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629A (ko) 2020-08-12 2022-02-21 배동균 원심펌프
CN114263616A (zh) * 2021-12-28 2022-04-01 大福泵业有限公司 一种降低气蚀作用的离心泵
CN114263616B (zh) * 2021-12-28 2023-10-27 大福泵业有限公司 一种降低气蚀作用的离心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40B1 (ko)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EP1284368B1 (en) Diverter for reducing wear in a slurry pump
US9239056B2 (en) Pump impeller and submersible pump having such pump impeller
WO2005098239A1 (ja) 加圧遠心ポンプ
JP6229514B2 (ja) 自吸式ポンプ
KR100793974B1 (ko) 원심형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US8469654B2 (en) Fluid machine
US5209635A (en) Slurry pump
KR101607428B1 (ko) 디스크 임펠러를 구비한 펌프
US20040136825A1 (en) Multiple diverter for reducing wear in a slurry pump
JP2008542011A (ja) スクリュ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US7153097B2 (en) Centrifugal impeller and pump apparatus
KR101677072B1 (ko) 웨어링을 갖는 케이싱링 및 이를 포함하는 양흡입 펌프
JP2018003638A (ja) 自吸式ポンプ
US20100040461A1 (en) Volute for centrifugal pump
KR101473691B1 (ko) 원심펌프의 임펠러
KR100813145B1 (ko) 원심압축기
KR20110117034A (ko) 불균질의 고농축 슬러리 전용 원심펌프
JP6711806B2 (ja) 片吸込立軸ポンプ
MX2013015045A (es) Mejoras para bombas y componentes para ello.
JP2005009361A (ja) 遠心流体機械
KR101081707B1 (ko) 불균질의 고농축 슬러리 전용 원심펌프
CN211573795U (zh) 一种离心泵
KR102411653B1 (ko) 유체토출가이드를 구비한 다단원심펌프
NL1024985C2 (nl) Zelfcompenserende spelingsafdichting voor centrifugaal pom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