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070B1 -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070B1
KR102124070B1 KR1020180120506A KR20180120506A KR102124070B1 KR 102124070 B1 KR102124070 B1 KR 102124070B1 KR 1020180120506 A KR1020180120506 A KR 1020180120506A KR 20180120506 A KR20180120506 A KR 20180120506A KR 102124070 B1 KR102124070 B1 KR 10212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hisel
foam core
shaft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509A (ko
Inventor
한재욱
이종섭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8012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0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32Constructional parts;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24Charging rocket engines with solid propellants;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lid propellant 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으로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상기 끌막대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를 포함하여 추진제 그레인 내 폼 코어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어 폼 코어의 제거 작업에 대한 편의성과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며, 추진제 그레인 내 폼 코어 제거 시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을 방지하며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없이 최대한 많은 양의 폼 코어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추진기관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FOAM CORE REMOVAL APPARATUS OF SOLID ROCKET MOTOR AND FOAM CORE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추진제 그레인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폼 코어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폼 코어 제거 중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고체 추진기관은 산화제와 연료의 화학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화학식 추진기관의 일종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신뢰성이 높으면서도 큰 추력을 발생시켜 유도탄 또는 무유도탄 등의 무기체계 및 우주발사체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고체 추진기관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추진제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고압고온의 연소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열에너지의 일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노즐, 노즐 공력형상을 유지하며 열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는 노즐 내열재, 추진제 그레인을 접착 또는 비접착 방식으로 포함하는 연소실, 연소실을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로부터 보호하는 연소관 내열재, 초기 추진제 그레인 표면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그레인 전체 표면에서 연소반응을 발생시키는 점화기 그리고 표면부터 연소되며 고압고온의 연소가스를 설계대로 발생시키는 추진제 그레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추진제 그레인의 제조 시 연소관 내에 폼 코어를 삽입시켜 고정한 후 추진제 충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추진제 그레인의 응력을 완화시키고 있다
폼 재질의 폼 코어는 추진제 그레인의 제조 시 추진제 그레인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초기 연소 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폼 코어는 주로 우레탄 폼 원료를 사용해서 금형으로 제작된 후 추진제 충전 전에 연소관 내에 고정한 후 추진제 충전을 하고, 추진제 그레인의 성형 및 경화 완료 후 추진제 그레인 내에서 일부 제거된다.
이는 폼 코어가 추진제 그레인 제조 시 추진제 그레인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기 위한 크기로 제작되나 원래의 크기를 가진 상태로 추진제 그레인 내에 위치되는 경우 추진기관 연소 중 초기 연소 불안전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폼 코어는 작업자가 조각칼 등의 상용 치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추진제 그레인 내에서 제거되고 있다.
그러나, 폼 코어는 추진제 그레인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거가 쉽지 않고, 제거 작업 중 작업자의 실수로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이 발생되며 폼 코어의 제거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형 추진기관의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제거할 공간이 협소하여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이 더 빈번하게 발생되고, 협소한 공간으로 폼 코어를 거의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887280호 '고체추진기관의 연소관 내 초기압력 저감 및 그레인의 응력완화를 위한 우레탄폼 인서트 및 그를 이용한 추진제 충전 방법'(2018.08.03.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추진제 그레인 내 폼 코어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진제 그레인 내 폼 코어 제거 시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을 방지하며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없이 최대한 많은 양의 폼 코어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및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는 상기 샤프트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샤프트 관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재의 일단부 측에는 샤프트 관통부를 관통하여 너트 체결로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는 장착 볼트부가 위치되며, 상기 장착 볼트부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샤프트부재의 경계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가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의 하부 측에서 상기 샤프트 관통부에 걸려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끌막대부재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가이드부재 및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끌막대부재의 위치를 잠금하고, 잠금 해제하는 막대 위치 잠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막대 위치 잠금부재는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끌막대부재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끌막대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걸리는 막대 스토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끌막대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끌부재가 위치되는 제1끌막대부 및 상기 제1끌막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 측에 상기 막대 스토퍼부가 위치되는 제2끌막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끌막대부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제2끌막대부와 결합하기 위한 막대 결합볼트가 돌출되고, 상기 제2끌막대부의 일단부 측에는 막대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막대 결합 체결홈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끌막대부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막대 스토퍼부와 결합하기 위한 스토퍼 결합볼트가 위치되고, 상기 막대 스토퍼부에는 상기 스토퍼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스토퍼 결합 체결홈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는 상기 샤프트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샤프트 관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 관통부를 관통하는 길이조절 볼트부가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재는 상기 길이조절 볼트부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고정너트, 제2위치 고정너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는 제1샤프트부, 상기 제1샤프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 측에 상기 끌막대부재가 위치되는 제2샤프트부 및 상기 제2샤프트부의 위치를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샤프트 위치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추진제 그레인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으로 연소관의 단부 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링형 레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를 상기 링형 레일부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록 주행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샤프트 승하강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를 상기 샤프트부재의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막대 회전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끌막대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막대 이동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의 일 실시예는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및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를 포함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이고,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를 상기 연소관의 단부 측에서 상기 연소관의 단부 측 보스에 볼트 체결로 설치하여 상기 샤프트부재를 상기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끌부재를 상기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에서 노출된 폼 코어에 대응되게 위치시키는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단계, 상기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설치단계 후 상기 끌부재로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하는 폼 코어 제거단계,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를 연소관의 보스에서 분리하는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단계, 상기 폼 코어 제거단계, 상기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 분리단계를 추진제 그레인의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동시키면서 반복하되 추진제 그레인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까지 반복 진행하여 폼 코어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끌부재를 제거된 폼 코어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끌부재 위치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진제 그레인 내 폼 코어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어 폼 코어의 제거 작업에 대한 편의성과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진제 그레인 내 폼 코어 제거 시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을 방지하며 추진제 그레인의 손상없이 최대한 많은 양의 폼 코어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추진기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가 연소관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에서 샤프트부재의 길이 조절 구조를 예시한 확대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추진제 그레인 내 폼 코어를 제거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가 연소관(1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일 실시예는 추진기관의 연소관(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부재(100)는 연소관(10)의 단부 측 보스(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보스(11)의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체결홈(11a)에 볼트로 체결되어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가이드 블록부재(100)에는 샤프트부재(200)가 장착되고, 샤프트부재(200)는 가이드 블록부재(100)에 일단부 측이 장착되고 추진제 그레인(12)의 중공부 내에서 추진제 그레인(12)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다.
가이드 블록부재(100)는 연소관(10)에 체결되어 장착되는 메인 장착부(110), 메인 장착부(110)에서 추진제 그레인(12)의 중공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샤프트부재(200)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장착부(120)에는 샤프트부재(20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샤프트 관통부(100a)가 위치되고, 샤프트부재(200)의 일단부 측에는 샤프트 관통부(100a)를 관통하여 너트 체결로 가이드 블록부재(100)에 장착되는 장착 볼트부(210)가 위치된다.
장착 볼트부(210)는 샤프트부재(2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샤프트부재(200)의 경계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샤프트부재(200)가 가이드 블록부재(100)의 하부 측에서 샤프트 관통부(100a)에 걸려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장착 볼트부(210)는 샤프트 관통부(100a)를 관통하여 샤프트부재(200)가 샤프트 관통부(100a)에 걸린 상태에서 샤프트 관통부(100a)에 돌출된 부분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샤프트 장착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재(200)는 너트를 풀어 장착 볼트부(210)에서 분리함으로써 샤프트 장착부(120)에서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부재(200)의 단부 측에는 추진제 그레인(12)의 중공부내에서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300)가 위치된다.
끌막대부재(300)는 샤프트부재(200)의 단부 측에서 샤프트부재(200)와 수직으로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을 향해 수직으로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에 노출된 폼 코어(13)를 끌부재(400)로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끌막대부재(300)의 단부에는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400)가 위치된다.
샤프트부재(200)의 단부 측에는 끌막대부재(300)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가이드부재(500)가 위치된다.
막대 가이드부재(500)에는 끌막대부재(300)의 위치를 잠금하고, 잠금 해제하는 막대 위치 잠금부재(510)가 위치된다.
막대 위치 잠금부재(510)는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관통하여 끌막대부재(30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 볼트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끌막대부재(300)는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관통하여 막대 위치 잠금부재(510)로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폼 코어(13)의 제거 작업 시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에 위치된 부분부터 제거하고 점차 깊은 위치로 폼 코어(13)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끌막대부재(300)를 막대 위치 잠금부재(510)를 풀어 끌막대부재(3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 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막대 위치 잠금부재(510)로 위치를 잠금하여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더 깊은 위치로 끌부재(400)를 위치시켜 폼 코어(13)를 제거할 수 있다.
끌막대부재(300)는 일단부 측에 끌부재(400)가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 막대 가이드부재(500)에서 끌막대부재(3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대 가이드부재(500)에 걸리는 막대 스토퍼부(330)가 위치된다.
끌막대부재(300)는 막대 가이드부재(5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추진기관의 크기 즉, 추진제 그레인(12)의 중공부 크기 및 추진제 그레인(12)의 크기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끌막대부재(300)는 일단부 측에 끌부재(400)가 위치되는 제1끌막대부(310), 제1끌막대부(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 측에 막대 스토퍼부(330)가 위치되는 제2끌막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끌막대부(310)의 타단부 측에는 제2끌막대부(320)와 결합하기 위한 막대 결합볼트(311)가 돌출되고, 제2끌막대부(320)의 일단부 측에는 막대 결합볼트(311)가 체결되는 막대 결합 체결홈(321)이 위치될 수 있다.
제1끌막대부(310)와 제2끌막대부(320)는 막대 결합볼트(311)가 막대 결합 체결홈(321)에 체결됨으으로써 서로 결합되고, 막대 결합볼트(311)가 막대 결합 체결홈(321)에서 풀려 분리됨으로써 서로 분리된다.
제1끌막대부(310)와 제2끌막대부(320) 중 어느 한 측을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관통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다른 한 측을 결합시킴으로써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끌막대부(310)와 제2끌막대부(320)를 분리하면 제1끌막대부(310)와 제2끌막대부(320)는 각각 막대 가이드부재(500)에서 분리될 수 있어 다른 길이를 가지는 끌막대부재(300)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제1끌막대부(310)와 제2끌막대부(320) 중 어느 한 측을 다른 길이를 가지는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교체하면 끌막대부재(3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끌막대부(320)의 타단부 측에는 막대 스토퍼부(330)와 결합하기 위한 스토퍼 결합볼트(322)가 위치되고, 막대 스토퍼부(330)에는 스토퍼 결합볼트(322)가 체결되는 스토퍼 결합 체결홈(331)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결합볼트(322)와 스토퍼 결합 체결홈(331)은 막대 결합볼트(311)와 막대 결합 체결홈(321)에 대응되는 것으로 스토퍼 결합볼트(322)는 막대 결합 체결홈(321)에 체결될 수 있고, 막대 결합볼트(311)는 스토퍼 결함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2끌막대부(320)를 분리하고, 막대 스토퍼부(330)를 제1끌막대부(310) 즉, 스토퍼 결합 체결홈(331)을 막대 결합볼트(311)에 체결함으로써 끌막대부재(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잠금 볼트는 나비 볼트로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회전시켜 체결하거나 풀어 끌막대부재(300)의 위치를 잠금하고, 끌막대부재(300)의 위치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막대 가이드부재(500)는 샤프트부재(200)의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끌막대부재(300)를 중공부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끌부재(400)로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막대 가이드부재(500)는 샤프트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세트 스크류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막대 가이드부재(500)는 추진제의 중공부 내에서 끌막대부재(300)가 위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폼 코어(13)의 위치 즉, 추진제의 중공부 내에서 폼 코어(13)가 위치된 높이로 끌막대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에서 샤프트부재(200)의 길이 조절 구조를 예시한 확대 도면이고, 도 3을 참고하면 샤프트부재(200)는 추진제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폼 코어(13)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끌막대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a)는 샤프트부재(200)의 외주면에 샤프트 관통부(100a)를 관통하는 길이조절 볼트부(220)를 위치시키고, 샤프트부재(200)에 체결되어 샤프트 장착부(1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고정너트(221), 제2위치 고정너트(222)를 포함하여 길이조절 볼트부(220)가 가이드 블록부재(100) 상에 돌출되는 길이를 통해 끌막대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1위치 고정너트(221)와 제2위치 고정너트(22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샤프트부재(200)의 위치 즉, 샤프트부재(200) 중 가이드 블록부재(100) 상에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추진제 그레인(12)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200)의 나머지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폼 코어(13)의 위치에 대응되게 끌막대부재(300) 즉, 끌부재(4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의 (b)는 샤프트부재(200)가 가이드 블록부재(100)에 장착되는 제1샤프트부(201), 제1샤프트부(2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 측에 끌막대부재(300)가 위치되는 제2샤프트부(202), 제2샤프트부(202)의 위치를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샤프트 위치 잠금부(203)를 포함하여 제2샤프트부(202)를 제1샤프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샤프트부재(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샤프트부(202)는 제1샤프트부(201) 내에 삽입되어 제1샤프트부(20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샤프트 위치 잠금부(203)는 제1샤프트부(201)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제2샤프트부(202)를 가압하는 세트 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샤프트부재(200)는 폼 코어(13)의 위치에 따라 제2샤프트부(202)를 제1샤프트부(201) 내에 삽입시키거나 제1샤프트부(201) 내에서 인출시킴으로써 전체 길이가 조절되어 끌막대부재(300)의 높이를 제거 대상인 폼 코어(13)와 대응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추진제 그레인(12) 내 폼 코어(13)를 제거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는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연소관(10)의 단부 측에서 연소관(10)의 단부 측 보스(11)에 볼트 체결로 장착하여 끌부재(4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에서 노출된 폼 코어(13)에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회전시키면서 폼 코어(13)의 외측면을 긁어 제거한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연소관(10)의 단부 측 보스(11)에서 분리한 후 원주방향으로 기설정 각도로 이동시킨 후 다시 보스(11)에 볼트 체결로 장착하고 끌부재(4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에서 노출된 폼 코어(13)에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회전시키면서 폼 코어(13)의 외측면을 긁어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을 추진제 그레인(12)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까지 반복 진행하여 폼 코어(13)를 제거한다.
그리고, 끌막대부재(300)를 막대 가이드부재(500)에서 이동시키거나 안쪽으로 더 깊게 돌출시킨 후 다시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연소관(10)의 단부 측에서 연소관(10)의 단부 측 보스(11)에 볼트 체결로 장착하여 끌부재(4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에서 노출된 폼 코어(13)에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회전시키면서 폼 코어(13)의 외측면을 긁어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이러한 과정을 추진제 그레인(12)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까지 반복 진행하여 폼 코어(13)를 제거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은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연소관(10)의 단부 측에서 연소관(10)의 단부 측 보스(11)에 볼트 체결로 설치하여 샤프트부재(2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중공부 내에 삽입하고 끌부재(4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내주면에서 노출된 폼 코어(13)에 대응되게 위치시키는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단계(S100),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설치단계 후 끌부재(400)로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하는 폼 코어 제거단계(S100), 폼 코어 제거 장치를 연소관(10)의 보스(11)에서 분리하는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 분리단계(S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단계(S100), 폼 코어 제거단계(S100),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 분리단계(S3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동시키면서 반복하되 추진제 그레인(12)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까지 반복 진행하여 폼 코어(13)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은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단계(S100), 폼 코어 제거단계(S100),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 분리단계(S3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까지 반복 진행한 후 끌부재(400)를 제거된 폼 코어(13)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끌부재 위치조정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단계(S100), 폼 코어 제거단계(S100), 폼 코어 제거용 장치 장착 분리단계(S3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까지 반복 진행한 후 끌부재(400)를 제거된 폼 코어(13)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끌부재 위치조정단계(S400)를 진행하는 것을 폼 코어가 기설정된 깊이까지 제거될 때 까지 반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를 이용하여 추진제 그레인(12) 제조 시 추진제 그레인(12) 내 삽입된 폼 코어(13)를 대부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이다.
더 상세하게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샤프트 승하강 기기의 일 예를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는 추진제 그레인(12)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으로 연소관(10)의 단부 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 블록부재(100)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링형 레일부재(600),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링형 레일부재(600)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록 주행기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부재(100)에는 링형 레일부재(600)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링형 레일부재(600)가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레일홈부가 위치되어 링형 레일부재(6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레일홈부의 내측면은 링형 레일부재(60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링형 레일부재(60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레일홈부의 외측면은 링형 레일부재(60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링형 레일부재(60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링형 레일부재(60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바퀴이동 레일홈부가 각각 위치되고, 블록 주행기기(700)는 레일홈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바퀴이동 레일홈부에 삽입되고, 주행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주행바퀴(710)와 제2주행바퀴(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주행바퀴(710)와 제2주행바퀴(720)는 바퀴이동 레일홈부 내에서 회전되면서 가이드 블록부재(100)가 링형 레일부재(6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는 가이드 블록부재(100)에 위치되어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샤프트부재(2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샤프트 승하강기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승하강기기(800)는 샤프트 승하강용 회전모터(810), 샤프트부재(200)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샤프트 승하강용 렉기어부(820), 승하강용 회전모터의 회전으로 회전되고 샤프트 승하강용 렉기어부(820)에 맞물리는 샤프트 승하강용 피니언기어부(83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샤프트 승하강기기(800)는 샤프트 승하강용 회전모터(810)의 회전력을 샤프트 승하강용 피니언기어부(830)를 통해 샤프트 승하강용 렉기어부(820)로 전달하여 승하강용 렉기어부가 상, 하 이동되도록 하여 샤프트부재(200)가 함께 상, 하 이동되도록 한다.
샤프트 승하강기기(800)는 샤프트부재(200)를 상, 하 이동시켜 추진제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200)의 길이가 조절되어 추진제 그레인(12)의 중공부 내에서 폼 코어(13)의 높이에 대응되게 끌막대부재(300)의 높이를 일치시켜 끌부재(400)가 폼 코어(13)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샤프트부재(200)의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막대 회전기기(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막대 회전기기(9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막대 가이드부재(50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막대 가이드부재(500)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막대 가이드부재(500)는 끌막대부재(300)를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샤프트부재(200)의 축방향으로 회전시켜 끌부재(400)가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막대 가이드부재(500)에 위치되어 끌막대부재(300)를 전, 후 이동시키는 막대 이동기기(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막대 이동기기(1000)는 끌부재(400)가 위치되는 깊이 즉, 끌부재(400)를 폼 코어(13)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끌부재(400)를 위치시킨다.
막대 이동기기(1000)는 끌막대부재(300)에 위치되는 막대 이동용 렉기어부, 막대 이동용 렉기어부에 맞물리는 막대 이동용 피니언 기어부(미도시), 막대 이동용 피니언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막대 이동용 회전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렉기어와 피니언 기어 구조로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끌막대부재(300)를 이동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막대 이동기기(1000)는 이외에도 공지된 다른 리니어 액추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샤프트 승하강기기(800), 블록 주행기기(700), 막대 회전기기(900), 막대 이동기기(1000)는 제어부(11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샤프트 승하강기기(800)와 막대 이동기기(1000)로 끌부재(400)를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막대 회전기기(900)의 작동에 의해 끌부재(400)로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하며, 어느 한 위치에서 끌부재(400)로 폼 코어(13)의 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블록 주행기기(700)로 가이드 블록부재(100)를 추진제 그레인(12)의 원주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동시킨 후 다시 막대 회전기기(900)의 작동에 의해 끌부재(400)로 폼 코어(13)를 긁어 제거하는 것을 반복하여 추진제 그레인(12) 내에 삽입되어 위치된 폼 코어(13)를 제거한다.
작업자는 제어부(1100)를 통해 샤프트 승하강기기(800), 블록 주행기기(700), 막대 회전기기(900), 막대 이동기기(10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추진제 그레인(12) 제조 시 추진제 그레인(12) 내 삽입된 대부분의 폼 코어(13)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추진제 그레인(12) 내 폼 코어(13)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어 폼 코어(13)의 제거 작업에 대한 편의성과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추진제 그레인(12) 내 폼 코어(13) 제거 시 추진제 그레인(12)의 손상을 방지하며 추진제 그레인(12)의 손상없이 최대한 많은 양의 폼 코어(13)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추진기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연소관 11 : 보스
11a : 체결홈 12 : 추진제 그레인
13 : 폼 코어 100 : 가이드 블록부재
100a : 샤프트 관통부 110 : 메인 장착부
120 : 샤프트 장착부 200 : 샤프트부재
201 : 제1샤프트부 202 : 제2샤프트부
203 : 샤프트 위치 잠금부 210 : 장착 볼트부
220 : 길이조절 볼트부 221 : 제1위치 고정너트
222 : 제2위치 고정너트 300 : 끌막대부재
310 : 제1끌막대부 311 : 막대 결합볼트
320 : 제2끌막대부 321 : 막대 결합 체결홈
322 : 스토퍼 결합볼트 330 : 막대 스토퍼부
331 : 스토퍼 결합 체결홈 400 : 끌부재
500 : 막대 가이드부재 510 : 막대 위치 잠금부재
600 : 링형 레일부재 700 : 블록 주행기기
710 : 제1주행바퀴 720 : 제2주행바퀴
800 : 샤프트 승하강기기 810 : 샤프트 승하강용 회전모터
820 : 샤프트 승하강용 렉기어부 830 : 샤프트 승하강용 피니언기어부
900 : 막대 회전기기 1000 : 막대 이동기기
1100 : 제어부

Claims (20)

  1.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및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는 상기 샤프트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샤프트 관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재의 일단부 측에는 샤프트 관통부를 관통하여 너트 체결로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는 장착 볼트부가 위치되며,
    상기 장착 볼트부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의 경계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가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의 하부 측에서 상기 샤프트 관통부에 걸려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끌막대부재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가이드부재; 및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끌막대부재의 위치를 잠금하고, 잠금 해제하는 막대 위치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막대 위치 잠금부재는,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를 관통하여 끌막대부재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5.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끌막대부재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가이드부재; 및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끌막대부재의 위치를 잠금하고, 잠금 해제하는 막대 위치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끌막대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걸리는 막대 스토퍼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끌막대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끌부재가 위치되는 제1끌막대부; 및
    상기 제1끌막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 측에 상기 막대 스토퍼부가 위치되는 제2끌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끌막대부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제2끌막대부와 결합하기 위한 막대 결합볼트가 돌출되고, 상기 제2끌막대부의 일단부 측에는 막대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막대 결합 체결홈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끌막대부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막대 스토퍼부와 결합하기 위한 스토퍼 결합볼트가 위치되고, 상기 막대 스토퍼부에는 상기 스토퍼 결합볼트가 체결되는 스토퍼 결합 체결홈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9.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끌막대부재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가이드부재; 및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끌막대부재의 위치를 잠금하고, 잠금 해제하는 막대 위치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0.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1.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및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는 상기 샤프트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샤프트 관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샤프트 관통부를 관통하는 길이조절 볼트부가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재는 상기 길이조절 볼트부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되는 제1위치 고정너트, 제2위치 고정너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2.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및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는 제1샤프트부;
    상기 제1샤프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 측에 상기 끌막대부재가 위치되는 제2샤프트부; 및
    상기 제2샤프트부의 위치를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샤프트 위치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3. 추진기관의 연소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부재;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관 내 추진제 그레인의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는 끌막대부재;
    상기 끌막대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추진제 그레인의 내주면 안쪽에 위치되는 폼 코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는 끌부재;
    상기 샤프트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끌막대부재가 관통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가이드부재;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끌막대부재의 위치를 잠금하고, 잠금 해제하는 막대 위치 잠금부재; 및
    추진제 그레인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으로 연소관의 단부 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링형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를 상기 링형 레일부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록 주행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부재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샤프트 승하강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를 상기 샤프트부재의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막대 회전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막대 가이드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끌막대부재를 전, 후 이동시키는 막대 이동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20506A 2018-10-10 2018-10-10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 KR10212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06A KR102124070B1 (ko) 2018-10-10 2018-10-10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06A KR102124070B1 (ko) 2018-10-10 2018-10-10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09A KR20200040509A (ko) 2020-04-20
KR102124070B1 true KR102124070B1 (ko) 2020-06-17

Family

ID=7046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506A KR102124070B1 (ko) 2018-10-10 2018-10-10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5712B (zh) * 2022-11-17 2023-12-29 深圳市金奥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硝化类模具用药芯分离结构以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0096A (en) * 1962-07-16 1969-04-22 Byron Jackson Inc Method of removing solid propellant
FR2737538B1 (fr) * 1995-08-04 1997-08-29 Poudres & Explosifs Ste Nale Noyau mecanique demontable et procedes de mise en oeuvre
KR101887280B1 (ko) 2016-11-29 2018-08-09 주식회사 한화 고체추진기관의 연소관 내 초기압력 저감 및 그레인의 응력완화를 위한 우레탄폼 인서트 및 그를 이용한 추진제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09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3230B2 (ja) マンドレル組立体、及びこのマンドレル組立体を用いて固体ロケットの推進薬グレインを製造する方法
EP2500653B1 (en) Tool for changing a combustor liner and a flow sleeve
US8978222B2 (en) Tool for removing annular elements tightly mounted in holes, in particular blind holes, of parts
CN106536350B (zh) 用于辅助单引擎直升机的推进系统的辅助装置
KR102124070B1 (ko) 추진기관용 폼 코어 제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내 폼 코어 제거 방법
US20130087955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 casing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uch a device
EP2805789B1 (en) Machine and method for cracking a connecting rod
EP2985472B1 (en) Stow lock pawl for a rat actuator
US10968779B2 (en) Tool and method for frontal unscrewing of a link nut in a twin-spool turbine
US47938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 propellant from rocket motor cases
IL12744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olid propellant rocket motor
US4505295A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shut-off device laterally into a pipe
BR112017026884B1 (pt) dispositivo de revestimento de um cárter anular de turbomáquina
CN109822508A (zh) 一种深孔内零件取出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246144B (zh) 用于拆卸涡轮风扇引擎的方法和加热装置
CN103121156A (zh) 用于将套筒从孔移除的方法和装置
US8253085B1 (en) Fin deployment apparatus for projectile
CA2869929C (fr) Outillage de devissage d'un ecrou de liaison d'un rotor de module de moteur a turbine a gaz
US4577542A (en) Dome restraint assembly for rocket motors
JP2012046132A (ja) 飛翔体の切り離し構造及び切り離し方法
US3348310A (en) Cutting tool for repairing articles
KR102124071B1 (ko) 고체추진기관의 벤트판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추진기관의 벤트판 조립 방법
US4631154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dome restraint assembly for rocket motors
CN218658788U (zh) 一种电子枪枪盖拆卸装置
FR2994874A1 (fr) Outillage pour devissage d'un chapeau de palier comprenant un moyen de mainti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