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747B1 -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747B1
KR102123747B1 KR1020180164022A KR20180164022A KR102123747B1 KR 102123747 B1 KR102123747 B1 KR 102123747B1 KR 1020180164022 A KR1020180164022 A KR 1020180164022A KR 20180164022 A KR20180164022 A KR 20180164022A KR 102123747 B1 KR102123747 B1 KR 10212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hydraulic jack
jack module
steel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옥
Original Assignee
남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옥 filed Critical 남윤옥
Priority to KR102018016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닥슬래브(100)를 컷팅하고, 터파기를 한 후, 바닥슬래브(100) 하부에 강관(20)을 설치하되, 상기 강관(20) 위에 보조강판(21)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강판(21) 위에 보조강관(22)을 연결설치하며,상기 보조강관(22) 위에 유압잭모듈(50)을 설치하는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이 포함되는 유압잭모듈로서, 상기 유압잭모듈은 상부판(53)과, 상기 상부판(53) 하부에 좌우에 설치되며, 철골부재(10)의 하부 앵커볼트(12)에 턴버클(13)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지지봉(51, 52)과, 상기 상부판(53) 하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잭(5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의한 시공이 간단하며 안전하고 경비가 적게 들며 하자발생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Hydraulic jack module system used in floor reinforcement method}
본발명은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의한 시공이 간단하며 안전하고 경비가 적게 들며 하자발생이 적은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바닥이나 기초판 등 건축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기존구조물 을 일부절개하는 등 기존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저경비로 슬리브 하부에 강관이나 파일을 장착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33507호에는
(a) 슬래브(200)에 작업홀(210)을 형성시키고, 슬래브(200) 하부 지반(G)을 일부 굴착시켜 굴착공간(S)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지지프레임(110)을 상기 굴착공간(S) 내측에 세팅시켜 놓고,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하부 지반(G)에 하단이 박혀지도록 지반고정앵커(12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지반고정앵커(120)가 매립되도록 굴착공간(S)에 충진재(400)를 충진 및 경화시켜 전단보강프레임(100)을 하부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작업홀(210)에 노출된 지반고정앵커(120)에 앵커봉(510)을 포함한 압입반력체(500)를 설치하고, 상기 압입반력체(500)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10)을 경유하여 파일(300)을 하부 지반(G)에 압입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파일(300) 압입 시 반력이 하부 지반(G)에 지반고정앵커(120)에 의하여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100)에 전달되어 최종 하부 지반에 의한 반력 지지가 가능하여 슬래브(200)가 반력 지지를 위한 국부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전단 파괴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b)단계의 전단보강프레임(100)은 지지프레임(110)과 지반고정앵커(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격자 형태로 상, 하로 겹쳐지도록 직교하게 배치된 각관(111)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서로 직교하는 각관(111) 교차부위를 지반고정앵커(120)가 관통하도록 하여 하부 지반(G)에 지반고정앵커(120)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지반에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06110호에는 외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성변형 극대화 및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내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몸체로부터 절곡형성된 제2몸체를 구비하는 강재 연결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부마다 배치하는 강재 연결부 배치단계 ; 상기 복수개의 강재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강재 연결부에 구비된 제1몸체의 강재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강재의 걸림부를 상기 제1몸체와 걸림연결하고, 인접하는 다른 강재 연결부에 구비된 제2몸체의 강재결합공에 강재의 타단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나사결합하여 서로 인접하는 강재연결부사이에 강재를 연결하는 강재 연결단계 및 상기 강재의 수나사부와 상기 제2몸체의 강재결합공과의 나사체결력에 의해서 상기 강재에 예비인장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단계 ; 를 포함하여 상기 강재에 인가되는 예비 인장력을 통하여 상기 구조물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가하여 보강하고, 상기 강재 연결단계는 상기 강재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강재삽입공에 형성되는 배치공에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걸림배치되고, 상기 외력인가단계 이후에,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접하여 밀착되는 너트부재에 의해서 상기 강재결합공에 나사결합된 수나사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나사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대응하는 외측에 상기 강재연결부와 강재를 덮도록 상기 강재 연결부에 내측면이 고정되는 외장판넬을 시공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추가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의해 시공될 경우 시공이 복잡하거나 안전하지 못하며 경비가 많이 들며 하자발생 우려가 있어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은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의한 시공이 간단하며 안전하고 경비가 적게 들며 하자발생이 적은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닥슬래브(100)를 컷팅하고, 터파기를 한 후, 바닥슬래브(100) 하부에 강관(20)을 설치하되, 상기 강관(20) 위에 보조강판(21)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강판(21) 위에 보조강관(22)을 연결설치하며,상기 보조강관(22) 위에 유압잭모듈(50)을 설치하는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이 포함되는 유압잭모듈로서, 상기 유압잭모듈은 상부판(53)과, 상기 상부판(53) 하부에 좌우에 설치되며, 철골부재(10)의 하부 앵커볼트(12)에 턴버클(13)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지지봉(51, 52)과, 상기 상부판(53) 하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잭(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의한 시공이 간단하며 안전하고 경비가 적게 들며 하자발생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유압잭모듈에 의한 시공도
도 2는 본발명의 강관파일 두부마감 및 2차 그라우팅 단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철골부재 배치도
본발명은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닥슬래브(100)를 컷팅하고, 터파기를 한 후, 바닥슬래브(100) 하부에 강관(20)을 설치하되, 상기 강관(20) 위에 보조강판(21)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강판(21) 위에 보조강관(22)을 연결설치하며,상기 보조강관(22) 위에 유압잭모듈(50)을 설치하는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이 포함되는 유압잭모듈로서, 상기 유압잭모듈은 상부판(53)과, 상기 상부판(53) 하부에 좌우에 설치되며, 철골부재(10)의 하부 앵커볼트(12)에 턴버클(13)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지지봉(51, 52)과, 상기 상부판(53) 하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잭(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잭모듈(50)에 유압펌프(60)를 호스로 연결하고, 유압잭(54)으로 강관을 유압에 의해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잭모듈(50)의 좌우지지봉에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측정지점에서 일정거리 하부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유압펌프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유압잭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강관의 하강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유압잭모듈에 의한 시공도, 본발명의 강관파일 두부마감 및 2차 그라우팅 단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철골부재 배치도이다.
본발명은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슬래브(100)를 컷팅하는 단계;
터파기 단계;
바닥슬래브(100) 하부에 앵커체 역할의 철골부재(10)와 피복재(23)를 감은 강관(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골부재(10) 상부에 정착 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단계;
피복재를 감은 강관(20) 외측 및 철골부재(10)에 1차 무수축몰탈(40)을 타설 후 양생하는 단계;
상기 강관(20) 위에 보조강판(21)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강판(21) 위에 보조강관(22)을 연결설치하는 보조강관 및 보조강판 설치단계;
상기 보조강관(22) 위에 유압잭모듈(50)을 설치하는 유압잭모듈설치단계;
상기 유압잭모듈(50)에 유압펌프(60)를 호스로 연결하고, 유압잭(54)으로 설계하중까지 강관을 유압에 의해 압입하는 강관압입단계;
강관을 용접 이음후 압입을 반복하는 강관압입반복단계;
압입작업을 마친 후 유압잭(54)을 인상하는 인상단계;
하부 앵커볼트(12)와 정착플레이트(30)를 Lock플레이트(70)로 용접이음하는 단계;
유압잭모듈(50)을 해체하는 유압잭모듈 해체단계;
강관(20)과 하부앵커볼트를 일정길이로 각각 절단하는 절단단계;
절단된 강관 내부 속채움 그라우팅 및 강관 두부 주위를 2차 무수축몰탈마감하는 마감 단계;를 포함된다.
또한, 상기 유압잭모듈설치단계는 상기 보조강관(22) 위에 유압잭모듈(50)의 좌우지지봉(51, 52)을 설치하되, 상기 유압잭모듈(50)은 상부판(53)과, 상기 상부판(53) 하부에 좌우에 설치되며, 철골부재(10)의 하부 앵커볼트(12)에 턴버클(13)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지지봉(51, 52)과, 상기 좌우지지봉에 설치되는 거리센서와, 상기 상부판(53) 하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잭(54)으로 구성된다.
철골부재(10)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각파이프(11)와, 상기 각파이프(11)를 결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앵커볼트(20)이다.
상기 바닥슬래브를 컷팅하는 단계는 파일 위치 중심으로 1m X 1m로 컷팅하여 제거한다.
터파기단계는 약 0.5m정도의 깊이로 인력 및 장비로 굴착한다.
상기 유압잭은 100ton 유압잭을 사용한다.
강관은 이암층 하부 1m지점까지 장착한다. 지반은 상부에서 하부로 매립층, 퇴적층, 풍화층, 이암층, 경화암층으로 이루어진다. 강관이 이암층에 닿으면 저항력이 증가하며 이는 상기 유압잭 내지 유압펌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에 전달된다. 곧 설정압력 이상이 계측되면 강관이 이암층에 도달한 것이 된다. 이때부터 1m지점까지 강관을 느린속도로 장착한다. 한편, 목측으로 강관이 이암층에서 1m 더 내려가는 것을 측정할 수 있으나, 초음파센서, 광센서, 접촉센서등의 거리감지센서를 유압잭모듈(50)의 좌우지지봉에 설치하여, 정밀제어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측정지점에서 이암층 하부 1m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유압펌프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유압잭을 멈추게 하여 강관삽입을 멈춘다.
한편, 본발명의 락플레이트의 볼트구멍은 장공 형상이며,
Lock플레이트의 두께는 12mm 정도이며, 세로로 세워서 하부 앵커볼트(12) 외주면에 용접한다.
강관(20)과 하부앵커볼트를 일정길이로 각각 절단하는 절단단계에서 강관길이는 처음 설치길이보다 짧게 하며 하부앵커볼트 길이와 서로 같게 절단한다.
상기 마감단계에서의 강관 두부 주위를 2차 무수축몰탈마감은
기존 바닥높이로 마감처리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시공중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이므로 시공이 간단하며 안전하고 경비가 적게 들며 하자발생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철골부재(각파이프 +하부 앵커볼트)
11 : 각파이프 12 : 하부 앵커볼트 13 : 턴버클
20 : 강관 21 : 보조강판
22 : 보조강관 23 : 피복재
30 : 정착플레이트 40 : 1차 무수축몰탈 50 : 유압잭모듈
51, 52 : 좌우지지봉 53 : 상부판
54 : 유압잭 60 : 유압펌프
70 : 락(Lock)플레이트 100 : 바닥슬래브

Claims (3)

  1. 바닥슬래브(100)를 컷팅하고, 터파기를 한 후, 바닥슬래브(100) 하부에 강관(20)을 설치하되, 상기 강관(20) 위에 보조강판(21)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강판(21) 위에 보조강관(22)을 연결설치하며,상기 보조강관(22) 위에 유압잭모듈(50)을 설치하는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이 포함되는 유압잭모듈로서, 상기 유압잭모듈은 상부판(53)과, 상기 상부판(53) 하부에 좌우에 설치되며, 철골부재(10)의 하부 앵커볼트(12)에 연결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지지봉(51, 52)과, 상기 상부판(53) 하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유압잭(54)으로 구성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슬래브(100)를 컷팅하고, 터파기를 한 후, 바닥슬래브(100) 하부에 앵커체 역할의 철골부재(10)와 피복재(23)를 감은 강관(20)을 설치하고,
    상기 철골부재(10) 상부에 정착 플레이트(30)를 설치하며,
    피복재를 감은 강관(20) 외측 및 철골부재(10)에 1차 무수축몰탈(40)을 타설 후 양생한 후, 상기 강관(20) 위에 보조강판(21)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강판(21) 위에 보조강관(22)을 연결설치하며,
    상기 보조강관(22) 위에 유압잭모듈(50)을 설치하게 되며, 상기 유압잭모듈(50)에 유압펌프(60)를 호스로 연결하고, 유압잭(54)으로 설계하중까지 강관을 유압에 의해 압입하고, 상기 강관을 용접 이음후 압입을 반복하며,
    압입작업을 마친 후 유압잭(54)을 인상하는 인상한 후, 하부 앵커볼트(12)와 정착플레이트(30)를 락(Lock)플레이트(70)로 용접이음하며,유압잭모듈(50)을 해체하고,
    강관(20)과 하부앵커볼트를 일정길이로 각각 절단하며, 절단된 강관 내부 속채움 그라우팅 및 강관 두부 주위를 2차 무수축몰탈마감하는 것으로,
    상기 유압잭모듈(50)에 유압펌프(60)를 호스로 연결하고, 유압잭(54)으로 강관을 유압에 의해 압입하는 것이며,
    상기 유압잭모듈(50)의 좌우지지봉에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측정지점에서 일정거리 하부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유압펌프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유압잭(54)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강관(20)의 하강을 멈추게 하는 것이며,
    상기 강관(20)은 이암층 하부 일정지점까지 장착하고, 지반은 상부에서 하부로 매립층, 퇴적층, 풍화층, 이암층, 경화암층으로 이루어지며, 강관(20)이 이암층에 닿으면 저항력이 증가하여, 상기 유압잭(54) 내지 유압펌프(60)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에 전달되고, 설정압력 이상이 계측되면 강관(20)이 이암층에 도달한 것이 되는 것이며, 강관(20)이 이암층에 도달한 것으로 되는 때부터 일정지점까지 강관을 느린속도로 장착하는 것이며, 거리감지센서를 유압잭모듈(50)의 좌우지지봉에 설치하여, 정밀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측정지점에서 이암층 하부 일정지점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유압펌프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유압잭을 멈추게 하여 강관삽입을 멈추는 것이며,
    철골부재(10)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각파이프(11)와, 상기 각파이프(11)를 결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앵커볼트(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슬래브를 컷팅하는 것은 파일 위치 중심으로 1m X 1m로 컷팅하여 제거하는 것이며,
    강관은 이암층 하부 1m지점까지 장착하며, 락(Lock)플레이트(70)의 볼트구멍은 장공 형상이며, 상기 락(Lock)플레이트(70)는 세로로 세워서 하부 앵커볼트(12) 외주면에 용접하는 것이며,
    상기 강관(20)과 하부 앵커볼트(12)를 일정길이로 각각 절단시, 강관길이는 처음 설치길이보다 짧게 하며 하부앵커볼트 길이와 서로 같게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164022A 2018-12-18 2018-12-18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KR10212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22A KR102123747B1 (ko) 2018-12-18 2018-12-18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22A KR102123747B1 (ko) 2018-12-18 2018-12-18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747B1 true KR102123747B1 (ko) 2020-06-16

Family

ID=7114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22A KR102123747B1 (ko) 2018-12-18 2018-12-18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929B1 (ko) * 2021-03-02 2021-11-23 김진기 완전무수축 그라우팅 강관압입 파일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140U (ko) * 1984-10-11 1986-05-10
JP2004270212A (ja) * 2003-03-06 2004-09-30 Porta- Seizo Kk 杭打ち工法の施工管理装置
KR100767093B1 (ko) * 2007-02-07 2007-10-18 정언섭 깊이 조절이 가능한 압입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733507B1 (ko) * 2016-07-12 2017-05-11 원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지반에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140U (ko) * 1984-10-11 1986-05-10
JP2004270212A (ja) * 2003-03-06 2004-09-30 Porta- Seizo Kk 杭打ち工法の施工管理装置
KR100767093B1 (ko) * 2007-02-07 2007-10-18 정언섭 깊이 조절이 가능한 압입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733507B1 (ko) * 2016-07-12 2017-05-11 원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지반에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929B1 (ko) * 2021-03-02 2021-11-23 김진기 완전무수축 그라우팅 강관압입 파일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4893A (en) Contact foundation method
US20010046415A1 (en) Concrete foundation pierhead and method of lifting a foundation using a jack assembly
KR102071225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도심지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2240257B1 (ko) 타설압 저항성이 강화된 프리캐스트 벽체
CN108842798B (zh) 一种预制后浇筑式沉井的静压下沉施工方法
WO2010097642A1 (en) Hydraulic tie rod for construction projects
CN103397658A (zh) 一种背靠砖混挡土墙的单侧支模体系及施工方法
KR101809111B1 (ko) 수직시공이 보강된 파일 압입 시설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KR102123747B1 (ko) 바닥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유압잭모듈 시스템
KR20190022132A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CN108118689B (zh) 一种可部分循环使用预制地下连续墙、吊具以及施工方法
CN114561881A (zh) 一种适用于软土地基桥梁的纵向纠偏复位方法
KR100313721B1 (ko) 가설흙막이구조물을이용한합성지하옹벽설계방법및건축물지하옹벽공사방법
KR102014036B1 (ko)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
CN108221955B (zh) 一种可整体循环使用预制地下连续墙、吊具以及施工方法
KR20170035575A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614942B1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2170886B1 (ko) 신속하고 스마트한 구조물 인상 공법
KR20210077212A (ko) 유압잭모듈을 설치하여 그라우팅관과 강관을 장착하는 바닥 보강공법
CN108375504B (zh) 一种适用于地下空间结构的锚碇式反力架试验装置
KR101013659B1 (ko) 기초구조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시험방법
US20080008538A1 (en) Foundation system
CN219568938U (zh) 一种坑中坑变截面筏板斜面钢筋定位结构
Zargar et al. Top-Down Construction Method: A Case Study of Commercial Building in Tehran
KR102216972B1 (ko) 공사 중 인근 지반의 굴착으로 파일의 노출이 예상되는 구역의 기초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