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15B1 - 충격흡수재용 원단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재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15B1
KR102123315B1 KR1020180146261A KR20180146261A KR102123315B1 KR 102123315 B1 KR102123315 B1 KR 102123315B1 KR 1020180146261 A KR1020180146261 A KR 1020180146261A KR 20180146261 A KR20180146261 A KR 20180146261A KR 102123315 B1 KR102123315 B1 KR 102123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ight
hollow
terephthalate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985A (ko
Inventor
강지만
김북성
이준희
황재홍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8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forming hollow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7/00Sport; Mili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원단은 (ⅰ) 고유점도가 0.6 이상인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9~95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6중량% 및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의 상품명 코펠(KOPEL) 탄성고분자 1~5중량%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며, (ⅱ) 단면 상에 1~4개의 중공부(Hollow part)가 형성되어 있고, (ⅲ) 직경이 15~18㎛인 중공 모노필라멘트들이 서로 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성회복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충격흡수재용 원단이 압력을 받아 형태가 변형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준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소재나 스포츠용 보호대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충격흡수재용 원단{Fabric for impact absorbes}
본 발명은 충격흡수재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회복율이 우수하면서도 형태 변형시 소음 발생이 없는 충격흡수재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충격흡수재용 원단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 주는 원단으로서 자동차 시트용 소재나 스포츠용 보호대 소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충격흡수재용 원단으로는 폴리아미드계 모노필라멘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모노필라멘트들이 서로 엮여진 편물 또는 직물이 사용되어 왔으나, 충격흡수용 스폰지(폼)과 비교할 때 탄성회복력이 떨어지고 충격흡수재용 원단이 압력을 받아 형태가 변형될 때 작은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사용자가 감성적으로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 등이 있었다.
또 다른 충격흡수재로는 스폰지(폼)가 사용되어 왔으나, 충격흡수재용 원단에 비해서 내구성이 약해 수 년 동안 사용 시 시트가 영구적으로 압착되어 시트 꺼짐 현상이 발생하며, 세척이 어려워 위생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통풍시트에 스폰지(폼)를 사용했을 때 본 발명의 소재에 비해 통기성이 낮아 통풍시트가 시원해지는 냉각 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탄성회복력 및 촉감이 우수하면서도 외부 압력에 의해 형태 변형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가 감성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갖도록 해주는 충격흡수재용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ⅰ) 고유점도가 0.6 이상인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9~95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6중량% 및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의 상품명 코펠(KOPEL) 탄성고분자 1~5중량%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며, (ⅱ) 단면 상에 1~4개의 중공부(Hollow part)가 형성되어 있고, (ⅲ) 직경이 15~18㎛인 중공 모노필라멘트들을 직물, 경편 또는 위편 형태로, 바람직하기로는 경편 형태로 서로 엮어서 충격흡수재용 원단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탄성회복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충격흡수재용 원단이 압력을 받아 형태가 변형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준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소재나 스포츠용 보호대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공 모노필라멘트의 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재용 원단은 (ⅰ) 고유점도가 0.6 이상인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9~95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6중량% 및 탄성고분자 1~5중량%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며, (ⅱ) 단면 상에 1~4개의 중공부(Hollow part)가 형성되어 있고, (ⅲ) 직경이 15~18㎛인 중공 모노필라멘트들이 서로 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고분자의 일례로는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의 상품명 코펠(KOPEL) 등이다.
상기 충격흡수재용 원단은 직물, 위편물 또는 경편물이나 바람직하기로는 경편물인 것이 탄력회복성 개선 및 형태 변형시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데 좋다.
상기 중공 모노필라멘트는 KS K 0352 : 2015 방법으로 측정한 신장회복율이 84%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84~98% 이다.
상기 중공 모노필라멘트를 구성하는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함량이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회복율이 저하되고, 89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함량이 6중량%를 초과하거나 상기 코펠(KOPEL) 탄성 고분자의 함량이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함량이 4중량% 미만이거나 상기 코펠(KOPEL) 탄성 고분자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탄성회복력이 크게 저하된다.
상기 중공 모노필라멘트의 단면 상에 있는 중공부(Hollow part) 중공 모노필라멘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부의 개수가 4개를 초과하면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중공부가 형성안된 경우에는 탄력 회복성이 저하된다.
상기 중공 모노필라멘트의 직경이 15㎛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1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 및 탄력회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탄성회복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충격흡수재용 원단이 압력을 받아 형태가 변형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준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소재나 스포츠용 보호대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고유점도가 0.6인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3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중량% 및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의 상품명 코펠(KOPEL) 탄성고분자 2중량%가 혼합된 혼합 수지를 중공사 제조용 방사구금을 통하여 용융방사하여 직경이 16㎛이고 중공부 개수가 4개인 중공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중공 모노필라멘트를 제편용 원사로 사용하여 경편지를 제편하여 충격흡수재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충격흡수재용 원단은 비교실시예 1로 제조한 충격흡수재용 원단보다 상대적으로 탄성회복율이 우수하고 형태 변형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았다.
실시예 2
고유점도가 0.6인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91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중량% 및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의 상품명 코펠(KOPEL) 탄성고분자 4중량%가 혼합된 혼합 수지를 중공사 제조용 방사구금을 통하여 용융방사하여 직경이 18㎛이고 중공부 개수가 2개인 중공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중공 모노필라멘트를 제편용 원사로 사용하여 경편지를 제편하여 충격흡수재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충격흡수재용 원단은 비교실시예 1로 제조한 충격흡수재용 원단보다 상대적으로 탄성회복율이 우수하고 형태 변형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았다.
비교실시예 1
고유점도가 0.6인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8중량%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6중량% 및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의 상품명 코펠(KOPEL) 탄성고분자 6중량%가 혼합된 혼합수지를 방사구금을 통하여 용융방사하여 직경이 16㎛이고 중공부가 없는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제편용 원사로 사용하여 경편지를 제편하여 충격흡수재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충격흡수재용 원단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 제조한 충격흡수재용 원단보다 상대적으로 탄성회복율이 나쁘고 형태 변형시 작은 소음이 발생되었다.

Claims (3)

  1. (ⅰ) 고유점도가 0.6 이상인 고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89~95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6중량% 및 탄성고분자 1~5중량%가 혼합된 혼합수지로 구성되며,
    (ⅱ) 단면 상에 1~4개의 중공부(Hollow part)가 형성되어 있고,
    (ⅲ) 직경이 15~18㎛이며 KS K 0352 : 2015 방법으로 측정한 신장회복율이 84% 이상인 중공 모노필라멘트들이 서로 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재용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재용 원단은 직물, 경편물 및 위편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재용 원단.
  3. 삭제
KR1020180146261A 2018-11-23 2018-11-23 충격흡수재용 원단 KR102123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61A KR102123315B1 (ko) 2018-11-23 2018-11-23 충격흡수재용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61A KR102123315B1 (ko) 2018-11-23 2018-11-23 충격흡수재용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85A KR20200060985A (ko) 2020-06-02
KR102123315B1 true KR102123315B1 (ko) 2020-06-26

Family

ID=7109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261A KR102123315B1 (ko) 2018-11-23 2018-11-23 충격흡수재용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04A (ja) 2000-11-22 2002-05-28 Hagihara Industries Inc 靴中敷用モノフィラメント
JP2004204413A (ja) 2002-12-26 2004-07-22 Du Pont Toray Co Ltd 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520691A (ja) 2014-06-20 2017-07-27 ペルロン・ネクストルージョン・モノフィル・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高い耐摩耗性及び形状安定性並びに低い滑り摩擦を有するモノフィラメント、それでできたテクスタイル平坦形成物、及び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8814A (ja) * 1992-10-20 1994-05-10 San Line:Kk ポリエステル系モノフィラメント
JPH09158638A (ja) * 1995-12-08 1997-06-17 Toray Monofilament Co Ltd 防虫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04A (ja) 2000-11-22 2002-05-28 Hagihara Industries Inc 靴中敷用モノフィラメント
JP2004204413A (ja) 2002-12-26 2004-07-22 Du Pont Toray Co Ltd 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520691A (ja) 2014-06-20 2017-07-27 ペルロン・ネクストルージョン・モノフィル・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高い耐摩耗性及び形状安定性並びに低い滑り摩擦を有するモノフィラメント、それでできたテクスタイル平坦形成物、及びそ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85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0432C (en) Stretch fabric
KR101261916B1 (ko) 한지복합사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한지복합사, 이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한 자동차 내장재
US20060016546A1 (en) Method of producing woven webbing
JP4362465B2 (ja) クッション構造体
CN113195303B (zh) 具有动能管理织物的载荷承载表面
KR101028575B1 (ko) 이형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의제조방법
EP1232300A1 (en) Woven fabrics particularly useful in the manufacture of occupant support structures
KR102123315B1 (ko) 충격흡수재용 원단
CN116348263A (zh) 网状纤维增强复合件、网状针织构造体、网状纤维增强复合件成形用材料及网状纤维增强复合件成形体
JP2008013897A (ja) エアバッグ用織物
JPH11217746A (ja) 耐紫外線織物
JP7300994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KR101963041B1 (ko) 편물 스웨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62118A (ko) 신율 특성이 우수한 차량용 인공피혁
CN215366188U (zh) 一种防污除臭的防变形面料
CN219191550U (zh) 一种透气弹力针织面料
CN215882798U (zh) 一种耐磨防滑织带
CN216919626U (zh) 一种高弹异结构复合型涤纶poy长丝
CN1616729B (zh) 衬垫布
JPS6139189B2 (ko)
KR100594882B1 (ko) 고탄력성 직물의 제조방법
CN219603815U (zh) 一种高强阻燃耐划尼龙面料
CN218838881U (zh) 一种高强度弹力尼龙面料
JP5551895B2 (ja) 布バネ材用織物
CN212046219U (zh) 一种发汗可促进汗液排出的纤维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