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868B1 -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868B1
KR102122868B1 KR1020190140050A KR20190140050A KR102122868B1 KR 102122868 B1 KR102122868 B1 KR 102122868B1 KR 1020190140050 A KR1020190140050 A KR 1020190140050A KR 20190140050 A KR20190140050 A KR 20190140050A KR 102122868 B1 KR102122868 B1 KR 10212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sprinkling
longitudinal direction
wing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나
Original Assignee
문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미나 filed Critical 문미나
Priority to KR102019014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01C23/047Spraying of liquid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의 살수부에 방향전환유닛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수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10)에 결합되는 중공형 체결가이드구(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하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스핀몸체(210)와, 상기 스핀몸체(210)의 상측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단에 커버구(221)가 장착된 가이드축봉(220)과, 상기 가이드축봉(22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핀몸체(210)의 외주연에서 분기되어 상기 커버구(221)로 연장되는 윙타격체(23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디부(200);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스핀몸체(210)와 내부가 연통된 상태로 상호 대향되는 측방으로 분기되되 외주연에 체결걸림편(311)이 형성된 분기연통관(310)과, 상기 분기연통관(31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살수노즐(320)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배관(10)을 통해 유동한 물을 측방으로 살수하도록 하는 한 쌍의 살수부(300);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가이드축봉(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410)와, 상기 날개부(4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타격회전체(420)와, 상기 타격회전체(420)에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조작히팅편(430)와, 상기 날개부(410)와 커버구(221)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스프링(222)로 이루어져 상기 살수부(300)에서 살수된 액체의 타격에 의해 회전되는 왕복회전윙(400);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편(510)과 상기 장착편(510)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520)으로 이루어진 살수각도제한구(500); 상기 한 쌍의 살수부 중 어느 하나의 살수부에서 상기 살수노즐(320)과 교체되어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끼움되는 인서트구(612)를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형성된 체결걸림편(311)에 걸림되는 대응걸림부(611)가 형성된 마운팅바디(610)와, 상기 마운팅바디(610)에 연결되게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 내부에 중공형 제1,2조인트구(621,622)가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하방걸림구(623)가 마련된 통체의 수용몸체구(620)와, 상기 하방걸림구(623)에 걸림되는 대응걸림턱(633)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제1조인트구(621)에 삽입되는 회전스틱(631)이 형성된 윙걸림구(630)와, 상기 제2조인트구(622)에 삽입되는 축봉(641)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몸체구(620)에 형성된 이동제한홈(624)를 관통하여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전환구(640)와, 상기 방향전환구(640)의 길이방향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반경제한편(520)에 걸림되는 걸림클립(650)과, 상기 수용몸체구(6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윙걸림구(63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660)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회전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바디부(200)가 상기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간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반경으로 왕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닛(6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클립(650)은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ADJUSTMENT OF WATERING ANGLE TYPE SPRINKLER}
본 발명은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의 살수부에 방향전환유닛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수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감, 포도, 딸기,상추, 시금치, 오이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하우스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등에서는 병충해를 막기 위해 각종의 방제약을 살포하거나 생육에 필요한 액비나 물을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스프링클러는 가압펌프에 의해 송수되는 물, 약제, 액체비료 등을 노즐을 통해 일정 범위로 분무하는 장치이다. 특히 로터리형은 회전본체의 양단에 설치된 추진노즐에 의해 빙빙 돌면서 살포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적합하고, 이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터리형 스프링클러는 송수관에 연결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송수관을 거쳐 이음관으로 이동된 공급수를 외부로 살수하는 스프링클러헤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137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공급수가 일측 제1살수노즐로 분사되어 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를 타격하면서 주축을 기준하여 간헐 구동하면서 원수를 살수토록 하고, 타측 제2살수노즐은 동시에 회전하면서 원수를 살수토록 한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상기 제1,2살수노즐의 용수경유공은 하나 이상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연결면은 내향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살수노즐의 단부에 3/4 원호형으로 돌출형성되는 부채꼴 타입의 안내편으로 형성하여 원수의 공급압력이 저압에서도 살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공급수가 농작물의 경작지에 360°방향으로 살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특정구역에 대한 살수의 진행시에는 각도설정된 별도의 스프링클러를 구매하여야 함에 따라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살수부의 살수노즐을 분리한 후, 상기 살수노즐 대신 방향전환유닛를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수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각도설정된 스프링클러를 제구매하지 않고도 살수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가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10)에 결합되는 중공형 체결가이드구(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하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스핀몸체(210)와, 상기 스핀몸체(210)의 상측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단에 커버구(221)가 장착된 가이드축봉(220)과, 상기 가이드축봉(22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핀몸체(210)의 외주연에서 분기되어 상기 커버구(221)로 연장되는 윙타격체(23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디부(200);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스핀몸체(210)와 내부가 연통된 상태로 상호 대향되는 측방으로 분기되되 외주연에 체결걸림편(311)이 형성된 분기연통관(310)과, 상기 분기연통관(31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살수노즐(320)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배관(10)을 통해 유동한 물을 측방으로 살수하도록 하는 한 쌍의 살수부(300);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가이드축봉(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410)와, 상기 날개부(4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타격회전체(420)와, 상기 타격회전체(420)에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조작히팅편(430)와, 상기 날개부(410)와 커버구(221)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스프링(222)로 이루어져 상기 살수부(300)에서 살수된 액체의 타격에 의해 회전되는 왕복회전윙(400);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편(510)과 상기 장착편(510)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520)으로 이루어진 살수각도제한구(500); 상기 한 쌍의 살수부 중 어느 하나의 살수부에서 상기 살수노즐(320)과 교체되어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끼움되는 인서트구(612)를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형성된 체결걸림편(311)에 걸림되는 대응걸림부(611)가 형성된 마운팅바디(610)와, 상기 마운팅바디(610)에 연결되게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 내부에 중공형 제1,2조인트구(621,622)가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하방걸림구(623)가 마련된 통체의 수용몸체구(620)와, 상기 하방걸림구(623)에 걸림되는 대응걸림턱(633)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제1조인트구(621)에 삽입되는 회전스틱(631)이 형성된 윙걸림구(630)와, 상기 제2조인트구(622)에 삽입되는 축봉(641)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몸체구(620)에 형성된 이동제한홈(624)를 관통하여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전환구(640)와, 상기 방향전환구(640)의 길이방향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반경제한편(520)에 걸림되는 걸림클립(650)과, 상기 수용몸체구(6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윙걸림구(63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660)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회전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바디부(200)가 상기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간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반경으로 왕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닛(6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클립(650)은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의 장착편(510) 내주연에는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편체(130)에 걸림되는 나사산(5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위 살수가 가능한 스프링클러에서 살수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회전바디부에 형성된 살수부의 살수노즐을 분리한 후, 상기 살수노즐 대신 방향전환유닛을 신속히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살수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살수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별도의 스프링클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농가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제한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유닛의 수용몸체구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윙걸림구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제한구와 방향전환유닛간 상호작용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제한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유닛의 수용몸체구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윙걸림구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제한구와 방향전환유닛간 상호작용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는 농작물이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10)에 결합되는 중공형 체결가이드구(100)와,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디부(200)와, 상기 회전바디부(200)에서 측방으로 분기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살수부(300)와, 상기 회전바디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회전윙(400)과,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에 장착되는 살수각도제한구(500)와, 상기 한 쌍의 살수부 중 어느 하나의 살수부에 교체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방향전환유닛(6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는 필요에 따라 상기 살수부(300)에 설치되는 살수노즐(320)을 분리한 후, 상기 살수부(300)에 상기 살수노즐(320) 대신 상기 방향전환유닛(600)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수각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살수방향이 스프링클러의 설치위치로부터 전방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전환유닛(600) 대신 상기 살수노즐(320)을 교체설치함으로써 살수환경에 따른 대응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가이드구(100)는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10)에 결합되는 중공형 부재로,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공급배관(1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결속너트구(11)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나사산(110)과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회전을 통한 상기 결속너트구(11)와의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12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편체(130)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체결가이드구(100)를 상기 공급배관(10)에 결합시, 상기 결합나사산(110)이 상기 결속너트구(11)의 내주연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구(120)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기 체결가이드구(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를 상기 공급배관(1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부(200)는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바디부(2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하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스핀몸체(210)와, 상기 스핀몸체(210)의 상측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단에 커버구(221)가 장착된 가이드축봉(220)과, 상기 가이드축봉(22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핀몸체(210)의 외주연에서 분기되어 상기 커버구(221)로 연장되는 윙타격체(2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살수부(300)는 상기 회전바디부(200)에서 상호 대향되는 측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공급배관(10)을 통해 유동한 물을 측방으로 살수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살수부(300)는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스핀몸체(210)와 내부가 연통된 분기연통관(310)과, 상기 분기연통관(31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살수노즐(32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왕복회전윙(400)은 상기 회전바디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살수부(300)에서 살수된 액체의 타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가이드축봉(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410)와 상기 날개부(4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타격회전체(420)와 상기 타격회전체(420)에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조작히팅편(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날개부(410)와 커버구(221) 사이에는 탄성스프링(222)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살수부(300)의 살수노즐(320)에서 살수된 액체가 상기 타격회전체(420)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날개부(410)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윙타격체(230)에 걸리면서 상기 탄성스프링(222)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전되는 구동상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는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편(510)과 상기 장착편(510)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5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착편(510)은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의 부재로 내주연 둘레를 따라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돌출편체(130)에 걸림되는 나사산(5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가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상기 방향전환유닛(600)의 간섭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유닛(600)은 상기 한 쌍의 살수부 중 어느 하나의 살수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회전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바디부(200)가 상기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520)간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반경으로 왕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방향전환유닛(600)을 살펴보면 상기 방향전환유닛(600)은 상기 한 쌍의 살수부 중 어느 하나의 살수부에서 상기 살수노즐(320)과 교체되어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끼움되는 인서트구(612)를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형성된 체결걸림편(311)에 걸림되는 대응걸림부(611)가 형성된 마운팅바디(610)와, 상기 마운팅바디(610)에 연결되게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 내부에 중공형 제1,2조인트구(621,622)가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하방걸림구(623)가 마련된 통체의 수용몸체구(620)와, 상기 하방걸림구(623)에 걸림되는 대응걸림턱(633)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제1조인트구(621)에 삽입되는 회전스틱(631)이 형성된 윙걸림구(630)과, 상기 제2조인트구(622)에 삽입되는 축봉(641)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몸체구(620)에 형성된 이동제한홈(624)를 관통하여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전환구(640)와, 상기 방향전환구(640)의 길이방향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반경제한편(520)에 걸림되는 걸림클립(650)과, 상기 수용몸체구(6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윙걸림구(63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66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방향전환유닛(600)은 상기 살수부(300)의 분기연통관(310)의 단부에서 상기 살수노즐(320)을 분리한후, 상기 살수부(300)의 분기연통관(310)에 교체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몸체구(6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통체의 구성으로, 내부 양측에 상기 제1,2조인트구(621,622)가 설치되되 하부에 상기 방향전환구(640)가 관통하여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이동제한홈(6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윙걸림구(630)는 상기 회전스틱(631)이 상기 제1조인트구(6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왕복회전윙(400)의 회전시, 상기 왕복회전윙(400)의 걸림에 의해 상기 회전스틱(631)을 축으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몸체구(62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응걸림턱(633)이 상기 하방걸림구(623)에 걸림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대응걸림턱(633)은 상기 윙걸림구(630)의 배면에 상기 수용몸체구(620)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윙걸림구(6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걸림단(634)이 마련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윙걸림구(630)의 배면에서 상기 회전스틱(631)과 대응걸림턱(633) 사이에는 상기 윙걸림구(630)의 상방회전시 상기 수용몸체구(620)의 내측면에 걸림되는 상방회전제한턱(63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구(640)는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기 축봉(641)을 축으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몸체구(620)에 형성된 이동제한홈(624)의 거리만큼 왕복이동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에 간섭되는 상기 걸림클립(65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걸림클립(650)은 상기 방향전환구(640)의 길이방향 타측에 양측단이 끼움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클립(650)은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걸림클립(650)을 상기 방향전환구(640)의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바디부(200)가 360°회전되어 전방위 살수가 가능하게 되고, 일정구역에 대한 살수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클립(650)을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회전시 상기 걸림클립(650)이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에 간섭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방향전환유닛(600)과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의 상호 작용에 의한 조작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살수부(300)의 살수노즐(320)을 통해 살수된 액체가 상기 왕복회전윙(400)의 타격회전체(420)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왕복회전윙(4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조작히팅편(430)이 상기 대응걸림턱(633)에 마련된 상기 돌출걸림단(634)에 걸림되면서 상기 윙걸림구(630)의 길이방향 일측이 하강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걸림클립(650)이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의 일측 회전반경제한편(520)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후, 상기 왕복회전윙(400)이 상기 탄성스프링(222)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날개부(410)가 상기 윙타격체(230)를 타격하게 되고, 그 타격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부(200)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클립(650)이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의 타측 회전반경제한편(520)으로 이동되어 걸림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스프링부재(6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윙걸림구(630)가 상기 회전스틱(631)을 축으로 길이방향 일측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구동상태가 반복으로 이루어져 일정반경으로 액체를 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유닛(600)은 상기 살수부(300)에 살수노즐(320) 대신 교체하여 설치됨에 따라 농작물의 재배시 살수방향이나 살수환경에 따른 용이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체결가이드구 110: 결합나사산
120: 파지구 130: 돌출편체
200: 회전바디부 210: 스핀몸체
220: 가이드축봉 230: 윙타격체
300: 살수부 310: 분기연통관
320: 살수노즐 400: 왕복회전윙
410: 날개부 420: 타격회전체
430: 조작히팅편 500: 살수각도제한구
510: 장착편 520: 회전반경제한편
600: 방향전환유닛 610: 마운팅바디
620: 수용몸체구 630: 윙걸림구
640: 방향전환구 650: 걸림클립
660: 스핑부재

Claims (4)

  1. 농작물에 공급되는 액체가 유동하는 공급배관(10)에 결합되는 중공형 체결가이드구(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하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스핀몸체(210)와, 상기 스핀몸체(210)의 상측단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측단에 커버구(221)가 장착된 가이드축봉(220)과, 상기 가이드축봉(22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핀몸체(210)의 외주연에서 분기되어 상기 커버구(221)로 연장되는 윙타격체(230)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바디부(200);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스핀몸체(210)와 내부가 연통된 상태로 상호 대향되는 측방으로 분기되되 외주연에 체결걸림편(311)이 형성된 분기연통관(310)과, 상기 분기연통관(31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살수노즐(320)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배관(10)을 통해 유동한 물을 측방으로 살수하도록 하는 한 쌍의 살수부(300);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가이드축봉(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410)와, 상기 날개부(4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타격회전체(420)와, 상기 타격회전체(420)에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조작히팅편(430)와, 상기 날개부(410)와 커버구(221)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스프링(222)로 이루어져 상기 살수부(300)에서 살수된 액체의 타격에 의해 회전되는 왕복회전윙(400);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편(510)과 상기 장착편(510)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520)으로 이루어진 살수각도제한구(500);
    상기 한 쌍의 살수부 중 어느 하나의 살수부에서 상기 살수노즐(320)과 교체되어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끼움되는 인서트구(612)를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분기연통관(310)에 형성된 체결걸림편(311)에 걸림되는 대응걸림부(611)가 형성된 마운팅바디(610)와, 상기 마운팅바디(610)에 연결되게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 내부에 중공형 제1,2조인트구(621,622)가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하방걸림구(623)가 마련된 통체의 수용몸체구(620)와, 상기 하방걸림구(623)에 걸림되는 대응걸림턱(633)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제1조인트구(621)에 삽입되는 회전스틱(631)이 형성된 윙걸림구(630)와, 상기 제2조인트구(622)에 삽입되는 축봉(641)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몸체구(620)에 형성된 이동제한홈(624)를 관통하여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전환구(640)와, 상기 방향전환구(640)의 길이방향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반경제한편(520)에 걸림되는 걸림클립(650)과, 상기 수용몸체구(6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윙걸림구(63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연결되는 스프링부재(660)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바디부(200)의 회전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바디부(200)가 상기 한 쌍의 회전반경제한편간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반경으로 왕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닛(6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클립(650)은 상기 방향전환구(64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각도제한구(500)의 장착편(510) 내주연에는, 상기 체결가이드구(10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편체(130)에 걸림되는 나사산(5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3. 삭제
  4. 삭제
KR1020190140050A 2019-11-05 2019-11-05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KR10212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50A KR102122868B1 (ko) 2019-11-05 2019-11-05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50A KR102122868B1 (ko) 2019-11-05 2019-11-05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868B1 true KR102122868B1 (ko) 2020-06-15

Family

ID=7108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50A KR102122868B1 (ko) 2019-11-05 2019-11-05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8532A (zh) * 2020-07-27 2020-10-13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一种虾稻共生绿色灌溉装置
KR102280817B1 (ko) * 2020-11-23 2021-07-26 (주)파워레인 조립성이 향상된 스프링클러 유닛
CN114097391A (zh) * 2021-11-05 2022-03-01 常德振邦米业有限公司 一种农作物施肥用带万向旋转结构的施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77Y1 (ko) * 2007-04-24 2008-08-12 문미나 스프링클러
US20140042244A1 (en) * 2012-08-10 2014-02-13 Tzu-Lin Huang Impingement sprinkler
KR101685569B1 (ko) * 2014-05-08 2016-12-12 윤경훈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헤드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77Y1 (ko) * 2007-04-24 2008-08-12 문미나 스프링클러
US20140042244A1 (en) * 2012-08-10 2014-02-13 Tzu-Lin Huang Impingement sprinkler
KR101685569B1 (ko) * 2014-05-08 2016-12-12 윤경훈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헤드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8532A (zh) * 2020-07-27 2020-10-13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一种虾稻共生绿色灌溉装置
KR102280817B1 (ko) * 2020-11-23 2021-07-26 (주)파워레인 조립성이 향상된 스프링클러 유닛
CN114097391A (zh) * 2021-11-05 2022-03-01 常德振邦米业有限公司 一种农作物施肥用带万向旋转结构的施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868B1 (ko) 살수각도조절형 스프링클러
US9999894B2 (en) Tree and shrub sprinkler apparatus
CN105344504A (zh) 便携式喷雾器罩
JP3208348U (ja) 液体散布機
KR101917668B1 (ko) 관수 및 방제를 위한 농업용 스프링클러
KR100853020B1 (ko) 각도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제초제 및 농약 자동살포기
KR101693260B1 (ko) 다기능 스프링클러
KR100721775B1 (ko) 제초제 분사량이 조절가능한 자동살포기
KR102276493B1 (ko) 농업용 스프링클러
KR20180125652A (ko) 회전분사장치
KR100794607B1 (ko) 방사형 분무장치
JP2009142168A (ja) 液体散布装置
KR102001131B1 (ko) 저속선회분무형 회전분무노즐
KR102017888B1 (ko)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2280817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스프링클러 유닛
KR20110105122A (ko) 자유 회전식 분무기용 노즐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KR101692337B1 (ko) 방제용 스프링클러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CN104430273A (zh) 农用喷药机给药装置
KR20100059399A (ko) 스프링클러
KR101672922B1 (ko) 양방향 밸브기능을 갖는 스프링클러
KR200222901Y1 (ko) 다기능 농약 분사기
KR20200106803A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클러
RU2446676C1 (ru) Дождев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