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062B1 -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 - Google Patents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062B1
KR102122062B1 KR1020190053763A KR20190053763A KR102122062B1 KR 102122062 B1 KR102122062 B1 KR 102122062B1 KR 1020190053763 A KR1020190053763 A KR 1020190053763A KR 20190053763 A KR20190053763 A KR 20190053763A KR 102122062 B1 KR102122062 B1 KR 10212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nit
opening
clos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
Priority to KR102019005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유닛의 정역 회전 동작 및 구동모터유닛의 정지 여부를 명확하게 하여 밸브의 개도 조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밸브자동개폐기는 밸브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자동개폐기이고,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유닛과, 회전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과,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밸브의 개폐 완료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작동유닛과, 적어도 동력전달유닛과 감지작동유닛이 내장된 상태에서 밸브와 결합되는 케이스유닛 및 밸브의 개폐를 위해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VALVE SWITCHING DEVICE WITH ALARM FUNCTION ADDED AND MOTOR OPERATED VALVE SYSTEM WHICH THIS IS EQUIPPED WITH}
본 발명은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모터유닛의 정역 회전 동작 및 구동모터유닛의 정지 여부를 명확하게 하여 밸브 개폐 상태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밸브의 개도 조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전동, 유압, 공압모터를 사용하는 밸브를 모터구동밸브(Motor-Operated Vavle: MOV)라고 하며, 모터에서 발생된 힘은 여러 종류의 기어 연결을 매개로 엑츄에이터의 밸브스템과 디스크로 전달되어 밸브의 개방 동작 또는 밸브의 폐쇄 동작을 수행한다.
모터구동밸브에는 수신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자동개폐기가 결합된다. 밸브자동개폐기를 이용하면, 밸브 측에서는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밸브의 개폐 상태를 상황실로 전송함으로써, 상황실 근무자가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밸브 측에서는 육안으로 밸브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고장유무를 빨리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2647호 (발명의 명칭 : 밸브스템 동작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모터구동밸브, 2014. 06. 2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유닛의 정역 회전 동작 및 구동모터유닛의 정지 여부를 명확하게 하여 밸브 개폐 상태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밸브의 개도 조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는 밸브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자동개폐기이고,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유닛; 상기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완료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작동유닛; 적어도 상기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감지작동유닛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와 결합되는 케이스유닛; 및 상기 밸브의 개폐를 위해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전원과 상기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동기판; 상기 구동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구동기판의 사용환경을 세팅하는 설정스위치; 및 상기 구동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원과 상기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정역 회전 여부와 상기 회전축의 정지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상기 구동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키는 알람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상기 구동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원과 상기 개폐신호의 입력 여부를 표시하는 구동표시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유닛은, 상기 동력전달유닛이 내장되는 동력전달공간과 상기 감지작동유닛이 내장되는 작동공간으로 구획되는 바디케이스; 상기 밸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바디케이스와 결합되는 전달케이스; 및 상기 작동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바디케이스와 결합되는 작동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부재는,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진행중일 때와,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완료될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표출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진행중일 때와,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완료될 때 중 다른 하나의 경우,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속적으로 표출한다. 또한, 상기 밸브의 개폐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알람패턴으로 반복적으로 표출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작동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결합되는 작동블럭; 상기 작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조절판; 한 쌍의 제한조절판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조절탄성부재; 및 한 쌍의 제한조절판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작동블럭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한 쌍의 작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블럭에는, 상기 밸브의 개방 상태와 상기 밸브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여 한 쌍의 작동스위치를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스위칭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유닛에 구비된 구동축에 결합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휠기어; 상기 웜휠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볼너트;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너트를 파지하는 파지요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는 상기 동력전달유닛에서 회전력의 전달 여부를 선택하는 클러치유닛; 및 상기 감지작동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감지작동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 여부를 표시하는 개폐표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구동밸브시스템은 밸브; 및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밸브가 개폐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가 포함된 밸브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개폐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모터구동밸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에 따르면, 구동모터유닛의 정역 회전 동작 및 구동모터유닛의 정지 여부를 명확하게 하여 밸브 개폐 상태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밸브의 개도 조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람부재를 통해 밸브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밸브 측에서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밸브의 동작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표시부재를 통해 구동전원과 개폐신호의 입력 여부 및 상황실로의 신호 전송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작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한 쌍의 제한조절판이 개별 동작되어 밸브의 개폐 완료에 대한 미세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작동유닛의 세부 동작을 통해 밸브의 회전축이 회전된 상태를 안정되게 감지할 수 있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작동스위치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작동유닛에서 위치조절브라켓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스위칭돌부에 의한 작동스위치의 가압력 및 센싱버튼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스위치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감지신호가 안정되게 발생되도록 하고, 스위칭롤러에 의해 작동스위치에서 센싱스위치의 피벗 운동을 부드럽게 함은 물론 작동블럭와 센싱스위치 사이의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전달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구동모터유닛의 회전력을 안정되게 회전축에 전달할 수 있고, 회전축의 백레쉬를 방지하여 밸브의 개폐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표시유닛을 통해 밸브의 개폐에 따른 회전축의 정역 회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밸브와 케이스유닛 사이의 결합력을 안정화시키고, 동력전달유닛과 감지작동유닛의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하며, 부품 간의 분해 및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러치유닛을 통해 회전축의 정역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력의 전달 방식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고, 구동모터유닛의 동작 오류에 대응하여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전원의 인가에 따라 밸브의 동작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밸브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밸브 측에서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에서 감지작동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에서 감지작동유닛의 작동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에서 감지작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에서 밸브유닛의 개방 상태에 따른 감지작동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에서 밸브유닛의 폐쇄 상태에 따른 감지작동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에서 밸브의 동작에 대응하는 알람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구동밸브시스템은 밸브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개폐유닛을 포함한다.
밸브에는 회전축이 구비된다. 그러면, 밸브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개폐된다. 밸브는 밸브개폐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모터구동밸브로 이루어진다.
밸브개폐유닛은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밸브개폐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자동개폐기는 밸브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유닛(10)과, 동력전달유닛과, 감지작동유닛(30)과, 케이스유닛(40)과, 구동제어유닛(50)을 포함하고, 클러치유닛(20)과 개폐표시유닛(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유닛(10)은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모터유닛(10)에는 회전력에 의해 정역 회전이 가능한 구동축이 구비된다.
클러치유닛(20)은 동력전달유닛에서 회전력의 전달 여부를 선택한다. 클러치유닛(20)은 회전력의 전달 여부에 따라 밸브의 회전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클러치유닛(20)은 전달요크와, 클러치요크와, 왕복부재와, 클러치탄성부재와, 클러치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요크는 동력전달유닛의 볼스크류의 일단부에 볼스크류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달요크는 동력전달유닛의 볼스크류와 함께 회전된다. 전달요크는 왕복 이동에 따라 동력전달유닛의 웜휠기어에 구비되는 웜휠요크와 걸림 결합 가능하다.
클러치요크는 케이스유닛(40)의 바디케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러치요크는 클러치레버의 피벗 운동에 따라 전달요크와 걸림 결합 가능하다.
왕복부재는 전달요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왕복부재는 전달요크와 클러치요크와 동축에 결합될 수 있다. 왕복부재는 클러치요크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왕복부재는 클러치요크와 함께 회전된다.
클러치탄성부재는 클러치요크를 기준으로 왕복부재를 동력전달유닛의 볼스크류 쪽으로 탄성 가압한다.
클러치레버는 왕복부재와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면, 아이들 상태에서 전달요크는 클러치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요크와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동력전달유닛의 웜휠요크와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아이들 상태에서 전달요크는 왕복부재에서 아이들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유닛(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전달요크와 동력전달유닛을 거쳐 밸브의 회전축에 전달되므로, 밸브의 회전축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레버를 동작시키면, 왕복부재는 클러치레버의 피벗 운동에 따라 클러치레버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달요크는 동력전달유닛의 웜휠요크와 걸림 결합이 해제되며, 클러치요크와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클러치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왕복부재와 클러치요크와 전달요크가 함께 회전되고, 전달요크와 동력전달유닛의 볼스크류가 함께 회전되므로, 밸브의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유닛은 구동모터유닛(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밸브의 회전축에 전달한다. 동력전달유닛은 웜기어와, 웜휠기어와, 볼스크류와, 볼너트와, 파지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웜기어는 구동모터유닛(10)에 구비된 구동축에 결합된다. 웜기어는 구동축의 외주면에서 나선 형상을 나타내도록 한다.
웜휠기어는 웜기어와 치합된다. 그러면, 웜기어의 축 방향과 웜휠기어의 축 방향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교차되도록 한다.
볼스크류는 웜휠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볼스크류는 웜휠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볼스크류의 일단부는 웜휠기어에 지지되고, 볼스크류의 타단부는 케이스유닛(40)의 바디케이스(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스크류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볼스크류는 클러치유닛(20)의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볼너트는 볼스크류에 나사 결합된다. 볼너트에는 파지요크가 파지하는 파지돌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너트의 직선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파지요크는 밸브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 가능하다. 파지요크는 볼너트에 구비된 파지돌부를 파지한다. 그러면, 파지요크는 밸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함에 따라 밸브의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스크류의 일단부는 웜휠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모터유닛(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웜기어와 웜휠기어를 거쳐 볼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볼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따라 볼너트는 볼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고, 파지요크는 밸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되어 자동으로 밸브의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의 일단부는 웜휠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웜휠기어에 전달된 회전력은 클러치유닛(20)의 동작에 따라 볼스크류로의 전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클러치유닛(20)의 동작에서와 같이 아이들 상태에서는 웜휠기어에 전달된 회전력이 전달요크를 거쳐 볼스크류에 전달되므로, 자동으로 밸브의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유닛(20)이 동작되면, 웜휠기어에 전달된 회전력이 볼스크류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클러치레버의 회전에 따라 수동으로 밸브의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감지작동유닛(30)은 밸브의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밸브의 개폐 완료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작동유닛(30)은 작동블럭(31)과, 제한조절판(32)과, 조절탄성부재(33)와, 작동스위치(34)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블럭(31)은 동력전달유닛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 또는 클러치유닛(2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밸브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된다. 작동블럭(31)은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에 결합된다. 작동블럭(31)의 회전 중심에는 표시축(601)이 구비된다. 작동블럭(31)에는 밸브의 개방 상태와 밸브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여 한 쌍의 작동스위치(34)를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스위칭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작동블럭(31)에는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의 정역 회전에 따라 작동스위치(34)가 지지되는 경로부(313)가 구비된다. 그러면, 스위칭돌부는 작동블럭(31)에서 경로부(313)의 양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작동스위치(34)를 가압할 수 있다. 스위칭돌부는 밸브의 개방을 위해 작동스위치(34)를 가압하는 제1돌부(311)와, 밸브의 폐쇄를 위해 작동스위치(34)를 가압하는 제2돌부(312)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1돌부(311)는 작동블럭(31)으로부터 기설정된 돌출길이로 돌출되는 제1-1돌부와, 제1-1돌부보다 작게 돌출되는 제1-2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돌부와 제1-2돌부는 밸브의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한다. 또한, 제2돌부(312)는 작동블럭(31)으로부터 기설정된 돌출길이로 돌출되는 제2-1돌부와, 제2-1돌부보다 작게 돌출되는 제2-2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돌부와 제2-2돌부는 밸브의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한다.
제한조절판(32)은 밸브의 개폐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한조절판(32)은 작동블럭(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한조절판(32)은 케이스유닛(40)의 바디케이스(41) 또는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제한조절판(32)은 밸브의 개방에 대응하여 작동블럭(31)에서 회전 가능한 제1조절판(321)과, 밸브의 폐쇄에 대응하여 작동블럭(31)에서 회전 가능한 제2조절판(32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한조절판(32)에는 위치조절볼트에 지지되는 스위치지지부와, 조절탄성부재(33)가 지지되는 부재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절탄성부재(33)는 밸브의 개폐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조절탄성부재(33)는 제한조절판(32)을 탄성 지지한다. 조절탄성부재(33)는 제1조절판(321)을 제1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31)와, 제2조절판(322)을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탄성부재(33)의 일단부는 제한조절판(32)의 부재지지부에 지지되고, 조절탄성부재(33)의 타단부는 케이스유닛(40)의 바디케이스(41)에 지지될 수 있다.
작동스위치(34)는 밸브의 개폐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작동스위치(34)는 제한조절판(32)에 결합된다. 작동스위치(34)는 작동블럭(31)의 회전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작동스위치(34)는 제1조절판(321)에 결합되는 제1스위치(341)와, 제2조절판(322)에 결합되는 제2스위치(34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스위치(341)는 작동블럭(31)의 회전에 따라 제1돌부(311)가 가압함으로써, 밸브의 개방 완료를 위한 감지신호(개방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 제2스위치(342)는 작동블럭(31)의 회전에 따라 제2돌부(312)가 가압함으로써, 밸브의 폐쇄 완료을 위한 감지신호(폐쇄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1스위치(341)는 제1-1돌부가 가압하는 제1-1스위치(341-1)와, 제1-2돌부가 가압하는 제1-2스위치(34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조절판(321)에는 제1-1스위치(341-1)와 제1-2스위치(341-2)가 차례로 적층 고정된다. 또한, 제2스위치(342)는 제2-1돌부가 가압하는 제2-1스위치(342-1)와, 제2-2돌부가 가압하는 제2-2스위치(34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조절판(322)에는 제2-1스위치(342-1)와 제2-2스위치(342-2)가 차례로 적층 고정된다. 제1스위치(341)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단차를 형성하는 제1돌부(311)에 의해 감지신호(개방완료신호)의 감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스위치(342)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단차를 형성하는 제2돌부(312)에 의해 감지신호(폐쇄완료신호)의 감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스위치(34)는 제한조절판(32)에 결합되는 작동바디부(34-1)와, 작동블럭(31)의 회전에 따라 탄성을 가지고 작동바디부(34-1)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싱스위치(34-2)와, 감지신호가 발생되도록 센싱스위치(34-2)의 피벗 동작에 따라 눌리는 센싱버튼(34-3)을 포함하고, 작동블럭(31)의 스위칭돌부와 경로부(313)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센싱스위치(3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칭롤러(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롤러(34-4)는 작동블럭(31)의 회전에 따라 작동스위치(34)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고, 센싱스위치(34-2)의 피벗 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면, 작동블럭(31)이 회전된다.
일예로, 밸브의 개방을 위해 작동블럭(31)이 정회전되면, 제1돌부(311)는 제1스위치(341)를 가압함으로써, 작동스위치(34)는 개방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한조절판(32)의 제1조절판(321)은 조절탄성부재(33)의 제1탄성부재(331)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제1돌부(311)가 제1스위치(341)를 가압할 때, 제1스위치(341)의 파손 또는 제1스위치(341)에서의 신호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밸브의 폐쇄를 위해 작동블럭이 역회전되면, 제2돌부(312)는 제2스위치(342)를 가압함으로써, 작동스위치(34)는 폐쇄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한조절판(32)의 제2조절판(322)은 조절탄성부재(33)의 제2탄성부재(332)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제2돌부(312)가 제2스위치(342)를 가압할 때, 제2스위치(342)의 파손 또는 제2스위치(342)에서의 신호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감지작동유닛(30)은 위치조절브라켓(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브라켓(35)은 제한조절판(32)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위치조절브라켓(35)은 제1조절판(321)에 결합되는 제1조절브라켓(351)과, 제2조절판(322)에 결합되는 제2조절브라켓(35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위치조절브라켓(35)에는 작동스위치(34)가 고정된다. 위치조절브라켓(35)은 작동스위치(34)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브라켓(35)에는 작동스위치(34)의 일측에서 제1고정부재(35-3)가 결합되는 베이스홀부(35-1)와, 작동스위치(34)의 타측에서 제2고정부재(35-4)가 결합되는 조절홀부(3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절홀부(35-2)는 베이스홀부(35-1)를 축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2고정부재(35-4)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작동블럭(31)에서 경로부(313)에 지지되는 센싱스위치(34-2)의 초기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감지작동유닛(30)은 위치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볼트는 밸브의 개폐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위치조절볼트는 제한조절판(32)을 지지한다. 위치조절볼트는 제1조절판(321)에 구비되는 스위치지지부를 지지하는 열림위치조절볼트(301)와, 제2조절판(322)에 구비되는 스위치지지부를 지지하는 닫힘위치조절볼트(302)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밸브이 개방 상태와 밸브의 폐쇄 상태에 각각 대응하여 한 쌍의 제한조절판(32)의 회전 상태를 개별로 조절할 수 있다.
위치조절볼트는 케이스유닛(40)에 구비된 작동공간에 돌출되도록 케이스유닛(40)에 나사 결합된다. 위치조절볼트는 작동블럭(31)의 정역 회전 한계를 표시한다. 위치조절볼트는 케이스유닛(40)에 나사 결합되고, 작동공간으로의 돌출량에 따라 해당 제한조절판(32)을 가압함으로써, 제한조절판(32)이 회전되어 작동블럭(31)의 경로부(313)에서 작동스위치(34)의 지지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작동공간에서 위치조절볼트의 돌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위치조절볼트가 제한조절판(32)을 회전시키므로, 작동스위치(34)의 작동바디부(34-1)와 경로부(313) 사이의 거리는 좁아지고, 작동공간에서 위치조절볼트의 돌출 길이가 짧아질수록 조절탄성부재(33)의 탄성력으로 제한조절판(32)의 원위치로 복귀 회전되므로, 작동스위치(34)의 작동바디부(34-1)와 경로부(31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지작동유닛(30)은 한계조절볼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한계조절볼트(미도시)는 밸브의 완전 개방 상태에 대응하여 하나로 이루어져 열림위치조절볼트(301)에서 이격되어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한계조절볼트(미도시)는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의 회전 중심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 케이스유닛(40)에 나사 결합된다.
다른 예로, 한계조절볼트(미도시)는 밸브의 개폐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어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한계조절볼트(미도시)는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케이스유닛(40)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한계조절볼트(미도시)는 케이스유닛(40)에 구비된 동력전달공간에 돌출되도록 케이스유닛(40)에 나사 결합된다. 한계조절볼트(미도시)는 동력전달유닛의 파지요크의 정역 회전 한계를 표시한다.
파지요크의 정역 회전에 따라 파지요크가 한계조절볼트(미도시)를 가압하면, 한계조절볼트(미도시)는 파지요크의 정역 회전에 따른 한계를 표시하므로, 파지요크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케이스유닛(40)은 구동모터유닛(10)과 클러치유닛(20)과 감지작동유닛(30)과 구동제어유닛(50) 중 적어도 동력전달유닛과 감지작동유닛(30)이 내장된다. 케이스유닛(40)은 밸브와 결합된다. 케이스유닛(40)은 바디케이스(41)와, 전달케이스(42)와, 작동케이스(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케이스(41)는 동력전달유닛이 내장되는 동력전달공간과, 감지작동유닛(30)이 내장되는 작동공간으로 구획된다.
전달케이스(42)는 밸브와 결합된다. 전달케이스(42)는 동력전달공간을 폐쇄한다. 전달케이스(42)는 바디케이스(41)와 결합된다.
작동케이스(43)는 작동공간을 폐쇄한다. 작동케이스(43)는 바디케이스(41)와 결합된다. 작동케이스(43)는 후술하는 개폐표시유닛(60)이 결합된다.
작동케이스(43)에는 구동제어유닛(50)의 구동표시부재(56)가 노출되는 표시창(431)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제어유닛(50)은 밸브의 개폐를 위해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제어유닛(50)은 구동기판(51)과, 설정스위치(52)와, 구동컨트롤러(5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판(51)은 케이스유닛(40)의 작동공간에 내장된다. 구동기판(51)은 구동전원과 개폐신호와 감지신호가 입력된다.
설정스위치(52)는 구동기판(51)에 접속된다. 설정스위치(52)는 구동기판(51)의 사용환경을 세팅한다. 설정스위치(52)는 DIP switch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컨트롤러(53)는 구동기판(51)에 접속된다. 구동컨트롤러(53)는 구동전원과 개폐신호와 감지신호에 따라 밸브의 회전축의 정역 회전 여부와 회전축의 정지 여부를 제어한다.
구동제어유닛(50)은 알람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재(54)는 구동기판(51)에 접속된다. 알람부재(54)는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감지신호에 따라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킨다. 알람부재(54)는 빛을 표출시키는 램프와, 소리를 표출시키는 버저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알람부재(54)에서 표출되는 빛은 개폐표시유닛(6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면, 알람부재(54)는 밸브의 개폐 동작이 진행중일 때와 밸브의 개폐 동작이 완료될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폐 동작이 진행 중일 때와 밸브의 개폐 동작이 완료될 때 중 다른 하나의 경우,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속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폐 동작이 진행 중일 때 또는 밸브의 개폐 동작이 완료될 때 오류가 발생되면,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알람패턴으로 반복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구동제어유닛(50)은 구동표시부재(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표시부재(56)는 구동기판(51)에 접속된다. 구동표시부재(56)는 구동전원과 개폐신호의 입력 여부를 표시한다. 구동표시부재(56)는 빛을 표출시킬 수 있다. 구동표시부재(56)에서 표출되는 빛은 표시창(43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동표시부재(56)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이 발산되는 제1부재와,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이 발산되는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구동전원과 개폐신호가 구동제어유닛(50)에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구동표시부재(56) 중 제1부재에서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전원과 개폐신호가 구동제어유닛(50)에 입력되지 않거나, 오류신호가 입력되면, 구동표시부재(56) 중 제2부재에서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산할 수 있다.
개폐표시유닛(60)은 감지작동유닛(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유닛(40)의 작동케이스와 결합된다. 개폐표시유닛(60)은 감지작동유닛(30)의 회전에 따라 밸브의 개폐 여부를 표시한다.
개폐표시유닛(60)은 감지작동유닛(30)의 작동블럭(31)에 결합되어 작동블럭(31)과 함께 회전되는 표시구(61)와, 케이스유닛(40)의 작동케이스(43)와 결합되어 표시구(6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표시케이스(6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표시유닛(60)은 감지작동유닛(30)의 작동블럭(31)과 표시구(61)를 연결하는 표시축(6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축(601)은 일단부가 작동블럭(3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표시구(61)에 결합되어 작동블럭(31)의 회전에 대응하여 표시구(61)가 회전되도록 한다.
표시구(61)에는 4분할되어 90도 간격으로 개방색(611)과 폐쇄색(612)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케이스(62)는 표시구(61)를 통해 밸브의 개폐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621)로 형성되되, 0도 ~ 90도 사이와 180도 ~ 270도 사이는 불투명 재질(622)로 내부가 보이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구동전원과 개폐신호 중 개방신호가 구동제어유닛(50)에 입력되면, 밸브 모드는 "폐쇄 -> 개방 모드" 가 되고, 구동컨트롤러(53)는 밸브의 개방을 위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동전원을 구동모터유닛(10)에 인가함으로써, 밸브의 회전축을 정회전시켜 밸브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표시부재(56) 중 제1부재에서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산하고, 작동블럭(31)과 표시축(601)의 회전에 따라 표시구(61)가 회전되면서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폐쇄색(612)에서 개방색(611)으로 전환되는 것이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알람부재(54)는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표출시킨다. 특히, 알람부재(54)가 표출하는 빛은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외부로 안정되게 표출되어 폐쇄색(612)에서 개방색(611)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작동유닛(30)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 중 개방완료신호가 구동제어유닛(50)에 입력되면, 밸브 모드는 "개방 모드" 가 되고, 구동컨트롤러(53)는 밸브의 회전축의 정지를 위해 구동모터유닛(1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밸브의 회전축을 정지시켜 밸브의 개방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표시부재(56) 중 제1부재에서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산하고, 작동블럭(31)과 표시축(601)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표시구(61)가 정지되어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개방색(611)만이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알람부재(54)는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속적으로 표출시킨다. 특히, 알람부재(54)가 표출하는 빛은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외부로 안정되게 표출되어 개방색(611)으로 전환된 상태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구동전원과 개폐신호 중 폐쇄신호가 구동제어유닛(50)에 입력되면, 밸브 모드는 "개방 -> 폐쇄 모드" 가 되고, 구동컨트롤러(53)는 밸브의 폐쇄를 위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동전원을 구동모터유닛(10)에 인가함으로써, 밸브의 회전축을 역회전시켜 밸브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표시부재(56) 중 제1부재에서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산하고, 작동블럭(31)과 표시축(601)의 회전에 따라 표시구(61)가 회전되면서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개방색(611)에서 폐쇄색(612)으로 전환되는 것이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알람부재(54)는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표출시킨다. 특히, 알람부재(54)가 표출하는 빛은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외부로 안정되게 표출되어 폐쇄색(612)에서 개방색(611)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작동유닛(30)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 중 폐쇄완료신호가 구동제어유닛(50)에 입력되면, 밸브 모드는 "폐쇄 모드" 가 되고, 구동컨트롤러(53)는 밸브의 회전축의 정지를 위해 구동모터유닛(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밸브의 회전축을 정지시켜 밸브의 폐쇄가 완료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표시부재(56) 중 제1부재에서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산하고, 작동블럭(31)과 표시축(601)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표시구(61)가 정지되어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폐쇄색(612)만이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알람부재(54)는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속적으로 표출시킨다. 특히, 알람부재(54)가 표출하는 빛은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외부로 안정되게 표출되어 폐쇄색(612)으로 전환된 상태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구동전원과 개폐신호가 구동제어유닛(50)에 입력되지 않거나, 오류신호가 입력되면, 밸브모드는 "비상 모드" 가 되고, 구동컨트롤러(53)는 밸브의 회전축의 정지를 위해 구동모터유닛(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밸브의 회전축을 정지시키고, 작동블럭(31)과 표시축(60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표시부재(56) 중 제2부재에서는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산하고, 작동블럭(31)과 표시축(601)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표시구(61)가 정지되어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개방색(611)의 일부와 폐쇄색(612)의 일부가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알람부재(54)는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알람패턴으로 반복적으로 표출시킨다. 특히, 알람부재(54)가 표출하는 빛은 개폐표시유닛(60)의 표시케이스(62)의 투명 재질(621)로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외부로 안정되게 표출되어 개방색(611)의 일부와 폐쇄색(612)의 일부가 표출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알람패턴이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에 따르면, 구동모터유닛(10)의 정역 회전 동작 및 구동모터유닛(10)의 정지 여부를 명확하게 하여 밸브 개폐 상태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밸브의 개도 조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알람부재(54)를 통해 밸브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밸브 측에서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밸브의 동작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다.
또한, 구동표시부재(56)를 통해 구동전원과 개폐신호의 입력 여부 및 상황실로의 신호 전송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다.
또한, 감지작동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한 쌍의 제한조절판(32)이 개별 동작되어 밸브의 개폐 완료에 대한 미세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지작동유닛(30)의 세부 동작을 통해 밸브의 회전축이 회전된 상태를 안정되게 감지할 수 있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작동스위치(34)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지작동유닛(30)에서 위치조절브라켓(35)의 부가 구성을 통해 스위칭돌부에 의한 작동스위치(34)의 가압력 및 센싱버튼(34-3)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동스위치(34)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감지신호가 안정되게 발생되도록 하고, 스위칭롤러(34-4)에 의해 작동스위치(34)에서 센싱스위치(34-2)의 피벗 운동을 부드럽게 함은 물론 작동블럭(31)과 센싱스위치(34-2) 사이의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구동모터유닛(10)의 회전력을 안정되게 회전축에 전달할 수 있고, 회전축의 백레쉬를 방지하여 밸브의 개폐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표시유닛(60)을 통해 밸브의 개폐에 따른 회전축의 정역 회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밸브와 케이스유닛(40) 사이의 결합력을 안정화시키고, 동력전달유닛과 감지작동유닛(30)의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하며, 부품 간의 분해 및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유닛(20)을 통해 회전축의 정역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력의 전달 방식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고, 구동모터유닛(10)의 동작 오류에 대응하여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전원의 인가에 따라 밸브의 동작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밸브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밸브 측에서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구동모터유닛 20: 클러치유닛 30: 감지작동유닛
301: 열림위치조절볼트 302: 닫힘위치조절볼트 31: 작동블럭
311: 제1돌부 312: 제2돌부 313: 경로부
32: 제한조절판 321: 제1조절판 322: 제2조절판
33: 조절탄성부재 331: 제1탄성부재 332: 제2탄성부재
34: 작동스위치 34-1: 작동바디부 34-2: 센싱스위치
34-3: 센싱버튼 34-4: 스위칭롤러 341: 제1스위치
341-1: 제1-1스위치 341-2: 제1-2스위치 342: 제2스위치
342-1: 제2-1스위치 342-2: 제2-2스위치 35: 위치조절브라켓
35-1: 베이스홀부 35-2: 조절홀부 35-3: 제1고정부재
35-4: 제2고정부재 351: 제1조절브라켓 352: 제2조절브라켓
40: 케이스유닛 41: 바디케이스 42: 전달케이스
43: 작동케이스 431: 표시창 50: 구동제어유닛
51: 구동기판 52: 설정스위치 53: 구동컨트롤러
54: 알람부재 56: 구동표시부재 60: 개폐표시유닛
601: 표시축 61: 표시구 62: 표시케이스

Claims (7)

  1. 밸브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자동개폐기이고,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유닛;
    상기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완료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작동유닛;
    적어도 상기 동력전달유닛과 상기 감지작동유닛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와 결합되는 케이스유닛;
    상기 밸브의 개폐를 위해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 및
    상기 감지작동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감지작동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 여부를 표시하는 개폐표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작동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결합되는 작동블럭;
    상기 밸브의 개방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절판과, 밸브의 폐쇄에 대응하여 작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절판을 구비하는 제한조절판;
    상기 제1조절판에 결합되는 제1조절브라켓과, 상기 제2조절판에 결합되는 제2조절브라켓을 구비하는 위치조절브라켓;
    상기 제1조절판과 상기 제2조절판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조절탄성부재;
    상기 제1조절판을 지지하는 열림위치조절볼트와, 상기 제2조절판을 지지하는 닫힘위치조절볼트를 구비하는 위치조절볼트; 및
    상기 제1조절판과 상기 제2조절판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작동블럭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한 쌍의 작동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블럭에는, 상기 밸브의 개방 상태와 상기 밸브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여 한 쌍의 작동스위치를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스위칭돌부; 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절브라켓과 상기 제2조절브라켓에는, 상기 작동스위치의 일측에서 제1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베이스홀부와, 작동스위치의 타측에서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조절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자동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구동전원과 상기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동기판;
    상기 구동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구동기판의 사용환경을 세팅하는 설정스위치;
    상기 구동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구동전원과 상기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정역 회전 여부와 상기 회전축의 정지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컨트롤러; 및
    상기 구동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개폐신호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키는 알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자동개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재는,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진행중일 때와,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완료될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표출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진행중일 때와, 상기 밸브의 개폐 동작이 완료될 때 중 다른 하나의 경우,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속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자동개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유닛에 구비된 구동축에 결합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휠기어;
    상기 웜휠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볼너트;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너트를 파지하는 파지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자동개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에서 회전력의 전달 여부를 선택하는 클러치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자동개폐기.
  7. 밸브; 및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밸브가 개폐되도록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밸브자동개폐기가 포함된 밸브개폐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개폐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모터구동밸브;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밸브시스템.
KR1020190053763A 2019-05-08 2019-05-08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 KR10212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63A KR102122062B1 (ko) 2019-05-08 2019-05-08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63A KR102122062B1 (ko) 2019-05-08 2019-05-08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062B1 true KR102122062B1 (ko) 2020-06-11

Family

ID=7107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763A KR102122062B1 (ko) 2019-05-08 2019-05-08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0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058A (ko) * 2021-09-02 2023-03-09 한수민 캠 스위치 방식의 밸브위치 확인장치
KR102530647B1 (ko) 2022-07-25 2023-05-10 주식회사 이앤아이비 밸브 긴급 차단 장치
KR20230115742A (ko) * 2022-01-27 2023-08-03 한수민 밸브의 개폐상태 확인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325B1 (ko) * 2010-12-03 2011-06-01 안영식 감속기에 장착된 밸브의 개폐상태 표시장치
KR200460015Y1 (ko) * 2009-12-15 2012-04-26 주식회사 정도기계 밸브 개폐 감지 일체형 기어박스
KR101412647B1 (ko) 2012-05-24 2014-06-26 (주)비이이 밸브스템 동작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모터구동밸브
KR101607843B1 (ko) * 2015-08-14 2016-03-31 주식회사제이디 자동개폐밸브의 리미트스위치장치
KR101607840B1 (ko) * 2015-08-14 2016-03-31 주식회사제이디 스카치 요크 구조의 자동 개폐 밸브
KR20180000438U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대기공업 밸브 개폐 감지 기어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15Y1 (ko) * 2009-12-15 2012-04-26 주식회사 정도기계 밸브 개폐 감지 일체형 기어박스
KR101038325B1 (ko) * 2010-12-03 2011-06-01 안영식 감속기에 장착된 밸브의 개폐상태 표시장치
KR101412647B1 (ko) 2012-05-24 2014-06-26 (주)비이이 밸브스템 동작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모터구동밸브
KR101607843B1 (ko) * 2015-08-14 2016-03-31 주식회사제이디 자동개폐밸브의 리미트스위치장치
KR101607840B1 (ko) * 2015-08-14 2016-03-31 주식회사제이디 스카치 요크 구조의 자동 개폐 밸브
KR20180000438U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대기공업 밸브 개폐 감지 기어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058A (ko) * 2021-09-02 2023-03-09 한수민 캠 스위치 방식의 밸브위치 확인장치
KR102554962B1 (ko) * 2021-09-02 2023-07-11 한수민 캠 스위치 방식의 밸브위치 확인장치
KR20230115742A (ko) * 2022-01-27 2023-08-03 한수민 밸브의 개폐상태 확인장치
KR102655142B1 (ko) * 2022-01-27 2024-04-04 한수민 밸브의 개폐상태 확인장치
KR102530647B1 (ko) 2022-07-25 2023-05-10 주식회사 이앤아이비 밸브 긴급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062B1 (ko) 밸브자동개폐기와 이것이 구비된 모터구동밸브시스템
KR101621731B1 (ko) 밸브 구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
CA2626845C (en) Device for monitoring motion of a movable closure
US7845426B2 (en) Actuation apparatus for power tool
EP2500139B1 (en) Pneumatic ratchet wrench with a pneumatically actuated reversing device
ITRM970249A1 (it) Dispositivo di azionamento per l'impianto di climatizzazione di un autoveicolo
US20160186867A1 (en) Motorized Fluid Flow Control Valve
KR200216868Y1 (ko) 전동 볼밸브
US7466099B2 (en) Multi-mode manipulator arm and drive system
KR101740337B1 (ko) 무선으로 정밀한 유량제어가 가능한 전동 볼 밸브
KR102228823B1 (ko) 릴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복원 기능를 갖는 액추에이터
KR20060097869A (ko) 밸브 구동장치
US4902945A (en) Electrical control for hydraulic valves
KR100870439B1 (ko) 비관통형 방수스위치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KR101479736B1 (ko) 전동 볼 밸브 구동장치
CN108779874B (zh) 阀开启和关闭系统及阀控制装置
JP4892747B2 (ja) 機器制御装置
CN213117688U (zh) 一种动作易识别的气动执行器
KR100952057B1 (ko) 온도 조절밸브
EP3955086A1 (en) Rotary press control structure and smart radiator thermostat
KR100839142B1 (ko) 슬립타입 영점조절장치
KR200289566Y1 (ko) 차량 공조스위치
JP2008120200A (ja)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ル装置
AU2006315071B2 (en) Device for monitoring motion of a movable closure
KR200327595Y1 (ko) 볼밸브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