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053B1 -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053B1
KR102122053B1 KR1020180059945A KR20180059945A KR102122053B1 KR 102122053 B1 KR102122053 B1 KR 102122053B1 KR 1020180059945 A KR1020180059945 A KR 1020180059945A KR 20180059945 A KR20180059945 A KR 20180059945A KR 102122053 B1 KR102122053 B1 KR 102122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dule
water quality
wavelengt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85A (ko
Inventor
김준형
이영배
강태형
박규하
정윤석
위일남
오진경
박인철
Original Assignee
지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0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Specific anions i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01N2021/3148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using three or more wavelengt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대상 시료가 시약에 반응하여 담긴 시료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용기 수용홈에 수용된 시료용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시료용기를 투과하여 광섬유를 통해 수신된 광을 파장별로 분광시키는 분광모듈과,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와, 본체에 마련되며 수질측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수질측정 항목에 대응되는 파장의 광검출부에서의 수신 광량으로부터 측정값을 산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에 의하면, 현장에서의 측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된 측정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potable wate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수질관련 항목에 대해 측정을 지원하며 휴대가 가능한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식(가두리양식 및 육상양식)은 양식품목이 점차 다양해지고, 안정적인 양식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양식어장의 확대는 국가적으로 저가의 수산물을 공급하는 등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반면,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연안의 수질오염 및 해양생태계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양식어장과 연안 해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질의 변화 상태를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에 의한 양식은 크게 육상 수조 양식과 해상 가두리 양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상 가두리 양식은 바다의 넓은 공간에 그물 등으로 양식 대상 생물을 가두어 기르는 방식이고, 육상 수조양식은 육상의 수조에 양식 대상 생물을 옮겨 서식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양식하는 방식이다.
해상 가두리 양식장의 경우 양식 사료 예를 들면, 물고기용 먹이 또는 전복용 해초, 양식대상 생물의 배설물 및 사체에서 발생하는 질소 및 인으로 인한 부영양화가 심각하다. 또한, 가두리 양식장 하단 저질 층은 무산소 층을 형성하여 침전물의 혐기성 반응에 의한 황화 수소 유독가스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영양화된 저질 층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이 수중의 용존산소를 고갈시키거나 매우 낮은 농도로 만들어 다른 저서동물의 산소섭취를 어렵게 함으로써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육상 수조 양식장의 경우 해수를 끌어올려 양식하는 방법으로서 적조나 빈산소수괴와 같은 오염된 해수를 공급시 1차적인 양식생물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양식 사료 및 양식대상의 배설물로 인한 수질 오염으로 2차적인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양식장 주변의 수질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지속 가능한 양식어업 생산을 위해 양식장 및 주변 해양수질의 이화학적 수질평가와 오염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75928호에는 지시약을 반응시켜 육안으로 수질을 측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지시약에 반응한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방식은 주관적 판단에 의해 측정 결과가 왜곡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측정 정밀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는 측정대상 시료가 시약에 반응하여 담긴 시료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용기 수용홈에 수용된 시료용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시료용기를 투과하여 광섬유를 통해 수신된 광을 파장별로 분광시키는 분광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수질측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수질측정 항목에 대응되는 파장의 상기 광검출부에서의 수신 광량으로부터 측정값을 산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는 산도(pH), 암모니아(NH3), 암모늄(NH4 +),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에 대해 측정을 지시하는 키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610 nm 내지 62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1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478 nm 내지 482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2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580 nm 내지 65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3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515 nm 내지 53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4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530 nm 내지 57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5광검출모듈;를 구비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산도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1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산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암모니아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2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암모니아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암모늄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3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암모늄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아질산성 질소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4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아질산성 질소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질산성 질소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5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질산성 질소 농도를 산출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 수용홈에 수용된 시료용기를 외부에 대해 차폐시킬 수 있게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에 의하면, 현장에서의 측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된 측정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료용기로부터 본체 내에 내장된 분광모듈을 통해 수질정보를 획득하는 광경로를 개략적으로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료용기로부터 본체 내에 내장된 분광모듈을 통해 수질정보를 획득하는 광경로를 개략적으로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10)는 본체(20), 조작부(25), 표시부(27), 산출부(28), 통신부(29), 덮개(30), 광원(40), 분광모듈(100), 광검출부(150)를 구비한다.
본체(20)는 측정대상 시료가 시약에 반응하여 담긴 시료용기(200)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2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광원(40), 분광모듈(100), 배터리(미도시), 산출부(28)를 포함하는 구동요소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참조부호 24는 배터리의 충전 및 외부 전자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단자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본체(20)의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되게 용기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용기 수용홈(21)과 함께 조작부(25), 표시부(27)도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5)는 본체(20)의 상면에 마련되어 수질측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25)는 산도(pH), 암모니아(NH3), 암모늄(NH4 +),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에 대해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을 지시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다수의 키(25a)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7)는 산출부(28)에 제어되며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통신부(29)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산출부(28)에 제공하고, 산출부(28)에 제어되어 송출대상 정보를 외부의 수신주소로 송출되게 처리한다.
통신부(29)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미도시)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통신부(29)는 등록된 서버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산출부(28)에 제어되어 측정정보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산출부(28)는 조작부(25)에 의해 설정된 측정항목을 측정하도록 광원(40)을 구동하고, 광검출부(150)에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표시부(27)에 표시되게 처리한다.
이 경우 산출부(28)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부(29)를 통해 요청된 측정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산출부(28)의 더욱 상세한 처리과정은 후술한다.
덮개(30)는 본체(20)의 용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시료용기(200)를 외부에 대해 차폐시킬 수 있게 본체(20)에 노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시료용기(200)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광원(40)은 본체(20)의 용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시료용기(200)를 투과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본체(20) 내에 장착되어 있다.
광원(40)은 일 예로서, 400 내지 410 nm의 파장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것을 적용한다.
광섬유(50)는 일단이 본체(20)의 용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시료용기(200)를 기준으로 광원(40)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광원(40)에서 조사된 후 시료용기(200)로부터 반응하여 방출되는 광을 입사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광섬유(50)의 타단은 분광모듈(100)의 반사격벽(121)을 향해 광을 출사할 수 있게 분광모듈(100)의 광 진입면(112)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분광모듈(100)은 시료용기(200)로부터 광섬유(50)의 타단을 통해 입사된 광을 수신하여 파장별로 분광시킨다.
분광모듈(100)은 하부판(110), 상부판(130), 회절격자(140)를 구비한다.
하부판(110)은 사각판 형상의 실리콘 웨이퍼를 식각공정을 통해 반사격벽(121) 및 내부공간(113)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판(110)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식각하여 상부가 열린 내부공간(113)을 갖되 광섬유(50)의 타단이 결합되는 광 진입면(112)에 대해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광섬유(50)로부터 출사된 광을 광 진입면(112)과 직교하는 제1측면(114)을 향하여 반사시키되 호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113)을 광도파공간(113a)과 메인 보조공간(113b)으로 분할하는 반사격벽(121)이 광 진입면(112)에 대향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광도파공간(113a)은 후술되는 상부판(13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속이빈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판(110)의 광 진입면(112)을 기준으로 반사격벽(121)보다 더 멀리 위치하는 종단면(115)과 반사격벽(121) 사이에 하부로 인입되게 형성된 메인 보조공간(113b)은 후술되는 상부판(13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 충진공간으로 이용된다.
또한, 하부판(110)에는 제1측면(114)과 광 진입면(112) 사이와, 제1측면(114)과 대향되는 제2측면(116)과 광 진입면(112) 사이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브 보조공간(124)을 형성하는 보조격벽(123)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보조공간(124)도 후술되는 상부판(13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 충진공간으로 이용된다.
반사격벽(121)의 광섬유(50)와 대향되는 표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121a)이 코팅되어 있다.
반사층(121a)은 반사격벽(121)에 Ti로 1차 코팅하고, 금(Au)으로 2차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반사층(121a)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의소재로만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10)의 바닥면에도 반사층(1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판(130)은 하부판(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13)의 상부를 외부에 대해 폐쇄한다.
상부판(130)은 유리소재 또는 실리콘 웨이퍼로 제작되면 되고, 저면에는 앞서 반사격벽(121)에 적용한 방식으로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판(130)의 저면에 Ti로 1차 코팅하고, 금으로 2차 코팅하여 반사층을 형성하거나, 금(Au), 은(Ag),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반사층을 형성하면 된다.
회절격자(140)는 하부판(110)의 제1측면(114)에 장착되어 반사격벽(12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제1측면(114)에 대향되는 제2측면(116)으로 회절시켜 출사한다.
회절격자(140)는 광의 파장에 따른 회절각이 연속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격자 간격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광검출부(150)는 하부판(110)의 제2측면(116)에 설치되어 회절격자(140)를 통해 분광된 광을 파장별로 분리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광검출부(150)는 앞서 설명된 측정항목에 해당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검출하도록 다수의 광검출 소자가 어레이되어 구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검출부(150)는 검출대상 파장에 대응되게 광을 검출하는 제1 내지 제5광검출모듈(151 내지 155)을 구비한다.
제1광검출모듈(151)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610 nm 내지 62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광검출모듈(151)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62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2광검출모듈(152)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478 nm 내지 482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광검출모듈(152)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48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3광검출모듈(153)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580 nm 내지 65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광검출모듈(153)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64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4광검출모듈(154)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515 nm 내지 53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4광검출모듈(154)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525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5광검출모듈(155)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530 nm 내지 57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5광검출모듈(155)은 분광모듈(100)에서 분광된 55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수신된 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광검출모듈(151 내지 155)은 회절격자(140)의 파장별 분광경로에 대응되게 제2측면(116)에 광검출 소자로 어레이되어 배치되면 되고, 상호 다른 측정항목에 대해 중첩되는 파장이 있는 경우 해당 광검출 소자의 출력을 해당 측정항목에 대해 상호 공유하도록 구축되면 된다.
산출부(28)는 조작부(25)에 의해 선택된 수질측정 항목에 대응되는 파장의 광검출부(150)에서의 수신 광량으로부터 측정값을 산출하여 표시부(27)에 표시한다.
산출부(28)는 조작부(25)로부터 산도 측정키가 설정되면, 제1광검출모듈(151)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산도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28)는 조작부(25)로부터 암모니아 측정키가 설정되면, 제2광검출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암모니아 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28)는 조작부(25)로부터 암모늄 측정키가 설정되면, 제3광검출모듈(153)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암모늄 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28)는 조작부(25)로부터 아질산성 질소 측정키가 설정되면, 제4광검출모듈(154)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아질산성 질소 농도를 산출하고, 조작부(25)로부터 질산성 질소 측정키가 설정되면, 제5광검출모듈(155)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질산성 질소 농도를 산출한다.
산출부(28)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의 측정범위는 일예로서, 산도(pH)의 측정범위는 pH4.5 ~ pH9이고, 암모니아(NH3)는 측정범위 0.0 ~ 2.4 ppm이며, 암모늄(NH4 +)의 측정범위는 0.0 ~ 10.0 ppm이고, 아질산성 질소(NO2 --N)의 측정범위는 0.01 ~ 1.8 ppm이고, 질산성 질소(NO3 --N)의 측정범위는 0.12 ~ 30.0 ppm로 적용될 수 있다.
산출부(28)에는 측정항목에 대응되는 광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농도값이 측정항목에 대응되게 실험에 의해 구하여 기록된 룩업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즉, 산도(pH)의 값에 따라 610 내지 620 nm 파장의 광량이 달라지고, 이러한 광량 변화값에 대응되는 값으로부터 산도를 산출하도록 산출부(28)의 룩업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암모니아(NH3), 암모늄(NH4 +),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된 파장에서의 광량이 달라지고, 이를 실험에 의해 구한 광검출값이 산출부(28)의 룩업테이블에 기록되면 된다.
한편, 산도(pH) 측정용 시약으로는 WAK-pH(Kyoritsu chemical-Check lab), 암모니아 측정용 시약으로는 Nessler's solution(Aldrich), 암모늄 측정용 시약으로는 WAK-NH4 +(Kyoritsu chemical-Check lab), 아질산성 질소 측정용 시약으로는 VACUettes, K-7004D(CHEMetrics), 질산성 질소 측정용 시약으로는 WAK-NO3 -(Kyoritsu chemical-Check lab)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에 의하면, 현장에서의 다수의 수질관련 측정항목에 대해 측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된 측정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20: 본체 25: 조작부
27: 표시부 28: 산출부
29: 통신부 30: 덮개
40: 광원 50: 광섬유
100: 분광모듈 150: 광검출부

Claims (4)

  1. 삭제
  2. 측정대상 시료가 시약에 반응하여 담긴 시료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용기 수용홈에 수용된 시료용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시료용기를 투과하여 광섬유를 통해 수신된 광을 파장별로 분광시키는 분광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수질측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수질측정 항목에 대응되는 파장의 상기 광검출부에서의 수신 광량으로부터 측정값을 산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산도(pH), 암모니아(NH3), 암모늄(NH4 +), 아질산성 질소(NO2 --N), 질산성 질소(NO3 --N)에 대해 측정을 지시하는 키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610 nm 내지 62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1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478 nm 내지 482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2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580 nm 내지 65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3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515 nm 내지 53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4광검출모듈과;
    상기 분광모듈에서 분광된 530 nm 내지 570 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제5광검출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산도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1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산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암모니아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2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암모니아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암모늄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3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암모늄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아질산성 질소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4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아질산성 질소 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질산성 질소 측정키가 설정되면, 상기 제5광검출모듈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질산성 질소 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 수용홈에 수용된 시료용기를 외부에대해 차폐시킬 수 있게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광모듈은
    실리콘 웨이퍼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식각하여 상부가 열린 내부공간을 갖되 상기 광섬유가 결합되는 광 진입면에 대해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광 진입면과 직교하는 제1측면을 향하여 반사시키되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광도파공간과 메인 보조공간으로 분할하는 반사격벽이 상기 광 진입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기 제1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반사격벽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2측면으로 회절시켜 출사하는 회절격자와;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외부에 대해 폐쇄하는 상부판;을 구비하고,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하부판의 상기 제2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절격자를 통해 분광된 광을 검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KR1020180059945A 2018-05-25 2018-05-25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KR10212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45A KR102122053B1 (ko) 2018-05-25 2018-05-25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45A KR102122053B1 (ko) 2018-05-25 2018-05-25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85A KR20190134385A (ko) 2019-12-04
KR102122053B1 true KR102122053B1 (ko) 2020-06-11

Family

ID=6900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945A KR102122053B1 (ko) 2018-05-25 2018-05-25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334B1 (ko) 2020-07-31 2020-12-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oT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수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4100724A4 (en) * 2021-04-13 2023-12-13 Rynan Technologies Pte. Ltd. SPECTROPHOTOMETRI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N AQUACULTURE TAN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276A (ja) * 2004-09-30 2006-04-13 Optex Co Ltd 水質測定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試料容器
KR100775928B1 (ko) 2007-01-31 2007-11-13 한국과학기술원 수질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질측정방법
JP6202135B2 (ja) 2016-05-06 2017-09-27 栗田工業株式会社 水質管理装置
KR101823096B1 (ko) * 2016-05-30 2018-01-30 지오씨 주식회사 평판형 분광 모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276A (ja) * 2004-09-30 2006-04-13 Optex Co Ltd 水質測定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試料容器
KR100775928B1 (ko) 2007-01-31 2007-11-13 한국과학기술원 수질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질측정방법
JP6202135B2 (ja) 2016-05-06 2017-09-27 栗田工業株式会社 水質管理装置
KR101823096B1 (ko) * 2016-05-30 2018-01-30 지오씨 주식회사 평판형 분광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334B1 (ko) 2020-07-31 2020-12-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oT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수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4100724A4 (en) * 2021-04-13 2023-12-13 Rynan Technologies Pte. Ltd. SPECTROPHOTOMETRI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N AQUACULTURE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85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Review of dissolved oxygen detection technology: From laboratory analysis to online intelligent detection
Bacon et al. Miniature spectroscopic instrumentation: applications to biology and chemistry
O'Toole et al. Absorbance based light emitting diode optical sensors and sensing devices
Cuartero et al. In situ detection of macronutrients and chloride in seawater by submersible electrochemical sensors
KR102122053B1 (ko) 포터블 수질 측정장치
CN102803933B (zh) 荧光计的校准方法
Staudinger et al. A versatile optode system for oxygen, carbon dioxide, and pH measurements in seawater with integrated battery and logger
Atamanchuk et al. Performance of a lifetime‐based optode for measuring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in natural waters
US20190064062A1 (en)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Dissolved Gases in Liquid
KR20170138297A (ko) 양식장의 수질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oren et al. Optode based chemical imaging—possibilities, challenges, and new avenues in multidimensional optical sensing
Daly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sensors for time-series research: Current status and new directions
Adornato et al. High-resolution in situ analysis of nitrate and phosphate in the oligotrophic ocean
Fritzsche et al. A validation and comparison study of new, compact, versatile optodes for oxygen, pH and carbon dioxide in marine environments
Shaghaghi et al. Doxy: dissolved oxygen monitoring
US10794883B2 (en) Colorimetric detection of aluminum in an aqueous sample
Needoba et al.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aquatic primary production and net ecosystem metabolism using in situ dissolved oxygen sensors
Tamburri et al. Alliance for coastal technologies: advancing moored pCO2 instruments in coastal waters
ES2665790A1 (es) Dispositivo microfluídico portátil para detectar nitrito-nitrato
L'Hégaret et al. Ocean cross-validated observations from R/Vs L'Atalante, Maria S. Merian, and Meteor and related platforms as part of the EUREC 4 A-OA/ATOMIC campaign
CN116947196A (zh) 基于数字化的高级氧化工业废水处理系统
RU124393U1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флуориметр с погружаемым измерительным модулем
Jakobsen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chemical water quality in closed-loop hydroponics
Klingler et al. Simultaneous Infrared Spectroscopy, Raman Spectroscopy, and Luminescence Sensing: A Multispectroscopic Analytical Platform
Zhu et al. Rapid automatic detection of water Ca, Mg elements using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