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867B1 -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867B1
KR102121867B1 KR1020190083327A KR20190083327A KR102121867B1 KR 102121867 B1 KR102121867 B1 KR 102121867B1 KR 1020190083327 A KR1020190083327 A KR 1020190083327A KR 20190083327 A KR20190083327 A KR 20190083327A KR 102121867 B1 KR102121867 B1 KR 10212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band microwave
central portion
wave
blocking structure
broad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국
유정훈
박진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8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24Polarising devices; Polarisation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1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for modifying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of an a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 표면상에 삽입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Membrane structure for blocking broadband microwa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파 차단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밀리미터 단위의 파장을 갖는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광대역 성능을 보이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사된 마이크로파의 반사 경로를 제어하여 파원으로 돌아가는 반사파를 최소화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대의 각종 산업들이 전자 장치에 기반을 두고 발전하면서, 전자기파의 제어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전자기파 차단 기술은 구조물로 입사된 전자기파를 파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로, 전자기파의 흡수나 특정 방향으로의 반사를 통해 구현된다. 이러한 성능은 유전체 재료 및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특수 복합재를 제작하여 구현되거나, 해당 재료들의 단위 구조를 기반으로 한 패턴화된 구조를 통해 구현된다.
마이크로파 차단 성능은 구조물의 크기에 큰 영향을 받는데, 이는 대상 주파수의 파장과 관련이 있다. 비교적 긴 파장의 전자기파의 차단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크기 증가를 야기하며 이는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대상 주파수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구조물로도 전자기파의 차단 기능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자기파 차단 구조물은 특정 주파수에 성능이 특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넓은 주파수 대역에 전자기파 차단 성능을 보이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크기를 수시로 변화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크기를 바꾸지 않더라도 작동 주파수 대역을 넓히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는 일반적으로 전파흡수재료(RAM, Radar Absorbing Material)나 전파흡수구조(RAS, Radar Absorbing Structure)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파흡수재료 및 전파흡수구조의 구현을 위해서는 전자기파의 소멸을 위한 특수 복합재의 개발이 우선되며, 해당 기술들은 특정 주파수에 전자기파 차단 기능이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주파수의 변화를 위해서는 특수 복합재의 재개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개발된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성능의 유지를 위해 구조물의 크기 변화가 요구된다.
또한, 전파산란구조(RSS, Radar Scattering Structure)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유전체 재료의 형태적 구성을 통해 전자기파의 차폐기능을 구현한 것으로 복합재의 개발이 필요하지 않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해당 기술 역시 작동 주파수가 특정 주파수로 제한되어 있으며 대상 주파수의 조절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크기 변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01769호(등록일자: 2014.05.23)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52365호(등록일자: 2014.10.22)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705973호(등록일자: 2017.02.13)
1. Cheng-Xun Yuan, Zhong-Xiang Zhou, Jingwen W. Zhang, Xiao-Li Xiang, Yue Feng, and Hong-Guo Sun, "Properties of propagation of electromagnetic wave in a multilayer radar-absorbing structure with plasma- and radar-absorbing material", IEEE Transactions on plasma science, vol. 39, no. 9, 2011.9.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위 배경기술에 기술된 것과는 달리 특정 주파수가 아닌 일정 폭의 대역에서 전자기파의 반사 경로를 제어하는 성능을 보이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 성능이 필요하면서도 구조물의 잦은 개발 및/또는 교체가 어려운 항공기 및 군사 분야의 대상 물체에 적용이 용이한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장 비율에 따라 구조물의 치수를 변환하면 여러 대역에 대해 작동이 가능하기에 보다 넓은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전파흡수재료와 대조적으로 유전체 재료 및/또는 금속 재료의 형태적 구성을 통해 전자기파 차단 성능을 구현한 반 영구적인 구조물로 관리 및 유지 측면에서 유리한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가 아닌 일정 폭의 대역에서 전자기파의 반사 경로를 제어하는 성능을 보이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 표면상에 배치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중심에는 중앙부가 형성되며, 유전체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부는 반사 회절 현상을 통해 입사된 입사파를 산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미리 설정되는 기울어진 각도로 상단면이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면에 상기 금속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와 중앙부의 폭 및 간격은 반사파의 경로 각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폭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기둥부의 단면 가로 길이이고, 상기 간격은 상기 중앙부의 원주면 표면과 상기 몸체의 내측면 사이의 빈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사파의 작동 주파수 대역은 6Hz 내지 8G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 주파수 대역은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구조물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몸체의 상단 표면상에 금속판이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물체에 입사된 파가 파원으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기파의 반사 경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파 차단막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전파흡수재료 및 전파흡수구조, 전파산란구조와 대조적으로 광대역에서 전자기파 차단 기능을 구현하므로 현실적으로 잦은 구조물의 교체와 수리가 어려운 분야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구조물의 크기를 파장에 비례하게 변화시켜 다양한 작동 주파수 대역에 적용할 수 있으며, 대상 주파수 대역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실제적인 적용에 무리가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전자기파의 차단 성능 구현을 위한 종래의 전파흡수재료와 달리 특수 복합재를 사용하지 않고 유전체 재료와 금속 재료의 형태적 구성에 의해 성능을 구현하여 재료의 변성 위험성이 적으며 관리 및 유지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레이더파의 주파수가 변화하더라도 피탐지 성능을 유지해야 하는 비행기, 미사일 등의 스텔스 기술에 응용될 것이라 기대되며, 작동 주파수 대역에 따른 피탐지 구조의 재개발이 필요가 없고, 반 영구적인 구조물로 관리 및 유지 측면에 유리하다는 측면에서 막대한 비용적 이익이 예상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의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를 I-I'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에 대해 순서대로 6GHz, 7GHz, 8GHz로 작동 주파수를 변경하였을 때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작동 주파수 대역(6~8GHz)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할 때에는 다른 부분의 전체 면(또는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가장자리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는 종래의 전파흡수재료, 전파흡수구조, 및 전파산란구조 등과는 달리 작동 주파수가 단일 주파수로 한정되지 않고 광대역에서 작동하며, 구조물의 치수 변화를 통해 다른 대역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의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파 차단막(110)은 대상 물체인 금속판(120)의 표면상에 위치하여 작용한다. 마이크로파 차단막(110)이 없을 경우 금속판(120)에 입사한 입사파(101)는 완전 반사되어 파원으로 돌아가게 되는 반면, 마이크로파 차단막(110)이 금속판(120)의 표면상에 위치할 경우 입사파(101)를 산란시켜 반사파(102)로서 파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200)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200)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진 일종의 창살 구조로서, 몸체(240), 몸체(240)의 상단 표면상에 삽입된 금속판(250), 몸체(240)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앙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부(230)는 유전체 재료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유전체 재료의 창살 구조에 따른 반사 회절 현상을 통해 입사된 입사파를 산란시킨다. 산란되지 않은 일부 파는 창살 구조의 측면에 해당하는 몸체(240)로 흘러가게 되며, 상층의 얇은 금속판(250)에 의한 경로를 따라 외부로 흘러나간다.
몸체(240)는 밑면이 닫힌 도넛 형상이고, 이 도넛 형상의 중심에 중앙부(230)가 형성된다. 중앙부(230)는 원통형상이다. 따라서, 중앙부(230)의 원주면 표면과 몸체(240)의 내측면사이에는 빈 공간(201)이 존재한다.
도 3은 도 2에서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를 I-I'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240)의 상단 표면상에 삽입된 얇은 금속판(250)은 입사된 입사파를 완전 반사시키며, 기울어진 각도로 인하여 파원이 아닌 외부로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몸체(240)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241)와 이 바닥부(241)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둥부(242)로 구성될 수 있다. 기둥부(242)는 미리 설정되는 기울어진 각도로 상단면이 형성되는 형태를 띠게 된다. 즉,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기가 감소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기울어진 각도로 인해 파원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대상 물체와 충돌 이후 생성된 반사파가 파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레이더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목표물과의 충돌에 의해 생성된 반사파로부터의 피탐지를 위한 기술에 적용 가능하며, 이는 스텔스 기술에 응용 가능하다.
기울어진 각도는 약 10°입니다. 기울어진 각도는 기둥부(242)의 외측 높이가 대상 주파수 파장의 1/10 이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유는 기둥부(242)의 높이가 대상 주파수 파장의 1/10이상이어야 중앙부(230)에서 산란되지 않은 일부파가 기둥부(242)로 흘러가게 되고, 결론적으로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둥부(242)의 외측 높이가 대상 주파수 대역 중 파장이 제일긴 6GHz의 파장인 5cm의 1/10인 5mm 보다 길게 7.5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의 기울어진 각도가 10°가 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는 실측 실험 데이터가 없으며 제시된 전기장 분포 및 주파수 특성은 모두 시뮬레이션 데이터이다.
또한, 금속판(250)의 재질로는 동박, 은박, 금박, 철, 강 등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판(250)의 두께는 약 1mm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파동의 완전 반사를 일으키기에 두께는 약 1mm가 되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판의 두께가 1mm입니다.
창살 구조의 중앙부(230)와 몸체(240)의 폭 및 창살 사이의 간격은 반사파의 경로 각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도 3에서 중앙부(230)와 몸체(240)의 기둥부(242)의 단면 가로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창살 사이는 중앙부(230)의 원주면 표면과 몸체(240)의 내측면 사이인 빈 공간(201)을 의미합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중앙부의 폭으로 약 20.92mm가 설정될 수 있으며, 몸체(240)의 기둥부(242)의 폭으로 약 23.95mm가 설정될 수 있다.
해당 길이들은 설계 민감도를 이용한 최적화 설계법을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이 길이들은 반사파의 경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그레이팅 수학식(Grating equation)에 의해 다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 Grating equation에서 θ(m)을 조정하기 위해 Λ을 다시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070763388-pat00001
여기서, navg: 공기와 구조물의 굴절률 평균, ninc: 공기의 굴절률, θinc: 입사파의 경로와 수직선 사이의 각도, λ0: 입사파의 파장, Λ: 창살 구조의 폭(중앙부 및 기둥부의 폭),
Figure 112019070763388-pat00002
: 창살 구조와 수직선 사이의 각도이다.
입사된 입사파의 상당 부분을 외부 공간으로 반사시켜 진행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대상 물체의 뒤로 굴절하게 하여 파원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한다. 몸체(240)의 기둥부(242)에는 마이크로파의 효과적인 산란을 위해 얇은 금속판(250)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는 유전체 재료로만 이루어진 창살 재료에 비해 효과적인 광대역 성능을 가져다 준다.
해당 구조의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 기둥부(242)의 상층부는 반사 회절 현상을 통해 입사된 입사파를 산란시켰고, 기둥부(242)의 하층부는 중앙부(230)로부터 흘러들어 온 파동을 회부로 흘러보내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몸체(240)의 기둥부(242)의 하층부는 그대로 유지하고, 상층부는 입사파의 외부로의 반사 역할을 확실하게 하는 금속판(250)을 배치(또는 삽입)하는 형태로 변형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구조물은 단일 주파수가 아닌 일정 폭의 대역에 대하여 작동이 가능한데, 구조물의 폭이나 높이 등의 치수에 따라 대상 대역의 변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구조물로 일정 대역에 대해 작동하는 것은 물론, 구조물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대상 주파수 대역을 낮추거나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상 주파수 대역인 6~8GHz 중 파장 길이가 가장 긴 6GHz의 파장 50mm를 기준으로 구조물의 높이가 결정된다. 즉, 구조물의 높이가 11.5mm로 6GHz의 파장 50mm의 1/4 수준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해당 구조물을 3GHz에 적용시키고 싶다면(파장의 길이가 6GHz에 비해 2배), 구조물의 높이를 23mm로 확대하면 적용 가능하다.
부연하면, 구조물의 크기를 파장에 비례하여 변화시켜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한 주파수 대역과 다른 대역에 적용 가능하며, 고유전율의 재료를 통해 보다 넓은 대역폭의 전자기파 차단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조물의 성능은 구조물에 의해 반사 경로가 제어된 마이크로파의 전기장 분포를 통해 확인하거나 파원에서의 입사파에 대한 반사파의 비율을 나타내는 S 파라미터의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에 대해 순서대로 6GHz, 7GHz, 8GHz로 작동 주파수를 변경하였을 때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실험 분포도이다. 부연하면, 도 4는 6GHz로 작동 주파수를 변경하였을 때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실험 분포도이고, 도 5는 7GHz로 작동 주파수를 변경하였을 때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실험 분포도이고, 도 6은 8GHz로 작동 주파수를 변경하였을 때의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 실험 분포도이다. 즉,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에 대한 전기장 분포를 나타낸다. 차단막은 대상 물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파원의 역할을 하는 포트(400)로부터 발생된 파를 산란시키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주파수 대역인 6~8GHz에 대하여 산란 효과가 뛰어남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작동 주파수 대역(6~8GHz)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즉 마이크로파 차단막이 없는 경우(710) 및 마이크로파 차단막이 있는 경우(720)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한다. 작동 주파수 대역인 6~8GHz에 대하여 S 파라미터의 값을 보여준다. S 파라미터는 반사 계수로 낮은 값일수록 파원으로 반사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10dB의 값은 10%의 반사율을 의미한다. 해당 그래프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이 작동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반사율을 전반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200: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230: 중앙부
240: 몸체
250: 금속판

Claims (12)

  1.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에 있어서,
    몸체(240); 및
    상기 몸체(240)의 상단 표면상에 배치되는 금속판(25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240)의 중심에는 중앙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230)의 재료는 유전체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40)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230)는 반사 회절 현상을 통해 입사된 입사파를 산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40)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241) 및 상기 바닥부(241)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둥부(2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242)는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미리 설정되는 기울어진 각도로 상단면이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면에 상기 금속판(25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242)와 중앙부(230)의 폭 및 간격은 반사파의 경로 각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은 상기 중앙부(230)와 상기 기둥부(242)의 단면 가로 길이이고, 상기 간격은 상기 중앙부(230)의 원주면 표면과 상기 몸체(240)의 내측면 사이의 빈 공간(2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파의 작동 주파수 대역은 6Hz 내지 8G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주파수 대역은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구조물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12.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몸체(240)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몸체(240)의 상단 표면상에 금속판(250)이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40)의 중심에는 중앙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230)의 재료는 유전체 재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의 제조 방법.
KR1020190083327A 2019-07-10 2019-07-10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1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327A KR102121867B1 (ko) 2019-07-10 2019-07-10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327A KR102121867B1 (ko) 2019-07-10 2019-07-10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67B1 true KR102121867B1 (ko) 2020-06-11

Family

ID=7107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327A KR102121867B1 (ko) 2019-07-10 2019-07-10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8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5485A (ja) * 2006-11-27 2008-06-12 Taika:Kk 電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1769B1 (ko) 2013-06-18 2014-05-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편광각 의존형 다중 밴드 전자기파 흡수체
KR101452365B1 (ko) 2014-08-01 2014-10-22 국방과학연구소 낙뢰보호기능을 갖는 전자기파 흡수장치
KR20160126113A (ko) * 2015-04-22 2016-1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체 전자기파 차폐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5485A (ja) * 2006-11-27 2008-06-12 Taika:Kk 電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1769B1 (ko) 2013-06-18 2014-05-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편광각 의존형 다중 밴드 전자기파 흡수체
KR101452365B1 (ko) 2014-08-01 2014-10-22 국방과학연구소 낙뢰보호기능을 갖는 전자기파 흡수장치
KR20160126113A (ko) * 2015-04-22 2016-1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체 전자기파 차폐막
KR101705973B1 (ko) 2015-04-22 2017-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전체 전자기파 차폐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Cheng-Xun Yuan, Zhong-Xiang Zhou, Jingwen W. Zhang, Xiao-Li Xiang, Yue Feng, and Hong-Guo Sun, "Properties of propagation of electromagnetic wave in a multilayer radar-absorbing structure with plasma- and radar-absorbing material", IEEE Transactions on plasma science, vol. 39, no. 9, 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1929B (zh) 一种红外、激光和微波低可探测性兼容的亚波长结构材料
US8330640B2 (en) Termination of edges of a parabolic reflector in a compact range
KR101265921B1 (ko) 집적 안테나의 레이더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0871352B2 (en) Metasurface device for cloaking and related applications
US7940204B1 (en) Absorber assembly for an anechoic chamber
Moosazadeh et al. Development of the antipodal Vivaldi antenna for detection of cracks inside concrete members
US20180226724A1 (en) Sheet-type metamaterial and sheet-type lens
Orazbayev et al. Soret fishnet metalens antenna
Memeletzoglou et al. Holey metasurface prism for the reduction of the dispersion of gap waveguide leaky-wave antennas
Long et al. RCS reduction and gain enhancement based on holographic metasurface and PRS
KR102121867B1 (ko) 광대역 마이크로파 차단막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US9854720B2 (en) Electromagnetic wave shileding dielectric film
Ren et al. Leaky wave antenna based on periodically truncated SSPP waveguide
Gustafsson RCS reduction of integrated antenna arrays and radomes with resistive sheets
US7471255B2 (en) Antenna with reduced interference
Kuznetcov et al. Half-annular leaky-wave antenna with suppressed open stopband: Design and experimental testing
RU2678937C1 (ru) Сверхширокополосное поглощающее покрытие
Grinev et al.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Frequency-Selective Structures for Reducing the Scattering Properties of a Phased Antenna Array
Sengupta et al. Properties of microwave and optical 2-D periodic leaky wave antennas
Wiltse Diffraction optics for terahertz waves
Yeo et al. Novel tapered AMC structures for backscattered RCS reduction
Fang et al. New electromagnetic absorbers composed of left-handed and right-handed materials
İşcan et al. GUI-Based Dielectric Elliptical Cylinder Parameters Optimization for Front Echo Reduction in Pulse Scattering Analysis
Öziş et al. Design of a metalens for correcting the phase distortions of a hemispheric dielectric radome in the ka band
Shiryaev et al. Approximate Equations for the Reflection Coefficient from a Homogeneous Quarter-Wavelength Radar Absorbing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