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143B1 - 튜브 펜슬 - Google Patents

튜브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143B1
KR102121143B1 KR1020190023828A KR20190023828A KR102121143B1 KR 102121143 B1 KR102121143 B1 KR 102121143B1 KR 1020190023828 A KR1020190023828 A KR 1020190023828A KR 20190023828 A KR20190023828 A KR 20190023828A KR 102121143 B1 KR102121143 B1 KR 10212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otrusion
groove
top cas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민
Original Assignee
최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민 filed Critical 최재민
Priority to KR102019002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6Tubular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0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4Nib holders with retractable nib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 심을 보호하는 튜브가 회전되면서 먼저 나온 후, 이어서 심이 튜브를 통해 나오게 함으로써, 튜브에 의해 심이 사용 중 부러지는 것과, 휘어지는 것이 예방되게 하여, 심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입구가 막히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여서 제품의 사용성과 신뢰성이 향상되게 하는 튜브 펜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 펜슬{TUBE PENCIL}
본 발명은 튜브 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시 심을 보호하는 튜브가 회전되면서 먼저 나온 후, 이어서 심이 튜브를 통해 나오게 함으로써, 튜브에 의해 심이 사용 중 부러지는 것과, 휘어지는 것이 예방되게 하여, 심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입구가 막히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여서 제품의 사용성과 신뢰성이 향상되게 하는 튜브 펜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슬에는 눈을 크고 뚜렷하게 보이게 하는 아이라이너가 대표적인 제품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88507(2016년12월22일 공고)에는 펜슬 내부에 스프링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캡 홀더를 열고, 닫을 때 자동으로 심이 나오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외부로 나오는 심이 손상됨을 예방되게는 하나, 심이 외부로 나올 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부러지거나 또는 휨이 발생되어 입구가 막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계속해서 사용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시 심을 보호하는 튜브가 회전되면서 먼저 나온 후, 이어서 심이 튜브를 통해 나오게 함으로써, 튜브에 의해 심이 사용 중 부러지는 것과, 휘어지는 것이 예방되게 하여, 심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입구가 막히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여서 제품의 사용성과 신뢰성이 향상되게 하는 튜브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튜브 펜슬은 캡이 결합, 분리되는 탑케이스와, 바디의 내부에 봉 형상의 심이 내장되고, 탑케이스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심이 이동가이드에 의해 탑케이스의 외부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되는 펜슬에 있어서,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심이 이동하게 되는 튜브와, 튜브 하단에 설치되어 승, 하강하게 되는 튜브엘리베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바디는 내부에 원기둥의 홈이 형성된 하부홈과, 하부에서 이동가이드의 하부가 걸려 회전되지 않게 사방의 내면에 돌출 되는 하부고정돌기와, 하부고정돌기의 상측면이 튜브를 지지하게 되는 홀더걸림턱과, 홀더걸림턱 위에서 내측면으로 단이 형성되어 튜브엘리베이터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하부걸림턱과, 튜브 측면으로 돌출 되는 볼록돌기와, 상부에 상기 캡이 결합되는 캡결합부로 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는 하부가 하부고정돌기에 삽입되게 양측으로 돌출 되는 회전고정돌기와, 회전고정돌기 상부로 나사가 형성되는 이동나사봉과, 이동나사봉 위에서 튜브의 하부에 억지 끼움 고정되는 상부고정구로 되며; 상기 튜브는 하단에서 이동가이드의 이동나사봉이 나사 결합되며 나사결합 위에서 상부고정구가 억지끼움 되는 이동나사홈과, 튜브 하부 바깥측면으로 양측으로 돌출 되어 튜브엘리베이터 내부에 승강 가이드 되는 승강돌기와, 상부에서 심과 함께 외부로 돌출 되는 상부심커버와, 상부심커버 하부에 탑케이스 상부에서 단이 형성되는 상부걸림턱으로 되며; 상기 튜브엘리베이터는 내면에 승강돌기가 삽입되어 승강되게 나선의 홈인 승강나사홈이 형성되고, 상부로 탑케이스 하단과 삽입되어서 같이 회전되게 하는 결합돌출부로 되며; 상기 탑케이스는 하부가 바디로 삽입되어 볼록돌기에 걸리게 쐐기형으로 돌출 되는 쐐기돌기와, 쐐기돌기 하부로 결합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와, 바디에 걸림 되는 턱이 형성된 케이스걸림턱과, 탑케이스의 상단 내측면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튜브의 상부걸림턱이 상승되면서 조여 멈추게 되는 상승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돌출부는 회전시 힘을 수직으로 분산시키는 빗변이 돌출 형성되는 빗변돌기와, 결합홈부에 빗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나사홈은 상부고정구를 억지로 삽입시키거나 억지로 빼낼 수 있게 양측으로 일부 절개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펜슬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게 되는 심을 보호하는 튜브가 회전되면서 먼저 나온 후, 이어서 심이 튜브를 통해 나오게 됨으로써, 튜브에 의해 심이 사용중 부러지거나 또는 휘어져 심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입구가 막히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이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엘리베이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탑케이스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탑케이스와 튜브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태도 이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펜슬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튜브 펜슬은 바닥이 막힌 원통형상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탑케이스(150)와, 상기 탑케이스(150)를 덮어 바디(110)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캡(17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탑케이스(150)와, 바디(110)에 삽입되는 이동가이드(120)와, 상기 이동가이드(12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게 하는 튜브(130)와, 상기 튜브(130)를 고정하면서 튜브(130) 일부를 배출되게 하는 튜브엘리베이터(14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내부에 원기둥의 홈이 형성된 하부홈(111)과, 하부에서 상기 이동가이드(120)의 하부가 걸려 회전되지 않게 사방의 내면에서 돌출 되는 하부고정돌기(112)와, 상기 하부고정돌기(112)의 상측면이 튜브(130)가 더 이상 내려오지 못하게 지지하게 형성되는 홀더걸림턱(116)과, 상기 홀더걸림턱(116) 위에서 내측면으로 단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엘리베이터(14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하부걸림턱(115)과, 상기 바디(110)의 내측면에서 탑케이스(150) 외면으로 돌출 되어 조이는 동시에 탑케이스(150)의 쐐기돌기(154)에 걸림 되는 바디(110)의 볼록돌기(114)와, 상부에 상기 캡(170)이 결합되는 캡결합부(113)와, 상기 바디(110)의 내측면에서 상기 홀더걸림턱(116) 위로 상기 튜브(130) 하단의 가이드돌기(136)가 수직으로 가이드되게 수직가이드홈(117)이 구성된다.
상기 캡결합부(113)는 상부에서 돌출 되어 캡(170)의 내부면을 밀어 고정하는 캡고정돌기(113a)와, 캡바닥면을 지지하는 캡걸림턱(113b)으로 구성된다.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가이드(120)는 하부가 상기 하부고정돌기(112)에 삽입되게 양측으로 돌출 되는 회전고정돌기(123)와, 상기 회전고정돌기(123) 상부로 나사가 형성되는 이동나사봉(122)과, 상기 이동나사봉(122) 위로 튜브(130)의 하단에 빠지지 않게 걸려 고정되는 상부고정구(121)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130)는 내부에 심(190)이 보관되게 하며 이동시킬 수 있게 관체로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기 이동가이드(120)의 이동나사봉(122)이 나사 결합되는 이동나사홈(134)과, 상기 튜브(130) 하부 바깥측면으로 양측으로 돌출 되어 튜브엘리베이터(140) 내부에 승강 가이드 되는 승강돌기(131)와, 상부에서 심(190)과 함께 외부로 돌출 되는 상부심커버(132)와, 상기 상부심커버(132) 하부에 탑케이스(150) 상부에서 걸림 될 수 있게 단이 형성되는 상부걸림턱(133)과, 상기 튜브(130)의 하부에서 바디(110) 내측면의 수직가이드홈(117)으로 돌출되어서 수직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136)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나사홈(134)은 상기 상부고정구(121)의 너비보다 더 좁게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고정구(121)가 빠져나가지 않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나사홈(134)의 양측으로 일부 절개된 절개부(135)를 더 포함하여 상부고정구(121)를 억지로 삽입시키거나 억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튜브엘리베이터(140)는 도 8 도시와 같이 하면이 상기 승강돌기(131)를 내부에 삽입하여 승강시 가이드 하게 나선의 홈인 승강나사홈(141)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탑케이스(150) 하단에 삽입되어서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결합돌출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142)는 2개 한 쌍으로,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2개가 서로에 대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면서 경사지는 빗변(142a)이 형성되어 회전시 힘을 수직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상기 탑케이스(150)는 도 1 및 도 9 도시와 같이 관체로 형성되어 하부가 바디(110)로 삽입되어 볼록돌기(114)에 걸려 빠지기 어렵게 되는 쐐기형으로 외면으로 돌출 되는 쐐기돌기(154)와, 상기 쐐기돌기(154) 하부로 상기 결합돌출부(142)가 삽입되는 결합홈부(152)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110)에 걸림 되는 턱을 형성한 케이스걸림턱(151)과, 탑케이스(150)의 상단 내측면에서 튜브(130)의 상부걸림턱(133)이 걸림되게 단을 형성한 상승스토퍼(155)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결합홈부(152)는 2개 한 쌍으로,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2개가 서로에 대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벌어지면서 경사지는 빗변(152a)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걸림턱(151)과 쐐기돌기(154) 사이에 형성되는 오링(160)의 홈(153)과, 상기 오링(160)의 홈(153)에 오링(160)을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바디(110)에 이동가이드(120)를 삽입시키되 하부고정돌기(112)와 회전고정돌기(123)를 서로 맞물려 삽입하게 되면 회전을 막고 상, 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고정구(121)를 튜브(130) 하부에 억지 삽입시켜 빠지기 힘들게 되고, 상기 튜브(130) 하부에 형성된 이동나사홈(134)에 이동나사봉(122)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튜브(130) 내부로는 심(190)을 삽입시키고, 심(190) 하부로 상기 상부고정구(121)가 바닥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튜브(130) 하단 외측으로 튜브엘리베이터(140)가 결합되는데 튜브(130)의 승강돌기(131)가 튜브엘리베이터(140) 내면의 승강나사홈(141)에 삽입되어 나선가이드 되어 회전시 승강하게 된다.
상기 튜브엘리베이터(140) 하단은 바디(110)의 하부걸림턱(115)에 지지되고, 상부의 결합돌출부(142)가 탑케이스(150)의 결합홈부(152)에 결합되어 탑케이스(150)를 회전시키면 튜브엘리베이터(14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결합홈부(152)의 빗변(152a)과, 상기 결합돌출부(142)의 빗변(142a)이 서로 결합되면 회전시 힘을 수직으로 분산시켜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탑케이스(150)를 바디(110)에 삽입시키면 볼록돌기(114)에 쐐기돌기(154)가 걸림 되어 결합되고, 필요시 오링(160)을 결합하여 결합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 도시와 같이 캡(170)을 결합하거나 빼고, 도 9 도시와 같이 탑케이스(150)를 회전시키면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회전함에 의해 승강나사홈(141)을 따라서 튜브(130)의 승강돌기(131)가 회전하면서 승강되고, 도 4 도시와 같이승강돌기(131)가 튜브엘리베이터(140)에 끝부분에 도달하면 도 6 도시와 같이 수직가이드홈(117)을 따라서 가이드돌기(136)가 수직상승하게 되며 승강 된 높이만큼 튜브(130)의 상부심커버(132)가 돌출 되며, 상기 걸림턱이 상승스토퍼(155)에서 멈추고 튜브(130)의 승강이 멈추게 된다.
탑케이스(150)를 도 10 도시와 같이 계속 회전시키면, 탑케이스(150)와 튜브(130) 및 튜브엘리베이터(140)가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튜브(130) 내부의 이동나사홈(134)과 나사 체결된 이동나사봉(122)이 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심(190)을 지지하고 있는 상부고정구(121)가 위로 이동하게 되어 도 5 도시와 같이 심(190)이 위로 나오게 된다.
도 10 도시와 같이 회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역순으로 하부걸림턱(115)에 지지되는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회전하여 승강나사홈(141)에 있는 승강돌기(131)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튜브(130)가 하강하게 된다.
승강돌기(131)가 승강나사홈(141)을 따라서 아래로 하강되되, 튜브(130) 하부면이 홀더걸림턱(116)에 걸리는 동시에 승강돌기(131)가 승강나사홈(141) 최하단에서 헛돌게 된다.
a) 사용시 단계별로 설명하면,
1) 탑케이스(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 탑케이스(150)와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함께 회전되고,(탑케이스(150)의 결합홈부(152)에, 튜브엘리베이터(140)의 결합돌출부(142)가 삽입된 상태)
3)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회전됨에 따라 튜브(130)가 이동가이드(120)와 함께 수직 상승하던 튜브(130)는(승강가이드홈(117)에 삽입된 가이드돌기(136)가 수직 상승하던 상태) 상승스토퍼(155)와 닿게 되어 상승이 멈추게 된다.
4) 이러한 상태에서는 탑케이스(150), 튜브(130),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튜브(130)가 탑케이스(150)의 외부로 일부 상승하게 된다. 이때 튜브(130)는 탑케이스(150)의 외부로 2.5㎜ 상승하게 된다.
5) 단계에서 튜뷰(130)가 상승완료된 상태에서 승강돌기홈(131)이 승강나사홈(141)에 닿아서 이때부터 탑케이스(15), 튜브(130),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함께 회전되면서 심(190)을 지지하고 있던 이동가이드(120)가 이동나사봉(122)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심(190)이 상승하게 된다.
b) 사용후 단계별로 설명하면,
1) 탑케이스(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튜브(130)가 탑케이스(15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튜브(130) 외주면의 승강돌기(131)가 튜브엘리베이터(140) 내주면의 승강나사홈(141)을 따라 내려가게 된다.
2) 상기의 단계에서 튜브(130)는 바디(110)의 홀더걸림턱(116)에 의해 멈춤되어 더 이상의 하강이 멈추게 된다.
상기에 있어, 튜브(130)의 승강돌기(131)는 최 하단에서 튜브엘리베이터(140)가 바디(110)의 홀더걸림턱(116) 상부의 하부걸림턱(115)에 의해 더 이상 튜브(130)에 영향을 주지 않아, 튜브(130)는 헛돌게 된다.
상기에 있어, 튜브(130)가 맨 아래로 내려가면 튜브엘리베이터(140)는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공회전되는데, 이때 심(190)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110 : 바디 111 : 하부홈
112 : 하부고정돌기 113 : 캡결합부
113a : 캡고정돌기 113b : 캡걸림턱
114 : 볼록돌기 115 : 하부걸림턱
116 : 홀더걸림턱 117 : 수직가이드홈
120 : 이동가이드 121 : 상부고정구
122 : 이동나사봉 123 : 회전고정돌기
130 : 튜브 131 : 승강돌기
132 : 승강심커버 133 : 상부걸림턱
134 : 이동나사홈 135 : 절개부
136 : 가이드돌기 140 : 튜브엘리베이터
141 : 승강나사홈 142 : 결합돌출부
142a,152a : 빗변 150 : 탑케이스
151 : 케이스걸림턱 152 : 결합홈부
153 : 오링홈 154 : 쐐기돌기
155 : 상승스토퍼 160 : 오링
170 : 캡 190 : 심

Claims (3)

  1. 캡(170)이 결합, 분리되는 탑케이스(150)와, 바디(110)의 내부에 봉 형상의 심(190)이 내장되고, 탑케이스(1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심(190)이 이동가이드(120)에 의해 탑케이스(150)의 외부로 나오거나 들어가게 되는 펜슬에 있어서,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심(190)이 이동하게 되는 튜브(130)와, 튜브(130) 하단에 설치되어 승, 하강하게 되는 튜브엘리베이터(140)가 포함되며; 상기 바디(110)는 내부에 원기둥의 홈이 형성된 하부홈(111)과, 하부에서 이동가이드(120)의 하부가 걸려 회전되지 않게 사방의 내면에 돌출 되는 하부고정돌기(112)와, 하부고정돌기(112)의 상측면이 튜브(130)를 지지하게 되는 홀더걸림턱(116)과, 홀더걸림턱(116) 위에서 내측면으로 단이 형성되어 튜브엘리베이터(14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하부걸림턱(115)과, 튜브(130) 측면으로 돌출 되는 볼록돌기(114)와, 상부에 상기 캡(170)이 결합되는 캡결합부(113)로 되고; 상기 이동가이드(120)는 하부가 하부고정돌기(112)에 삽입되게 양측으로 돌출 되는 회전고정돌기(123)와, 회전고정돌기(123) 상부로 나사가 형성되는 이동나사봉(122)과, 이동나사봉(122) 위에서 튜브(130)의 하부에 억지 끼움 고정되는 상부고정구(121)로 되며; 상기 튜브(130)는 하단에서 이동가이드(120)의 이동나사봉(122)이 나사 결합되며 나사결합 위에서 상부고정구(121)가 억지끼움 되는 이동나사홈(134)과, 튜브(130) 하부 바깥측면으로 양측으로 돌출 되어 튜브엘리베이터(140) 내부에 승강 가이드 되는 승강돌기(131)와, 상부에서 심(190)과 함께 외부로 돌출 되는 상부심커버(132)와, 상부심커버(132) 하부에 탑케이스(150) 상부에서 단이 형성되는 상부걸림턱(133)으로 되며; 상기 튜브엘리베이터(140)는 내면에 승강돌기(131)가 삽입되어 승강되게 나선의 홈인 승강나사홈(141)이 형성되고, 상부로 탑케이스(150) 하단과 삽입되어서 같이 회전되게 하는 결합돌출부(142)로 되며; 상기 탑케이스(150)는 하부가 바디(110)로 삽입되어 볼록돌기(114)에 걸리게 쐐기형으로 돌출 되는 쐐기돌기(154)와, 쐐기돌기(154) 하부로 결합돌출부(142)가 삽입되는 결합홈부(152)와, 바디(110)에 걸림 되는 턱이 형성된 케이스걸림턱(151)과, 탑케이스(150)의 상단 내측면에서 튜브(130)의 상부걸림턱(133) 걸림되게 단으로 형성되는 상승스토퍼(15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펜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142)는 회전시 힘을 수직으로 분산시키는 빗변(14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52)에 빗변(15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펜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나사홈(134)은 상부고정구(121)를 억지로 삽입시키거나 억지로 빼낼 수 있게 양측으로 일부 절개된 절개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펜슬.
KR1020190023828A 2019-02-28 2019-02-28 튜브 펜슬 KR10212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828A KR102121143B1 (ko) 2019-02-28 2019-02-28 튜브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828A KR102121143B1 (ko) 2019-02-28 2019-02-28 튜브 펜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143B1 true KR102121143B1 (ko) 2020-06-09

Family

ID=7108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828A KR102121143B1 (ko) 2019-02-28 2019-02-28 튜브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1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27B1 (ko) * 2002-04-29 2005-05-03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KR20110013619A (ko) * 2009-08-03 2011-02-10 허윤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
KR20110052415A (ko) * 2009-11-10 2011-05-18 손승환 초크 홀더
KR20160004312U (ko) * 2015-06-08 2016-12-16 차용환 회동식 인출이 가능한 색연필
KR20170044280A (ko) * 2015-10-15 2017-04-25 주식회사 모리스 자동밀폐 구조를 구비한 필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27B1 (ko) * 2002-04-29 2005-05-03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KR20110013619A (ko) * 2009-08-03 2011-02-10 허윤 밀폐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
KR20110052415A (ko) * 2009-11-10 2011-05-18 손승환 초크 홀더
KR20160004312U (ko) * 2015-06-08 2016-12-16 차용환 회동식 인출이 가능한 색연필
KR20170044280A (ko) * 2015-10-15 2017-04-25 주식회사 모리스 자동밀폐 구조를 구비한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2979A (ko) 스틱형 내용물 용기
JP2017519537A (ja) 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KR102368145B1 (ko)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200495563Y1 (ko) 스틱용기
KR102121143B1 (ko) 튜브 펜슬
CN112105275A (zh) 化妆品容器
KR101328457B1 (ko)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6929384B2 (ja) 口紅容器
KR102195469B1 (ko)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20160081277A (ko)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80111365A (ko) 디스펜서 펌프
KR102470902B1 (ko) 친환경 화장품 드로퍼
KR102297218B1 (ko) 화장품 용기
JP2016044401A (ja) ブラインドの操作コード用止め具
KR102429266B1 (ko) 화장품 드로퍼
KR200485580Y1 (ko) 리필 기능을 갖는 당구 쵸크
KR20220046220A (ko) 화장품 드로퍼
KR102423215B1 (ko) 오토 화장품 드로퍼
KR200473406Y1 (ko) 부탄가스 용기 어댑터
EP4159938A1 (en) Movable frame
KR200261283Y1 (ko) 평판형모니터 지지구
KR200329812Y1 (ko) 바람막이 양초케이스
JP2019100044A (ja) 排水栓装置
KR102069540B1 (ko) 압력솥용 비복귀식 안전밸브
CN218164864U (zh) 一种高度可调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