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979B1 - Displacement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same - Google Patents
Displacement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0979B1 KR102120979B1 KR1020190162684A KR20190162684A KR102120979B1 KR 102120979 B1 KR102120979 B1 KR 102120979B1 KR 1020190162684 A KR1020190162684 A KR 1020190162684A KR 20190162684 A KR20190162684 A KR 20190162684A KR 102120979 B1 KR102120979 B1 KR 1021209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member
- displacement
- bridge
- guide
- bridge b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축방향과 교직방향, 상하방향 모두에 대해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변위가 이루어진 실제 변위 내역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isplacement amount in both the axial direction, the bridge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track the actual displacement history of the displacement. And a bridge bearing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상부구조에서 받는 힘을 하부구조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경계에 지지장치인 받침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받침은 기능적으로 보아서 교량을 고정하는 지점(고정점)에 설치하는 고정받침과 하부구조에 대한 상부구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지점(가동점)에 설치하는 가동받침으로 대별되며, 가동받침은 좌, 우로만 가동하는 일방향 받침과 좌, 우, 종, 횡으로 가동하는 양방향 받침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transmit the force received from the superstructure to the substructure, a support device, which is a support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bstructure, and the support is installed at a point (fixed point) for fixing the bridge functionally. It is divided into movable supports installed at the points (moving points) that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super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s and the substructures. The movable supports are unidirectional supports that operate only to the left and right, and to the left, right, longitudinal, and transverse. There is a movable bi-directional bearing.
이들 가운데 가동받침은 상판 구조물인 강재나 콘크리트의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 등에 의한 교량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 종류로는 금속받침, 고무받침 등이 있다.Among them, the movable support is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the movement of bridges due to temperature changes, dry shrinkage, creep, etc. of steel or concrete, which is a top plate structure, and includes metal supports and rubber supports.
상기와 같은 가동받침은 여러 외적 조건(온도변화나 진동)에 따라 교량의 상부 구조가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드는 등 교량의 이동(신축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이 가동받침도 종,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movable support as described above moves (stretching) the bridge, such a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various external conditions (temperature change or vibration), and accordingly, the movable support also move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s done.
즉, 받침의 하단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단은 교량의 상부구조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가 신축함에 따라 받침의 상단이 이동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moves a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expands and contracts.
이와 같은 교량의 신축량은 교량의 안전점검 시 점검대상이 되며, 이 신축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에 측정계를 설치하여 사용한다.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such a bridge is subject to inspection during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bridge, and to measu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 measuring system is installed on the base to use.
이와 관련하여 도 1에는 측정계가 교량받침(2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측정계는 눈금이 인쇄된 측정판(11)과 상기 측정판(11)에 인쇄된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침(14)이 몸체(13)의 상단에 형성된 지시계(12)로 이루어지며, 측정판(11)에 인쇄된 눈금을 지시하는 측정침(19)을 구비한다.In this regard,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a measuring system is installed on the bridge bearing 20. Here, the measuring system consists of a
상기와 같이 교량받침에 측정계가 설치되면 기후조건, 교통량 등에 의해 교량의 상판이 신축되어 교량받침(20)의 상부 플레이트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측정판(11)이 함께 움직인다. 이에 따라 지시계(12)의 지시침(14)이 측정판(11)에 인쇄된 눈금의 중앙부분을 지시하던 상태가 변하게 되어 눈금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을 지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측정구(18)도 지시침(14)에 의해 그 위치가 변하게 된다.When the measurement system is installed on the bridge suppo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p plate of the bridge is newly constructed due to climatic conditions, traffic, etc., the
이후 받침(20)의 상측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 지시침(14)은 다시 눈금의 중앙을 지시하게 되나, 측정구(18)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외측으로 이동된 지점에 있게 되며, 이 위치에서 측정구(18)의 측정침(19)이 지시하는 눈금을 읽은 값이 교량이 신축되는 최대의 값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량의 점검시 상기 측정구(18)의 측정침(19)이 지시하는 눈금의 값을 읽어 기록한 후, 측정구(18)를 인위적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Thereafter, when the upper side of the
그러나,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교축방향이나 교직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 교축방향과 교직방향, 상하방향 모두를 동시에 측정할 수 없고, 변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추적하기도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measure the displacement amount in only one of the throttle direction and the weft direction, and it is not possible to measure both the throttle direction, the wef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at the same time, and also tracking how displacement is achiev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축방향과 교직방향, 상하방향 모두에 대해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변위가 이루어진 실제 변위 내역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displacement in both the throttle direction, the weaving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actual displacement history of displacement. It is to provide a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and a bridge bearing having the same to enable track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로서, 상기 교량받침의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된 지침부재와, 상기 교량받침의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함께 변위되면서 상기 지침부재를 상측에서 덮어주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침부재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교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첨예하게 형성된 제1지침자를 구비하는 제1지침부재와, 상기 제1지침부재와 교차하여 교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첨예하게 형성된 제2지침자를 구비하는 제2지침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측에서 떨어지는 오수나 빗물이 상기 지침부재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상면과 측면을 차단하여 둘러싸며,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제1지침자의 상대 변위량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전면창과,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제2지침자의 상대 변위량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좌측과 우측에 각각 측면창을 구비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a guide member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a lower plate of the bridge bearing, and an upper plate of the bridge bearing It is made of a cover member that is coupled to and displaced together to cover the guide member from the upper side, and the guide member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and is elongated in the crossing direction but is sharply formed at the front end. It is composed of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that is installed long in the throttle direction and intersects the first guide member, and has a second guide member sharply formed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respectively. , Surrounding the top and side by blocking the sewage or rainwater falling from the upper side does not reach the guide member, the front window and the cover member so that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indicator relative to the cover member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It is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a side window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so that the relative displacement amount of the second guideline with respect to the outsid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전면창과 측면창에는 각각 수평방향 변위량과 수직방향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십자형 눈금이 표시되며, 각각의 창에 표시된 상기 십자형 눈금의 교차점을 해당방향의 각 지침자가 상대 변위되기 전 지시하는 기준점으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in the front window and the side window, a cross-shaped scale for measuring a horizontal displacement amount and a vertical displacement amount is displayed, respectively, and an indicator of each cross-shaped scale displayed in each window is indicated before each indicator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relatively displaced. It can be characterized as using as a reference point.
또한, 상기 제1지침부재에는 교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침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홀을 관통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받침의 상부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커버부재가 교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2지침부재가 상기 커버부재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guide member is provided with a slide hole formed in the throttle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s installed to be slidable in the throttle direction through the slide hole, so that the cover member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bearing is provided. When displaced in the throttle direction, the second guide member may be characterized by sliding along the cover member in the throttle direction.
또한, 상기 제2지침부재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지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지침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guide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member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guide member, and the sliding hole of the second gu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in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jection is formed to guide the stably made.
또한, 상기 제1지침부재는 상기 제1지침자를 구비한 전단부가 제1지침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전면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창에 의해 밀리면서 후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guide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having the first gu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ron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dy of the first guide member, and is pushed by the front window of the cover member. It can be characterized by making it possible to retreat.
또한, 상기 제2지침부재는 제2지침자를 각각 구비한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제2지침부재의 본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창에 의해 밀리면서 후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spring while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each having the second guide member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of the second guide memb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tract while being pushed by the side window of the cover member.
또한, 강재를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1지침자 및 제2지침자가 아크릴을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전면창과 측면창을 긁으면서 변위궤적을 남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s made of a steel material may be characterized by leaving a displacement trajectory while scratching the front and side windows made of acrylic.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교량받침은 전술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ridg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the bridge suppo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은 교축방향과 교직방향, 상하방향 모두에 대해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변위가 이루어진 실제 변위 내역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다.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idge bearing having the same can measure displacement in both the throttle direction, the weaving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track the actual displacement history of displac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사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에서 지침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에서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에서 제1지침부재와 제2지침부재 간 교차부위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의 제1지침부재에서 제1지침자의 진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의 제1지침부재에서 제1지침자의 진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의 제2지침부재에서 제2지침자의 진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에서 교축, 교직 및 상하방향 변위 시 제1지침자와 제2지침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rojectio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member in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in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oss section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n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forward/backward structure of the first guide in the first guide member of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guide in the first guide member of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forward/backward structure of the second guide in the second guide member of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when the displacement, gauge and displac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ridge bearing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can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actual one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in scale than actual ones in order to underst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사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에서 지침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에서 커버부재의 사시도이다. 1 is a use state diagram of a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rojectio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splacement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member in a gauge,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member in a displacement amount ga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100)는 상기 교량받침(10)의 하부플레이트(12)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제1지침부재(110)와 제2지침부재(120)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지침부재와, 상기 지침부재를 교량받침(10)의 하부플레이트(12)에 연결 및 지지해주는 지지부재(130)와, 상기 교량받침(10)의 상부플레이트(11)에 결합되어 함께 변위되면서 상기 지침부재를 상측에서 덮어주는 커버부재(140)를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본 발명은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교축방향과 교직방향, 상하방향 모두에 대해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변위가 이루어진 실제 변위 내역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splacement amount to be measured in both the throttle direction, the wef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by these main component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rack the actual displacement history of the displacement.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용 게이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gauge for a bridge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먼저, 상기 제1지침부재(110)와 제2지침부재(120)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지침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guide member formed by crossing the
상기 지침부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재(130)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2)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교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첨예하게 형성된 제1지침자(111)를 구비하는 제1지침부재(110)와, 상기 제1지침부재(110)와 교차하여 교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서 각각 첨예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지침자(121)를 구비하는 제2지침부재(120)로 이루어진다. The guide member is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상기 제1지침부재(110)는 본체 중간에 교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홀(112)을 구비하여 제2지침부재(120)가 상기 슬라이드홀(112)을 관통한 상태에서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홀(112) 내벽에는 도 6과 같이 제2지침부재(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20a)에 대응하여 인입된 상태에서 제2지침부재(120)의 슬라이딩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12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12a)는 슬라이드홀(112) 내벽에서 상면과 하면에 대칭된 형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제1지침부재(110)는 전단부에서 제1지침자(111)가 진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지침자(111)를 구비한 전단부가 제1지침부재(110)의 본체에 형성된 전면 삽입홈(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설치된 제1스프링(113)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따라 교량받침(10)의 중간지지체(13) 위에 설치된 상부플레이트(11)가 교직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1지침자(111)가 커버부재(140)의 전면창(141)에 의해 밀리면서 후퇴하게 된다. The
이처럼 제1지침자(111)가 진퇴 가능하도록 한 구성에서 주목할 점은 강재를 소재로 이루어진 제1지침자(111)가 아크릴을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40)의 전면창(141)에 대하여 계속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부플레이트(11)의 교축방향 변위와 상하방향 변위 시 변위궤적을 지속적으로 남기게 된다는 점이다. 이로써, 교량받침(10)의 하부플레이트(12)에 대한 상부플레이트(11)의 교축방향 변위와 상하방향 변위 내역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지침부재(110)의 슬라이드홀(112)에 제2지침부재(120)가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고, 전면 삽입홈(114)에 제1지침자(111)가 진퇴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지침부재(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본체(110a)와 제2본체(110b)로 이분할되어 제작된 후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지침자(111)를 구비하는 제1지침부재(110)의 전단부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보다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교직방향 변위량이 많은 경우에 유용하다. He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상기 제2지침부재(120)는 제1지침부재(110)의 슬라이드홀(112)을 관통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받침(10)의 상부플레이트(11)와 함께 커버부재(140)가 교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커버부재(140)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지침부재(120)의 상면과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0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0a)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드홀(112)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2a)와 작용하면서 제2지침부재(120)가 제1지침부재(110)의 슬라이드홀(112)을 관통한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슬라이딩되도록 기여한다. The
상기 제2지침부재(120)는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제2지침자(121)를 구비한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진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제2지침자(121)를 구비한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제2지침부재(120)의 본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4)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설치된 제2스프링(123)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따라 교량받침(10)의 상부플레이트(11)가 교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제2지침자(121)가 커버부재(140)의 측면창(142)에 의해 밀리면서 후퇴하게 된다. The
이처럼 좌측과 우측의 제2지침자(121)가 진퇴 가능하도록 한 구성에서 주목할 점은 강재를 소재로 이루어진 제2지침자(121)가 아크릴을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40)의 측면창(142)에 대하여 계속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부플레이트(11)의 교직방향 변위와 상하방향 변위 시 변위궤적을 지속적으로 남기게 된다는 점이다. 이로써, 교량받침(10)의 하부플레이트(12)에 대한 상부플레이트(11)의 교직방향 변위와 상하방향 변위 내역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onfiguration, the
상기 지지부재(130)는 제1지침부재(110)를 교량받침(10)의 하부플레이트(12)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30)는 교량받침(10)의 하부플레이트(12) 측면 또는 둘레부 상면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131)와, 상기 수평 지지부(131)와 제1지침부재(110)의 하면을 연결하여 수직 지지부(132)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하지만, 상기 지지부재(130)는 교량받침(10)의 하부플레이트(12)에 대하여 상기 제1지침부재(110)를 지지하는 역할에만 충실하면서 가능하면 단순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정 형태나 소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상기 커버부재(14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교량받침(10)의 상부플레이트(11) 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구조물에서 떨어지는 오수나 빗물이 강재 소재로 이루어진 지침부재를 부식시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과 함께 제1지침부재(110)에 대하여 제2지침부재(120)를 교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지침부재의 상면과 측면을 차단하여 둘러싼 형태를 가지며, 커버부재(140)에 대한 제1지침자(111)의 상대 변위량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전면창(141)과, 커버부재(140)에 대한 제2지침자(121)의 상대 변위량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측면창(142)을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한다. The
상기 전면창(141) 및 좌측과 우측의 측면창(142)에는 각각 수평방향 변위량과 수직방향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십자형 눈금(141a,141b,142a,142b)이 표시된다. 이로써 각각의 창에 표시된 십자형 눈금(141a,141b,142a,142b)의 교차점을 해당방향의 각 지침자가 상대 변위되기 전 지시하는 초기 기준점으로 삼는다. 상기 전면창(141) 및 측면창(142)은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이면서 첨예한 강재에 의해 쉽게 긁힌 자극이 나타나는 아크릴이나 그와 유사한 특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강재를 소재로 이루어진 제1지침자(111) 및 제2지침자(121)에 의해 긁히면서 변위궤적을 남길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위량 게이지(100)의 경우 전면창(141)과 좌측 및 우측의 측면창(142)을 통해 제1지침자(111)와 제2지침자(121)를 바라보면서 도 10에 예시된 것처럼 최초 세팅 상태(a)에서 교축방향 변위(b), 교축 및 교직방향 변위(c), 교축, 교직 및 상하방향 변위(d) 등 모든 방향의 변위에 대해 변위량 측정 및 변위 추적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제1지침부재 111 : 제1지침자
120 : 제2지침부재 121 : 제2지침자
130 : 지지부재 140 : 커버부재110: first guide member 111: first guide
120: second guide member 121: second guide
130: support member 140: cover member
Claims (8)
상기 교량받침의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된 지침부재와, 상기 교량받침의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함께 변위되면서 상기 지침부재를 상측에서 덮어주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침부재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교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첨예하게 형성된 제1지침자를 구비하는 제1지침부재와, 상기 제1지침부재와 교차하여 교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각각 첨예하게 형성된 제2지침자를 구비하는 제2지침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측에서 떨어지는 오수나 빗물이 상기 지침부재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상면과 측면을 차단하여 둘러싸며,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제1지침자의 상대 변위량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전면창과,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제2지침자의 상대 변위량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좌측과 우측에 각각 측면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As a displacement gauge for bridge bearings,
It consists of a guide member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of the bridge support,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support and displaced together to cover the guide member from above,
The guide member,
It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and is formed long in the crossing direction, but has a first guide member having a first guide sharply formed at the front end, and is installed long in the throttl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guide member and left side It consists of a second guide member having a second guide each sharply formed at the right end,
The cover member is surrounded by block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to prevent the sewage or rainwater falling from the upper side from reaching the guide member, and a front window to allow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guider relative to the cover member to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each having side window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second guider relative to the cover member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상기 전면창과 측면창에는 각각 수평방향 변위량과 수직방향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십자형 눈금이 표시되며, 각각의 창에 표시된 상기 십자형 눈금의 교차점을 해당방향의 각 지침자가 상대 변위되기 전 지시하는 기준점으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According to claim 1,
Cross-scale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isplac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displayed on the front window and the side window, respectively, and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cross-shaped scale displayed on each window is a reference point for instructing each indicator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efore relative displacement. Displacement gauge for the bridge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지침부재에는 교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침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홀을 관통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받침의 상부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커버부재가 교축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2지침부재가 상기 커버부재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uide member is provided with a slide hole formed in the throttling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throttling direction through the slide hole, so that the cover member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bearing is throttled. A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uide member slides in the throttle direction along the cover member when it is displaced to.
상기 제2지침부재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지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지침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According to claim 3,
A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member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guide member, and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econd guide member is stable on the inner wall of the slide hole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Displacement gauge for the bridge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jection is formed to guide to be made.
상기 제1지침부재는 상기 제1지침자를 구비한 전단부가 제1지침부재의 본체에 형성된 전면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창에 의해 밀리면서 후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guide member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while being pushed by the front window of the cover member while the front end having the first gu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ron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dy of the first guide member. A displacement amou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possible.
상기 제2지침부재는 제2지침자를 각각 구비한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제2지침부재의 본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창에 의해 밀리면서 후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guide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econd spring while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each having a second guide member,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of the second guide member. Displaceme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tracted while being pushed by the side window of the member.
강재를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1지침자 및 제2지침자가 아크릴을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전면창과 측면창을 긁으면서 변위궤적을 남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The method of claim 6,
A displacement gauge for a bridge bea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guides made of steel material leave a displacement trajectory while scratching the front and side windows made of acrylic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684A KR102120979B1 (en) | 2019-12-09 | 2019-12-09 | Displacement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684A KR102120979B1 (en) | 2019-12-09 | 2019-12-09 | Displacement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0979B1 true KR102120979B1 (en) | 2020-06-10 |
Family
ID=7108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2684A KR102120979B1 (en) | 2019-12-09 | 2019-12-09 | Displacement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0979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677B1 (en) * | 2020-07-15 | 2021-02-24 | 부국테크(주) | the Device for Measurement of Displacement of Bridge Bearing Pads |
KR102316890B1 (en) * | 2020-12-30 | 2021-10-26 | 주식회사 큐빅스 |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
KR102393919B1 (en) * | 2021-06-14 | 2022-05-03 | (주)현대기술개발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of bridge support |
KR102405255B1 (en) * | 2021-11-03 | 2022-06-07 | 씨에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ctangularity of beam |
KR102413792B1 (en) * | 2022-05-20 | 2022-06-29 | 대경산업(주) | Shear Key for Railway Bridges With Negative Reaction Force, Anti-Bridge and Measurement Displacement |
KR102590906B1 (en) * | 2023-05-02 | 2023-10-19 |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 Bridge displacement tracking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0347A (en) | 1999-10-13 | 2000-01-15 | 배석동 | Measuring instrument of bearing support |
JP2003227544A (en) * | 2002-02-01 | 2003-08-15 | Toyo Tire & Rubber Co Ltd | Vibration control device |
KR20040024717A (en) * | 2002-09-16 | 2004-03-22 | 배석동 | Elasticity Measuring Instrument of Bridge |
KR101960415B1 (en) * | 2017-12-13 | 2019-03-20 | 서울시설공단 | Bridge behavior monitoring device by tracking displacement trajectory |
KR102014325B1 (en) * | 2019-01-28 | 2019-10-21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Bridge supporting apparatus with displacement measurement memb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2684A patent/KR1021209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0347A (en) | 1999-10-13 | 2000-01-15 | 배석동 | Measuring instrument of bearing support |
JP2003227544A (en) * | 2002-02-01 | 2003-08-15 | Toyo Tire & Rubber Co Ltd | Vibration control device |
KR20040024717A (en) * | 2002-09-16 | 2004-03-22 | 배석동 | Elasticity Measuring Instrument of Bridge |
KR101960415B1 (en) * | 2017-12-13 | 2019-03-20 | 서울시설공단 | Bridge behavior monitoring device by tracking displacement trajectory |
KR102014325B1 (en) * | 2019-01-28 | 2019-10-21 |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 Bridge supporting apparatus with displacement measurement memb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677B1 (en) * | 2020-07-15 | 2021-02-24 | 부국테크(주) | the Device for Measurement of Displacement of Bridge Bearing Pads |
KR102316890B1 (en) * | 2020-12-30 | 2021-10-26 | 주식회사 큐빅스 |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
KR102393919B1 (en) * | 2021-06-14 | 2022-05-03 | (주)현대기술개발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of bridge support |
KR102405255B1 (en) * | 2021-11-03 | 2022-06-07 | 씨에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ctangularity of beam |
KR102413792B1 (en) * | 2022-05-20 | 2022-06-29 | 대경산업(주) | Shear Key for Railway Bridges With Negative Reaction Force, Anti-Bridge and Measurement Displacement |
KR102590906B1 (en) * | 2023-05-02 | 2023-10-19 |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 Bridge displacement track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0979B1 (en) | Displacement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same | |
KR101618229B1 (en) |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the same | |
JP4537443B2 (en) | AFM probe with variable stiffness | |
CN107850429B (en) | Instrument for measuring deviation from reference axis | |
JP2010536019A (en) | Surveying staff | |
KR102275453B1 (en) | Displacement checking device of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equipped with it | |
KR20190024875A (en) | Compensatory mechanical test system | |
KR101818486B1 (en) | Three dimensions displacement measuring instrument in flexible behavior part for safety test of construction | |
KR20000000347A (en) | Measuring instrument of bearing support | |
US3374545A (en) | Camber gauge | |
DE202016004348U1 (en) | Device for measuring structural changes via a variable path to e.g. building surfaces | |
RU2158899C1 (en) | Test structure for calibration of scanning sounding microscope | |
CN204788167U (en) | Assistant measuring device | |
DE102008000105A1 (en) | Object coordinate measuring device, has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vertically moved along vertical guide rail fixed to crossbeam, and vertical guide rail and optical axis for mounting guide plane in which measuring line is arranged | |
Standing et al. | 18 Measuring techniques and their accuracy | |
ES2217414T3 (en) | DEVICE FOR MEASURING SHORT ACTION IN THE NUCLEUS OF A SANDWICH STRUCTURE. | |
SE453779B (en) | METHOD POINT SENSOR FOR A LENGTH Saturator | |
JP2005172536A (en) | Knuckle measuring device | |
KR102365210B1 (en) | Magnifying crack gauge | |
KR102547365B1 (en) | Edge distance measuring device for bridge safety inspection | |
US313290A (en) | Pendulum-lev el | |
Ciddor et al. | A 70-metre laser interferometer for the calibration of survey tapes and EDM equipment | |
US1001845A (en) | Range-finder. | |
KR20240017734A (en) | Measurement magnifying type crack gauge | |
Kovačič et al. |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structures in the measurement of displace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