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834B1 - 친환경 변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834B1
KR102120834B1 KR1020190078020A KR20190078020A KR102120834B1 KR 102120834 B1 KR102120834 B1 KR 102120834B1 KR 1020190078020 A KR1020190078020 A KR 1020190078020A KR 20190078020 A KR20190078020 A KR 20190078020A KR 102120834 B1 KR102120834 B1 KR 10212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efecation
bowel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정
김승종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메코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메코닉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메코닉
Priority to KR102019007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834B1/ko
Priority to CN201910732895.0A priority patent/CN11213748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3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having means for adding powder, e.g. ear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4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from human faecal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변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배변 활동시 착석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내측에 천연유기물을 담도록 공간부를 구비하며,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변부; 상기 배변부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배변 활동시 배변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때 상기 천연유기물을 배변과 함께 배출되도록 상기 천연유기물을 배출홀로 유동시켜 공급하는 유동부; 상기 배변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변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홀을 통해 천연유기물과 함께 배출되는 배변을 포집하는 포집공간을 구비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변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포집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유동부를 상기 배변부의 회전과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유동부 작동유닛; 상기 포지부를 지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유동부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하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변기 {Eco-friendly toilet}
본 발명은 친환경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톱밥과 같은 유기물을 사용자의 배변과 혼합한 후에 천연 퇴비로 변환할 수 있는 친환경 변기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으로 수자원 고갈 우려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정부 차원에서 시민들에게 물을 절약하여 사용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수자원 절약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해결책이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고 있다.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화장실의 수세식 변기에서 소비되는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거나 아예 물을 사용하지 않는 무수(無水) 변기도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하는 세척 과정을 거치지 않고 분뇨를 단순 보관 후 일정량 이상의 분뇨가 모이면 폐기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악취 및 부패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분뇨를 건조하는 방식 중에서 자연 건조를 이용하거나 변기와 연결된 소각로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자연 건조의 경우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소각로 이용의 경우 고온 처리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910324호(2018.10.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배변을 천연 유기물과 혼합하여 천연 퇴비를 생산하여 배출함으로써 수자원을 절약하도록 한 친환경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배변 활동시 착석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내측에 천연유기물을 담도록 공간부를 구비하며,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변부; 상기 배변부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배변 활동시 배변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때 상기 천연유기물을 배변과 함께 배출되도록 상기 천연유기물을 배출홀로 유동시켜 공급하는 유동부; 상기 배변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변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홀을 통해 천연유기물과 함께 배출되는 배변을 포집하는 포집공간을 구비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변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포집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유동부를 상기 배변부의 회전과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유동부 작동유닛; 상기 포지부를 지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유동부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부는, 배변활동을 위해 사용자가 안착하고, 중앙부에 배변홀을 갖는 안착시트; 내측에 천연유기물이 담기는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안착시트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안착시트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 중앙에 사용자의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변비 바디; 상기 안착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시트의 상부를 덮어서 상기 배변홀을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변기 바디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담기는 천연유기물을 휘저어서 사용자의 배변과 함께 상기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유동팬; 상기 배출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유동팬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홀로 배변이 배출될 때, 상기 유동팬에 의해 휘저어지는 천연유기물을 상기 배출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배변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포집 하우징; 상기 하부 포집 하우징의 상부를 덮어서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포집 하우징; 상기 포집 공간에 포집되는 천연유기물과 혼합된 배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부 포집 하우징에 형성되는 배출홀과, 상기 하부 포집 하우징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출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성하는 배변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 작동유닛은, 상기 포집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링 형상으로 내치와 외치를 구비하는 구동기어; 상기 포집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변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포집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기어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푸쉬용 래칫부;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을 증가시켜 상기 유동부가 상기 배변부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종동기어부; 상기 종동기어부와 상기 유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종동기어부에서 증가되는 회전속도로 상기 유동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의 내측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내주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의 중심과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와 함께 회전하며, 제1유성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유성기어; 상기 제2유성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유동부의 하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선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갖도록 지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변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동부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베이스; 상기 상부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배변부를 상기 상부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배변부 회전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천연유기물을 별도로 저장하여 상기 배변부의 공간부로 상기 천연유기물을 공급하는 유기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 공급부는, 상기 천연유기물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유기물 수용본체; 상기 유기물 수용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기물 수용본체에 담긴 천연유기물을 상기 배변부의 공간부로 공급하는 유기물 공급부재; 사용자가 배변부를 회전시킬 때 연동되어 상기 유기물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공급부재 작동유닛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재 작동유닛은, 상기 배변부의 외측에 설정된 각도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어치를 갖는 공급부 작동기어부; 상기 공급부 작동기어부에 치합되고, 상기 배변부의 회전시 상기 배변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윗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기어치를 구비하는 하부 클러치기어; 상기 하부 클러치기어의 기어치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기어치를 밑면에 구비하며, 상기 하부 클러치기어가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회전시에만 상기 하측 클러치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 클러치기어; 상기 상부 클러치기어의 외주에 치합되어 상기 상부 클러치기어의 회전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기물 공급부재의 회전중심에 동축상에 고정되어 상기 유기물 공급부재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공급부재 회전기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재 작동유닛은, 상기 상부 클러치기어를 하부 클러치기어 쪽으로 가압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그 중앙부가 유기물 수용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부 클러치기어와 하부 클러치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클러치기어와 하부 클러치기어의 치합을 조절하는 시프트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배변을 물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 유기물과 혼합하여 천연 퇴비로 생산한 후에 배출함으로써 물을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급수시설과 배관시설이 필요치 않으므로 설비비용을 절감하면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분뇨를 천연 퇴비로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친환경 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친환경 변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배변부, 포집부, 베이스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포집부, 유동부, 베이스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유동부와 유동부 작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유동부 작동유닛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배변부와 유기물 공급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배변부와 유기물 공급부재 및 공급부재 작동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저부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먼저, 친환경 변기에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부분인 배변부의 배변 시트가 있는 부분을 상단부라 하고,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의 하부를 하단부라 칭하기로 한다. 착석 시트에 앉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정면이 향하는 부분을 전방이라 하고, 사용자의 후방을 후방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친환경 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친환경 변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배변부, 포집부, 베이스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포집부, 유동부, 베이스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유동부와 유동부 작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유동부 작동유닛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변기(1)는, 배변부(10)와, 유동팬(21)와, 포집부(30)와, 유동부 작동유닛(40)과, 베이스부(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배변부(10)는 사용자가 배변 활동을 위해 착석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베이스부(4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안착 시트(11)와, 암레스트(13)와, 커버부재(15), 변기 바디(1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안착 시트(11)는 후술하는 변기 바디(17)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결합하며, 배변 활동시 대변이 후술하는 변기 바디(17)의 공간부(17a)로 들어가도록 하는 배변홀(11a)을 형성한다. 즉, 안착 시트(11)의 배변홀(11a)은 상하로 관통시켜 형성한다.
암레스트(13)는 배변홀(11a)의 양측으로 안착 시트의 윗면에 구성하여 안착 시트(11)에 앉은 사용자가 배변활동시 배변부(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때 팔을 걸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커버부재(15)는 안착시트(11)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후방 쪽에서 안착시트(11)의 윗면에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커버부재(15)는 안착시트(1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웠을 때, 하단을 안착시트(11)의 윗면에 힌지 결합하고, 회전시켜 수평상태로 할 때 안착시트(11)의 배변홀(11a)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변기 바디(17)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부(17a)를 갖는 용기 형태로 안착시트(11)의 밑면에 결합되어 안착시트(11)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변기 바디(17)는 중앙부에 대변을 천연유기물과 함께 배출시키도록 후술하는 가이드 호퍼(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변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홀을 구비한다.
여기서, 천연유기물은 자연 상태에서 부패 가능하여 퇴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채용 가능하며 예로서 톱밥을 사용한다.
유동부(20)는 배변 바디(17)의 공간부(17a)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배변이 배변부(10)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때, 배변부(10)의 천연유기물을 배변과 함께 배출되도록 천연유기물을 유동시켜 배출홀로 공급하는 것으로, 유동팬(21)과, 가이드 호퍼(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유동팬(21)은 공간부(17a)에 담기는 천연유기물을 휘저어서 사용자의 배변과 함께 배출홀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술하는 유동부 작동유닛(40)에 의해 배변부(10)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유동팬(21)은 후술하는 가이드 호퍼(23)의 외주에 고정되어 가이드 호퍼(23)와 함께 회전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로 구성한다.
가이드 호퍼(23)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유동부 작동유닛(40)에 결합되어 변기 바디(17)보다 빠르게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배변을 천연유기물과 함께 후술하는 포집부(30)로 배출시키도록 변기 바디(17)의 배출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이드 호퍼(23)는 천연물과 혼합된 배변(이하 '혼합 배변'이라 한다)이 용이하게 가이드 호퍼(23)의 중앙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경사부를 상단부에 구비한다. 여기서, 혼합 배변을 퇴비라 칭할 수 있다.
가이드 호퍼(23)는 내측에 후술하는 유동부 작동유닛(4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 결합부는 가이드 호퍼(23)의 내측 중심에 마련되는 결합홀을 갖는 결합보스(23b)로 구성된다.
이 결합부는 가이드 호퍼(23)의 내주면에 스크류 날개(23c)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스크류 날개(23c)는 가이드 호퍼(23)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가이드 호퍼(23)의 내측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 배변을 신속하게 하강시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집부(30)는 변기 바디(17)의 하부에 결합되어 변기 바디(17)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이드 호퍼(23)의 내측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 배변을 포집하는 포집공간(35)을 갖는 것으로, 하부 포집 하우징(31)과, 상부 포집 하우징(33)과, 배변 배출부(3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하부 포집 하우징(31)은 상부가 개구되는 넓은 용기 형태로 형성되도록 원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정높이의 측면부를 결합한 형성된다.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종동기어부(45)의 회전축(45d)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다.
상부 포집 하우징(33)은 하부가 개구되는 넓은 용기 형태로 원판부재의 가장자리에 하측으로 일정높이의 측면부를 결합하여 형성한다. 즉, 상부 포집 하우징(33)은 하부 포집 하우징(31)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 포집 하우징(33)과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측면부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혼합 배변을 포집하는 포집공간(35)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부 포집 하우징(33)은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상부를 덮어 하부 포집 하우징(31)과 결합됨으로써 내측에 포집공간(35)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 포집 하우징(33)은 중앙에 가이드 호퍼(23)에서 배출되는 혼합배변을 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 호퍼(23)의 내측과 연통되는 연통홀(33a)을 구비한다. 연통홀(33a)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덮개(33b)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덮개(33b)는 별도의 슬라이딩 수단(미도시)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은 덮개(33b)를 직선 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수단은 덮개(33b)의 하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와,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에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 부재와, 스크류 부재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수단은 덮개(33b)를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덮개(33b)에는 덮개(33b)가 슬라이딩 개폐 과정에서 회전축(45d)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회피 슬릿(33c)이 덮개(33b)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배변 배출부(37)는 상부 포집 하우징(33)과 하부 포집 하우징(31) 사이의 포집공간(35)에 모이는 혼합 배변(퇴비)을 배출하는 것으로, 배출홀(37a)과, 배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배출홀(37a)은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바닥에 형성하되, 중심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한다.
배출 돌출부는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하측에서 배출홀(37a)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포집공간(35)에 포집된 혼합배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형태로 형성된다.
유동부 작동유닛(40)은 포집부(3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배변부(10)에 착석하여 배변부(10)를 회전시킬 때, 유동부(20)의 유동팬(21)을 배변부(10)보다 빠르게 회전시키는 것으로, 푸쉬용 래칫부(41)과,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부(45)과, 회전축(45d)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푸쉬용 래칫부(41)는 포집부(30)의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밑면에 결합되되 포집부(30)와 함께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구동기어(43)를 일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래칫 하우징과, 래칫(41a)과, 탄성부재와, 래칫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래칫(41a)은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밑면에 소정각도 범위에서 왕복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래칫(41a)은 후술하는 구동기어(43)의 외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돌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래칫(41a)은 전방 양단부에 각각 톱니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한다.
래칫(41a)은 구동기어(43)의 외치에 대해 톱니 형태의 돌기가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고, 래칫 고정레버에 의해 일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양단부의 돌기 중 일단부의 돌기가 구동기어(43)의 외치에 걸리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래칫(41a)의 돌기는 구동기어(43)의 외치에 걸릴 때, 포집부(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방향으로는 걸린 상태가 되고, 타방향으로는 슬립되는 상태가 되도록 일측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포집부(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41a)의 일단부의 돌기가 구동기어(43)의 외치를 가압하여 구동기어(43)를 포집부(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나, 포집부(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41a)의 일단부의 돌기가 구동기어(43)의 외치에 대해서 미끄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포집부(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구동기어(43)를 가압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면 래칫 고정레버를 작동시켜 래칫(41a)의 타단부의 돌기가 구동기어(43)의 외치에 걸리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래칫(41a)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돌기가 구동기어(43)의 외치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구동기어(43)는 포집부(30)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내면과 외면에 각각 내치와 외치가 형성되는 링기어로 구성한다.
종동기어부(45)는 구동기어(43)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배변부(10)를 회전시킬 때, 구동기어(43)의 회전을 증가시켜 유동팬(21)을 배변부(10)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1유성기어(45a)와, 제2유성기어(45b)와, 선기어(45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제1유성기어(45a)는 구동기어(43)의 내측에 끼워져 구동기어(43)의 내치에 치합되어 구동기어(4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전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한다.
제2유성기어(45b)는 제1유성기어(45a)의 하측에 구비되되, 제2유성기어(45b)의 중심축에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고 제1유성기어(45a)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유성기어(45b)는 후술하는 선기어(45c)의 외치에 치합되어 선기어(45c)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제2유성기어(45b)는 제1유성기어(45a)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유성기어(45a)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 제1유성기어(45a)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2유성기어(45b)는 제1유성기어(45a)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유성기어(45b)에 치합되는 선기어(45c)를 제1유성기어(45a)보다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기어(45c)는 후술하는 회전축(45d)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2유성기어(45b)에 치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종동기어부(45)는 사용자가 배변부(1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킬 때, 유동팬(21)을 1회 이상으로 회전시키도록 배변부(1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므로, 제2유성기어(45b)의 기어비를 선기어(45c)의 기어비 보다 크게 구성함으로써, 유동팬(21)의 회전수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45d)은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종동기어부(45)와 유동팬(21)을 연결하여 유동팬(21)을 증가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회전축(45d)의 상단에 유동팬(21)이 고정되고, 유동팬(21)의 하측에서 회전축(45d)에 종동기어부(45)의 선기어(45c)가 고정된다.
베이스부(50)는 배변부(10)의 하측에 마련되어 지면에 대해 배변부(10)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 베이스(51)와, 상부 베이스(52)와, 배변부 회전지지부(5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하부 베이스(51)는 지면에 지지되고, 지면과의 사이에 배출돌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변을 처리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베이스(51)는 하부가 개구되고, 상면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공간부를 구비하게 된다. 하부 베이스(51)는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베이스(52)는 하부 베이스(51)의 윗면에 그 밑면이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되며, 위쪽에 유동부 작동유닛(40)이 설치되는 공간을 갖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그릇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베이스(52)는 내측 공간이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베이스(52)는 내측공간의 바닥에서 입구까지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부 베이스(52)의 하면과 하부 베이스(51)의 상면에는 배변부(10)의 하부 포집 하우징(31)에 형성된 배출돌출부가 끼워져 하부 베이스(51)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부로 돌출되고 배변부(10)의 회전시 배출돌출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홀(54)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홀(54)은 사용자가 배변부(10)를 회전시킬 때 설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배변부(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각도의 범위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변부 회전지지부(55)는 배변부(10)를 베이스부(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롤러(55b)와, 복수의 설치브래킷(55a)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배변부 회전지지부(55)는 배변부(10)의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밑면을 베이스부(50)의 상부 베이스(52)의 내측 공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설치브래킷(55a)은 상부 베이스(52)의 내측공간 바닥의 가장자리에 설정된 각도의 간격으로 복수가 설치된다. 여기서, 설치브래킷(55a)은 배변부(10)의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밑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롤러(55b)는 설치브래킷(5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설치 브래킷(55a)과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어 배변부(10)의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밑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설치브래킷(55a)은 상부 베이스(52)의 내측공간 바닥에 설치될 때 바닥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부 베이스(52)의 위쪽에서 볼 때 일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롤러(55b)가 결합되는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변부 회전지지부(55)는 복수의 설치브래킷(55a)과 롤러(55b)가 동일한 원주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롤러(55b)는 배변부(1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7 ~ 8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동부 작동유닛(40)과 배변 배출부(37)의 사이에 배출돌출부)를 통해 퇴비가 배출되는 것을 더욱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퇴비물을 밀어내도록 하는 퇴비 배출 가속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퇴비 배출 가속부(60)는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배출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배출용 날개(61a)가 형성되는 배출 회전몸체(61)와, 유동부 작동유닛(40)의 회전축(45d)에 결합되는 배출용 제1기어(63)와, 배출 회전몸체(61)의 하단 외주에 고정되며 배출용 제1기어(63)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형상의 배출용 제2기어(6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배출 회전몸체(61)는 그 하단에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배출용 제1기어(63)에 의해 회전하는 배출용 제2기어(65)가 고정됨으로써, 배출용 제2기어(65)의 회전과 함께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배출용 제1기어(65)는 회전축(45d)에 결합될 때 선기어(45c)의 하측에 고정되어 회전축(45d)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선기어(45c), 회전축(45d), 배출용 제1기어(63)는 모두 동일한 속도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하부 포집 하우징(31)의 배출홀(37a)과 배출돌출부 및 배출 회전몸체(61)를 통해 배출되는 퇴비물이 배출 회전몸체(61)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출용 날개(61a)에 의해 강제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배변부와 유기물 공급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친환경 변기에서 배변부와 유기물 공급부재 및 공급부재 작동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저부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변기(1)는 배변부(10)의 변기 바디(17)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천연유기물을 별도로 저장하고 있다가 변기 바디(17)의 공간부(17a)로 공급할 수 있는 유기물 공급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유기물 공급부(70)는 유기물 즉, 천연유기물을 수용하고 있고, 수용된 유기물을 배변부(10)의 변기 바디(17) 내로 공급하는 것으로, 유기물 수용본체(71)와, 유기물 공급부재(73)와, 공급부재 작동유닛(7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유기물 수용본체(71)는 유기물을 넣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통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면에 지지된다. 유기물 수용본체(71)는 별도의 지지레그로 지면에 대해 지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유기물 수용본체(71)는 변기(1) 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부(50)의 외면에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1a)을 구비한다. 이 지지프레임(71a)은 베이스부(5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볼록한 베이스부(50)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곡면을 갖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유기물 수용본체(71)는 내측 공간을 별도의 슬라이딩 부재로 수평으로 구획하여 상측 저장부와 하측 저장부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물 수용본체(71)의 내측공간에 별도의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상측 저장부에 저장된 천연유기물을 하측 저장부로 이동되는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는 사용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그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측 저장부로부터의 하측 저장부에 대한 천연유기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유기물 수용본체(71)는 변기바디(17)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공급 가이드 블록(71b)을 구비한다. 그리고, 변기바디(17)는 유기물 수용본체(71)를 향하여 공급 가이드 블록(71b)에 대응하는 수급 가이드 블록(17b)을 구비한다. 따라서, 유기물 수용본체(71)와 변기바디(17)는 공급 가이드블록(71b)과 수급 가이드 블록(17b)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유기물 수용본체(71)에 담긴 천연유기물을 변기바디(17) 내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유기물 공급부재(73)는 유기물 수용본체(7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유기물 수용본체(71) 내에 담긴 유기물을 변기의 변기 바디(17)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유기물 공급부재(73)는 회전하면서 유기물을 변기 바디(17) 내로 밀어 공급하는 것으로 프로펠러 형상의 부재 즉, 회전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부재 작동유닛(75)는 사용자가 배변부(10)를 회전시킬 때 연동되면서 유기물 공급부재(7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공급부 작동기어부(75a)와, 하부 클러치기어(75b)와, 상부 클러치기어(75c)와, 공급부재 회전기어부(75d)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공급부 작동기어부(75a)는 배변부(10)의 변기 바디(17)의 외주에 설정된 각도만큼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어치를 갖도록 구성된다. 공급부 작동기어부(75a)는 변기 바디(17)의 외주 일부에 구비되되, 유기물 수용본체(71)를 향하여 형성된다. 공급부 작동기어부(75a)는 변기 바디(17)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클러치기어(75b)는 유기물 수용본체(71)에 형성되는 기어 관통홀을 관통하여 유기물 수용본체(7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공급부 작동기어부(75a)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클러치기어(75b)는 공급부 작동기어부(75a)에 치합되어 회전되되, 배변부(10)를 사용자가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변기 바디(17)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내에서 왕복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하부 클러치기어(75b)는 상부 클러치기어(75c)로 일방향 회전만을 전달하도록 윗면에 일 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일방향 기어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일방향 기어치는 다수의 기어치로 형성되되, 다수의 기어치의 경사면을 모두 같은 방향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다수의 기어치로 구성되는 일방향 기어치는 기어치의 경사면이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클러치기어(75c)는 하부 클러치기어(75b)에 치합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어 후술하는 공급부재 회전기어부(75d)로 일방향 회전만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클러치기어(75c)는 하부 클러치기어(75b)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밑면에 하부 클러치기어(75b)의 일방향 기어치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다른 일방향 기어치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클러치기어(75c)는 밑면에 형성된 일방향 기어치가 하부 클러치기어(75b)의 일방향 기어치에 대해 일방향으로는 서로 맞물리고, 타방향으로는 슬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로서, 하부 클러치기어(75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하부 클러치기어(75b)의 일방향 기어치와 상부 클러치기어(75c)의 일방향 기어치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면, 하부 클러치기어(75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부 클러치기어(75c)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공급부재 회전기어부(75d)는 상부 클러치기어(75c)의 외주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그의 회전축이 유기물 공급부재(73)의 중심에 연결되어 유기물 공급부재(7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공급부재 회전기어부(75d)는 상부 클러치기어(75c)의 외주에 치합되는 평기어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부재 회전기어부(75d)와 유기물 공급부재(73)는 동일한 축부재에 의해 동축으로 연결되어 공급부재 회전기어부(75d)의 회전시 유기물 공급부재(73)도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공급부재 작동유닛(75)은 상부 클러치기어(75c)를 하부 클러치기어(75b) 쪽으로 가압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77)와, 그 중앙부가 유기물 수용본체(71)에 힌지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부 클러치기어(75c)와 하부 클러치기어(75b)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상부 클러치기어(75c)와 하부 클러치기어(75b)의 치합을 조절하는 시프트 부재(7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탄성 지지체(77)는 유기물 수용본체(71)에 대해 상부 클러치기어(75c)를 탄력 지지하되, 상부 클러치기어(75c)를 하부 클러치기어(75b)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시프트 부재(79)는 대략 'U'자 형상의 일단부가 상부 클러치기어(75c)와 하부 클러치기어(75b)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프트 부재(79)는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상하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일단부가 상측으로 들리거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 부재(79)는 그 일단부의 상하 이동으로 상부 클러치기어(75c)와 하부 클러치기어(75b)를 치합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배변부(10)의 변기바디(17) 내의 공간부(17a)에 충분한 천연 유기물이 공급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유기물 공급부(70)에 의한 추가적인 천연 유기물의 공급이 방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시프트 부재(79)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부 클러치기어(75c)와 하부 클러치기어(75b)의 치합을 분리시킨 다음 배변부(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1; 변기
10; 배변부
11; 안착 시트 11a; 배변홀
13; 암레스트 15; 커버부재
17; 변기 바디 17a; 공간부
20; 유동부
21; 유동팬 23; 가이드 호퍼
23a; 경사부 23b; 결합보스
23c; 스크류 날개
30; 포집부
31; 하부 포집 하우징 33; 상부 포집 하우징
33a; 연통홀 33b; 덮개
33c; 회피 슬릿 35; 포집공간
37; 배변 배출부 37a; 배출홀
40; 유동부 작동유닛
41; 푸쉬용 래칫부 41a; 래칫
43; 구동기어 45; 종동기어부
45a; 제1유성기어 45b; 제2유성기어
45c; 선기어 45d; 회전축
50; 베이스부
51; 하부 베이스 53; 상부 베이스
54; 가이드홀
55; 배변부 회전 지지부 55a; 설치브래킷
55b; 롤러
60; 퇴비 배출 가속부
61; 배출 회전몸체 61a; 배출용 날개
63; 배출용 제1기어 65; 배출용 제2기어
70; 유기물 공급부
71; 유기물 수용본체 71a; 지지프레임
73; 유기물 공급부재 75; 공급부재 작동유닛
75a; 공급부 작동기어부 75b; 하부 클러치기어
75c; 상부 클러치기어 75d; 공급부재 회전기어부
77; 탄성 지지체 79; 시프트 부재

Claims (10)

  1. 사용자가 배변 활동시 착석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내측에 천연유기물을 담도록 공간부를 구비하며,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변부;
    상기 배변부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배변 활동시 배변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때 상기 천연유기물을 배변과 함께 배출되도록 상기 천연유기물을 배출홀로 유동시켜 공급하는 유동부;
    상기 배변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변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홀을 통해 천연유기물과 함께 배출되는 배변을 포집하는 포집공간을 구비하는 포집부;
    상기 포집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변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포집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유동부를 상기 배변부의 회전과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유동부 작동유닛;
    상기 포집부를 지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유동부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부는,
    배변활동을 위해 사용자가 안착하고, 중앙부에 배변홀을 갖는 안착시트;
    내측에 천연유기물이 담기는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안착시트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안착시트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 중앙에 사용자의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변기 바디;
    상기 안착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시트의 상부를 덮어서 상기 배변홀을 개폐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변기 바디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에 담기는 천연유기물을 휘저어서 사용자의 배변과 함께 상기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유동팬;
    상기 배출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유동팬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홀로 배변이 배출될 때, 상기 유동팬에 의해 휘저어지는 천연유기물을 상기 배출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호퍼;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배변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포집 하우징;
    상기 하부 포집 하우징의 상부를 덮어서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포집 하우징;
    상기 포집 공간에 포집되는 천연유기물과 혼합된 배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부 포집 하우징에 형성되는 배출홀과, 상기 하부 포집 하우징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출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성하는 배변 배출부;
    를 포함하는 친환경 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 작동유닛은,
    상기 포집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링 형상으로 내치와 외치를 구비하는 구동기어;
    상기 포집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변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포집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기어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푸쉬용 래칫부;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을 증가시켜 상기 유동부가 상기 배변부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종동기어부;
    상기 종동기어부와 상기 유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종동기어부에서 증가되는 회전속도로 상기 유동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내측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내주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의 중심과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와 함께 회전하며, 제1유성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유성기어;
    상기 제2유성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유동부의 하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선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갖도록 지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변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동부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베이스;
    상기 상부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배변부를 상기 상부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배변부 회전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천연유기물을 별도로 저장하여 상기 배변부의 공간부로 상기 천연유기물을 공급하는 유기물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 공급부는,
    상기 천연유기물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유기물 수용본체;
    상기 유기물 수용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기물 수용본체에 담긴 천연유기물을 상기 배변부의 공간부로 공급하는 유기물 공급부재;
    사용자가 배변부를 회전시킬 때 연동되어 상기 유기물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공급부재 작동유닛;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 작동유닛은,
    상기 배변부의 외측에 설정된 각도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어치를 갖는 공급부 작동기어부;
    상기 공급부 작동기어부에 치합되고, 상기 배변부의 회전시 상기 배변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윗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기어치를 구비하는 하부 클러치기어;
    상기 하부 클러치기어의 기어치의 경사면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기어치를 밑면에 구비하며, 상기 하부 클러치기어가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회전시에만 상기 하측 클러치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 클러치기어;
    상기 상부 클러치기어의 외주에 치합되어 상기 상부 클러치기어의 회전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기물 공급부재의 회전중심에 동축상에 고정되어 상기 유기물 공급부재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공급부재 회전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 작동유닛은,
    상기 상부 클러치기어를 하부 클러치기어 쪽으로 가압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그 중앙부가 유기물 수용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부 클러치기어와 하부 클러치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클러치기어와 하부 클러치기어의 치합을 조절하는 시프트 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친환경 변기.

KR1020190078020A 2019-06-28 2019-06-28 친환경 변기 KR10212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20A KR102120834B1 (ko) 2019-06-28 2019-06-28 친환경 변기
CN201910732895.0A CN112137483A (zh) 2019-06-28 2019-08-09 环保马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20A KR102120834B1 (ko) 2019-06-28 2019-06-28 친환경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834B1 true KR102120834B1 (ko) 2020-07-07

Family

ID=7160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20A KR102120834B1 (ko) 2019-06-28 2019-06-28 친환경 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0834B1 (ko)
CN (1) CN11213748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877A (ja) * 1998-07-10 2000-01-25 Michiyoshi Suzuki 糞尿処理装置
KR20150015688A (ko) * 2013-08-01 2015-02-11 한남용 회전 가능한 양변기 받침대
KR101910324B1 (ko) 2018-05-20 2018-10-19 김미정 자급 퇴비화 변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146B2 (ja) * 1999-10-29 2002-12-03 正和電工株式会社 分解処理装置付きトイレ
US20100294704A1 (en) * 2006-05-22 2010-11-25 Andy Mingfen Tung Draining-filtering device and treating device for bio-toilet
JP2008093561A (ja) * 2006-10-11 2008-04-24 Towa Anzen Sangyo Kk 排泄物処理方法及び非水洗型トイレ
CN200998220Y (zh) * 2007-01-09 2008-01-02 阮志华 自带爆气孔的生物降解箱
CN101785643B (zh) * 2010-01-26 2012-07-25 王云龙 免水冲座便器及粪便回收与利用
JP5893514B2 (ja) * 2012-06-11 2016-03-23 有限会社アースウェイ 無水トイレ及び仮設トイレ
US20170007082A1 (en) * 2015-07-11 2017-01-12 Rongbao Li Waterless Composting Toilet
JP2017064116A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CN205493672U (zh) * 2016-03-24 2016-08-24 黄伟 移动式无水马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877A (ja) * 1998-07-10 2000-01-25 Michiyoshi Suzuki 糞尿処理装置
KR20150015688A (ko) * 2013-08-01 2015-02-11 한남용 회전 가능한 양변기 받침대
KR101910324B1 (ko) 2018-05-20 2018-10-19 김미정 자급 퇴비화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37483A (zh)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650A (en) Sanitary brush assembly
JP2020203788A (ja) 異臭の拡散を防止できる環境に優しい生ゴミ処理箱
CN207467459U (zh) 一种固液分离的防臭垃圾桶
US11071420B2 (en) Composting toilet
EP1760011A2 (en) Container particularly for sorted waste collection
KR102120834B1 (ko) 친환경 변기
WO2011155849A1 (en) Automated bulking agent dispenser for a toilet
CN110250978A (zh) 一种环保旱厕
CN114368561A (zh) 一种具有除臭功能的垃圾回收装置
US10729290B2 (en) Toilet and operation thereof
US10524624B2 (en) Self-contained cabinet urinal systems
CN217038343U (zh) 一种自动封口猫砂盆
KR101379439B1 (ko) 이동식 야외 화장실의 배설물 처리장치
KR100657987B1 (ko) 화장실의 용변 배설물 저장을 위한 분배장치
CN217592686U (zh) 一种马桶圈可自动起落的马桶
KR101910324B1 (ko) 자급 퇴비화 변기
CN110523744B (zh) 一种垃圾处理装置及水槽
CN209882769U (zh) 一种自动宠物厕所用进砂整砂装置
CN214167793U (zh) 一种用于动物粪便具有搅拌机构的有机肥配比装置
CN214778306U (zh) 一种可破袋型垃圾桶
CN211774317U (zh) 一种可切换男士便斗与坐便装置的伸缩式两用马桶
CN211559893U (zh) 一种旱厕粪便处理机构
CN210422033U (zh) 一种无水环保旱厕
CN212972824U (zh) 粪尿分集式厕所便器
KR200163453Y1 (ko) 개량형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