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764B1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764B1
KR102120764B1 KR1020130111029A KR20130111029A KR102120764B1 KR 102120764 B1 KR102120764 B1 KR 102120764B1 KR 1020130111029 A KR1020130111029 A KR 1020130111029A KR 20130111029 A KR20130111029 A KR 20130111029A KR 102120764 B1 KR102120764 B1 KR 10212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portable device
image
stat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614A (ko
Inventor
김용신
이도영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764B1/ko
Priority to US14/092,511 priority patent/US9667850B2/en
Priority to PCT/KR2013/010916 priority patent/WO2015037784A1/en
Priority to EP13893463.3A priority patent/EP3047640A4/en
Publication of KR2015003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이미지를 촬영(capture)하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activate)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하되, 상기 상태는 활성(active) 상태(state) 및 비활성(inactive)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하여, 상기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가 출시되었다. 특히, 집적 회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바이스의 소형화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유저들은 디바이스의 기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의 디바이스가 아닌, 복수의 디바이스를 착용하거나 지니고 다닐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유저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탑재(contain)되어 있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복수의 디바이스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하나의 디바이스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렇듯, 복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탑재하고 있는 하나의 디바이스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 중 어느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할 것인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는 외부 디바이스의 카메라 유닛의 상태 및 방향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 중, 외부 디바이스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이미지를 촬영(capture)하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activate)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하되, 상기 상태는 활성(active) 상태(state) 및 비활성(inactive)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하여, 상기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의 활성 상태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 중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여 하나의 연속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착용식(wearable)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에 따라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 전환에 따라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터블 디바이스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들의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이동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이하에서 이를 통칭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로 지칭하도록 한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동성을 갖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면, 핸드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태블릿 피씨,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로 약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1010),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 디스플레이 유닛(1030) 및 프로세서(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10)은 화각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capture)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1010)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여 카메라 센서의 화각 영역 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유닛(1010)은 촬영한 결과를 프로세서(104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010)은 복수개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1010)을 탑재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2개의 카메라 유닛(1010)을 탑재할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 유닛(1010)을 제 1 카메라 유닛, 제 2 카메라 유닛이라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유닛(1010)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 유닛(1010)은 다양한 방식으로 포터블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는데, 탑재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외부 디바이스 및/또는 웹서버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카메라 유닛(1010)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수행에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비주얼 정보란,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사진, 그림 등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카메라 유닛(1010)을 사용해 촬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카메라 유닛(1010)을 사용해 촬영 중인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유닛(1030)은 현재 촬영 중인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040)는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40)는 상술한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간의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040)는 카메라 유닛(101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040)는 카메라 유닛(1010)을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0)는 활성 상태(active state)인 카메라 유닛(1010)을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로, 또는 비활성 상태인 카메라 유닛(1010)을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상태란, 카메라 유닛(1010)에 전원 또는 전력이 공급되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비활성 상태란, 카메라 유닛(1010)에 전원 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렇듯, 프로세서(1040)는 카메라 유닛(1010)에 전원 또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카메라 유닛(101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렇듯, 프로세서(1040)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탑재된 카메라 유닛(1010)을 활성화(activate)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탑재된 카메라 유닛(1010)의 상태에 기초하여 카메라 유닛(101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040)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101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닛(1010)을 활성화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탑재된 카메라 유닛(1010)의 상태 및/또는 방향에 따라 활성화되는 카메라 유닛(1010)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1040)는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유닛(1010)을 통해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1040)는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을 이용하여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바로 획득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외,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바이스는 추가로 스토리지 유닛, 오디오 입출력 유닛 및/또는 파워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미도시)은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가상 이미지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은 커뮤니케이션 유닛(10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출력하기 위한 버퍼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토리지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미도시)은 스피커, 이어폰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은 프로세서(104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040)의 제어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유닛은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워 유닛(미도시)은 포터블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디바이스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입력에 따라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1040)가 포터블 디바이스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40)와 포터블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착용식(wearable)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2020)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탑재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2020)의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2020)가 2개의 카메라 유닛을 탑재하는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카메라 유닛(2010-1, 2010-2)은 포터블 디바이스(2020)의 전면(2010-1) 및 후면(2010-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반대 면에 위치시켜, 카메라 유닛의 활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복수의 카메라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2020)의 같은 면의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2020)가 2개의 카메라 유닛을 탑재하는 경우, 2개의 카메라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2020) 일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넓은 화각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함이며, 디바이스는 각 복수의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이미지를 편집하여 하나의 연속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2010-1) 및 후면(2010-2)에 각각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포터블 디바이스(202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카메라 유닛을 제 1 카메라 유닛(2010-1),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 유닛을 제 2 카메라 유닛(2010-1)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다만,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2020)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인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2020)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2010-1, 2020-2)은 외부 디바이스(2030)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2040)의 상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2030)는 카메라 유닛(2040)을 탑재한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외부 디바이스(2030)는 착용식 디바이스일 수 있다. 착용식 디바이스는 옷이나 시계, 안경, 액세서리처럼 자연스럽게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착용식 디바이스는 HMD(Head-Mounted Display) 디바이스, 스마트 와치, 스마트 링 등의 착용 가능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외부 디바이스(2030)는, 도 2-(b)에 도시한 HMD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HMD 디바이스에 탑재된 카메라 유닛을 제 3 카메라 유닛(2040)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유저는 하나의 디바이스(2020)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2010-1, 2010-2)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나, 복수의 디바이스(2020, 2030)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 유닛(2010-1, 2010-2, 2040)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는 외부 디바이스(2030) 및 포터블 디바이스(2020)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들(2010-1, 2010-2, 2040)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렇듯 외부 디바이스(2030)와 함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2020)는 구비하고 있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2010-1, 2010-2) 중 어느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할지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2020)는 제 3 카메라 유닛(2040)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 유닛(2010-1, 2010-2)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에 따라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카메라 유닛이 향하는 방향을 제 1 방향 제 2 카메라 유닛이 향하는 방향을 제 2 방향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경우, 먼저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3 카메라 유닛이 활성 상태인지 비활성 상태인지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3020)로부터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외부 디바이스(30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3020)는 포터블 디바이스(3010)와 페어링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3020)에 제 3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인디케이트하는 LED 라이트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LED 라이트를 디텍트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LED 라이트로부터 방출된 빛을 디텍트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포터블 디바이스(301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다양한 방식에 따라 제 3 카메라 유닛이 비활성 상태임을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카메라 설정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반대로, 제 3 카메라 유닛이 활성 상태임을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은 활성화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은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의 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이러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후술할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제 3 카메라 유닛의 이미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이미지를 디텍트한 카메라 유닛에 따라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제 1 이미지로부터 제 3 카메라 유닛의 이미지를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카메라 유닛과 제 3 카메라 유닛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제 2 이미지로부터 제 3 카메라 유닛의 이미지를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2 카메라 유닛과 제 3 카메라 유닛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사용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카메라 유닛 내지 제 3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에 대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대적인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이미지가 제 3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이미지와 기설정된 영역 초과로 일치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3 카메라 유닛이 제 1 카메라 유닛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외에도,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포터블 디바이스(301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디텍트한 방향과 다른 방향의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카메라 유닛이 제 2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디텍트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 1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제 3 카메라 유닛이 제 1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디텍트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2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제 3 카메라 유닛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디텍트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이유는, 이미 활성화된 카메라 유닛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여, 보다 다양한 각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저가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함은 동일한 이미지를 중복하여 촬영하려 한다기보다 다른 각도의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촬영하려 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촬영 모드에 따라서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도 6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 1 카메라 유닛 내지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가 전환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상태 전환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노티피케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의 상태 전환에 따라 시각적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3010)는 “제 1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 되었습니다.”라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정한 오차 범위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카메라 유닛의 화각 영역이 기설정된 영역 초과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 유닛의 방향이 동일하다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카메라 유닛의 화각 영역이 기설정된 영역 이하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 유닛의 방향이 다르다고 표현할 수 있다.
도 4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 전환에 따라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활성 상태의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은 활성 상태로 전환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의 활성 상태에서 제 3 카메라 유닛의 활성화를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제 3 카메라 유닛 방향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만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이 활성 상태였던 경우에는,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해당 카메라 유닛의 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유닛의 활성 상태에서 제 3 카메라 유닛의 활성화를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은 다양한 방식으로 디텍트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이 제 2 방향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제 1 카메라 유닛의 활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카메라 유닛의 활성 상태에서, 제 2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활성화를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비활성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제 1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추가로 활성화된 제 3 카메라 유닛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고자 함이며, 다양한 각도에서의 촬영 및 유저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함임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점을 고려해볼 때, 활성 상태의 제 3 카메라 유닛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서도,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의 상태는 전환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이때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3 카메라 유닛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제 1 카메라 유닛을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제 1 카메라 유닛이 이미 활성 상태였던 경우에는 활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대신, 카메라 유닛의 상태 전환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4010)는 제 3 카메라 유닛이 비활성화됨과 동시에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저는 이러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활성화하고자 하는 카메라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을 향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즉, 이상에서는 제 3 카메라 유닛이 제 1 카메라 유닛(5010) 또는 제 2 카메라 유닛(502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외부 디바이스(5030)에 구비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인 제 3 방향을 추가로 도입하여, 제 3 방향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사용하여 제 3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상술한 유닛들을 사용하여 제 3 카메라 유닛(6080)의 화각 영역이 제 1 카메라 유닛(6020) 및 제 2 카메라 유닛(6030)의 화각 영역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제 3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우선, 제 1 방향의 제 1 이미지(6040), 제 2 방향의 제 2 이미지(6070-1) 및 제 3 방향의 제 3 이미지(6060-1)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획득한 제 1 이미지(6040) 및 제 2 이미지(6070-1)를 제 3 이미지(6060-1)와 비교하여 화각 영역의 일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6090)로부터 제 3 이미지(6060-1)를 획득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 1 이미지(6040) 및/또는 제 2 이미지(6070-1)가 제 3 이미지(6060-1)와 기설정된 영역 초과로 일치하는 것이 디텍트되면, 해당 이미지는 제 3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이미지라고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이미지(6040) 및/또는 제 2 이미지(6070-1)가 제 3 이미지(6060-1)와 겹치는 영역(6050)이 기설정된 영역 초과인 경우, 해당 이미지는 제 3 방향의 이미지라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제 1 이미지(6040) 및/또는 제 2 이미지(6070-1)가 제 3 이미지(6060-1)와 기설정된 영역 이하로 일치하는 것으로 디텍트되면, 해당 이미지는 제 3 방향과 다른 방향의 이미지라고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이미지(6040) 및/또는 제 2 이미지(6070-1)가 제 3 이미지(6060-1)와 겹치는 영역(6050)이 기설정된 영역 이하인 경우, 해당 이미지는 제 3 방향과는 다른 방향의 이미지라 판단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6010)가 이미지를 비교하여 직접 판단할 수 있으나, 외부 디바이스(6090)로부터 이미지 비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를 비교하는 주체는 외부 디바이스(6090)가 될 수 있으며, 외부 디바이스(6090)는 비교 결과를 포터블 디바이스(60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디바이스(6090)는 포터블 디바이스(6010)로부터 제 1 이미지(6040) 및 제 2 이미지(6070-1)를 수신하여 제 3 이미지(6060-1)와 비교하여 화각 영역의 일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제 3 방향을 디텍트하면, 제 3 방향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되면,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활성화된 카메라 유닛이 촬영하고 있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촬영 중인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 3 이미지(6060-1)에 대한 프리뷰 인터페이스(6060-2)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3 이미지(6060-1)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유저는 이러한 프리뷰 인터페이스(6060-2, 6070-2)를 통해 카메라 유닛이 촬영 중인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듯 포터블 디바이스(6010)는 프리뷰 인터페이스(6060-2, 6070-2)를 직접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6090)로 촬영 중인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여 외부 디바이스(6090)가 프리뷰 인터페이스(6060-2, 6070-2)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 1 이미지(6040) 및 제 2 이미지(6070-1)에 대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6010)가 외부 디바이스로 제 1 이미지(6040) 및 제 2 이미지(6070-1)에 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제 3 방향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다른 방향인 것으로 디텍트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제 1 카메라 유닛(7020) 및 제 2 카메라 유닛(7030)을 모두 활성화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세 카메라 유닛을 모두 활성화하여 서로 다른 세 방향의 이미지(7040, 7050, 7060)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방향의 세 이미지(7040, 7050, 7060)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세 방향의 이미지(7040, 7050, 7060)를 합성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세 이미지(7040, 7050, 7060)의 일부 경계 영역이 상호 겹치는 것을 디텍트한 경우, 겹치는 경계 영역을 기준으로 하나의 연속된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겹치는 경계 영역을 영상 처리함으로써 연속된 하나의 긴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보다 넓은 화각 영역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7090)로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유저가 원하는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파노라마 이미지(7090)에 대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카메라 유닛이 촬영 중인 이미지(7040, 7050, 7060)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파노라마 이미지(7090)에 대한 프리뷰 인터페이스이므로,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겹치는 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 결과를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유저가 획득하게 될 파노라마 이미지(7090)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7080)로 송신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7080)를 통해서도 파노라마 이미지(7090)에 대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유저는 이러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보고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조절하여 원하는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다양한 촬영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촬영 모드로서 파노라마 촬영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파노라마 촬영 모드는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생성하는 촬영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모드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제 1 카메라 유닛(7020)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7030)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 3 카메라 유닛(7070)과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각도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제 3 카메라 유닛(7070)과 다른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였다. 그러나, 파노라마 촬영 모드는 연속된 하나의 이미지(7090)를 생성하는 촬영 모드이므로, 파노라마 촬영 모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제 3 카메라 유닛(7070)과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방향은 기설정된 영역 초과로 화각 영역이 겹치는 촬영 방향을 나타냄은 앞서 상술하였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겹치는 영역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의 이미지들을 영상 처리하여 하나의 연속된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생성할 수 있다.
만일, 파노라마 촬영 모드에서 제 3 카메라 유닛(7070)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 유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제 1 카메라 유닛(7020) 및 제 2 카메라 유닛(7030)을 동시에 활성화하여 연속된 하나의 긴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생성할 수 있다. 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하나의 연속된 파노라마 이미지(7090)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앞서 상술한 실시예와 상응한다.
포터블 디바이스(7010)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이외에도 다양한 촬영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촬영 모드에 따라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도 11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은 외부 디바이스(8050)가 스마트 와치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 디바이스(8050)가 스마트 와치인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8010)는 스마트 와치에 탑재된 제 3 카메라 유닛(8040)의 상태 및 방향에 따라, 제 1 카메라 유닛(8020)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8030)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특히, 본 순서도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 및 방향에 따라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에서 도 1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S9010). 여기서 카메라 유닛의 상태는 활성 상태 및 비활성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디텍트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일, 제 3 카메라 유닛이 비활성 상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A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S9030). A 단계에 관하여는 도 10의 순서도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반대로, 제 3 카메라 유닛이 활성 상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S9020). 보다 상세하게는,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활성 상태를 디텍트한 경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은 제 3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 역시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이미지들을 제 3 카메라 유닛이 촬영한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S9040). 이는 다양한 각도의 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하는 유저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 모두가 제 3 카메라 유닛과 다른 방향인 경우, 세 카메라 유닛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세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연속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순서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1 카메라 유닛 내지 제 3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제 3 카메라 유닛과 동일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닛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연속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고자 하는 유저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며, 이에 관하여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특히, 본 순서도는 도 9 및 도 11의 순서도에서 A 단계에 해당하는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에서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는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이 제 1 카메라 유닛인지 제 2 카메라 유닛인지 디텍트할 수 있다(S10010).
만일,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이 제 1 카메라 유닛이었던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S10020). 다시 말하면,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이 제 1 카메라 유닛이었던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카메라 유닛을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대로,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이 제 2 카메라 유닛이었던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S10030). 다시 말하면,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이 제 2 카메라 유닛이었던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특히, 본 순서도는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에 따라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의 활성을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에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S11010). 본 단계는 도 9의 순서도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일, 제 3 카메라 유닛이 비활성 상태임을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A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S11030). A 단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반대로, 제 3 카메라 유닛이 활성 상태임을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가 제 3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와 동일한지 디텍트할 수 있다(S11020). 본 순서도에서 촬영 모드는, 이미지를 순간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 이미지를 연속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가 제 3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와 다른 것으로 디텍트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A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S11030). 이는, 동일한 방향의 이미지를 서로 다른 촬영 모드로 촬영하고자 하는 유저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유저는 동일한 방향의 이미지에 대해 제 1 카메라 유닛으로는 사진을, 제 3 카메라 유닛으로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모드가 서로 다른 경우에 포터블 디바이스는,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 3 카메라 유닛과 다른 또는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가 제 3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와 동일한 것으로 디텍트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할 수 있다(S11040). 여기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은 촬영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은 카메라 유닛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등 포터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디텍트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S11050). 이는 다양한 각도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함이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포터블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의 촬영 모드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했던 파노라마 모드인 경우에는 제 3 카메라 유닛과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 유닛이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모드인 경우에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의 촬영 모드 동일 여부와 무관하게 제 3 카메라 유닛과 동일한 방향의 제 1 카메라 유닛 및/또는 제 2 카메라 유닛이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방향은 정확한 방향을 의미할 뿐 아니라, 일정 범위의 실질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방향은 실질적인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일정 범위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3010: 포터블 디바이스
3020: 외부 디바이스

Claims (20)

  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이미지를 촬영(capture)하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유닛;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activate)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하되, 상기 상태는 활성(active) 상태(state) 및 비활성(inactive)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하여, 상기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태가 전환된 경우, 상기 상태 전환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상기 다른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activate)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기 상태를 디텍트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획득한 제 3 이미지와 비교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제 3 이미지가 상기 제 1 이미지와 기설정된 영역 초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거나,
    상기 제 3 이미지가 상기 제 2 이미지와 상기 기설정된 영역 초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거나,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활성화된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이 촬영하는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활성화된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이 촬영하는 상기 제 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활성화된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이 촬영하는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활성화된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이 촬영하는 상기 제 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텍트한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이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연속하는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가 파노라마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비활성 상태인 경우로서,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비활성 상태에서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한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상기 다른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이 활성 상태인 경우로서,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에 관한 선택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경우로서,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의 촬영 모드가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기 촬영 모드와 다른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마지막으로 활성화되었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는,
    상기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순간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 및 상기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연속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디바이스인, 포터블 디바이스.
  19. 삭제
  20.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이미지를 촬영(capture)하는 제 1 카메라 유닛 및 제 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activate)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구비된 제 3 카메라 유닛의 상태를 디텍트하는 단계; 로서, 상기 상태는 활성(active) 상태(state) 및 비활성(inactive)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이 상기 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디텍트한 제 3 카메라 유닛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카메라 유닛, 상기 제 2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제 3 카메라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태가 전환된 경우, 상기 상태 전환을 알리는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30111029A 2013-09-16 2013-09-1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29A KR102120764B1 (ko) 2013-09-16 2013-09-1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092,511 US9667850B2 (en) 2013-09-16 2013-11-27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3/010916 WO2015037784A1 (en) 2013-09-16 2013-11-28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893463.3A EP3047640A4 (en) 2013-09-16 2013-11-28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29A KR102120764B1 (ko) 2013-09-16 2013-09-1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14A KR20150031614A (ko) 2015-03-25
KR102120764B1 true KR102120764B1 (ko) 2020-06-09

Family

ID=5266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029A KR102120764B1 (ko) 2013-09-16 2013-09-16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67850B2 (ko)
EP (1) EP3047640A4 (ko)
KR (1) KR102120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4228A (zh) * 2015-03-27 2015-07-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利用移动终端摄像头拍照的方法及移动终端
US9813621B2 (en) * 2015-05-26 2017-11-07 Google Llc Omnistereo capture for mobile devices
US9749543B2 (en) * 2015-07-21 2017-08-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wo cameras
KR102414643B1 (ko) 2015-10-21 2022-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210692A (zh) * 2016-06-30 2016-12-07 深圳市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基于瞳孔检测的远程全景图像实时传输和显示方法
TWI636316B (zh) * 2017-05-05 2018-09-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及其光學裝置
US10681273B2 (en) 2017-08-24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including multiple cameras
US11012603B2 (en) 2018-06-08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media using plurality of cameras in electronic device
CN112019756B (zh) * 2020-10-06 2021-05-18 盛夏 一种基于5g的智能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CN112565589B (zh) * 2020-11-13 2023-03-31 北京爱芯科技有限公司 一种拍照预览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7641116A (zh) * 2022-08-26 2024-03-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摄像头帧率的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3008A1 (en) 1999-02-02 2003-07-17 Stanley W. Stephenson Wearable panoramic imager
US20110221656A1 (en) 2010-02-28 2011-09-15 Osterhout Group, Inc. Displayed content vision correction with electrically adjustable lens
US20130147837A1 (en) 2011-12-13 2013-06-13 Matei Stroila Augmented reality personalization
US20130210563A1 (en) 2009-05-02 2013-08-15 Steven J. Hollinger Ball with camera for reconnaissance or recreation and network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8387B2 (ja) * 2002-10-24 2007-07-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4064248B2 (ja) * 2003-01-21 2008-03-19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ボール弾道計測装置
JP2006033394A (ja) 2004-07-15 2006-02-02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システム
US20060183576A1 (en) * 2005-02-16 2006-08-17 Lindsey Michael K Throwable object featuring message record and impact-activated playback
US7724296B2 (en) * 2006-06-21 2010-05-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orientation
US20130150004A1 (en) * 2006-08-11 2013-06-13 Michael Ros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obile phone usage while driving
KR100884895B1 (ko) * 2007-08-10 2009-0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헤드 마운트형 장치
US8355042B2 (en) * 2008-10-16 2013-01-15 Spatial Cam Llc Controller in a camera for creating a panoramic image
US8416282B2 (en) * 2008-10-16 2013-04-09 Spatial Cam Llc Camera for creating a panoramic image
KR101557354B1 (ko) 2009-02-12 2015-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9237317B2 (en) * 2009-05-02 2016-01-12 Steven J. Hollinger Throwable camera and network for operating the same
JP5423235B2 (ja) * 2009-08-20 2014-02-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11084895A1 (en) * 2010-01-08 2011-07-14 Kopin Corporation Video eyewear for smart phone games
US8964008B2 (en) 2011-06-17 2015-02-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lumetric video presentation
US9219768B2 (en) * 2011-12-06 2015-12-22 Kenleigh C. Hobby Virtual presence model
US9031610B2 (en) * 2011-12-09 2015-05-12 Charles J. Kulas Camera attachment for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3008A1 (en) 1999-02-02 2003-07-17 Stanley W. Stephenson Wearable panoramic imager
US20130210563A1 (en) 2009-05-02 2013-08-15 Steven J. Hollinger Ball with camera for reconnaissance or recreation and network for operating the same
US20110221656A1 (en) 2010-02-28 2011-09-15 Osterhout Group, Inc. Displayed content vision correction with electrically adjustable lens
US20130147837A1 (en) 2011-12-13 2013-06-13 Matei Stroila Augmented reality person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7640A4 (en) 2017-05-31
KR20150031614A (ko) 2015-03-25
US9667850B2 (en) 2017-05-30
US20150077580A1 (en) 2015-03-19
EP3047640A1 (en)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764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886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391171B (zh) 视频播放的控制方法及装置、终端
US11832022B2 (en) Framing method for multi-channel video recor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22594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23619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outputting a content using the same in which the same identical content is displayed
EP3049856B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304320B2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23179B1 (ko) 듀얼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서 듀얼 리코딩 촬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8887B1 (ko) 신체 부위 검출을 이용한 이미지 프리뷰
KR101969351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출력 제어 방법
KR201700065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239150A (ja) 手持ち式電子装置、それに適用される二重像取得方法及びそれにロード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9535250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251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00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18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063781B2 (en) Imaging control device, imaging control method, imaging system, and program
KR201701124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2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WO2016038977A1 (ja) ライブビュー制御装置、ライブビュー制御方法、ライブビュ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224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46264B1 (ko) 이동 단말기
KR1017175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520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