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688B1 -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 Google Patents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688B1
KR102120688B1 KR1020190009600A KR20190009600A KR102120688B1 KR 102120688 B1 KR102120688 B1 KR 102120688B1 KR 1020190009600 A KR1020190009600 A KR 1020190009600A KR 20190009600 A KR20190009600 A KR 20190009600A KR 102120688 B1 KR102120688 B1 KR 102120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ing
charging
character shape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남
정세환
유재성
Original Assignee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1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24C7/105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팔 또는 다리를 가진 캐릭터 형상을 지니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부; 및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AN APPARATUS FOR GENERATING HEAT AND HAVING A SHAPE OF CHARACTER}
본 발명은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겨울과 같이 날씨가 추워지면 실외에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실내에 있는 사람 역시 발열장치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사람들이 사용하는 발열장치는 가스나 전기 난로일 수 있으나 최근에는 소형화된 포터블 발열장치들이 많이 시판되고 있다. 몇몇 발열장치들은 화학 반응을 통하여 열을 방출하고 다른 몇몇 발열 장치들은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열을 방출한다.
이와 같은 소형 발열장치들의 구조를 보다 개선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특허 1988-0013592 (공개일 : 1988년 12월 21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팔 또는 다리를 가진 캐릭터 형상을 지니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부; 및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바디, 상기 팔, 상기 다리 또는 상기 바디의 꼬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가능하다.
상기 충전부는 마그넷 충전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그넷 충전 단자와 자력으로 결합가능한 마그넷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바디의 내부에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표면에 상기 발열부의 히팅 동작을 위한 전원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 내부에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이 내장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전원 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여 제스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제스처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히팅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센싱부는 상기 캐릭터 형상의 얼굴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상기 캐릭터와 연관된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의 히팅 온도에 따라 상기 음성이나 음향이 변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의 히팅 온도에 따라 상기 바디의 얼굴색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바디의 양쪽 다리 또는 양쪽 팔에 서로 체결가능한 충전부와 체결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명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의 바디 일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의 사용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명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바디(110), 발열부(130), 배터리부(150), 충전부(170), 및 체결부(19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팔 또는 다리를 가진 캐릭터 형상을 지닌다.
캐릭터 형상은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으며, 사람, 동물, 로봇이나 게임 또는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가상 존재들의 형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는 양쪽 팔 또는 양쪽 다리를 가질 수 있다. 캐릭터가 사람인 경우 바디(110)는 양쪽 팔과 양쪽 다리를 가질 수 있으며, 캐릭터가 동물인 경우 바디(110)는 앞다리 한쌍과 뒷다리 한쌍을 지닐 수 있다.
바디(110)의 팔 또는 다리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바디(110)는 섬유나 플라스틱과 같이 유연성을 지니고 발열부(130)의 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열부(130)는 바디(110) 내부에 구비된다. 발열부(130)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몸을 따뜻하게 해줄 수 있다. 발열부(13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130)는 탄소펠트로 이루어진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탄소펠트의 공극에는 수지 또는 폴리머가 채워질 수 있다.
배터리부(150)는 바디(110) 내부에 구비되어 발열부(1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부(170)는 바디(110)에 구비되어 배터리부(150)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한다. 충전 단자의 형태는 충전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지닐 수 있다.
체결부(190)는 팔 또는 다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충전부(170)는 팔, 다리 또는 꼬리와 같은 바디(110)에 구비되어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70)는 체결부(190)와 체결가능하다. 이에 따라 충전부(170)는 충전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체결을 위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의 바디(110) 일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70)는 마그넷 충전 단자를 포함하며, 체결부(190)는 마그넷 충전 단자와 자력으로 결합가능한 마그넷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부(170)와 체결부(190)가 자력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부(170)와 체결부(19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70)와 체결부(190)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됨에 따라 바디(110)의 한쪽 다리와 다른 쪽 다리가 사용자의 목을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부(130)는 사용자의 배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배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발열부(130)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발열부(130)가 바디(110)의 양쪽 다리에 위치한다면 사용자의 목 부위를 따뜻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사용자의 몸에 두르기 편하기 때문에 사용자 신체의 특정 부위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마그넷 방식의 체결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외의 방법 역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크 타입(hook type)의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는 전원 버튼(210)과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배터리부(150)의 충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원 버튼(210)을 조작하면 스위치(250)를 턴온시켜 배터리부(150)의 전원이 발열부(13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 2에서는 스위치(250)가 제어부(230)와 분리되어 구비되어 있으나 제어부(23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전원 버튼(210)의 턴온에 따라 제어부(230)가 스위치(250)를 턴온시켜 발열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위치(250)이 없는 구조에서 전원 버튼(210)이 턴온되면 배터리부(150)의 전원이 발열부(130) 및 제어부(230)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공급된 후 사용자가 전원 버튼(210)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전원 버튼(210)의 저항이 변경되어 발열부(130)의 온도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양쪽 팔 또는 양쪽 다리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바디(110)의 내부에 무게추(27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양 다리 끝부분에 무게추(270)가 구비되거나 뒷쪽 양 다리 끝부분에 무게추(27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디(110)가 섬유와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캐릭터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섬유 재질의 바디(110)가 고양이 형상을 지닐 경우, 고양이 다리 부분의 바디(110)가 구겨지거나 접히기 쉽기 때문에 고양이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고양이의 다리 끝부분에 해당되는 바디(110) 부분에 무게추(270)가 구비될 경우, 고양이의 다리가 늘어지면서 바디(110)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이 때 무게추(270)는 플라스틱 비즈(plastic bead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는 바디(110) 및 체결부(190)가 도시되어 않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표면에 발열부(130)의 히팅 동작을 위한 전원 버튼(210)이 구비되며, 전원 버튼(210) 내부에 사용자의 단말기(310)와 통신가능한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290)이 내장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90)은 전원 버튼(21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배터리부(150)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전원 버튼(210)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면 배터리부(150)의 전원이 제어부(230)를 통하여 블루투스 모듈(290)에 공급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90)이 전원 버튼(210)에 내장됨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290)이 전원 버튼(210)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즉, 바디(110)가 유연성을 지닌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충격이 블루투스 모듈(29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버튼(210)은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 블루투스 모듈(290)에 전달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90)은 사용자의 단말기(31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31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에 대한 제어 및 동작 정보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발열부(130)의 현재 온도 및 히팅 시간 등을 블루투스 단말기(3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열부(130)에 대한 온도 설정이나 히팅 시간 설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는 블루투스 모듈(290)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하여 제스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제스처 센싱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스처 센싱 신호에 따라 발열부(130)의 히팅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스처 센싱 신호가 제어부(230)로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230)는 발열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스처 센싱부(33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동작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가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에 해당되는 제어(예를 들어, 히팅 온도의 상승)를 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제스처 센싱부(330)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 밝기에 따라 발열부(13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제스처 센싱부(330)는 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바디(110)를 움직이는 것을 센싱하여 이에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스처 센싱부(330)는 캐릭터 형상의 얼굴 부분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호감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명장치는 사운드 출력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운드 출력부(350)는 캐릭터와 연관된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발열부(130)의 히팅 온도에 따라 음성이나 음향이 변할 수 있다. 발열 시간에 따른 온도 데이터가 미리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온도 센서(370) 없이도 온도가 예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음성이나 음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온도 센서(370)가 센싱한 온도에 따라 제어부(230)가 음성이나 음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고양이일 경우, 제어부(230)는 히팅부의 온도에 따라 고양이 울음 소리의 크기나 횟수를 변경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발열부의 히팅 온도에 따라 바디(110)의 얼굴색이 변할 수 있다. 즉, 캐릭터의 얼굴에 해당되는 바디(110) 영역에 변온 잉크가 도포될 수 있으며, 변온 잉크의 색깔은 발열부(130)의 온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부(130)의 히팅 온도에 따라 캐릭터의 얼굴 색깔이 변함으로써 사용자는 발열부(130)의 온도를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 얼굴의 변화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에 대한 친근감이나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바디(110)
발열부(130)
배터리부(150)
충전부(170)
체결부(190)
전원 버튼(210)
제어부(230)
스위치(250)
무게추(270)
블루투스 모듈(290)
단말기(310)
제스처 센싱부(330)
사운드 출력부(350)
온도 센서(370)

Claims (10)

  1. 팔 또는 다리를 가진 캐릭터 형상을 지니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부; 및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와 체결가능하고,
    상기 체결부가 양쪽 팔 또는 양쪽 다리의 한쪽에 구비될 경우, 상기 충전부는 양쪽 팔 또는 양쪽 다리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마그넷 충전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마그넷 충전 단자와 자력으로 결합가능한 마그넷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바디의 내부에 무게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표면에 상기 발열부의 히팅 동작을 위한 전원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버튼 내부에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이 내장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전원 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여 제스처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제스처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히팅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센싱부는 상기 캐릭터 형상의 얼굴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와 연관된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의 히팅 온도에 따라 상기 음성이나 음향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히팅 온도에 따라 상기 바디의 얼굴색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KR1020190009600A 2019-01-25 2019-01-25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KR102120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00A KR102120688B1 (ko) 2019-01-25 2019-01-25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00A KR102120688B1 (ko) 2019-01-25 2019-01-25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688B1 true KR102120688B1 (ko) 2020-06-09

Family

ID=7108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600A KR102120688B1 (ko) 2019-01-25 2019-01-25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6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592A (ko) 1987-05-29 1988-12-21 도시오 다나까 발열체를 구비한 봉제완구
JP2016005506A (ja) * 2014-06-20 2016-01-14 喜隆 小村 襟カラー及びそのカバー
KR20170019075A (ko) * 2015-08-11 2017-02-21 송찬혁 자동 온열인형
KR20170116445A (ko) * 2016-04-11 2017-10-19 장윤수 아이오티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인형
KR20180002722U (ko) * 2017-03-09 2018-09-19 변동수 발열부재 수용 및 인출이 가능한 손난로 인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592A (ko) 1987-05-29 1988-12-21 도시오 다나까 발열체를 구비한 봉제완구
JP2016005506A (ja) * 2014-06-20 2016-01-14 喜隆 小村 襟カラー及びそのカバー
KR20170019075A (ko) * 2015-08-11 2017-02-21 송찬혁 자동 온열인형
KR20170116445A (ko) * 2016-04-11 2017-10-19 장윤수 아이오티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인형
KR20180002722U (ko) * 2017-03-09 2018-09-19 변동수 발열부재 수용 및 인출이 가능한 손난로 인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7016B2 (ja) おもちゃ片と一緒に用いられる基板組立品
KR20200033119A (ko) 드라이어
CN109952044A (zh) 用于增强型电吹风的系统和方法
WO2017087363A1 (en) Animal wearab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DE60233123D1 (de) Haptische fernsteuerung für spielzeug
TWI268439B (en) Control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which provides sound effect or image and other environment, and makes user feel comfortable or satisfied
US9406240B2 (e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Scheibe et al. Tactile feedback at the finger tips for improved direct interaction in immersive environments
CN105759951A (zh) 个人显示系统
US20180008902A1 (en) Toy reactive to a signal
KR102120688B1 (ko) 캐릭터 형상을 지닌 발열장치
CN110916323A (zh) 干燥器
KR101360980B1 (ko) 필기구형 전자 입력장치
WO2016165666A1 (zh) 体感控制手环
JP2001036897A5 (ko)
CN106101348A (zh) 一种温控式暖手手机壳及其控制方法
JP5226277B2 (ja) 燃料電池式電源装置
KR102035743B1 (ko) 의류 또는 잡화 부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WO2019175936A1 (ja) ロボット
JP2008099645A (ja) ペット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ペット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CN109621441A (zh) 一种智能电子宠物
KR100273104B1 (ko) 상호반응하는완구및작동방법
CN207833708U (zh) 一种多方位简化编程学习过程的教具和编程教具
US20080268747A1 (en) Motion sensor activated interactive device
KR101937686B1 (ko) 웨어러블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