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315B1 -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315B1
KR102120315B1 KR1020180081712A KR20180081712A KR102120315B1 KR 102120315 B1 KR102120315 B1 KR 102120315B1 KR 1020180081712 A KR1020180081712 A KR 1020180081712A KR 20180081712 A KR20180081712 A KR 20180081712A KR 102120315 B1 KR102120315 B1 KR 102120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ne
boom
construction equipm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512A (ko
Inventor
이우균
Original Assignee
전진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중공업(주) filed Critical 전진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8008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3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구비하여 닫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을 지지하는 내부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판은,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상판에서 상기 하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을 내포하고, 네 코너 영역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제거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에 대해 상기몸체가 접촉되는 영역들의 인접한 단부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과 상기 수직선이 만나는 중심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것인,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BOOM FOR CONSTRUCTION EQUIPMENT, INNER WALL PLATE THEREOF, AND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는 자갈과 모래, 시멘트 및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건물의 지반이나 지주를 형성하는 재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레미콘 차량을 통해 미경화 상태로 시공현장으로 투입된다.
시공현장이 건물의 지하 벽면이나 기둥일 경우, 레미콘 차량으로부터 콘크리트의 공급 가능하다. 그러나, 레미콘 차량보다 높은 고층건물의 벽면이나 기둥일 경우, 레미콘으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는 펌프카를 이용해 타설 현장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 펌프카는 전개된 붐대에 연결된 압송관을 통해 타설 현장에 콘크리를 압송한다.
이러한 붐대는 압송관을 유동하는 콘크리트에 의한 힘, 그 자체의 형상에 따른 중력의 작용 등에 의해 트위스팅에 취약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붐대가 트위스팅에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붐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설장비용 붐대는, 상판,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구비하여 닫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을 지지하는 내부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판은,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상판에서 상기 하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을 내포하고, 네 코너 영역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제거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에 대해 상기몸체가 접촉되는 영역들의 인접한 단부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과 상기 수직선이 만나는 중심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한 쌍의 외접점들에서 상기 수직선과 상기 수평선 각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외접선들이 만나는 외접선 교점보다 상기 중심점 측으로 치우쳐서 연장하는 윤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외접점들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윤곽 라인은, 복수의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곡선 구간 각각에 대한 곡률 반경은,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에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중 하나를 향해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판은, 상기 굴곡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건설장비의 붐대 보강용 내부 격판은, 중심점에서 서로 만나는 가상의 수평선과 가상의 수직선을 내포하고, 네 코너 영역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제거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들의 인접한 단부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것이며, 상기 단부 접촉점은, 상기 몸체의 네 모서리의 단부의 최외곽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한 쌍의 외접점들에서 상기 수직선과 상기 수평선 각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외접선들이 만나는 외접선 교점보다 상기 중심점 측으로 치우쳐서 연장하는 윤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외접점들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건설장비는, 차량 본체; 및 상기 차량 본체에 설치되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상판,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구비하여 닫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을 지지하는 내부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판은,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상판에서 상기 하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을 내포하고, 네 코너 영역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제거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에 대해 상기몸체가 접촉되는 영역들의 인접한 단부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과 상기 수직선이 만나는 중심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한 쌍의 외접점들에서 상기 수직선과 상기 수평선 각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외접선들이 만나는 외접선 교점보다 상기 중심점 측으로 치우쳐서 연장하는 윤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외접점들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설 장비는, 상기 붐대에 고정되어 고층 타설 현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압송관을 더 포함하는 콘트리트 펌프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에 의하면, 붐대는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격판의 몸체의 네 코너에 형성되는 제거부의 구성에 의해 그를 트위스팅시키려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붐대에 작용하는 트위스팅을 유발하는 힘에 대해서도 붐대가 파손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10)를 보인 개념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붐대(200)의 일 단을 보인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붐대(2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붐대(200)의 내부 격판(25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붐대(200)의 내부 격판(250)이 설치된 부분의 단면에 대한 응력 해석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10)를 보인 개념적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건설장비(1O)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펌프카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는, 차량 본체(110)와, 붐대(200), 그리고 압송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본체(11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차체(110)를 가질 수 있다. 차체(110)에는 호퍼(120)와 실린더(130)가 설치될 수 있다. 호퍼(120)는 레미콘 차량으로부터 콘크리트를 투입받는 용기이다. 실린더(130)는 호퍼(120)에 공급된 콘크리트를 압송관(300)으로 펌핑하는 구성이다.
붐대(200)는 압송관(300)을 높은 건물에 위치하는 타설 현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붐대(20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차량 본체(110)의 이동 시에는 접힌 상태이다가 콘크리트 압송 시에는 펴지게 된다.
압송관(300)은 붐대(200)에 연결되어 타설 현장으로 콘크리트를 안내하는 구성이다. 콘크리트는 앞서 설명한 실린더(130)의 압박에 의해 압송관(300)을 따라 유동하여 타설 현장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상의 붐대(200)의 일 단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붐대(200)의 일 단을 보인 투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붐대(200)는 대체로 사각 단면을 가진 채로 연장되는 프레임(210)을 구비한다. 프레임(210)에는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구간(211, 212)이 형성될 수 있다. 굴곡 구간(211, 212)은 붐대(200)가 다단으로 접힐 때 그 부분들 간의 간섭을 피해서 접히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굴곡 구간(211, 212)에서는 압송관(300)을 통한 콘크리트 압송 등의 작용에 의해 프레임(210)을 트위스팅하려는 힘(T)이 작용하게 된다. 그 힘(T)으로부터 프레임(2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10)의 굴곡 구간(211, 212)에 내부 격판(250)이 장착된다. 내부 격판(250)은 굴곡 구간(211, 212)에서 각각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내부 격판(250)은 굴곡 구간(211, 212) 외의 구간에서도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프레임(210)과 내부 격판(250)의 구체적 구성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붐대(2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붐대(200)의 내부 격판(25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프레임(210)은 상판(221), 하판(222), 좌측판(223), 및 우측판(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사각형의 폐 곡선을 형성하고, 서로 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그들의 연결 부분에는 용접 비드(231)가 위치하게 된다.
프레임(21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내부 격판(250)이 배치된다. 내부 격판(250)은 네 개의 측면을 가지고, 각 측면은 상판(221), 하판(222), 좌측판(223), 및 우측판(224)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좌측판(223)과 우측판(224)은 내부 격판(250)의 마주하는 측면과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상판(221)과 하판(222)은 내부 격판(250)과 용접되지는 않고 접촉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내부 격판(250)은 대체로 십자 형태인 몸체(251)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몸체(251)는 상판(221)에서 하판(222)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252)을 내포할 수 있다. 또한, 몸체(251)는 좌측판(223)에서 우측판(224)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253)을 내포할 수 있다. 이들 수직선(252) 및 수평선(253)은 몸체(251)의 중심점(254)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이다. 몸체(251)의 네 코너 영역에는 각각 제거부(255)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판(221)과 우측판(224)이 만나는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거부(25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거부(255)는 중심점(254)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거부(255)는 제1 단부 접촉점(256)과 제2 단부 접촉점(257)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258)을 기준으로 중심점(254)을 향해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제1 단부 접촉점(256)은 몸체(251)의 상 측면이 상판(221)과 접촉될 때, 그들 간의 접촉 영역에서 끝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2 단부 접촉점(257)은 몸체(251)의 우 측면이 우측판(224)과 접촉될 때, 그들 간의 접촉 영역에서 끝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1 단부 접촉점(256)과 제2 단부 접촉점(257)은 서로 인접한 지점들이고, 그들을 연결하는 직선이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258)이 된다.
제거부(255)의 형태는, 보다 구체적으로, 외접선 교점(265)과의 관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외접선 교점(265)은 제1 외접선(263)과 제2 외접선(264)이 교차하는 지점이다. 제1 외접선(263)은 수직선(252)에 평행한 가상선이고, 제2 외접선(264)은 수평선(253)에 평행한 가상선이다. 제1 외접선(263)은 제1 외접점(261)에서 제거부(255)와 외접하는 직선이다. 제2 외접선(264)은 제2 외접점(262)에서 제거부(255)와 외접하는 직선이다. 제1 외접점(261) 및 제2 외접점(262)은 제거부(255)를 형성하는 몸체(251)의 양단부 영역에서 상판(221)과 우측판(224)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가장 돌출된 지점들이다. 본 도면에서는 외접점(261, 262)이 단부 접촉점(256, 257)과는 다른 지점으로 정의되나, 몸체(251)의 형상에 따라서는 그들이 서로 동일한 지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제거부(255)는 외접선 교점(265)보다 중심점(254) 측으로 치우쳐서 연장하는 윤곽 라인(260)을 가질 수 있다. 윤곽 라인(260)은 대체로 주머니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윤곽 라인(260)은 제1 외접점(261)과 제2 외접점(262)을 연결하며 제거부(255)의 윤곽을 형성하는 선이다.
윤곽 라인(260)은 복수의 곡선 구간(271, 272, 273)을 가질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곡선 구간(271, 272, 273)은 각기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외접점(262)에서 제1 외접점(261)을 향해 연장하는 중에 제1 곡선 구간(271)의 곡률 반경에 비하여, 제2 곡선 구간(272)의 곡률 반경이 작을 수 있다. 나아가, 제2 곡선 구간(272)의 곡률 반경에 비하여, 제3 곡선 구간(273)의 곡률 반경이 작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제거부(255)에 대하여, 곡선 구간의 곡률 반경은 좌측판(223) 및 우측판(224) 중 하나에서 하판(222) 및 상판(221) 중 하나를 향해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붐대(200)의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붐대(200)의 내부 격판(250)이 설치된 부분의 단면에 대한 응력 해석 이미지이다.
도 5를 추가로 참조하면, 트위스팅 하려는 힘(T)이 붐대(200)에 대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제거부(255)의 존재에 의하여 내부 격판(250)이 용접 비드(231)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거부(255)가 트위스팅 하려는 힘(T)이 용접 비드(231) 측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에 의해, 트위스팅 하려는 힘(T)에 의해 용접 비드(231) 부분이 파손되거나 해당 부분의 프레임(210)이 찢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이는 도 5에서 상판(221)과 좌측판(223), 좌측판(223)과 하판(222), 하판(222)과 우측판(224), 및 우측판(224)과 상판(221) 간의 연결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제거부(255)가 외접선 교점(265)을 넘어서 중심점(254)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에 따라서는, 우측판(224)에 가해진 트위스팅 하려는 힘(T)이 상판(221)으로 전달되는 연결성이 끊어지게 된다. 또한, 상판(221)에 가해진 트위스팅 하려는 힘(T)은 좌측판(223)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해, 몸체(251)의 측면들이 상판(221), 좌측판(223) 등에 연결된 영역에서 상판(221), 좌측판(223) 등이 찢어지거나 그 연결을 위한 용접 부위가 파손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는 도 5에서 몸체(251)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이 제거부(255)의 안쪽의 제1 곡선 구간(271)이고, 몸체(251)의 측면과 좌측판(223) 등이 만나는 영역에는 최대 응력이 발생하지 않음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윤곽 라인(260)에서 곡률 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됨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좌측판(223)에 인가된 트위스팅 하려는 힘(T)이 몸체(251)의 중심을 향해서는 전달되더라도 하판(222)에 까지는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도 5에서 제1 곡선 구간(271)에 최대 응력이 발생하고 다른 곡선 구간(272,273)에서는 발생하지 않음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건설장비(콘크리트 펌프카) 100: 차량 본체
200: 붐대 210: 프레임
221: 상판 222: 하판
223: 좌측판 224: 우측판
250: 내부 격판 251: 몸체
255: 제거부 258: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
260: 윤곽 라인 265: 외접선 교점

Claims (9)

  1. 상판,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구비하여 닫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을 지지하는 내부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판은,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상판에서 상기 하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을 내포하고, 네 코너 영역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제거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에 대해 상기몸체가 접촉되는 영역들의 인접한 단부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과 상기 수직선이 만나는 중심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것이며,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한 쌍의 외접점들에서 상기 수직선과 상기 수평선 각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외접선들이 만나는 외접선 교점보다 상기 중심점 측으로 치우쳐서 연장하는 윤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외접점들을 연결하는 것인, 건설장비용 붐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라인은,
    복수의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곡선 구간 각각에 대한 곡률 반경은,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에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중 하나를 향해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인, 건설장비용 붐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판은,
    상기 굴곡 구간에 배치되는, 건설장비용 붐대.
  5. 중심점에서 서로 만나는 가상의 수평선과 가상의 수직선을 내포하고, 네 코너 영역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제거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들의 인접한 단부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것이며,
    상기 단부 접촉점은,
    상기 몸체의 네 모서리의 단부의 최외곽 지점에 위치하는, 건설장비의 붐대 보강용 내부 격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한 쌍의 외접점들에서 상기 수직선과 상기 수평선 각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외접선들이 만나는 외접선 교점보다 상기 중심점 측으로 치우쳐서 연장하는 윤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외접점들을 연결하는 것인, 건설장비의 붐대 보강용 내부 격판.
  7. 차량 본체; 및
    상기 차량 본체에 설치되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상판,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좌측판 및 우측판을 구비하여 닫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을 지지하는 내부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판은,
    상기 좌측판에서 상기 우측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상판에서 상기 하판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을 내포하고, 네 코너 영역에 각각 형성된 네 개의 제거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에 대해 상기몸체가 접촉되는 영역들의 인접한 단부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단부 접촉점 연결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과 상기 수직선이 만나는 중심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제거된 것이며, 상기 몸체 중 상기 제거부의 입구를 한정하는 양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한 쌍의 외접점들에서 상기 수직선과 상기 수평선 각각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외접선들이 만나는 외접선 교점보다 상기 중심점 측으로 치우쳐서 연장하는 윤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외접점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곡선 구간 각각에 대한 곡률 반경은,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 중 하나에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중 하나를 향해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건설장비.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장비는,
    상기 붐대에 고정되어 고층 타설 현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압송관을 더 포함하는 콘트리트 펌프카인, 건설장비.
KR1020180081712A 2018-07-13 2018-07-13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 KR10212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12A KR102120315B1 (ko) 2018-07-13 2018-07-13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12A KR102120315B1 (ko) 2018-07-13 2018-07-13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12A KR20200007512A (ko) 2020-01-22
KR102120315B1 true KR102120315B1 (ko) 2020-06-08

Family

ID=6936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712A KR102120315B1 (ko) 2018-07-13 2018-07-13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3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45Y1 (ko) * 1997-12-11 2000-01-15 추호석 콘크리트 펌프트럭용 스폰지볼 캐처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4340A1 (de) * 2012-12-21 2014-06-26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Mastarm für einen Betonverteilermas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150037181A (ko) * 2013-09-30 2015-04-08 전진중공업(주) 콘크리트 펌프 장비의 붐 굴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45Y1 (ko) * 1997-12-11 2000-01-15 추호석 콘크리트 펌프트럭용 스폰지볼 캐처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12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3603B2 (en) Construction machine cab having a rollover protection structure
KR102120315B1 (ko) 건설장비용 붐대, 그의 내부 격판 및 그를 구비하는 건설장비
CN105821908A (zh) 一种多重止水带、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WO2015133111A1 (ja) 直線形鋼矢板、該直線形鋼矢板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CN209441831U (zh) 一种料框
KR20100091355A (ko) 이중강관을 이용한 보도교
KR101240414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CN108343069A (zh) 预制混凝土支护墙
CN207714148U (zh) 现浇箱梁模板连接机构及现浇箱梁用支撑模板
KR1007796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CN206570711U (zh) 新型组合铝模板
KR20170137324A (ko) 건식공법에 의한 공동구 뚜껑의 제조방법
CN205775806U (zh) 一种铁路桥梁挡砟墙轻型钢模板
EP1113126A1 (en) Mesh mould and mesh mould construction method
CN205822799U (zh) 一种电力沟道改造灌浆用溜槽架
CN205874949U (zh) 基于自行走的栈桥装置
CN209413003U (zh) 一种钢梁埋件
CN217557685U (zh) 一种混凝土浇筑口辅助用模具
KR102270884B1 (ko)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CN214329454U (zh) 一种预制隔墙之间的连接节点
KR102088917B1 (ko) 보강 부재가 내부에 구비된 조립형 강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형 구조물의 시공 방법
CN212836181U (zh) 一种加腋大板
CN209323705U (zh) 钢梁埋件
CN207032306U (zh) 一种通信管道手孔井
CN219908950U (zh) 基坑冠梁支撑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