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181B1 -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181B1
KR102120181B1 KR1020190003952A KR20190003952A KR102120181B1 KR 102120181 B1 KR102120181 B1 KR 102120181B1 KR 1020190003952 A KR1020190003952 A KR 1020190003952A KR 20190003952 A KR20190003952 A KR 20190003952A KR 102120181 B1 KR102120181 B1 KR 10212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ing
space
frame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0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1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a cooking unit provided in an interior sp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steam; a steam collection unit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rame and configured to collect and cool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cooking unit; and a steam discharge means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am collection unit and discharging the steam in the steam collection unit to the outsid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ok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escription

조리 장치 {Cooking apparatus}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조리 대상물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기로서, 전기 밥솥, 인덕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은 물이 담긴 내솥을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주방 조리기기로서, 밥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As a heating cooking device for heating a heating object such as a cooking object, various devices such as an electric rice cooker and induction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an electric rice cooker is a kitchen cooking appliance that cooks by heating an inner pot containing water with an electric heating means, and can cook food such as rice.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기는 고온 및 고압의 상태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므로, 조리 과정에서 내부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주변의 다른 가전제품 및 가구가 손상되고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the heated cooking appliance cooks the object to be cooked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so that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the cooking process. Due to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there is a problem in that other home appliances and furniture are damaged and a safety accident occurs, such as a user being burned.

공개특허 제2018-0118605호Published Patent No. 2018-0118605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고온 고압의 증기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from being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effectively discharging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 및 상기 증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증기 포집부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 배출 수단; 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A cooking unit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steam; A steam collecting part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frame and configured to capture steam generated from the cooking part; And a steam discharging means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am collecting part and discharging the steam in the steam collecting part to the outside. It includes.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증기 배출 수단은, 상기 증기 포집부 내의 증기를 상기 조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소정의 배기 홀, 및 상기 증기 포집부에서 전달된 증기를 상기 배기 홀로 전달하도록 증기 유동 경로가 형성된 배기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am discharging means comprises: a predetermined exhaust hole for discharging the steam in the steam collec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and a steam flow path to deliver the steam delivered from the steam collecting part to the exhaust hole It includes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formed.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출 포트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배출 수단은 상기 물받이에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drip tray for receiv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of the collection case, the steam discharge means is formed in the drip tray.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drip tray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배기 연결 수단은, 상기 물받이 내에 마련되며 상기 증기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복수 개의 격벽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provided in the drip tray and extending the vapor flow path.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물받이는, 상기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는 팽창 공간, 및 유동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 공간은 상기 증기 포집부에 인접한 방향에 배치되며 소정의 용적을 갖고, 상기 유동 공간은 상기 배기 홀에 인접한 방향에 배치되며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 유동 경로를 갖는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drip tray includes an expansion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and a flow space, the expansion space being arrang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flow space is It is arrang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exhaust hole and has a zigzag vapor flow path.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증기 포집부는,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를 포함하고, 내부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유출 포트까지 이어진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am collecting portion includes a collection case includ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nd a flow space through which steam can flow; And a flow path guide forming a steam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inlet port to the outlet port in the collection case.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조리부의 상기 배기 포트와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입 포트가 상호 연통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oking unit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is movable in a first position where the exhaust port of the cooking unit and the inlet port of the collecting cas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pace.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취사 과정 동안 배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켜 물로 배출하거나 저온 상태의 증기로 배출할 수 있다. 고온 고압의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소정의 증기 포집부를 거쳐서, 배기 연결 수단과 배기 홀을 갖는 증기 배출 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빌트-인 구조의 조리기기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주변의 가전제품 또는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discharg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cool the collected steam, and discharge it as water or as a low-temperature steam. Since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is not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predetermined steam collecting unit, through an exhaust connection means and a steam discharge means having an exhaust hole, so that a user may be burn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is not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rrounding home appliances or furniture from being damaged by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in the built-in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증기의 유동을 나타낸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의 증기 배출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배출 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por trap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stea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ok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bringing in and taking out a cooking uni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eam discharge concep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vapor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포집부(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3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증기의 유동을 나타낸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collecting unit 3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stea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 조리부(20), 및 증기 포집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물받이(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1)는, 증기 배출 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oking device 1 may include a frame 10, a cooking unit 20, and a vapor collecting unit 30, and in addition, may include a drip tray 40. In addition,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am discharge means 50.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수납 공간(111)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0)은 조리 장치(1)를 다른 물체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함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rame 10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device 1. The frame 10 may provide a storage space 111 in which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oking device 1 can be installed. In example embodiments, the frame 1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the cooking device 1 in a built-in manner to another object, for example, to have a shape of a housing. Can be configured.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일 수 있다. The cooking unit 20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and can cook the cooking object. For example, the cooking unit 20 may be an electric rice cooker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a cooking function capable of cooking rice and a warming func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oked rice at a constant temperatu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부(20)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공간(213)을 가지는 조리 용기(212)를 포함하는 본체(210)와,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0)에 설치된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0)에는 조리 공간(213) 내의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 및 조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 조리부(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ooking unit 20 may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210 including a cooking container 212 having a cooking space 213 capable of cooking a cooking object, and the cooking space 213. So that it may include a lid 220 installed on the main body 210. In addition, the main body 210, various mean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unit 20, such a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cooking object in the cooking space 213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device 1 Can be installed.

상기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조리 공간(213) 내에 취사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 공간(213)을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220)은 본체(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뚜껑(220)은 본체(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 공간(2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The lid 220 may close the cooking space 213 so that a pressure suitable for cooking is formed in the cooking space 213 while cooking of the cooking object is in progress. For example, the lid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and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space 213. Alternatively, the lid 220 may be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to open or close the cooking space 213. .

한편, 상기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취사가 완료된 후에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 내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소정의 배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조립체는 조리 공간(213) 내의 증기를 배출하여 조리 공간(213)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 공간(213) 내의 압력을 취사에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id 22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exhaust assembly configured to discharge steam in the cooking space 213 of the main body 210 during cooking or cooking is completed. The exhaust assembly may prevent steam from excessively rising in the cooking space 213 by discharging steam in the cooking space 213, and serve to maintain the pressure in the cooking space 213 at a pressure suitable for cooking. Can be.

상기 뚜껑(220)은 상기 뚜껑(220)의 외부로 증기를 방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221)를 가진 증기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커버(230)는 뚜껑(220)의 외면을 형성하며, 뚜껑(220) 내부의 배기 조립체를 덮고, 상기 배기 조립체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id 220 may include a vapor cover 230 having an exhaust port 221 for discharging steam to the outside of the lid 220. The steam cover 230 forms an outer surface of the lid 220, covers an exhaust assembly inside the lid 220, and forms a space through which steam discharged from the exhaust assembly can flow.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에 내장된(embedded) 또는 매립된(buri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cooking unit 2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and may have an embedded or buried structure in the frame 1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리부(2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부(20)의 본체(21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as described later, the cooking unit 2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The cooking unit 2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and can be carri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In this case, the main body 210 of the cooking unit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or 211 that can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증기 포집부(3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조리부(20)에서 배출된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포집부(30)는 외부로 방출되기에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시켜 증기 상태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team collecting unit 30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and collects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cooking unit 20 and cools the collected steam. For example, the vapor collection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cool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discharge it in a vapor state, or may be configured to condense and discharge the vapor with water.

증기 포집부(30)는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포집 케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por collecting part 30 may include a collecting case 310 that provides a flow space through which steam can flow.

포집 케이스(310)는 각 부분을 높이 위치에 따라서, 상부분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310A), 중간 부분을 구성하는 중간 케이스(310B), 및 하부 부분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31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A), 중간 케이스(310B), 및 하부 케이스(310C)는 서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10A), 중간 케이스(310B), 및 하부 케이스(310C)는 서로 연통하여 하나의 유동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The collecting case 310 includes an upper case 310A constituting an upper portion, an intermediate case 310B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lower case 310C constituting a lower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each portion. Can be configured. The upper case 310A, the middle case 310B, and the lower case 310C may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upper case 310A, the middle case 310B, and the lower case 310C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one flow space.

포집 케이스(310)는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311)를 포함하고, 증기 포집부(30)에서 냉각된 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가 유출되는 유출 포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포트(311)는 상부 케이스(310A)의 저면부(312)에 마련되며, 유출 포트(313)는 하부 케이스(310C)전단에 마련될 수 있다. The collection case 310 includes an inflow port 311 through which steam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221 of the cooking unit 20 flows, and the fluid cooled by the steam collection unit 30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by condensation of steam) And/or an outlet port 313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steam) is discharged. The inlet port 311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312 of the upper case 310A, and the outlet port 313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case 310C.

유입 포트(311)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포집 케이스(310)에 마련된 유동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유출 포트(313)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출 포트(313)는 유입 포트(311)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포집 케이스(310) 내에서 증기는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311 may be cooled in the process of flowing in the flow space provided in the collection case 3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 313. At this time, the outlet port 313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inlet port 311, and the vapor may flow downward in the collection case 310.

유입 포트(311)는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증기 포집부(30)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배기 포트(221)와 상호 연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증기 포집부(30)는 조리부(20)와 증기 포집부(30)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 포트(311)에 장착된 패킹(34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340)은 조리부(20)의 뚜껑(220)의 배기 포트(221)에 밀착되어, 배기 포트(221)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let port 311 may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port 221 so that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221 effectively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vapor collecting unit 30. In example embodiments,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may include a packing 340 mounted on the inlet port 311 to prevent leakage of steam between the cooking portion 20 and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Can be. The packing 3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haust port 221 of the lid 220 of the cooking unit 20 and prevents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221 from leaking into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can do.

증기 포집부(30)는 포집 케이스(310) 내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증기 유로(330)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20)는 예를 들면, 포집 케이스(310)의 내벽에 장착된 격벽 구조일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320)는 포집 케이스(310)내에서 증기를 일정 경로로 안내하며, 유입 포트(311)로부터 유출 포트(313)까지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증가시켜서 증기가 포집 케이스(310)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기 포집부(30) 내에서 증기가 냉각되는 정도 및 증기가 물로 치환되는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The steam collecting part 30 may include a flow path guide 320 forming a steam flow path 330 through which steam can flow in the collecting case 310. The flow path guide 320 may be, for example, a partition structure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llection case 310.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low path guide 320 guides the steam in the collection case 310 in a certain path, and increases the steam movement path from the inlet port 311 to the outlet port 313 to increase steam. Can increase the time to stay within the collection case 310. Accordingly, the degree to which the steam is cooled in the vapor collection unit 30 and the rate at which the steam is replaced with water may increas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조리 장치(1)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된 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팬(120)은 수납 공간(111) 내에서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수납 공간(111)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 포집부(30)는 포집 케이스(310) 내의 유체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는 팬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팬 모듈(350)은 유입 포트(311) 근방에 마련되며, 포집 케이스(3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여 포집 케이스(310) 내의 공기를 유출 포트(313)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팬 모듈(350)은 팬(351), 및 개폐 가능한 셔터(353)를 포함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cooking device 1 may include a fan 120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The fan 120 may force air to flow in the storage space 111 to dry the storage space 111. In addition, the vapor collecting unit 30 may include a fan module 350 capable of forcibly flowing fluid in the collecting case 310. The fan module 35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flow port 311 and blows air into the collection case 310 to flow air in the collection case 310 toward the outflow port 313. The fan module 350 may include a fan 351 and a shutter 353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마련되며, 증기 포집부(30)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다. 물받이(40)는 증기 포집부(30)의 유출 포트(313)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유입구(410)를 가지며, 유출 포트(313)로부터 배출된 응축수 및/또는 저온의 증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40)는 조리부(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물받이(40)는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The drip tray 40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and can store condensate drained from the vapor collecting part 30. The drip tray 40 has an inlet 410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 313 of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and can receive condensate and/or low temperature steam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313. For example, the drip tray 40 may be disposed under the cooking unit 20.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drip tray 4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and can be carri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부(20)의 반입 및 반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리 장치(1)의 사시도들이다.4 to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cooking device 1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arrying in and taking out the cooking unit 2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는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의 내측벽에는 고정 레일(151)이 마련되며, 본체(210)에는 고정 레일(15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레일(251)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21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9)가 마련되며, 조리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아울러, 조리부(20)에는 소정의 제어 수단(218)이 탑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4 to 7, the cooking unit 20 may be installed in a drawer type on the frame 10. Specifically, a fixed rail 151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rame 10, and a moving rail 251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fixed rail 151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210. The door 211 is provided with a handle 219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and the cooking unit 20 may be moved by the user to be brought in or taken out of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In addition, a predetermined control means 218 may be mounted on the cooking unit 20.

예를 들어, 조리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수용된 제1 위치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oking unit 20 has a first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as illustrated in FIG. 4, and a storage space of the frame 10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It can mov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protruding from (111).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1 위치는 조리 장치(1)의 조리 과정 시의 조리부(20)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1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20)의 배기 포트(221)와 증기 포집부(30)의 유입 포트(311)가 상호 연통할 수 있고, 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패킹은 배기 포트(221)에 밀착될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position of the cooking unit 20 may b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unit 20 during a cooking process of the cooking device 1. For example, in the first position of the cooking unit 20, as shown in FIG. 1, the exhaust port 221 of the cooking unit 20 and the inlet port 311 of the vapor collecting unit 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acking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haust port 221 to prevent steam leakage.

또한, 상기 조리부(20)의 상기 제2 위치는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에 조리될 조리 대상물을 넣거나 본체(210)의 조리 공간(213)으로부터 조리가 완료된 조리 대상물을 꺼내기 적합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20)의 제2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20)은 프레임(10)과의 간섭 없이 회전되어 조리 공간(213)을 개방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osition of the cooking unit 20 is a suitable position to put the cooking object to be cooked in the cooking space 213 of the main body 210 or to take out the cooked cooking object from the cooking space 213 of the main body 210. Can be For example, in the second position of the cooking unit 20, as illustrated in FIG. 6, the lid 220 may be rotat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rame 10 to open the cooking space 213.

아울러, 도 7은 물받이(40)의 반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예컨대 도 7과 같이 물받이(40)가 반출되어 물받이(40)에 고인 물이 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FIG. 7 shows a discharging form of the drip tray 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drip tray 40 is taken out and water accumulated in the drip tray 40 may be trea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40)는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의 내측벽에는 고정 레일(153)이 마련되며, 물받이(40)에는 고정 레일(15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레일(453)이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40)의 도어(41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19)가 마련될 수 있다. 물받이(4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프레임(10)의 수납 공간(111)에 대해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drip tray 40 may be installed in a drawer type on the frame 10. Specifically, a fixed rail 153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rame 10, and a moving rail 453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fixed rail 153 may be provided on the drip tray 40. The door 411 of the drip tray 4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419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a user. The drip tray 40 may be moved by a user to be carried in or out of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frame 10.

물받이(40)가 프레임(10)에 서랍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물받이(40)를 반출하여 물받이(40)의 저수된 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물받이(40)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As the drip tray 40 is installed in the frame 10 as a drawer type,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stored water of the drip tray 40 by taking out the drip tray 40 and can easily clean the drip tray 40.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장치(1)의 증기 배출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배출 수단(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eam discharge concept of a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team discharge means 5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증기 배출 수단(50)은 상기 증기 포집부(30)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여기서, 외부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장치(1) 외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외기를 의미하거나, 또는 소정의 타 증기 처리 장치(미도시)를 의미할 수도 있다.The steam discharging means 50 is a means for discharging the steam in the steam collecting part 30 to the outside. Here, the term "outside" means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mean outside air or may mean a certain other steam processing apparatus (not shown).

증기 배출 수단(50)은 소정의 배기 홀(510), 및 상기 배기 홀(510)과 증기 포집부(30)를 연결하는 소정의 배기 연결 수단(5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am discharge means 5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exhaust hole 510 and a predetermined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connecting the exhaust hole 510 and the vapor collecting part 30.

배기 홀(510)은 상기 증기 포집부(30)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홀로 구성된다. 배기 홀(510)은 예컨대 프레임(10)의 외면 일 측, 물받이의 외면 일 측, 또는 조리부(20)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exhaust hole 510 is configured with a predetermined hole through which the steam in the vapor collecting part 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exhaust hole 510 may be formed on, for example,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rip tray, or a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unit 20, and is not limited.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 홀(510)은 물받이(4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증기가 조리 장치(1)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홀(510)은 물받이(40)의 바닥면 위치에 형성되어 증기가 조리 장치(1)의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 홀(51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은 반드시, 기체 상태의 증기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증기가 응결되어 액체 상태로 처리된 증류수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haust hole 510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drip tray 40 to allow steam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9, the exhaust hole 5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p tray 40 to allow steam to be discharged below the cooking apparatus 1. Here, what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5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gaseous vapor, and may be distilled water in which the vapor is condensed and treated in a liquid state.

상기 배기 홀(510)에 의해서 배기되는 증기는 외기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기 홀(510)이 타 증기 처리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배기 홀(510)에 의해서 배기되는 증기가 타 증기 처리 장치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증기 처리 장치는, 예컨대 증기를 냉각시키거나 응축시키는 소정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am exhausted by the exhaust hole 510 may be discharged to outside air. Alternatively, the exhaust hole 510 is connected to another steam treatment device, so that the steam exhausted by the exhaust hole 510 may be delivered to another steam treatment device. The steam treatment device may be configured with a predetermined device for cooling or condensing the steam, for example.

배기 연결 수단(520)은 상기 배기 홀(510)과 증기 포집부(30) 사이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배기 연결 수단(520)은 배기 홀(510)과 증기 포집부(30) 사이를 연결하여, 증기 포집부(30) 내의 증기를 배기 홀(510)로 전달한다.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exhaust hole 510 and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connects between the exhaust hole 510 and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to transfer the steam in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to the exhaust hole 510.

일 예로, 배기 연결 수단(520)은 상기 물받이(4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물받이(40)의 일 부분에는 상기 증기 포집부(30)에 연결되는 유입구(410)가 구비되어 증기 포집부(30)로부터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물받이(40)의 일 부분에는 상기 배기 홀(510)이 형성되어 상기 증기 포집부(30)로부터 유입된 증기가 배기될 수 있다. 물받이(40)의 내부 공간은 상기 배기 연결 수단(520)으로 기능하게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may be provided on the drip tray 40. That is, a portion of the drip tray 40 is provided with an inlet 410 connected to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to allow steam to flow from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In addition, the exhaust hole 510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drip tray 40 so that the steam introduced from the steam collecting part 30 can be exhausted. The inner space of the drip tray 40 may function as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상기 물받이(40) 내부에는 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물받이 내부의 공간 내에 구비됨으로써, 증기의 유동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은, 구획 격벽(530)과, 유동로 격벽(540)을 포함할 수 있다. A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ip tray 40. The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in a space inside the drip tray, thereby forming a flow path of steam.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a partition partition wall 530 and a flow path partition wall 540.

바람직하게는, 배기 연결 수단(520)의 전단에는 팽창 공간(P)이 마련되며, 후단에는 유동 공간(Q)이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an expansion space P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and a flow space Q is provided at the rear end.

상기 팽창 공간(P)은 배기 연결 수단(520)의 전단에 배치된다. 즉, 증기 포집부(30)에 인접한 위치(유입구(4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팽창 공간(P)은 유동 공간(Q) 내에 마련된 증기 유동 경로에 비해 큰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획 격벽(530)은, 상기 팽창 공간(P)과 유동 공간(Q)을 구획할 수 있도록 팽창 공간과(P) 유동 공간(Q) 사이에 마련된다. The expansion space P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That is,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30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let 410). The expansion space P may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vapor flow path provided in the flow space Q. In addition, the partition partition wall 530 is provided between the expansion space (P) and the flow space (Q) to partition the expansion space (P) and the flow space (Q).

상기 팽창 공간(P)이 마련됨으로써, 물받이(40)로 전달된 증기가 팽창하여 냉각될 수 있다. 아울러, 포집 케이스(310)에서 물받이(40)로 증기가 전달될 때, 증기가 팽창함으로써, 압력이 낮아져서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By providing the expansion space P, the steam delivered to the drip tray 40 can be expanded and cooled. In addition, when the steam is transferred from the collection case 310 to the drip tray 40, the steam expands, so that the pressure is lowered and delivery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유동 공간(Q)은 상기 팽창 공간(P)에서 팽창된 증기를 배기 홀(510)로 전달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유동 공간(Q)의 전단은 팽창 공간(P)의 후단에 연결되며, 유동 공간(Q)의 후단은 배기 홀(510)에 연결된다. 유동 공간(Q)에는 증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소정의 증기 유동 경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공간(Q) 내에 상기 유동로 격벽(540)이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유동로 격벽(540)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증기가 유동함으로써, 증기 유동 경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flow space Q is a space that transfers the steam expanded in the expansion space P to the exhaust hole 510.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flow space Q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expansion space P, and the rear end of the flow space Q is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510. The flow space Q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team flow path for guiding the flow of steam. That is, a plurality of the flow path partition walls 540 are provided in the flow space Q, and a steam flow path may be provided by steam flow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low path partition walls 540.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 공간(Q) 내에는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유동로 격벽(5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 공간(Q) 내의 증기 유동 경로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증기가 상기 증기 유동 경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되거나 응축될 수 있다. 아울러, 증기가 고압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Preferably, a flow path partition wall 540 disposed in a zigzag manner is provided in the flow space Q. Therefore, the vapor flow path in the flow space Q may be extended. Thus, steam can be cooled or condensed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steam flow path. In addition, stea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high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수단(50)을 구비한 조리 장치(1)에서, 증기 배출수단(50)에 의한 증기의 배출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도 9 의 화살표 F1 과 같이, 증기 배출 수단(50) 내부로 증기가 유입된다. 이때, 증기 배출 수단(50)에는 팽창 공간(P)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팽창하여 냉각되고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팽창 공간(P)의 연결된 유동 공간(Q)으로 증기가 전달되면 증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유동하게 된다. 유동 공간(Q)을 통해 증기가 유동함으로써, 유동 길이가 길어지며, 이 과정에서 냉각 및 응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유동 공간(Q)의 후단에 마련된 배기 홀(510)에 도달하면, 증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외부로 배출된 증기는 외기로 배출되거나, 또는 별도의 증기 처리 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In the cooking apparatus 1 equipped with the steam discharge means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ischarging steam by the steam discharge means 50 is as follows. First, as shown by arrow F1 in FIG. 9, steam flows into the steam discharge means 50. At this time, since the expansion space P is provided in the steam discharging means 50, the steam expands to cool and the pressure can be lowered. Subsequently, when steam is delivered to the connected flow space Q of the expansion space P, the steam flows in a zigzag form. As the steam flows through the flow space Q, the flow length becomes long, and cooling and condensation can be achieved in this process. Subsequently, when the exhaust hole 510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low space Q is reached,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after, the steam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or may be treated by a separate steam treatment device (not shown).

본 발명에 의하면, 취사 과정 동안 배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고온 고압의 증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소정의 증기 포집부(30)를 거쳐서, 배기 연결 수단(520)과 배기 홀(510)을 갖는 증기 배출 수단(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직접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빌트-인 구조의 조리기기에서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주변의 가전제품 또는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discharg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steam. Sinc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is not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but through a predetermined steam collecting unit 3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exhaust connection means 520 and a steam discharge means 50 having an exhaust hole 510,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user from being burned due to high pressure steam. In addition, since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is not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rrounding home appliances or furniture from being damaged by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in the built-in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inology in this specificatio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조리 장치 10: 프레임
111: 수납 공간 20: 조리부
210: 본체 220: 뚜껑
230: 증기 커버 30: 증기 포집부
310: 포집 케이스 320: 유로 가이드
330: 증기 유로 340: 패킹
40: 물받이 50: 증기 배출 수단
1: cooking device 10: frame
111: storage space 20: cooking unit
210: body 220: lid
230: steam cover 30: steam trap
310: collection case 320: euro guide
330: steam flow path 340: packing
40: drip tray 50: steam discharge means

Claims (8)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리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조리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하도록 구성된 증기 포집부;
상기 증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 부분와 연결되며 상기 증기 포집부로부터 배수된 응축수를 저수하는 물받이; 및
상기 증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증기 포집부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 배출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증기 포집부는,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를 포함하고, 내부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 포집 케이스, 및
상기 포집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유출 포트까지 이어진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 케이스는 상부분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중간 부분을 구성하는 중간 케이스, 및 하부 부분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조리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 포트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부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출 포트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 포집부에서 냉각된 유체가 배출되며,
상기 조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조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 내에 매립되어 상기 조리부의 상기 배기 포트와 상기 포집 케이스의 상기 유입 포트가 상호 연통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된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단에 구비된 유출 포트와 연통 가능한 유입구를 갖고,
상기 증기 배출 수단은,
상기 물받이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기 홀, 및
상기 물받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 홀과 상기 유입구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증기 포집부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상기 배기 홀로 전달하는 배기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 연결 수단은,
상기 물받이 내에 마련되며 상기 물받이 내에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 유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복수 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frame;
A cooking unit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steam;
A steam collecting part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frame and configured to capture steam generated from the cooking part;
A drip tray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and storing condensate drained from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And
A steam discharging means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am collecting part and discharging the steam in the steam collecting part to the outside;
It includes,
The vapor collecting unit,
A collection case includ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nd having a flow space through which steam can flow, and
It is provided in the collecting case, and includes a flow path guide forming a steam flow path from the inlet port to the outlet port,
The collecting case includes an upper case constituting an upper portion, an intermediate case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lower case constituting a lower portion,
The upper case is located above the cooking unit, the middle case is located behind the cooking unit, and the lower case is located below the cooking unit,
The inlet por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ase,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cooking unit flows in,
The outlet port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case to discharge the cooled fluid from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The cooking unit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and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he cooking unit,
It is embed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rame and is installed on the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a first position where the exhaust port of the cooking unit and the inflow port of the collection cas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interior space,
The drip tray has an inlet por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case,
The vapor discharge means,
An exhaust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drip tray, and
It is provided on the drip tray and includes an exhaust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between the exhaust hole and the inlet and transferring the steam introduced from the vapor collecting part to the exhaust hole,
The exhaust connection means,
A cook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drip tra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extending a steam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flows in the drip t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p tray is a cooking devic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ram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는 팽창 공간, 및 유동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 공간은 상기 증기 포집부에 인접한 방향에 배치되며 소정의 용적을 갖고,
상기 유동 공간은 상기 배기 홀에 인접한 방향에 배치되며 지그재그 형태의 증기 유동 경로를 갖는 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ough,
It includes an expansion space and a flow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The expansion space is dispos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vapor collecting portion and has a predetermined volume,
The flow space is arrang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exhaust hole and has a zigzag steam flow path.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03952A 2019-01-11 2019-01-11 Cooking apparatus KR102120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952A KR102120181B1 (en) 2019-01-11 2019-01-11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952A KR102120181B1 (en) 2019-01-11 2019-01-11 Coo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181B1 true KR102120181B1 (en) 2020-06-08

Family

ID=7108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952A KR102120181B1 (en) 2019-01-11 2019-01-11 Coo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18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957A (en) * 1967-11-20 1970-02-24 Michael C Gibellina Pressure cooker steam release system
JPH06133826A (en) * 1992-10-29 1994-05-17 Toshiba Corp Assembled-type heater
JP2009005819A (en) * 2007-06-27 2009-01-15 Hitachi Housetec Co Ltd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abinet with steam collection plate
KR20180068631A (en) *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essure cooker
KR20180118605A (en) 2017-03-31 2018-10-31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Detachable electric rice cook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957A (en) * 1967-11-20 1970-02-24 Michael C Gibellina Pressure cooker steam release system
JPH06133826A (en) * 1992-10-29 1994-05-17 Toshiba Corp Assembled-type heater
JP2009005819A (en) * 2007-06-27 2009-01-15 Hitachi Housetec Co Ltd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abinet with steam collection plate
KR20180068631A (en) * 2016-12-14 2018-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essure cooker
KR20180118605A (en) 2017-03-31 2018-10-31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Detachable electric rice coo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7620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coffee maker
US7341055B2 (en) Overheated steam oven
WO2001064053A1 (en) Convection steamer
EP2573253B1 (en) Heat pump dryer
JP2001507249A (en) Steam condensing device for cooking and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device
KR100715042B1 (en) A heating cooker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60129118A (en) A heating cooker
KR102100392B1 (en) Cooking apparatus
KR102120181B1 (en) Cooking apparatus
US5756968A (en) Electric cooker with two cooking chambers
KR101307659B1 (en) Water drainage system and steam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2213170B1 (en) Cooking apparatus
KR102120178B1 (en) Cooking apparatus
KR102201070B1 (en) Cooking apparatus
KR102120180B1 (en) Cooking apparatus
KR102126077B1 (en) Cooking apparatus
KR102201071B1 (en) Cooking apparatus
KR102121053B1 (en) Cooking apparatus
KR102165577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team
KR102121054B1 (en) Cooking apparatus
KR20100050200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team of electric cooker
KR102336126B1 (en) A cooking apparatus for control a cooking mode based on leakage vapor level
RU2762957C1 (en) Exhaust apparatus for fumes discharged during food preparation
US11506397B2 (en) Debris diverter component for preventing damage to oven appliance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