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102B1 -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102B1
KR102120102B1 KR1020130036930A KR20130036930A KR102120102B1 KR 102120102 B1 KR102120102 B1 KR 102120102B1 KR 1020130036930 A KR1020130036930 A KR 1020130036930A KR 20130036930 A KR20130036930 A KR 20130036930A KR 102120102 B1 KR102120102 B1 KR 10212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display area
state
cont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10A (ko
Inventor
조은형
천시내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102B1/ko
Priority to US13/875,075 priority patent/US9720530B2/en
Priority to PCT/KR2013/003909 priority patent/WO2014163230A1/en
Priority to EP13880941.3A priority patent/EP2981874B1/en
Priority to CN201380075100.4A priority patent/CN105103073B/zh
Publication of KR2014012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노티피케이션이 발생하면,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providing a reflection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반사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가벼운 무게와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와 인접한 곳에 포터블 디바이스를 위치시키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와 인접한 곳에 다양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거치대에 세워 놓거나 바닥에 눕혀 놓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보이도록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위로 향하도록 놓거나, 디스플레이 유닛이 보이지 않도록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어 놓을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노티피케이션이 발생하면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픽업하여 디스플레이를 응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본 명세서는, 반사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반사된 이미지의 시인성(visi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지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함,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노티피케이션이 발생하면,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고,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노티피케이션이 발생하면,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이드 디스플레이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된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오브젝트에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반사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반사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반사면의 텍스쳐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 및 가독성을 높이도록 컨텐츠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이미지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뮤직 플레이어, 태블릿 컴퓨터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전면 및 사이드에 각각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홀드되거나 다른 오브젝트(11)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도 1과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위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1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에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비해 더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도 1의 상단과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의해 구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사이의 내각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도 1의 하단과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에 이어진 곡면 형태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과의 경계선이 없이 이어져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노티피케이션이 발생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중 적어도 하나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에 노티피케이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노티피케이션에 대한 요약 내용(1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노티피케이션의 상세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브젝트(11) 위에 뒤집어져서 놓여질 수 있다. 도 2의 상단과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아래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을 이용하여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이드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의 내각은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브젝트(11)에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컨텐츠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 오브젝트에 반사된 제1 반사 이미지(21)는 컨텐츠의 좌우가 바뀐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오브젝트(11)에 반사된 제1 반사 이미지(21)는 컨텐츠의 좌우가 바뀐 상태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도 2의 하단과 같이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컨텐츠의 좌우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좌우가 반전된 컨텐츠를 오브젝트(11)에 반사시키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오브젝트에 반사된, 좌우가 반전되지 않은 제2 반사 이미지(22)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여 제1 상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제2 상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주변 오브젝트에 반사시킨 반사 이미지를 이용하여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이미지를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상단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제2 반사 이미지(31)를 제어하는 제어 인풋(32)을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반사 이미지(31)를 제어하는 제어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인풋은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 인풋, 보이스 인풋 및 제스쳐 인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에 포함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반사 이미지(31)를 제어하는 제어 인풋(32)에 대응하여 노티피케이션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도 2의 하단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티피케이션의 상세 내용을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좌우 반전되어 디스플레이된 상세 내용을 오브젝트(11)에 제3 반사 이미지(33)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3 반사 이미지(33)를 시각으로 확인하고 노티피케이션의 상세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어 인풋에 대응하여 다음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상단에서, 제1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거나 상하 반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한 이미지를 제1 이미지(41)로 정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도 2와 같이 뒤집혀진 것을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2 상태임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한 제1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도 4의 중단과 같이 제1 이미지가 상하로 반전되고 좌우로 반전된 제2 이미지(42)로 인식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42)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키면, 사용자는 도 2의 제1 반사 이미지(22)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반사 이미지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가 좌우 반전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1 반사 이미지를 통해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제3 이미지(43)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3 이미지(43)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킬 수 있다. 제3 이미지(43)가 반사된 제2 반사 이미지(22)는 도 2의 하단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2 반사 이미지(22)는 제1 상태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이미지(41)를 디스플레이한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시키고 이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상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의 상단에서, 제1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거나 상하 반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한 이미지를 제1 이미지(51)로 정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의 전체 내용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한번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컨텐츠의 일부를 제1 이미지(51)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51)를 스크롤하여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의 상단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를 제1 방향(52)으로 스크롤하여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사용자가 텍스트를 읽는 방향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영어 텍스트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51)를 좌측으로 스크롤하여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도 2와 같이 뒤집혀진 것을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2 상태임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53)는, 도 5의 중단과 같이, 제1 이미지(51)가 상하로 반전되고 좌우로 반전된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53)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키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반사 이미지(22)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반사 이미지(22)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가 좌우 반전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1 반사 이미지(22)를 통해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제1 반사 이미지(22)는 시인성이 낮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이미지(53)를 스크롤할 수 있다. 도 2의 중단에서, 제2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스크롤 방향(52)을 유지하면, 포터블 디바이스가 뒤집어진 제2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2 스크롤 방향(54)으로 컨텐츠가 이동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방향은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스크롤되는 제1 스크롤 방향(52)과 반대방향이 될 수 있다. 제2 스크롤 방향은 제1 반사 이미지(22)에도 적용되어 사용자가 제1 반사 이미지(22)를 바라보는 경우에도 제1 반사 이미지(22)는 제1 스크롤 방향(52)과 반대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텍스트를 읽는 방향이 변경되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제2 상태에서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과 이미지의 스크롤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제3 이미지(55)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3 이미지(55)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킬 수 있다. 제3 이미지(55)가 반사된 제2 반사 이미지(22)는 도 2의 하단과 같이, 제1 상태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이미지(51)를 디스플레이한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시키고 이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상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제3 이미지(55)를 제3 스크롤 방향(56)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스크롤되는 제1 스크롤 방향(52)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제3 스크롤 방향(56)은 제1 스크롤 방향(52)과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의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다르므로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스크롤 방향(54)은 제1 스크롤 방향(52)과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텍스트를 읽는 방향이 변경되지 않아 자연스럽게 스크롤되는 컨텐츠를 읽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시키고 이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상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반사된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의 상단에서, 제1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거나 상하 반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한 이미지를 제1 이미지(61)로 정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의 전체 내용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한번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컨텐츠의 일부를 제1 이미지(61)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61)를 스크롤하여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상단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를 상향인 제1 스크롤 방향(62)으로 스크롤하여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도 2와 같이 뒤집혀진 것을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2 상태임을 센싱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63)는, 도 6의 중단과 같이, 제1 이미지가 상하로 반전되고 좌우로 반전된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63)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키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반사 이미지(22)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반사 이미지(22)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가 좌우 반전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1 반사 이미지(22)를 통해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제1 반사 이미지(22)는 낮은 시인성을 갖는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이미지(63)를 스크롤할 수 있다. 도 2의 중단에서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된 제2 이미지(63)를 바라볼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스크롤 방향(62)을 유지하면, 포터블 디바이스가 뒤집어진 제2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2 스크롤 방향(64)으로 제2 이미지(63)가 이동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제2 스크롤 방향(64)은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스크롤되는 제1 스크롤 방향(62)과 반대방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제1 반사 이미지(22)를 바라보는 경우, 제1 반사 이미지(22)는 제1 스크롤 방향(62)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제1 반사 이미지(22)는 제2 이미지(63)가 반사된 결과이므로 사용자의 눈에는 제1 상태에서 제1 이미지(61)가 스크롤되는 제1 스크롤 방향(62)과 제2 상태에서 제1 반사 이미지(22)가 이동하는 스크롤 방향이 동일하게 인지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미지의 스크롤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제3 이미지(65)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3 이미지(65)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킬 수 있다. 제3 이미지(65)가 반사된 제2 반사 이미지(22)는 도 2의 하단과 같이, 제1 상태의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이미지(61)를 디스플레이한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시키고 이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상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제3 이미지(65)를 제3 스크롤 방향(66)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스크롤되는 제1 스크롤 방향(62)을 제2 상태에서도 유지함으로써 동일한 스크롤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텍스트를 읽는 방향이 변경되지 않아 자연스럽게 스크롤되는 컨텐츠를 읽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시키고 이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하 또는 좌우로 반전되지 않은 상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반사된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좌우 반전시키고 이를 다른 오브젝트에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반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이 좌우인지 상하 인지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에서 컨텐츠를 좌 또는 우로 스크롤하는 경우에 제2 상태가 되면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컨텐츠를 상 또는 하로 스크롤하는 경우에 제2 상태가 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스크롤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상단은 제1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경계선(70)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71)를 경계선(70)에 근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시선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를 응시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측면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포함된 서브 영역들은 각각 다른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7의 상단과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이 곡면이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중 경계선(70)에 근접한 제1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시인성을 갖는다. 이와 달리,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중 경계선(70)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영역일수록 낮은 시인성을 갖는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71)를 경계선(70)에 근접한 제1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컨텐츠(71)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의 하단은 제2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 내지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좌우 반전된 컨텐츠(7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반사 이미지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72)를 경계선(70)에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오브젝트(11)에 반사된 반사 이미지(73)를 응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11)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놓여진 바닥면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브젝트(11)에 반사된 반사 이미지(73)를 응시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측면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포함된 서브 영역들의 반사 이미지는 각각 다른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의 하단과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이 곡면이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중 경계선(70)에 근접한 서브 영역은 다른 서브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시인성을 갖는다. 즉,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중 경계선(70)에 근접한 제1 서브 영역은 바닥과 이격된 거리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사된 이미지를 확인하기 어렵다. 이와 달리,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중 경계선(70)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제2 서브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시인성을 갖는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72)를 경계선(70)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제2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반사된 이미지(73)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이 곡면인 경우, 곡률에 따라 제1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 중 바닥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서브 영역을 제2 서브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곡면의 곡률에 의한 시각적 왜곡을 보상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01), 센서 유닛(102) 및 컨트롤러(10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디지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연속하거나 이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 또는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2)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카메라, 중력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2)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위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1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2)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아래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센싱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2)은 반사 이미지를 제어하는 제어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인풋은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 인풋, 보이스 인풋 및 제스쳐 인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센싱된 제어 인풋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2)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반사시킬 오브젝트의 속성을 센싱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속성은 오브젝트의 텍스쳐, 색상 및 반사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센싱된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로 전달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수신된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3)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센서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유닛에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2 상태일 때 제1 이미지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가 좌우 반전된 제2 이미지를 오브젝트에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2 이미지가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 이미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각각 시인성이 높은 위치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인풋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제어 인풋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상세 내용 또는 다음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포터블 디바이스의 반사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조도, 크기, 색상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컨텐츠를 제어하여, 오브젝트에 반사된 컨텐츠의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센싱된 오브젝트의 반사율이 낮은 경우, 컨텐츠의 조도를 높이거나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센싱된 오브젝트의 반사율이 높은 경우,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하여 단위 면적 당 포함된 컨텐츠의 내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센싱된 오브젝트의 텍스쳐가 거친 경우, 컨텐츠의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센싱된 오브젝트의 텍스쳐가 매끄러운 경우,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하여 단위 면적 당 포함된 컨텐츠의 내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오브젝트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오브젝트의 색상의 보색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을 디텍팅할 수 있다(S10). 노티피케이션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티피케이션은 인커밍콜 수신, 이메일 수신, 메시지 수신, 스케쥴 알림 및 기타 알람 발생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이 발생됨을 디텍팅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S20).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지, 제2 상태인지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위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1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아래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책상 위에 놓여져 있고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위를 향한 경우를 제1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상태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다른 오브젝트가 올려져 있어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리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이를 제2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1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컨텐츠의 전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전문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의 전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컨텐츠의 일부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응시하여 디스플레이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상태가 제2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0).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좌우 반전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응시하는 대신, 포터블 디바이스가 다른 오브젝트에 반사시킨 반사 이미지를 응시할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아래쪽을 향하는 제2 상태에서 다른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 이미지는 좌우가 반전된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하여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을 디텍팅할 수 있다(S110). 포터블 디바이스는 인커밍콜 수신, 이메일 수신, 메시지 수신, 스케쥴 알림 및 기타 알람 발생 상황을 노티피케이션으로 디텍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S120).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지, 제2 상태인지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위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1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이 아래를 향해 놓여지거나,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인 경우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2 상태로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30).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상태가 제1 상태인지 또는 제2 상태인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0).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의 요약 내용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의 상세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상태가 제2 상태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가 놓여진 오브젝트의 속성을 센싱할 수 있다(S150).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속성은 오브젝트 표면의 반사율, 색상, 조도 및 텍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오브젝트의 속성 중 반사율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놓여진 오브젝트의 반사율을 센싱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상태에서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브젝트의 반사율을 센싱하여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이 보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브젝트의 속성 중 반사율이 제1 반사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0).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브젝트의 반사율이 제1 반사율 이상인 경우와 제1 반사율 미만인 경우에 각각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사율은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이 보장되는 최소한의 반사율을 의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브젝트의 반사율이 제1 반사율 이상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70). 포터블 디바이스는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이 보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좌우가 반전되어 디스플레이된 노트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오브젝트에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반사 이미지를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와 동일한 반사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브젝트의 반사율이 제1 반사율 미만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S180). 포터블 디바이스는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이 보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반사율이 시인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값을 갖는 경우, 반사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대신,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은 사운드, 진동 및 램프 점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노티피케이션의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를 좌우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컨텐츠의 시인성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포터블 디바이스 11: 오브젝트
12: 제1 디스플레이 영역 13: 제2 디스플레이 영역
101: 디스플레이 유닛 102: 센서 유닛
103: 컨트롤러

Claims (20)

  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지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전면에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측면에 위치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함;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로써,
    상기 컨트롤러는 알림이 발생하면,
    상기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알림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알림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호 연결되어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내각이 제1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 각도는 90도 이상이고 180도 미만의 값을 갖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곡면의 형태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연결되어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곡면의 곡률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위를 향한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래를 향하고 있거나, 다른 오브젝트에 맞닿은 상태인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근접
    상기 컨트롤러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카메라, 중력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놓여진 오브젝트에 반사시켜 반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반사 이미지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제어 인풋을 더 센싱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마이크,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인풋을 센싱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풋은 터치 인풋, 보이스 인풋 및 제스쳐 인풋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가 반사된 반사 이미지의 시인성을 높이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놓여진 오브젝트의 반사율을 디텍팅하여 상기 반사율이 제1 스레시홀드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자의 시야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다른 오브젝트에 의해 가려져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상태로 판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위치한 영역의 텍스쳐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텍스쳐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제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싱된 텍스쳐가 거칠수록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알림의 컨텐츠를 제1 스크롤 방향으로 스크롤하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알림의 컨텐츠를 제2 스크롤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롤 방향은 상기 제1 스크롤 방향의 반대 방향인 포터블 디바이스.
  20.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알림을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알림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알림의 컨텐츠를 좌우로 반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30036930A 2013-04-04 2013-04-04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30A KR102120102B1 (ko) 2013-04-04 2013-04-04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3/875,075 US9720530B2 (en) 2013-04-04 2013-05-01 Portable device providing a reflection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03909 WO2014163230A1 (en) 2013-04-04 2013-05-06 Portable device providing a reflection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3880941.3A EP2981874B1 (en) 2013-04-04 2013-05-06 Portable device providing a reflection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80075100.4A CN105103073B (zh) 2013-04-04 2013-05-06 提供反射图像的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30A KR102120102B1 (ko) 2013-04-04 2013-04-04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10A KR20140120710A (ko) 2014-10-14
KR102120102B1 true KR102120102B1 (ko) 2020-06-09

Family

ID=5165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930A KR102120102B1 (ko) 2013-04-04 2013-04-04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20530B2 (ko)
EP (1) EP2981874B1 (ko)
KR (1) KR102120102B1 (ko)
CN (1) CN105103073B (ko)
WO (1) WO2014163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383B1 (ko) * 2013-06-03 2019-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622213B2 (en) * 2013-12-17 2017-04-11 Xiaomi Inc. Message not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358749B1 (ko) * 2014-12-26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2619B1 (ko) * 2015-02-03 2021-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102398677B1 (ko) * 2015-04-06 2022-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65773B (zh) * 2017-10-19 2020-06-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857620A (zh) * 2019-04-28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应用信息的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KR102152793B1 (ko) * 2020-04-06 2020-09-07 주식회사 라프라스 도색 시뮬레이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2103A1 (en) 2010-04-05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terminal
US20130178248A1 (en) 2012-01-07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793B1 (ko) 1998-11-05 2001-11-22 윤종용 폴더타입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JP2001237932A (ja) 2000-02-21 2001-08-31 Nec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KR20010109814A (ko) 2000-06-02 2001-12-12 윤병이 3차원 영상장치
JP4467819B2 (ja) 2001-03-06 2010-05-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EP1551178A1 (en) 2003-12-18 2005-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pplementary visual display system
US7466994B2 (en) * 2004-12-31 2008-12-16 Nokia Corporation Sub-display of a mobile device
US7539513B2 (en) * 2005-02-02 2009-05-26 National Telephone Products, Inc. Portable phone with ergonomic image projection system
JP5176300B2 (ja) * 2006-09-22 2013-04-0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7912508B2 (en) * 2006-12-15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input or output device
JP4885170B2 (ja) * 2008-06-27 2012-02-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101546774B1 (ko) 2008-07-29 201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KR101482125B1 (ko)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69520B1 (ko) * 2009-08-11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8195254B2 (en) * 2009-12-22 2012-06-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liding display part
KR101660739B1 (ko) * 2010-04-08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754961B2 (en) * 2011-08-17 2014-06-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data from overlapping regions of images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20140132481A1 (en) * 2012-11-09 2014-05-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US9012846B2 (en) * 2012-11-23 2015-04-21 Blackberry Limited Handheld device with surface reflection esti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2103A1 (en) 2010-04-05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terminal
US20130178248A1 (en) 2012-01-07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1874B1 (en) 2018-07-04
WO2014163230A1 (en) 2014-10-09
US9720530B2 (en) 2017-08-01
CN105103073A (zh) 2015-11-25
EP2981874A1 (en) 2016-02-10
CN105103073B (zh) 2019-01-22
KR20140120710A (ko) 2014-10-14
EP2981874A4 (en) 2016-11-09
US20140300533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102B1 (ko) 반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375220B2 (en) Handheld device with notification message viewing
US9721529B2 (en) Dual screen displa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834499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llumin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05959B1 (ko) 이미지 레이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3382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89197B1 (ja) 携帯情報端末
US96190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cover image and an application image from a low power condition
US9012846B2 (en) Handheld device with surface reflection estimation
KR102191867B1 (ko)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 포맷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216228B2 (en) Multiple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on a rotary shaft
CN105824526A (zh) 一种事件信息提示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40117110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20140044981A (ko) 단말의 알림창 표시 방법 및 그 단말
US10813193B1 (en) Flashlight management on curved glass
CA2865031A1 (en) Handheld device with notification message viewing
JP2012203676A (ja) 携帯端末および画面表示変更方法
EP2736228B1 (en) Handheld device with surface reflection estimation
EP25035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signating and arranging portions of a display
TWI502480B (zh) Control method of touch device and its end function
TW201723788A (zh) 可穿戴的手持式裝置及其顯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