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47B1 - 세탁물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047B1
KR102120047B1 KR1020180168874A KR20180168874A KR102120047B1 KR 102120047 B1 KR102120047 B1 KR 102120047B1 KR 1020180168874 A KR1020180168874 A KR 1020180168874A KR 20180168874 A KR20180168874 A KR 20180168874A KR 102120047 B1 KR102120047 B1 KR 102120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press
laundry
air
essential oil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큰
Priority to KR102018016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세탁물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의 접수 및 회수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필요로 할 때 세탁물을 맡길 수 있고, 세탁이 끝난 후 다시 보관함에 비치되어 본인이 원할 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접수 및 수거한 것으로, 세탁이 끝나거나 세탁을 할 옷감을 보관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관함은,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대, 보관함 내 오염 정도를 판단하여 공기정화장치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상기 제 2 제어부의 신호를 감지하여 가동되는 공기순환팬, 상기한 공기순환팬의 작동으로 인해 보관함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흡입구, 상기한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정화되지 않은 공기를 걸러내며 보관함 후면에 위치하는 다중 필터, 상기 다중 필터 하단에 위치하며 다중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에 피톤치드를 입히는 피톤치드 발생기, 상기 피톤치드 발생기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보관함 내에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탁물 보관 장치{Laundry Reception and Collection Device}
이 발명은 세탁물 접수 및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세탁물의 접수 및 회수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필요로 할 때 세탁물을 맡길 수 있고, 세탁이 끝난 후 다시 보관함에 비치되어 본인이 원할 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해감에 따라 인간 생활의 기본요소인 의, 식, 주 또한 더욱 다채로워지고 있다. 특히 의(衣)-입을 것은 남에게 자신을 어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 되었고, 그로 인하여 디자인과 색감, 재료까지 굉장히 다채로워졌으며, 관련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런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 몇몇 의류의 경우 일반 가정에서 세탁할 시 의류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야기된 의류의 손상은 의류 자체의 섬유를 상하게 하여 의류의 수명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특수 의류의 경우 세탁소와 같은 전문 세탁업체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세탁업체의 경우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에 직접 세탁물을 맡기거나 수령하여야 하는데, 때때로 상기한 지정된 시간이 사용자에게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으로 적합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여 세탁업체 자체에서 배달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으나, 수령자의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이조차 해결책으로서 완벽하지 못하였기에, 아파트와 같은 5층 이상의 공동주택의 경우 공동 세탁물 보관함의 설치가 점차적으로 적용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세탁업체에 세탁물을 맡기거나 수령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오염된 세탁물과 세탁된 세탁물이 동일한 보관함을 사용함에 의해 보관함 자체의 항균성이 촉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58291
이에 이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된 세탁물과 세탁된 세탁물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항균성이 보장된 세탁물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발명의 구성은, 세탁이 끝났거나 세탁을 할 옷감을 보관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개폐 및 공기순환팬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관함은,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대, 보관함 내 오염 정도를 판단하여 공기순환팬의 가동을 제어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가동되는 공기순환팬, 상기 공기순환팬의 작동으로 인해 보관함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정화되지 않은 공기를 걸러내며 보관함 후면에 위치하는 다중 필터, 상기 다중 필터 하단에 위치하며 다중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에 피톤치드를 입히는 피톤치드 발생기, 상기 피톤치드 발생기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보관함 내에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센서에 의하여, 보관함 내의 미세먼지 수치가 40㎍/m³를 초과할 경우, 또는 초미세먼지 수치가 20㎍/m³를 초과하는 경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공기 순환팬을 가동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보관함 내의 다중 필터는, 입자가 큰 생활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곰팡이 균을 포함한 알러지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복합필터, 황사 및 초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 생활냄새, 새집증후군 원인 물질, 스모그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포함하며, 상기한 탈취필터는 오죽에서 채취한 죽섬유와 적송으로 제조한 숯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보관함 내의 피톤치드 발생기는, 다수 개의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백나무 구체의 타공부에는 송/편백정유가 함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송/편백정유가 함침된 편백나무 구체는, 송/편백정유를 제조하고, 크기 10~15㎝의 편백나무 구체를 제조하고, 편백나무 구체의 표면에 표면 지름 0.5~0.7㎝, 깊이 1~2㎝로 1차 타공하고, 1차 타공을 마친 편백나무 구체의 타공부 내부에 지름 1~2㎝의 구체 형태로 2차 타공하고, 상기의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흐르는 송/편백 정유액에 노출시켜 코팅되도록 1차 함침하고, 상기의 1차 함침단계를 거친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송/편백 정유액이 담긴 수조에 30~60분 동안 담가 타공부에 송/편백정유가 완전히 함침되도록 2차 함침하고, 상기 2차 함침단계를 거친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40~50℃의 온풍에 1~2시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여 완성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타공부에 함침되어 있는 송/편백정유는, 소나무와 편백나무의 목재 부분과 잎을 분리하여 알코올로 세척하고, 상기의 세척된 목재와 잎을 채반에 받쳐 60℃에서 30분 동안 온풍건조하고, 상기의 온풍건조된 목재와 잎을 2:1의 질량비율로 섞어 증류수에 첨가하여 24~36시간 가열하고, 상기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송/편백 정유 성분을 콘덴서에 공급하여 응축하고, 상기의 콘덴서에 의해 응축된 정유성분을 2~5℃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송/편백 정유를 생성하고, 상기의 송/편백 정유를 숙성하여 완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세탁물의 접수 및 회수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 필요로 할 때 세탁물을 맡길 수 있고, 세탁이 끝난 후 다시 보관함에 비치되어 본인이 원할 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접수 및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세탁물과 세탁된 세탁물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항균성이 보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청결한 세탁물 수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에 포함되는 보관함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필터와 피톤치드 발생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피톤치드발생부에 포함된 타공 편백나무 구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타공 편백나무 구체에 송/편백나무 정유를 함침하는 단계를 표기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송/편백나무 정유의 제조 흐름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에 대한 이점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전면도이고, 도 2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에 포함되는 보관함의 구조도이다.
삭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탁물 보관 장치는, 세탁이 끝났거나 세탁을 할 옷감을 보관하는 보관함(100)과 상기 보관함(100)의 개폐 및 공기순환팬(130)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관함(100)은,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대(110), 보관함 내 오염 정도를 판단하여 공기순환팬(130)의 가동을 제어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120), 상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120)의 신호를 감지하여 가동되는 공기순환팬(130), 상기 공기순환팬(130)의 작동으로 인해 보관함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흡입구(140), 상기 흡입구(140)를 통하여 흡입된 정화되지 않은 공기를 걸러내며 보관함 후면에 위치하는 다중 필터(150), 상기 다중 필터 하단(150)에 위치하며 다중 필터(15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에 피톤치드를 입히는 피톤치드 발생기(160), 상기 피톤치드 발생기(160)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보관함 내에 공급하는 배출구(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120)에 의해, 보관함 내의 미세먼지 수치가 40㎍/m³를 초과할 경우, 또는 초미세먼지 수치가 20㎍/m³를 초과할 경우가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공기 순환팬(130)을 가동하도록 한다.
도 3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필터와 피톤치드 발생부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세탁물 접수 및 수거 장치의 다중필터(150)는 입자가 큰 입자가 큰 생활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151), 곰팡이 균을 포함한 알러지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복합필터(152), 황사 및 초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153), 생활냄새, 새집증후군 원인 물질, 스모그 원인 물질 등을 제거하는 탈취필터(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한 탈취필터(154)는 오죽에서 채취한 죽섬유와 적송으로 제조한 숯가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피톤치드발생부에 포함된 타공 편백나무 구체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톤치드 발생기(160)는 다수개의 타공 편백나무 구체(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 편백나무 구체(161)는 10~15㎝의 구형태로 제조된 편백나무 구체(161-1)에 송/편백나무 정유가 함침되는 타공부(16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타공 편백나무 구체에 송/편백나무 정유를 함침하는 단계를 표기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타공 편백나무 구체에 송/편백나무 정유를 함침하는 단계는, 송/편백정유를 제조하는 단계(S100), 크기 10~15㎝의 편백나무 구체를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의 제조된 편백나무 구체의 표면에 표면 지름 0.5~0.7㎝, 깊이 1~2㎝로 1차 타공하는 단계(S300), 상기의 1차 타공을 마친 편백나무 구체의 타공부 내부에 지름 1~2㎝의 구체 형태로 2차 타공하는 단계(S400), 상기의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흐르는 송/편백 정유액에 노출시켜 코팅하는 1차 함침단계(S500), 상기 1차 함침단계를 거친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송/편백 정유액이 담긴 수조에 약 30~60분 동안 담가 타공부에 송/편백정유를 완전히 함침하는 2차 함침단계(S600), 상기 2차 함침단계를 거친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40~50℃의 온풍에 1~2시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는 단계(S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송/편백정유가 함침되는 편백나무 구(161)체의 타공부(161-2)의 입구(161-21)는 0.5~0.7㎝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공부(161-2) 내의 송/편백 정유 충진부(161-22)는 지름 1~2㎝의 구체 형태로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의 크기가 0.5㎝보다 작을 경우 1차 함침 단계에서 입구가 막혀버려 송/편백 정유가 충진부 내부에 충분히 충진되지 못하며, 입구의 크기가 0.7㎝를 초과할 경우 온도와 습도에 따라 타공부 내부에 충진된 송/편백 정유가 누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타공부(161-2) 내의 송/편백 정유 충진부(161-22)의 지름이 1㎝보다 작을 경우 송/편백 정유가 충분히 충진되지 않아 피톤치드의 발생이 미비하며, 지름이 2㎝를 초과할 경우 함침된 송/편백 정유에 비하여 피톤치드의 발생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6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보관 장치의 송/편백나무 정유의 제조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송/편백나무 정유의 제조는, 소나무와 편백나무의 목재 부분과 잎을 분리하여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S110), 상기의 세척된 목재와 잎을 채반에 받쳐 60℃에서 30분 동안 온풍건조하는 단계(S120), 상기의 온풍건조된 목재와 잎을 2:1의 질량비율로 섞어 증류수에 첨가하여 24~36시간 가열하는 단계(S130), 상기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송/편백 정유 성분을 콘덴서에 공급하여 응축하는 단계(S140), 상기의 콘덴서에 의해 응축된 정유성분을 2~5℃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송/편백 정유액을 생성하는 단계(S150), 상기의 송/편백 정유액을 숙성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온풍건조된 목재와 잎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가열하는 시간은 24~36시간이 바람직하며, 24시간 미만으로 가열될 경우 송/편백 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않으며, 36시간을 초과할 경우 우러나온 송/편백 성분이 변질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상기한 구성에 의해 송/편백정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목재와 잎의 비율에 따른 송/편백정유의 피톤치드 발생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이 목재와 잎의 비율을 변화하여 송/편백정유를 생성하였다.
목재와 잎의 비율
실시예 2:1
비교예 1 3:1
비교예 2 1:1
비교예 3 1:2
비교예 4 목재만
비교예 5 잎만
(실험예)
목재와 잎의 비율에 따른 송/편백정유의 피톤치드 발생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와 비교예 1~5에서 제작된 송/편백정유를 실시예로 제작된 타공 편백나무 구체에 함침시킨 후, 밀폐된 공간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을 때 생성된 피톤치드의 발생량을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피톤치드 발생량
실시예 3.22 ng/m3
비교예 1 2.92 ng/m3
비교예 2 2.11 ng/m3
비교예 3 1.57 ng/m3
비교예 4 3.10 ng/m3
비교예 5 1.03 ng/m3
표 2와 같이 대체적으로 잎의 비율이 커질수록 피톤치드 발생량은 감소하였으나, 목재만 사용하거나 목재와 잎의 비율이 3:1 이상이 될 경우 피톤치드의 발생량은 오히려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 보관함 110 : 행거대
120 :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 130 : 공기순환팬
140 : 흡입구 150 : 다중 필터
151 : 프리필터 152 : 복합필터
153 : 헤파필터 154 : 탈취필터
160 : 피톤치드 발생기 161 : 타공편백나무구체
161-1 : 편백나무구체 161-2 : 타공부
170 : 배출구 200 : 제어부

Claims (6)

  1. 세탁이 끝났거나 세탁을 할 옷감을 보관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개폐 및 공기순환팬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은,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대;
    상기 보관함 내 오염 정도를 판단하여 공기순환팬의 가동을 제어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가동되는 공기순환팬;
    상기 공기순환팬의 작동으로 인해 보관함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로 이송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정화되지 않은 공기를 걸러내며 보관함 후면에 위치하는 다중 필터;
    상기 다중 필터 하단에 위치하며 다중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에 피톤치드를 입히는 피톤치드 발생기;
    상기 피톤치드 발생기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보관함 내에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 내의 다중 필터는,
    입자가 큰 생활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곰팡이 균을 포함한 알러지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복합필터;
    황사 및 초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
    생활냄새, 새집증후군 원인 물질, 스모그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탈취필터는 오죽에서 채취한 죽섬유와 적송으로 제조한 숯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보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측정센서에 의하여, 상기 보관함 내의 미세먼지 수치가 40㎍/m³를 초과할 경우, 또는 초미세먼지 수치가 20㎍/m³를 초과하는 경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공기 순환팬을 가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보관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내의 피톤치드 발생기는, 다수 개의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백나무 구체의 타공부에는 송/편백정유가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보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편백정유가 함침된 편백나무 구체는,
    송/편백정유를 제조하고, 크기 10~15㎝의 편백나무 구체를 제조하고, 편백나무 구체의 표면에 표면 지름 0.5~0.7㎝, 깊이 1~2㎝로 1차 타공하고, 1차 타공을 마친 편백나무 구체의 타공부 내부에 지름 1~2㎝의 구체 형태로 2차 타공하고, 상기의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흐르는 송/편백 정유액에 노출시켜 코팅되도록 1차 함침하고, 상기 1차 함침단계를 거친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송/편백 정유액이 담긴 수조에 30~60분 동안 담가 타공부에 송/편백정유가 완전히 함침되도록 2차 함침하고, 상기 2차 함침단계를 거친 타공된 편백나무 구체를 40~50℃의 온풍에 1~2시간 동안 노출시켜 건조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보관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에 함침되어 있는 송/편백정유는,
    소나무와 편백나무의 목재 부분과 잎을 분리하여 알코올로 세척하고, 상기의 세척된 목재와 잎을 채반에 받쳐 60℃에서 30분 동안 온풍건조하고, 상기의 온풍건조된 목재와 잎을 2:1의 질량비율로 섞어 증류수에 첨가하여 24~36시간 가열하고, 상기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송/편백 정유 성분을 콘덴서에 공급하여 응축하고, 상기의 콘덴서에 의해 응축된 정유성분을 2~5℃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송/편백 정유를 생성하고, 상기의 송/편백 정유를 숙성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물 보관 장치.
KR1020180168874A 2018-12-26 2018-12-26 세탁물 보관 장치 KR10212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74A KR102120047B1 (ko) 2018-12-26 2018-12-26 세탁물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874A KR102120047B1 (ko) 2018-12-26 2018-12-26 세탁물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047B1 true KR102120047B1 (ko) 2020-06-17

Family

ID=7140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874A KR102120047B1 (ko) 2018-12-26 2018-12-26 세탁물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0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966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10058291A (ko) 2009-11-26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홍삼 추출물 함유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455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90197A (ko) * 2015-01-21 2016-07-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빨래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966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10058291A (ko) 2009-11-26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홍삼 추출물 함유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455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90197A (ko) * 2015-01-21 2016-07-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빨래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0060B2 (ja) エア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処理装置
CN206641580U (zh) 一种具有杀菌除臭功能的家居鞋柜
RU2607426C1 (ru) Кровать,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очистку и ароматизацию воздуха
KR20150004095U (ko) 옷장 내부에 먼지떨이 기능을 갖는 옷걸이 봉을 갖는 옷장.
KR102120047B1 (ko) 세탁물 보관 장치
KR20110099572A (ko)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멤브레인 패드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CN214855276U (zh) 一种衣物存储防潮装置
US9433691B2 (en) Room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101075498B1 (ko) 공기 청정기
CN2805503Y (zh) 一种抽湿、杀菌、消毒鞋柜
KR200422494Y1 (ko) 위생 의류건조기
KR102332250B1 (ko) 가구용 청정 관리장치
CN108478163A (zh) 一种除臭干鞋装置的蒸汽室结构
CN208029612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陶瓷花盆
CN111839050A (zh) 用于家居或办公场所的智能集成板
CN219594071U (zh) 一种防潮防霉的橱柜
CN213429183U (zh) 用于家居或办公场所的智能集成板
JP2007090286A (ja) エア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処理装置
JP2002172156A (ja) 多孔質粒子材料に樹木より抽出したフィトンチッドを含む油を含芯させた粒子状芳香除臭剤と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粒子状芳香除臭剤を配置した空気濾過用フィルターと除臭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機器類
CN213429124U (zh) 用于家居或办公场所的智能集成板
CN218791199U (zh) 一种具有除味功能的鞋柜
CN210203922U (zh) 一种具有通风防潮功能的衣柜
CN210727117U (zh) 一种智能化衣柜
KR20070065286A (ko) 의복 또는 이불에서 인간에게 이로운 향기가 발산되도록장롱을 구성하는 방법
CN213962369U (zh) 一种竹制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