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996B1 - 헬멧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헬멧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996B1
KR102119996B1 KR1020190000533A KR20190000533A KR102119996B1 KR 102119996 B1 KR102119996 B1 KR 102119996B1 KR 1020190000533 A KR1020190000533 A KR 1020190000533A KR 20190000533 A KR20190000533 A KR 20190000533A KR 102119996 B1 KR102119996 B1 KR 10211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lmet
box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선 filed Critical 김종선
Priority to KR102019000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6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forced flow, e.g. by a fa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공기정화장치는, 헬멧에 연결되는 공기 정화부; 공기 정화부와 헬멧을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 및 공기 파이프가 연결되어 공기가 헬멧 내부로 공급되도록 헬멧의 일부 영역에 마련된 공기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기 정화부에 흡입된 공기를 공기 정화부의 내부에서 여과하여 공기 파이프를 통해서 공기 공급부에 공급함으로써 헬멧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멧 공기정화장치{AIR PURIFYING APPARATUS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이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헬멧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머리에 착용하는 머리 보호구이다. 이러한 헬멧은 머리와 안면부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경량의 강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헬멧은 오토바이 주행자, 건설 작업자, 설비 작업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요구 사항에 적합하게 제작된다.
헬멧은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공기를 들이마시면, 작업 및 착용 환경의 공기 오염되어 있으면, 이를 그대로 마시게 되므로 건강에 해롭게 된다.
소방요원과 같이 유독가스가 심한 환경을 가는 경우에는, 산소탱크를 메고 산소마스크를 착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유독가스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헬멧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않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특히, 오토바이 사용자는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행하며, 도로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그대로 들이마시게 된다.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를 헬멧 측에 공급하여 헬멧 착용자에 공급함으로써 헬멧 착용자에게 유해가스나 오염된 공기의 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헬멧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의 헬멧 공기정화장치는, 헬멧에 연결되는 공기 정화부; 상기 공기 정화부와 헬멧을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 및 상기 공기 파이프가 연결되어 공기가 상기 헬멧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헬멧의 일부 영역에 마련된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정화부에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에서 여과하여 상기 공기 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공기 공급부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헬멧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며, 상기 공기 정화부는, 공기 유입구가 일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파이프가 일단부에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인접한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필터부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공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에 전원을 공급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헬멧의 배후부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 파이프가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되도록 연결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와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과 작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버튼과 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부가 수용된 제1 박스; 상기 제1 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팬 모터가 수용된 제2 박스; 및 상기 제2 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가 사방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와 배터리가 내장된 제3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박스와 제2 박스 및 제3 박스의 모서리부에는 상호 나사 결합을 위해 대면하는 조립부재들이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재가 위치한 모서리부에는 나사가 수용되도록 사분원 형상의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파이프는 탄력적 유연성과 내화성이 있는 튜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를 헬멧 측에 공급하여 헬멧 착용자에 공급함으로써 헬멧 착용자에게 유해가스나 오염된 공기의 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헬멧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헬멧 공기정화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공기 정화부,
도 3은 도 2의 다른 뷰,
도 4는 도 1의 공기 정화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헬멧 공기정화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공기정화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헬멧 공기정화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공기 정화부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뷰이며, 도 4는 도 1의 공기 정화부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공기정화장치는, 헬멧(100)에 연결되는 공기 정화부(110), 공기 정화부(110)와 헬멧(100)을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140), 및 공기 파이프(140)가 연결되어 공기가 헬멧(100) 내부로 공급되도록 헬멧(100)의 일부 영역에 마련된 공기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공기 정화부(110)에 흡입된 공기를 공기 정화부(110)의 내부에서 여과하여 공기 파이프(140)를 통해서 공기 공급부(150)에 공급함으로써 헬멧(100)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정화부(110)는 공기 유입구(112)가 일부 영역에 마련되며, 공기 파이프(140)가 일단부에 연결된 본체(111)와, 본체(111)의 일단부에 인접한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121)를 포함한다.
필터부(121)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다층의 필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로는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헤파 필터, 폼부재, 부직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1)에는 필터부(121)에 인접하여 본체(111)에 수용되며 공기 유입구(112) 측에서 필터부(121)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공하는 팬 모터(123)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본체(111)는 팬 모터(12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내부에 배터리(125)가 수용된다.
이러한 공기 정화부(110)는 팬 모터(123)의 팬이 모터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공기 유입구(112)를 통해 필터부(121) 측으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며, 그 공기가 필터부(121)를 거쳐 여과된 후 공기 파이프(140) 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공기 정화부(110)에서 정화된 공기는 헬멧(100)에 공급되며, 착용자는 정화된 공기를 마실 수 있다.
공기 공급부(150)는 헬멧(100)의 배후부에 설치되되, 공기 파이프(140)가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되도록 연결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파이프(140)의 공기는 헬멧(100)의 내부 배후부에서 전방 측으로 공급된다. 공기 파이프(140)는 탄력적 유연성과 내화성이 있는 튜브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1)에는 팬 모터(123)와 배터리(125)에 연결되어 전원과 작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7)가 설치된다. 제어부(127)는 전원 버튼(128)과 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버튼(129)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28)에 의해 팬 모터(123)가 가동되며, 조절 버튼(129)에 의해 팬 모터(123)의 세기가 조절된다.
본체(111)는 필터부(121)가 수용된 제1 박스(131), 제1 박스(131)에 결합되며 팬 모터(123)가 수용된 제2 박스(132), 및 제2 박스(132)에 결합되며 공기 유입구(112)가 사방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어부(127)와 배터리(125)가 내장된 제3 박스(133)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박스(131)와 제2 박스(132) 및 제3 박스(133)의 모서리부에는 상호 나사 결합을 위해 대면하는 조립부재(135)들이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박스(131)와 제2 박스(132) 및 제3 박스(133)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사는 모서리부 측에서 상호 대면하여 접촉된 각 쌍의 조립부재(135)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조립부재(135)가 위치한 모서리부에는 나사가 수용되도록 사분원 형상의 홈부(139)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가 홈부(139)에서 충분히 수용되어 상기 박스들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 정화부(110)는 미세먼지가 많을 때에는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필터를 빼내어 선풍기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헬멧 110: 공기 정화부
111: 본체 112: 공기 유입구
121: 필터부 123: 팬 모터
125: 배터리 127: 제어부
128: 전원 버튼 129: 조절 버튼
131: 제1 박스 132: 제2 박스
133: 제3 박스 135: 조립부재
139: 홈부 140: 공기 파이프
150: 공기 공급부

Claims (6)

  1. 헬멧에 연결되는 공기 정화부;
    상기 공기 정화부와 헬멧을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 및
    상기 공기 파이프가 연결되어 공기가 상기 헬멧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헬멧의 일부 영역에 마련된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정화부에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에서 여과하여 상기 공기 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공기 공급부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헬멧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며,
    상기 공기 정화부는,
    공기 유입구가 일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파이프가 일단부에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인접한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필터부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공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에 전원을 공급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헬멧의 배후부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 파이프가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되도록 연결 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팬 모터와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과 작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버튼과 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부가 수용된 제1 박스;
    상기 제1 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팬 모터가 수용된 제2 박스; 및
    상기 제2 박스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가 사방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와 배터리가 내장된 제3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박스와 제2 박스 및 제3 박스의 모서리부에는 상호 나사 결합을 위해 대면하는 조립부재들이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조립부재가 위치한 모서리부에는 나사가 수용되도록 사분원 형상의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박스와 제2 박스 및 제3 박스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헬멧 공기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파이프는 탄력적 유연성과 내화성이 있는 튜브로 마련된 헬멧 공기정화장치.
KR1020190000533A 2019-01-03 2019-01-03 헬멧 공기정화장치 KR10211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33A KR102119996B1 (ko) 2019-01-03 2019-01-03 헬멧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33A KR102119996B1 (ko) 2019-01-03 2019-01-03 헬멧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996B1 true KR102119996B1 (ko) 2020-06-05

Family

ID=7108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33A KR102119996B1 (ko) 2019-01-03 2019-01-03 헬멧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9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440U (ko) * 1987-09-23 1989-05-13 오득원 포획식 공기 정화기
KR20150095810A (ko) * 2012-12-13 2015-08-21 링컨 글로벌, 인크. 광발전 전원을 지닌 전력 공급형 공기/정화 호흡기 헬멧
KR101819764B1 (ko) * 2010-03-17 2018-01-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전동식 공기 정화 호흡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440U (ko) * 1987-09-23 1989-05-13 오득원 포획식 공기 정화기
KR101819764B1 (ko) * 2010-03-17 2018-01-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전동식 공기 정화 호흡기
KR20150095810A (ko) * 2012-12-13 2015-08-21 링컨 글로벌, 인크. 광발전 전원을 지닌 전력 공급형 공기/정화 호흡기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3294A1 (en) Respirator
KR101404760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1639265B1 (ko)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KR101232333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1176942B1 (ko) 마우스 피스를 구비하는 호흡기
KR101290649B1 (ko) 필터교체가 용이한 방진마스크
JP2006102324A (ja) 電動ファン付呼吸用保護具
TW202208026A (zh) 空氣面罩
US20210290989A1 (en) Personal Air Filtering Device with Safety Features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KR20150104906A (ko) 방진마스크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KR101555472B1 (ko) 다기능 마스크
KR20180036377A (ko) 챙이 구비된 모자용 공기정화장치
KR20170126163A (ko) 방진마스크
KR102225103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안전헬멧
KR102119996B1 (ko) 헬멧 공기정화장치
KR200273346Y1 (ko) 휴대용 미니 공기 정화기
KR200150250Y1 (ko) 휴대용 송기마스크
US20220016450A1 (en) Head Covering Device Providing Filtered Intake and Exhaust Air
WO2021189060A1 (en) Personal air filtering device with safety features
CN2730412Y (zh) 防护正压密封面具系列
KR101264970B1 (ko) 휴대용 정화공기 공급 방호복
CN111346314A (zh) 透明防霾抗病毒呼吸器
KR200332063Y1 (ko) 화재 대피용 두건
KR102149621B1 (ko) 방진용 안전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