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63Y1 - 화재 대피용 두건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용 두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63Y1
KR200332063Y1 KR20-2003-0025656U KR20030025656U KR200332063Y1 KR 200332063 Y1 KR200332063 Y1 KR 200332063Y1 KR 20030025656 U KR20030025656 U KR 20030025656U KR 200332063 Y1 KR200332063 Y1 KR 200332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od
opening
fire
s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
Original Assignee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5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대피용 두건에 관한 것으로, 고무재질의 전면판과 후면판의 주연부가 접합되고, 네크부는 신축성을 위해 윗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며, 투시용 개구부의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하측 개구부에는 복합필터가 부착되고, 또한, 투시용 개구부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상측 개구부에도 복합필터가 보조적으로 부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복합필터는 필터의 보호를 위한 망사, 연기를 여과하는 정전필터, 각종 유해원소를 제거하고 제독 및 탈취를 위한 활성카본필터, CO를 제독시키기 위한 촉매 필터, 보강을 위한 보강천이 적층되고 주연부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화재 대피용 두건은 두건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봉제 및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두건의 제작시 안면부 및 두부의 접촉면에 부드러운 안감을 코팅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착용시 불쾌감을 감소시키는 이점있다. 그리고, 복합필터에 의해 제연, 제진, 제독, 탈취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 대피용 두건{SHUNTING FIRE HOOD}
본 고안은 화재 대피용 두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부와 후면부를 봉제 및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투시용 개구부의 상,하측부에 복합필터를 부착하여 우수한 제연, 제진, 제독, 탈취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흐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 대피용 두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화재 참사 예를 들어 최근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와 같은 대형 화재사건의 경우 사인은 대부분 직접적인 불꽃에 의한 것보다는 유독 가스에 의한 것이고, 피해자의 대부분이 유독가스로 인해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유독가스를 흡입하여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국의 경우에는 화재시 가볍게 휴대할 수 있는 개인용 마스크가 개발되어 화재 발생시 연기 흡입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고 있으며, 예를 들어 기존 마스크의 주요한 목적은 호흡을 쉽게 하는 것으로, 숨을 내쉴 때 생기는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고, 동시에 증기로 인해 바이저(visor) 부분에 흐림이 생겨 시야가 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생산성이 떨어지고, 단순한 형태의 정화필터를 채용하여 화재 현장에서 오염된 공기의 정화 능력이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면부와 후면부를 봉제 및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투시용 개구부의 상,하측부에 복합필터를 부착하여 우수한 공기정화능력을갖도록 하며, 흐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화재 대피용 두건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재 대피용 두건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화재 대피용 두건의 외부 구성도.
도 2는 화재 대피용 두건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두건부 1a : 전면판
1b : 후면판 1c : 네크부
1d : 투시용 개구부 1e : 하측 개구부
1f : 상측 개구부 2 : 투시창
3 : 복합필터 3a : 망사
3b : 정전필터 3c : 활성카본필터
3d : 촉매 필터 3e : 보강천
4 : 배출구 6 : 안감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화재 대피용 두건은 폴리클로프렌과 같은 고무재질의 전면판과 후면판의 주연부가 접합되고, 네크부는 신축성을 위해 윗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며, 투시용 개구부의 상,하부에 복합필터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판의 투시용 개구부에 부착되고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등으로 형성된 투시창에는 안티포그 코팅으로 흐림 방지처리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두건부의 전면판의 내면에는 안면부와 두부에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안감이 피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합필터는 필터의 보호를 위한 망사, 연기를 여과하는 정전필터, 각종 유해원소를 제거하고 제독 및 탈취를 위한 활성카본필터, CO를 제독시키기 위한 촉매 필터, 보강을 위한 보강천이 적층되고 주연부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재 대피용 두건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화재 대피용 두건의 외부 구성도, 도 2에는 화재 대피용 두건의 내부 구성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에는 도 1의 B-B선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은 두건부를 보인 것으로 고무재질의 전면판(1a)과 후면판(1b)의 주연부를 재봉, 또는 테이프 접착 등으로 접합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네크부(1c)는 신축성이 더 좋도록 윗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건부(1)에는 전면판(1a)의 투시용 개구부(1d)에 투시창(2)이 부착되어 있다.
그 투시용 개구부(1d)의 하부에는 배출구(한쪽방향밸브)(4)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한쌍의 하측 개구부(1e)가 형성되고 이 하측 개구부(1e)에는 복합필터(3)가 부착되어 있어 있으며, 상기 투시용 개구부(1d)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상측 개구부(1f)에도 복합필터(3)가 보조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2)은 두건부(1)의 투시용 개구부(1d)를 덮는 크기로 부착되어 접착되며, 상기 복합필터(3)는 두건부(1)의 양쪽 하측 개구부(1e)와 상측 개구부(1f)를 덮는 크기로 부착되어 접착된다.
상기 배출구(4)는 두건부(1)의 전면판(1a) 하측부에 필터(3)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배출구(4)의 내측에는 코와 입 주위에 밀착되는 스폰지와 같이 통기성 탄성 밀착구(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복합필터(3)는 필터의 보호를 위한 망사(3a), 연기를 여과하는 정전필터(3b), 각종 유해원소를 제거하고 제독 및 탈취를 위한 활성카본필터(3c), CO를 제독시키기 위한 촉매 필터(3d), 보강을 위한 보강천(3e)이 적층되어 주연부가 봉제 또는 용착으로 접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투시창(2)에는 안티포크 코팅으로 흐림을 방지처리를 할 수 있고, 상기 두건부(1)의 전면판(1a)의 내면에는 안면부와 두부에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안감(6)이 피복될 수 있으며, 이 안감(6)은 예를 들어 상기 전면판(1a) 내면의 투시창(2)과 복합필터(3)를 제외한 주위 영역에 피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천(3e)에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면부와 접촉되는 것이므로 촉감이 좋은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두건을 접어 가방에 담아 휴대하는 식으로 간편하게 휴대하고, 예를 들어 건물의 내부, 지하철에서 불의에 화재를 만나게 되면 착용하고 화재를 피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화재 대피용 두건은 전면판(1a)과 후면판(1b)이 고무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휴대 및 착용이 간편하며, 네크부(1c)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 부위에 밀착되고 통기성 탄성 밀착구(5)에 의해 안면부와의 간격 및 위치가 확보되므로 착용감 및 기밀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화재 대피용 두건을 착용하면 투시창(2)을 통하여 시야가 확보되며,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측 개구부(1f)와 하측 개구부(1e)에 부착된 복합필터(3)를 통하여 유입되면서 복합필터(3)의 정전필터(3b)에 의해 연기가 여과되고, 활성카본필터(3c)에 의해 각종 유해원소가 제거되고, 또 제독 및 탈취가 되며, 촉매 필터(3d)에 의해 CO가 제독되므로 정화된 공기를 호흡하면서 화재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상측 개구부(1d)에 부착된 복합필터(3)는 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상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투시창(2)의 흐림을 방지하여 시야를 보다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안면부의 상측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므로 전면판(1a)의 내면에 안감(6)을 코팅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두건의 착용감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 두건의 배출구(4)에 입과 코를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된 스폰지와 같은 통기성 탄성 밀착구(5)는 숨을 내 쉴 때 생기는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제거해 주기 때문에 사적(dead space)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필터(3)는 내화성 및 불꽃지연 재질로 된 망사(3a)와 부직포의 보강천(3e)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내구력이 향상되어 보다 오래 안정하게 사용하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투시창(2)에 안티포그 코팅으로 흐림 방지처리를 한 경우에는 시야가 보다 더 양호하게 확보되고, 전면판(1a)의 내면에 안감(6)이 코팅된 경우에는 접촉감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재 대피용 두건은 두건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봉제 및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있고, 또한, 상기 두건의 배출구에 입과 코를 덮어 밀착될 수 있도록 결합된 스폰지와 같은 통기성 탄성 밀착구는 숨을 내 쉴 때 생기는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제거해 주기 때문에 사적(dead space)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필터가 내화성 및 불꽃 지연 재질의 망사, 연기를 여과하기 위한 정전필터,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제독 및 탈취를 위한 활성카본필터, CO를 제독하기 위한 촉매 필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연, 제진, 제독, 탈취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상기 전면판(1a)의 투시용 개구부(1d)의 하부에 배출구(4)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하측 개구부(1e)에는 복합필터(3)가 부착되고, 상기 투시용 개구부(1d)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상측 개구부(1f)에도 복합필터(3)가 부착되어, 공기정화 능력이 향상되고, 흐림이 방지되며,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두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개구부(1e)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배출구(4)에는 코와 입 주위를 덮는 통기성 탄성 밀착구(5)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두건.
  3.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재질의 전면판(1a)과 후면판(1b)의 주연부가 접합되고, 네크부(1c)는 신축성을 위해 윗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두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2)은 두건부(1)의 투시용 개구부(1d)를 덮는 크기로 부착되어 접착되고, 상기 복합필터(3)는 두건부(1)의 양쪽 상측 개구부(1f)와, 하측 개구부(1e)를 덮는 크기로 접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두건.
  5.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필터(3)는 필터의 보호를 위한 망사(3a), 연기를 여과하는 정전필터(3b), 각종 유해원소를 제거하고 제독 및 탈취를 위한 활성카본필터(3c), CO를 제독시키기 위한 촉매 필터(3d), 보강을 위한 보강천(3e)이 적층되고 주연부가 접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두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탄성 밀착구(5)는 스폰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두건.
KR20-2003-0025656U 2003-08-08 2003-08-08 화재 대피용 두건 KR200332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56U KR200332063Y1 (ko) 2003-08-08 2003-08-08 화재 대피용 두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656U KR200332063Y1 (ko) 2003-08-08 2003-08-08 화재 대피용 두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063Y1 true KR200332063Y1 (ko) 2003-11-01

Family

ID=4941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656U KR200332063Y1 (ko) 2003-08-08 2003-08-08 화재 대피용 두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99Y1 (ko) 2013-08-26 2014-04-23 기 용 박 마스크를 구비한 방한용 두건
KR101959259B1 (ko) * 2018-10-05 2019-03-18 (주)에코런케이 휴대용 화재대피 후드마스크
KR102003259B1 (ko) * 2019-02-22 2019-07-24 나대하 생명구호를 위한 비닐 마스크
KR102656412B1 (ko) * 2023-01-18 2024-04-12 오현아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99Y1 (ko) 2013-08-26 2014-04-23 기 용 박 마스크를 구비한 방한용 두건
KR101959259B1 (ko) * 2018-10-05 2019-03-18 (주)에코런케이 휴대용 화재대피 후드마스크
KR102003259B1 (ko) * 2019-02-22 2019-07-24 나대하 생명구호를 위한 비닐 마스크
KR102656412B1 (ko) * 2023-01-18 2024-04-12 오현아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662B1 (ko) 안면 마스크
JP3974327B2 (ja) 呼吸マスク用フェースシール
EP1465705B1 (en) Antiviral and antibacterial respirator mask
KR20150115154A (ko)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CN115666730A (zh) 防传染面罩
CN111358084A (zh) 一种口罩
KR20150104906A (ko) 방진마스크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KR20120001812U (ko) 일회용 마스크
CN111109722A (zh) 一种一体化口罩护目镜防护装备
KR200332063Y1 (ko) 화재 대피용 두건
KR200332062Y1 (ko) 화재 대피용 두건
KR200381616Y1 (ko) 일회용 방진 및 방독 마스크
KR20090095857A (ko) 방진 및 방독 마스크
KR200322833Y1 (ko) 안면 마스크
KR20190001328A (ko) 탈부착식 방재 마스크
KR102390122B1 (ko)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고 정화 및 항균기능이 뛰어난 기능성 마스크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KR20210003367A (ko) 미세 먼지용 마스크
KR19990014607A (ko) 1회용 방진마스크
KR20040062697A (ko) 마스크
KR102398355B1 (ko) 사용의 편리성 및 탁월한 여과기능을 겸비한 방진 및 방독마스크
KR200315229Y1 (ko) 구강(口腔)식 간이 방독구
CN214762953U (zh) 一种带有固体碱过滤片的头盔
CN212347489U (zh) 多功能套头式防护罩
CN212393929U (zh) 一种一体化口罩护目镜防护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