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772B1 -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772B1
KR102119772B1 KR1020180115728A KR20180115728A KR102119772B1 KR 102119772 B1 KR102119772 B1 KR 102119772B1 KR 1020180115728 A KR1020180115728 A KR 1020180115728A KR 20180115728 A KR20180115728 A KR 20180115728A KR 102119772 B1 KR102119772 B1 KR 102119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apes
holder
supplie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278A (ko
Inventor
길형배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7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섬유강화 복합재를 적용한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 시트를 구현하는데 있어 적층패턴이 요구되는 경우 소재의 손실율을 줄이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Sheet Of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특히 자동차 및 우주/항공 분야를 포함한 운송 분야에서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적용 및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기존 복합재의 주요 기술로써는 에폭시 수지(Epoxy), BMI(Bismaleimide), 페놀 수지(phenolic resin)등 열경화성수지(Thermsetting resin)과 탄소섬유(Carbon fiber), 유리섬유(Fiberglass), 아라미드섬유(Aramid fiber)등의 강화섬유를 복합화한 소재와 이를 응용한 제품이 주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열경화성 복합재는 수지가 경화하는 시간이 과도하여 제품 제작 시간이 과도한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PP수지(Polypropylene), 나일론 수지(Polyamide), PPS(Polyphenylene Sulfide)등 열가소성 수지와 강화섬유를 복합화한 열가소성수지 복합재 개발과 이를 응용한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열가소성 복합재는 비연속섬유 복합재와 연속섬유 복합재로 분류된다. 비연속 섬유 복합재는 디자인 자유도가 높고 일반적으로 사출 및 압출등의 공정을 통해 생산성이 높은 특징을 갖지만 물성이 다소 낮은 단점이 있다. 연속섬유 복합재는 물성이 높지만 디자인 자유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고강성/고강도를 요구하는 응용 제품의 주요 재료를 대체하기 위해 연속섬유 복합재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연속섬유 열가소성 복합재는 일방향 복합재(Unidirectional composite)와 직물 복합재(Woven fabric composite)가 있다.
일방향 복합재는 낮은 가격과 높은 디자인 자유도의 특징을 갖지만 열성형시(Thermoforming)시 섬유 배열의 흐트러짐이 높은 단점이 있다.
직물 복합재는 직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인해 가격이 높지만 열성형시 섬유 배열의 흐트러짐이 적어 취급이 용이하고 제품 디자인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직물 복합재는 생산 방향에 수직/수평으로 배열되는 특징으로 인해 일정한 각도를 갖는 적층패턴(Stacking sequence)를 갖을 경우 재료의 낭비가 많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럽공개특허 제2479327호에서는 2개의 경사 배향 테이프를 구비한 직물 재료 및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직물 복합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낭비되는 재료의 손실율이 크다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복합재의 섬유 배열이 길이 방향으로 수직/수평으로만 배열되는 한계를 개선하고 드라이 직물(dry fabric)을 이용해 제작된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 시트의 함침성을 개선한 직물시트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제1 테이프가 제1 테이프 피더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수 개로 공급되는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 상기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는 제1 테이프 푸쉬 유닛에 의해 제1 테이프 이송 유닛에 공급되는 이송유닛 공급단계(S20);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는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에 따라서,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와 고정형 제1테이프 홀더와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1 테이프의 길이가 조정되어, 제1 테이프의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단계(S30); 상기 공간확보단계(S30)가 진행되기 전에, 상기 다수 개의 제1 테이프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다수 개의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피더에 의해 각각의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으로 공급되는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 상기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은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의 공간을 경유하여 제2 테이프 홀더로 제2 테이프를 이송하고, 이송된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단계(S50); 상기 고정단계(S5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을 복귀시키는 복귀단계(S60); 상기 복귀단계(S6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에 의해 제2 테이프가 고정되면서, 제2 테이프 커터에 의해 제2 테이프가 절단되는 절단단계(S70); 및 상기 절단단계(S70)를 거친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밀착기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단계(S80)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제1 테이프 이송 유닛은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 및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를 포함하며, 제1 테이프가 제1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 및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공급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 중 낱 개의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임의의 한 방향으로 순서를 정하여 홀수 위치의 제1 테이프와 짝수 위치의 제1 테이프를 설정하고,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에서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되는 제1 테이프는 낱개의 제1 테이프가 홀수 위치 또는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1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공급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 중 낱 개의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한쌍으로 정한 후, 각각의 한쌍으로 정해진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임의의 한 방향으로 순서를 정하여 홀수 위치의 한쌍의 제1 테이프와 짝수 위치의 한쌍의 제1 테이프를 설정하고,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에서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되는 제1 테이프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한 쌍으로 하는 제1 테이프가 홀수 위치 또는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1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계(S50)에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은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상승된 제1 테이프의 하면과,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상승되지 않은 제1 테이프의 상면을 반복하여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형 제2 테이프 이송 홀더는 상기 복귀단계(S60)에서 복귀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과 제1 테이프 및 제2 테이프의 적층배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섬유강화 복합재를 적용한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 시트를 구현하는데 있어 적층패턴이 요구되는 경우 소재의 손실율을 줄이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2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3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4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5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S7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상기 용어들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테이프가 제1 테이프 피더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수 개로 공급되는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 상기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는 제1 테이프 푸쉬 유닛에 의해 제1 테이프 이송 유닛에 공급되는 이송유닛 공급단계(S20);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는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에 따라서,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와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와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1 테이프의 길이가 조정되어, 제1 테이프의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단계(S30); 상기 공간확보단계(S30)가 진행되기 전에, 상기 다수 개의 제1 테이프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다수 개의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피더에 의해 각각의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으로 공급되는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 상기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은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의 공간을 경유하여 제2 테이프 홀더로 제2 테이프를 이송하고, 이송된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단계(S50); 상기 고정단계(S5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을 복귀시키는 복귀단계(S60); 상기 복귀단계(S6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에 의해 제2 테이프가 고정되면서, 제2 테이프 커터에 의해 제2 테이프가 절단되는 절단단계(S70); 및 상기 절단단계(S70)를 거친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밀착기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단계(S80)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공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 단계의 상세한 절차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는 제1 테이프가 제1 테이프 피더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수 개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1 테이프(100)는 제1 테이프 피더(140)에 의해 일정한 폭으로 제작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열가소성 복합재인 것으로, 상기 제1 테이프(100)는 마찰력을 가지고 회전하는 2개의 제1 테이프 피더(140)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제1 테이프 푸쉬 유닛(150)에 일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테이프의 처짐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을 장착하여 테이프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프는 열가소성 수지 및 강화섬유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에테르케톤(PEEK)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실리콘카바이드 섬유, 보론섬유, 아라미드 섬유, 천연섬유, 메탈릭 섬유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송유닛 공급단계(S20)는 상기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가 제1 테이프 푸쉬 유닛에 의해 제1 테이프 이송 유닛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100, 도 2 참고)는 제1 테이프 푸쉬 유닛(150)에 의해 슬라이드형 제1 테이프 홀더(110) 및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120)를 포함하는 제1 테이프 이송 유닛(160)에 공급되며, 보다 자세하게는 슬라이드형 제1 테이프 홀더(110)에 공급된다. 상기 슬라이드형 제1 테이프 홀더(110)는 제1 테이프 푸쉬 유닛(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테이프 푸쉬 유닛(15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테이프(100)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프 이송 유닛(160)은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120)가 슬라이드형 제1 테이프 홀더(110)에 비해 지면과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있는 것이 제1 테이프(100)의 이송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프 이송 유닛(160)은 제1 테이프(100)가 슬라이드형 제1 테이프 홀더(110)에서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120)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슬라이드형 제1 테이프 홀더 및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120)는 제1 테이프 이송 유닛(160)의 일면에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라면 원통형, 다각형 또는 임의의 구조이여도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공간확보단계(S30)는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는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에 따라서,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와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와의 거리가 조정되어, 제1 테이프의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100)의 일방향 끝단은 도 3 내지 도 5의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120)에 고정되어 있고, 제1 테이프 리프트(130)에 의해 교대로 상승되어 엇갈림 구조가 구현된다. 상기 제1 테이프 리프트(130)는 도 6에 기재한 것과 같이, 도 3 내지 도 5의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110) 및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120)의 사이에 제1 테이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공급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 중 낱 개의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임의의 한 방향으로 순서를 정하여 홀수 위치의 제1 테이프와 짝수 위치의 제1 테이프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테이프 리프트(130)에 의해 교대로 상승되는 다수 개의 제1 테이프(100)는 낱 개의 제1 테이프가 홀 수 위치 또는 짝 수 위치에 배치된 제1 테이프(100)일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공급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 중 낱 개의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한쌍으로 정한 후, 각각의 한쌍으로 정해진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임의의 한 방향으로 순서를 정하여 홀수 위치의 한쌍의 제1 테이프와 짝수 위치의 한쌍의 제1 테이프를 설정하고, 상기 제1 테이프 리프트(130)에 의해 교대로 상승되는 다수 개의 제1 테이프(100)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한 쌍으로 하는 제1 테이프가 홀 수 위치 또는 짝 수 위치에 배치된 제1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110)가 왕복운동을 하여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110)와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120)와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1 테이프(10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 테이프의 엇갈림 구조가 확연히 구현되어, 제1 테이프 리프트(130)에 의해 상승된 제1 테이프와 제1 테이프 리프트(130)에 의해 상승되지 않은 제1 테이프 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는 상기 공간확보단계(S30)가 진행되기 전에, 다수 개의 제2 테이프가 다수 개의 제1 테이프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급되며, 제2 테이프 피더에 의해 각각의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으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제2 테이프(200)는 제1 테이프(1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 테이프(200)는 2개의 제2 테이프 피더(230) 사이를 통과하여 제2 테이프 공급유닛(220)에 포함되는 제2 테이프 이송 유닛(240)에 일정한 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있다. 상기 교차되는 방향은 제2 테이프(200)와 제1 테이프(100)가 교차되는 범위에서는 어떠한 각도로 형성되어도 유효하다. 상기 제2 테이프(200)는 상기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에서 설명한 제1 테이프(100)와 동일한 조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단계(S50)는 상기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이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의 공간을 경유하여 제2 테이프 홀더로 제2 테이프를 이송하고, 이송된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홀더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2 테이프 이송 유닛(240)은 제2 테이프(200)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의 공간을 경유하여 제2 테이프 홀더(250)과 제2 테이프(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을 경유하는 것은 제2 테이프 이송 유닛(240)이 도 1 및 도 6의 제1 테이프 리프트(130)에 의해 상승된 제1 테이프의 하면과, 제1 테이프 리프트(130)에 의해 상승되지 않은 제1 테이프 상면을 반복하여 경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귀단계(S60)는 상기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을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은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의 공간을 다시 경유하여 상기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의 위치로 복귀되고, 제2 테이프(200)와 결합되어 대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절단단계(S70)는 상기 복귀단계(S6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에 의해 제2 테이프가 고정되면서, 제2 테이프 커터에 의해 제2 테이프가 절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구동형 제2 테이프 이송 홀더(260)는 제1 테이프(100) 및 제2 테이프(200)가 적층되어 배열되는 부분과, 상기 복귀단계(S60)에서 복귀된 상기 제2 테이프 이송 유닛(24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형 제2 테이프 이송 홀더(260)는 제2 테이트 홀더(250)에 고정된 제2 테이프(200)에 고정되어 제2 테이프 커터(270)로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테이프(200)는 상기 구동형 제2 테이프 이송 홀더(260)에 의해 고정됨에 동시에 상기 제2 테이프 커터(27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밀착단계(S80)는 상기 절단단계(S70)를 거친 제2 테이프가 제2 테이프 밀착기에 의해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2 테이프 밀착기(210)는 상기 제2 테이프 홀더(250)과 상기 구동형 제2 테이프 이송 홀더(260)가 회전운동을 통해 이송됨과 동시에 제2 테이프(200)으로 밀착되어, 제1 테이프(100) 및 제2 테이프(200)가 적층배열되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 시트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복합재 시트를 권치하는 권취단계(S90) 및 상기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 내지 상기 권취단계(S90)를 반복하는 반복단계(S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장치는 열가소성 섬유강화 복합재를 적용한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 시트를 구현하는데 있어 적층패턴이 요구되는 경우 소재의 손실율을 줄이는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삭제
100: 제1 테이프 110: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
120: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 130: 제1 테이프 리프트
140: 제1 테이프 피더 150: 제1 테이프 푸쉬 유닛
160: 제1 테이프 이송 유닛 200: 제2 테이프
210: 제2 테이프 밀착기 220: 제2 테이프 공급유닛
230: 제2 테이프 피더 240: 제2 테이프 이송 유닛
250: 제2 테이프 홀더 260: 구동형 제2 테이프 이송 홀더
270: 제2 테이프 커터

Claims (8)

  1. 제1 테이프가 제1 테이프 피더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수 개로 공급되는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
    상기 제1 테이프 공급단계(S1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는 제1 테이프 푸쉬 유닛에 의해 제1 테이프 이송 유닛에 공급되는 이송유닛 공급단계(S20);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를 거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는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에 따라서,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형 제1테이프 홀더와 고정형 제1테이프 홀더와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1 테이프의 길이가 조정되어, 제1 테이프의 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단계(S30);
    상기 공간확보단계(S30)가 진행되기 전에, 상기 다수 개의 제1 테이프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다수 개의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피더에 의해 각각의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으로 공급되는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
    상기 제2 테이프 공급단계(S4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은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의 공간을 경유하여 제2 테이프 홀더로 제2 테이프를 이송하고, 이송된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단계(S50);
    상기 고정단계(S5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을 복귀시키는 복귀단계(S60);
    상기 복귀단계(S60)를 거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에 의해 제2 테이프가 고정되면서, 제2 테이프 커터에 의해 제2 테이프가 절단되는 절단단계(S70); 및
    상기 절단단계(S70)를 거친 제2 테이프는 제2 테이프 밀착기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단계(S80)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제1 테이프 이송 유닛은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 및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를 포함하며, 제1 테이프가 제1 슬라이딩형 제1 테이프 홀더 및 고정형 제1 테이프 홀더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공급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 중 낱 개의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임의의 한 방향으로 순서를 정하여 홀수 위치의 제1 테이프와 짝수 위치의 제1 테이프를 설정하고,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에서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되는 제1 테이프는 낱 개의 제1 테이프가 홀 수 위치 또는 짝 수 위치에 배치된 제1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 공급단계(S20)에서 공급된 다수 개의 제1 테이프 중 낱 개의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한쌍으로 정한 후, 각각의 한쌍으로 정해진 제1 테이프에 대하여 임의의 한 방향으로 순서를 정하여 홀수 위치의 한쌍의 제1 테이프와 짝수 위치의 한쌍의 제1 테이프를 설정하고, 상기 공간확보단계(S30)에서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교대로 상승되는 제1 테이프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한 쌍으로 하는 제1 테이프가 홀 수 위치 또는 짝 수 위치에 배치된 제1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S50)에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은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상승된 제1 테이프의 하면과, 제1 테이프 리프트에 의해 상승되지 않은 제1 테이프의 상면을 반복하여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구동형 제2 테이프 이송 홀더는 상기 복귀단계(S60)에서 복귀된 제2 테이프 이송 유닛과 제1 테이프 및 제2 테이프의 적층배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직물시트.
KR1020180115728A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KR10211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728A KR102119772B1 (ko)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728A KR102119772B1 (ko)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278A KR20200036278A (ko) 2020-04-07
KR102119772B1 true KR102119772B1 (ko) 2020-06-05

Family

ID=7029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728A KR102119772B1 (ko)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708A (ja) 2006-11-22 2008-07-03 Fukui Prefecture 熱可塑性樹脂多層補強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可塑性樹脂多層補強成型品
KR101757678B1 (ko) 2015-11-10 2017-07-13 유기용 코아 네트 직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66A (ja) * 1985-07-03 1987-01-23 カ−ル マイヤ− テクステイルマシ−ネンフアブリ−ク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タ− ハフツング 織物生地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244059B1 (ko) * 2009-10-20 2013-03-18 (주)엘지하우시스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보강직물 및 보강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708A (ja) 2006-11-22 2008-07-03 Fukui Prefecture 熱可塑性樹脂多層補強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可塑性樹脂多層補強成型品
KR101757678B1 (ko) 2015-11-10 2017-07-13 유기용 코아 네트 직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278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5433B (zh) 纤维强化树脂片材的制造方法
KR101771287B1 (ko) 연속섬유 보강 수지 복합재 및 그 성형품
IL200135A (en) Fiber processing machine containing flexible tubing for fiber supply
KR102496240B1 (ko) 시트상 강화 섬유 기재, 프리폼 및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CA2720205A1 (en) Process for producing fibre preforms
JP2017154330A (ja) 強化繊維中に樹脂を含浸させる装置および強化繊維中に樹脂を含浸させる方法。
KR20140005409A (ko) 열가소성 프리프레그 및 그 제조방법
CN113518697A (zh) 片材按压装置、片材按压方法、按压辊以及片材的制造方法
WO2017164157A1 (ja) 繊維強化樹脂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8440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KR102119772B1 (ko)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KR20170057612A (ko)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프리폼 성형장치 및 방법
KR101914699B1 (ko) 기계적 및 기능적 성능의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재료
WO2021132737A1 (ko) 열가소성 복합재 직물시트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하는 제조장치 및 이로 제조된 직물시트
KR101944748B1 (ko) 고분자 복합 재료를 활용한 3d 입체물 및 이의 제조 로봇 시스템
KR101926822B1 (ko) 하이브리드 재료 제조 방법 및 조형 방법
JP6762503B2 (ja) 一方向性強化繊維シート
KR101202964B1 (ko) 다축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의 연속 공급장치
KR20180094435A (ko) 고분자 복합 재료를 활용한 3d 입체물 제조 로봇 시스템
EP28784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composite component
JP7300698B2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40082033A (ko) 복합재료 제조 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재료, 복합재료 제조 방법
JP2020023069A (ja) 造形装置
KR20190031909A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EP386215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uncured, near-net shape p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