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531B1 -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531B1
KR102119531B1 KR1020190088884A KR20190088884A KR102119531B1 KR 102119531 B1 KR102119531 B1 KR 102119531B1 KR 1020190088884 A KR1020190088884 A KR 1020190088884A KR 20190088884 A KR20190088884 A KR 20190088884A KR 102119531 B1 KR102119531 B1 KR 10211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air
condens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성준
Original Assignee
(주)세원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센추리 filed Critical (주)세원센추리
Priority to KR102019008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5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24F2003/1628
    • F24F2003/166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hold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such that external air can pass through the holding space; a blowing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cefully blow the external air such that the external air can be sucked into the holding the space through the inlet and the sucked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 humidify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in order to generate vapor in the holding space through water supplied by a water feeding unit; a cooling unit having an evaporator installed in the holding space to cool the external air induced into the holding space; and a purify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such that the air induced into the main body can be purified and steril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purifies and steriliz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using a photocatalyst to remove fine dust, a pollution gas such as NO_x and SO_x, nitrogen dioxide, carbon dioxide, etc., contained in the air of a region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injects water to an evaporator or a condenser of the cooling unit to enhanc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or the condenser, and discharges heat of the compressor included in an outdoor unit box to prevent a fire and an explos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compressor.

Description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조기가 설치된 설치지역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nd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apable of purifying air in an installation area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공조기는 공기조화기라고도 하며, 실내를 거주자가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also referred to as an air conditioner, and is intended to maintain the room at a temperature and humidity suitable for occupants' activity.

공조기는 냉동기나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동사이클과 동일 원리로 작동하게 되는데, 실내와 실외에 각각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압축기를 거쳐 압축된 냉매가 응축, 감압팽창 및 증발하는 과정을 통해 실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air conditioner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refrigeration cycle used in a refrigerator or a refrigerator. Heat exchangers are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respectively, and the compressed air through a compressor condenses, expands under reduced pressure, and evaporates indoor air. By cool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oom temperature at an appropriate level.

통상적으로 공조기에는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 또는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방향을 절환할 수 있는 사방밸브가 마련되어 있어서, 여름철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사용되고 실외에 설치되는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냉매의 이동방향을 설정하고, 겨울철에는 그 반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에는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고, 겨울철에는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ypically,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four-way valve that can swit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mpressor or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In summer, heat exchangers installed indoors can be used as evaporators, and heat exchangers installed outdoors can be used as condensers. It is formed to cool the indoor air in summer and to heat the indoor air in winter by set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frigerant so as to be the opposite in winter.

이러한 공조기는 가정에서 뿐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유지 관리가 철저히 요구되는 산업 현장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밀기계를 통해 정밀 가공, 측정이 행해지는 실험실, 조립fab 등에서나, 컴퓨터 장비 시스템 등이 수용되는 전산센터실이나, 각종 고문서, 문화재가 비치되는 박물관 등에서는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기기, 정밀기계, 각종 장비 등이온도와 습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항온 및 항습이 철저히 요구되고 있다.These air conditioners are used not only at home, but also in industrial sites where thorough maintena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s required. For example, electronic equipment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a laboratory where precision processing and measurement are performed through precision machinery, an assembly fab, or a computer center system that accommodates computer equipment systems or a museum where various ancient documents and cultural properties are stored. , Precision machinery, equipment, etc. Since it is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ionicity and humidit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thoroughly required.

그러나, 종래의 공조기의 경우, 단순히 설치대상 지역의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순환시키는 반면에, 해당 지역의 공기를 정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he air in the installation target area is circulated by cooling or heating, while the air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difficult to purify.

등록특허공보 제10-0958351호: 공조기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58351: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광촉매를 이용하여 정화 및 살균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apable of purifying and sterilizing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using a photocataly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와,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습유닛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정화유닛을 구비한다.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so that external air can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and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The air is suck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ventilation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forcibly blow outside air so that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d steam is gener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A humid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be provided, a cooling unit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main body to purify and steriliz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It has a purification unit installed.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게 상기 증발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광촉매 코팅층과,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형성된 제1광촉매 코팅층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다. The purification unit is a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vaporator to be photoactivated by irradiated ultraviolet rays to steriliz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ormed in the evaporator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dy And a UV lamp that irradiates ultraviolet light with the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공급부에서 상기 가습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제공받거나 상기 가습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제공받아 상기 증발기로 분사하는 제1분사유닛을 더 구비한다.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receive a portion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humidifying unit or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unit to spray the first jet It is further equipped with a unit.

상기 제1분사유닛은 상기 증발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노즐과,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분사노즐에 공급하는 제1물 공급부를 구비한다. The first inj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evaporator so that at least one first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to the evaporator and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cation unit to receive water It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unit or a humidifying unit, and has a first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humidifying unit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so that water is sprayed from the first injection nozzle.

상기 제1분사유닛은 상기 증발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과, 상기 제2분사노즐에 설치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에서 물이 상기 증발기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에 대해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2분사노즐을 왕복이동시키는 노즐 이동부와,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2분사노즐에 공급하는 제2물 공급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first inj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evaporator and is installed on the second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to the evaporator, and on the second injection nozzle,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injection nozzle. A nozzle moving unit for reciprocating the second injection nozzle along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so that it can be sprayed uniformly to the evaporator, and the water supply or humidifying unit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ying unit It is connected,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water supply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ying unit to the second injection nozzle so that water can be sprayed from the second injection nozzle.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분사유닛은 상기 제1방열판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되,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증발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살수구가 형성된 제1살수관과,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살수관의 제1살수구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살수관에 공급하는 제3물 공급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evaporator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and a first heat exchan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first heat sin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nd, the first injection un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heat sink, there is provided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the first sprinkling port to allow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to be discharged to the evaporator The formed first sprinkling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or humidifying uni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and the water supply to allow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sprinkling port of the first sprinkling pipe. Alternatively, a third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unit to the first sprinkling pipe may be provided.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내부에 상기 응축기 및 압축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가 폭발되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를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더 구비한다. The cooling unit i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a condenser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to condense the compressed refrigerant in the compressor, and a refrigerant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to condense the condenser It has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and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can be installed therein, and an outdoor unit enclosure having an inlet port is provided to allow outside air to enter the interior space, and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to be installed in the compressor.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on unit for dissipating the compressor to prevent the explosion or fire.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증발하는 물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된 다수의 기화패널이 마련된 거치부재와,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기화패널들에 분사하는 패널 분사부를 구비한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ir passes through and enters the compressor,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compressor by cooling water can absorb and receive water to be cooled. A mounting memb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porization panels formed of,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and the water vaporization panels receiv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It is equipped with a panel spraying part to spray 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는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과, 상기 패널 분사부에서 분사된 물 중 상기 기화패널들 사이를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수집부와, 상기 제1수집부에서 수집된 물을 상기 제2분사유닛에 공급하는 제1보조공급부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ndenser, the second injection unit for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and the water passing between the vaporizing panels among the water sprayed from the panel injection unit It has a first collection unit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so as to collect, and a first auxiliary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on unit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는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과,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2분사유닛에 공급하는 제2보조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증발하는 물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된 다수의 기화패널이 마련된 거치부재와, 상기 제2분사유닛에서 분사된 물 중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수집부와, 상기 제2수집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수집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수집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기화패널들에 분사하는 패널 분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ndenser, the second injection unit for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and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It is connected to the unit, and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auxiliary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ying unit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and air passes through the compressor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low into, the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porizing panels formed of wood so as to absorb and receive water to cool the air flowing into the compressor by the evaporating water, and the second injection unit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llection unit to be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second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coll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er to collect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from the sprayed water, A panel spraying part for spraying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collection part to the vaporizing panels may be provided.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증발하는 물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된 다수의 기화패널이 마련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기화패널들에 물을 분사하는 패널 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과,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패널 분사부 및 제2분사유닛에 공급하는 물 분배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ir passes through and enters the compressor,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compressor by cooling water can absorb and receive water to be cooled. I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porized panels formed by, and a panel injection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for spraying water to the vaporization panels, the second inj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condenser to spray water to the condenser and ,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or humidification unit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humidification unit, and a water distribution unit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humidification unit to the panel injection unit and the second injection unit It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는 상기 실외기 함체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실외기 함체의 외부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응축기로 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제2분사유닛을 제어하는 분사 제어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o measure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the outsid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an injection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second injection unit to spray water to the condenser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된 냉매가 냉매가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통과유로가 마련되며,상기 실외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2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분사유닛은 상기 제2방열판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공급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동로가 마련되되,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 또는 제2방열판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살수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살수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denser is provided with a passage through therein so that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can pass through the refrigerant, and a second heat exchange pipe installed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heat sink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second injection un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second heat sinks, and a flow path is provided inside to allow the supplied water to flow, and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t least one second sprinkling pipe formed with a second sprinkling port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or the second heat sink.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응축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로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광촉매 코팅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oling unit i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a condenser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to condense the compressed refrigerant in the compressor, and a refrigerant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to condense the condenser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 second photocatalyst coating lay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enser may be provided to be photoactivated by sunlight incident on the condenser.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방열판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evaporator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and a first heat exchan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first heat sin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nd,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riking unit for hitting the first heat sink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rst heat sink.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제1방열판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열판으로 고압의 타격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노즐과, 상기 타격노즐에서 상기 타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상기 타격노즐에 상기 타격수를 공급하는 타격수 공급부를 구비한다. The strik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heat sink, and at least one blow nozzle for spraying high-pressure blow water to the first heat sink and the blow water from the blow nozzle It is provided with a blow water supply unit that intermittently supplies the blow water to the blow nozzle.

또한,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제1방열판들이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상기 제1방열판들에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와, 상기 제1방열판들 사이의 상기 연결로드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이동시 상기 제1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triking unit is at least one connecting rod to which each of the first heat sinks is fixed, and a forced moving unit for moving the connection ro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so that twisting occurs in the first heat sinks. And, one end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first heat sinks,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n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When the connecting rod is moved by the forced moving part, a striking body that strikes the first heat sink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는 광촉매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므로 공조기가 설치된 지역의 공기 중 포함된 미세먼지, NOx, SOx와 같은 오염가스,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and steriliz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using a photocatalyst, thereby contaminating gases such as fine dust, NOx, SOx, nitrogen dioxide, and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in the area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move the bac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는 냉각유닛의 증발기 또는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므로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외기 함체 내에 포함된 압축기를 방열시켜 압축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rays water to the evaporator or condenser of the cooling unit, thereby improv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or condenser, and dissipating the compressor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housing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compressor. Can prevent fire and explo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의 증발기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분사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분사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의 방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의 타격유닛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격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evaporator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Figure 5,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riking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ik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the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n air conditioner 10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외기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외기가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송풍유닛과,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1)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가습유닛(130)과, 상기 수용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41)가 마련된 냉각유닛(140)과, 상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정화유닛(210)과, 상기 증발기(141)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에서 상기 가습유닛(130)으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제공받거나 상기 가습유닛(13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제공받아 상기 증발기(141)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제1분사유닛(15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100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111 therein, and an intake port 112 and an outlet port 113 to allow outside air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11.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for the forced air blowing so that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1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and the sucked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3 110) installed in the air supply unit, the humidification unit 130 and the receiving space 111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so as to generate steam throug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receiving space 111 A cooling unit 140 provided with an evaporator 141 that is installed to cool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nd the main body 110 to purify and steriliz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10. The purification unit 210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art receiv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humidification unit 130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141 o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humidification unit 130 It is provided with a first injection unit 15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supplied and injected to the evaporator 141.

본체(110)는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전면 상측에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전면 하측에 다수의 흡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는 내부에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부재(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114)는 흡입구(112)들을 덮을 수 있도록 본체(110) 내벽면에 설치된다. The main body 1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structure, an outlet 113 is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12 are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114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flowing inside. The filter member 114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110 so as to cover the suction ports 112.

송풍부재(120)는 배출구(113)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시킨다. 상기 송풍부재(12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owing member 12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10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let 113 to force the internal air of the body 110 to the outside. The blowing member 120 is preferably a sirocco fan that is conventionally used.

가습유닛(130)은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The humidification unit 130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generates steam using the supplied water.

가습유닛(130)은 공급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수공급부에 연결되며,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수용된 물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증기발생기에 연결되며, 본체(110)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증기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증기 배출관(132)을 구비한다. 상기 가습유닛(130)은 공조기(100)에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습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급수공급부는 본 발명의 공조기(100)가 설치된 건축물에 마련된 수도시설이 적용될 수 있다. Humidifica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by a supply pipe (not shown),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from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he steam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the upper body 110 It is extended, and has a steam discharge pipe 132 having a plurality of steam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steam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nce the humidifying unit 130 is a humidifying device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generate steam in the air conditioner 1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applied to the water facility provided in the building is installed air conditio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가습유닛(130)은 기화식 가습기와 같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항온항습기에 사용되는 가습수단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umidification unit 130, a humidification means,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n a thermo-hygrostat, such as a vaporized humidifier, is appli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냉각유닛(140)은 수용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41)와, 상기 증발기(141)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80)와, 상기 응축기(180)와 증발기(14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18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내부에 상기 응축기(18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기(141), 압축기, 응축기(180), 팽창밸브는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Cooling unit 14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the evaporator 141 for cooling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111,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141, and the main body I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11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180 condens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in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180 and the evaporator 141 to expand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180. An expansion valve and an interior space are provided to allow the condenser 180 to be installed therein, and an outdoor unit enclosure is provided with an inlet to allow outside air to enter the interior space. The evaporator 141,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180, and the expansion valve are interconnected by a flow tube so that refrigerant can flow sequentially.

증발기(141)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 파이프(146)와,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46)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방열판(147)을 구비한다. The evaporator 141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and a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heat sinks 14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46)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1) 내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46)는 냉매와,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의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is formed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copper to facilitat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

상기 제1방열판(147)은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heat sink 147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to extend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nd a metallic material such as copper It is preferably formed of.

제1열교환 파이프(146)를 통과하는 냉매는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잠열을 흡수한다. 증발기(141)에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로 유동하고,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된다.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80)에서 응축열을 방출하여 액체상태로 응축된다. 응축기(180)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저압상태로 팽창되고, 증발기(141)에서 기체상태로 증발된다. 한편, 증발기(141), 압축기, 응축기(180) 및 팽창밸브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absorbs latent heat of evaporation by exchanging heat with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 The refrigerant vaporized in the evaporator 141 flows to the compressor and is compressed at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The refrigerant compressed at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is condensed in a liquid state by releasing condensation heat from the condenser 180.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180 expands to a low pressure state in an expansion valve, and evaporates to a gas state in the evaporator 141. Meanwhile, the evaporator 141,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180, and the expansion valve are components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generally used in the related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응축기(18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유동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실외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2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방열판을 구비한다. Here, although the condenser 18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is provided, and a second heat exchange pipe installed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re mutu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heat sinks spaced apart.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는 실외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는 냉매와, 실외기 함체 내의 공기의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of the outdoor unit and is formed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copper to facilitat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in the outdoor unit housing.

상기 제2방열판은 실외기 함체 내의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제2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heat sink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so as to exp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in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copper.

여기서, 응축기(180) 및 압축기는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어 본체(110) 외부 즉,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된다. Here, the condenser 180 and the compressor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are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110, that is, outside the building.

상기 실외기 함체는 내부에 응축기(180) 및 압축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응축기(180)에 대향되는 전면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응축기(180)를 통과한 외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외기 함체는 외기를 내부로 강제송풍시킬 수 있도록 유입구 측에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door unit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terior space in which a condenser 180 and a compressor are installed, and an inlet is form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front side facing the condenser 180, and the condenser 180 has passed through the rear. The outlet is formed so that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unit housing is preferably installed with a blower on the inlet side so as to forcibly blow the outside air inside.

한편, 냉각유닛(140)은 증발기(141)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유닛(143)을 더 구비한다. Meanwhile, the cooling unit 140 further includes a drain unit 143 that collects condensed water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상기 드레인 유닛(143)은 증발기(141)의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호퍼(144)와, 상기 수집호퍼(144)에 수집된 응축수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호스(145)를 구비한다. The drain unit 143 is a collection hopper 144 for collecting condensat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and a drain hose 145 for discharging condensate collected in the collection hopper 144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

수집호퍼(144)는 증발기(141)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본체(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집공간이 마련되고, 증발기(141)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The collection hopper 144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evaporator 141, a collection space is provided inside, and condensate flowing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It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 to collect.

드레인 호스(145)는 일단이 수집호퍼(144)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드레인 호스(145)는 내부에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유로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유동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drain hose 145 is connected to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llection hopper 144,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drain hose 145 is formed with a flow path to allow condensate to flow therein,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drain so that condensed water flowing along the flow path is discharged.

상기 정화유닛(210)은 상기 수용공간(111)을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게 상기 증발기(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광촉매 코팅층(211)과,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1)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212)를 구비한다. The purification unit 210 is a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21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to be photoactivated by irradiated ultraviolet rays to purify and steriliz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nd, it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an ultraviolet lamp 212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evaporator (141).

제1광촉매 코팅층(211)은 증발기(141)의 제1열교환 파이프(146)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광촉매 코팅층(211)은 이산화 티타늄(TiO2) 또는 이산화 티타늄에 타요소를 첨가한 혼합물을 적용할 수 있다. 이산화 티타늄에 첨가되는 물질의 일 예로서는 백금, 파라듐, 금, 은, 텅스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211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of the evaporator 141. The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211 may use titanium dioxide (TiO 2 ) or a mixture of titanium dioxide with other elements added thereto. As an example of a material added to titanium dioxide, at least one material of platinum, palladium, gold, silver, and tungsten may be appli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광촉매 코팅층(211)은 증발기(141)의 제1방열판(147) 표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211 may also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147 of the evaporator 141.

자외선 램프(212)는 증발기(141)에 대향되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증발기(141)에 형성된 제1광촉매 코팅층(211)으로 소정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여기서, 자외선 램프(212)는 430나노미터 이하의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램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ltraviolet lamp 212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10 opposite to the evaporator 141, and irradiates ultraviolet rays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with the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211 formed on the evaporator 141. Here, the UV lamp 212 is preferably a lamp that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30 nanometers or less.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정화유닛(210)은 자외선 램프(212)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제1광촉매 코팅층(211)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조기(100)가 설치된 지역 내의 공기 중 포함된 미세먼지, NOx, SOx와 같은 오염가스,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등을 제거할 수 있다.The purification unit 2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urify and steriliz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 by the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211 activated by ultraviolet rays incident from the ultraviolet lamp 21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move fine dust, NOx, SOx-contaminated gases, nitrogen dioxide, carbon dioxide, etc., contained in the air in the area where the air conditio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제1분사유닛(150)은 상기 증발기(141)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1)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제1분사노즐(151)과,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 연결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151)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분사노즐(151)에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구비한다.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evaporator 141, a plurality of first injection nozzles 151 for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to the evaporator 141, and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ca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cation unit 13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cation unit 130, so that water is injected from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It has a water supply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130)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제1분사노즐(151)은 증발기(141)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며,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이 증발기(141)를 향하도록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분사노즐(151)은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노즐(15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증발기(141)의 크기에 따라 1개가 본체(1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is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141, and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so that a spray hole through which water is injected faces the evaporator 141. A plurality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s 15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 one of the first injection nozzles 151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vaporator 141.

제1물 공급부(152)는 물이 수용되는 제1서브탱크(미도시)와, 상기 제1서브탱크의 물이 상기 제1분사노즐(151)에 공급되도록 제1서브탱크와 제1분사노즐(151)에 연결된 제1전달관(153)과, 상기 제1전달관(153)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서브탱크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제1분사노즐(151)에 공급하는 제1공급펌프(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2 includes a first sub tank (not shown)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a first sub tank and a first injection nozzle so that water in the first sub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The first delivery pipe 153 connected to the 151 and a first supply pump installed in the first delivery pipe 153 to pump water from the first sub-tank to supply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Not shown).

제1서브탱크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133)에 분기된 제1분기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분기관을 통해 급수공급부에서 증기발생기로 전달되는 물 중 일부가 제1서브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서브탱크는 제1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1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제1서브탱크로 공급된다. 즉, 제1서브탱크는 급수공급부 및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된다. 따라서, 제1물 공급부(152)는 급수공급부에서 가습기로 공급되는 물 또는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제1분사노즐(151)에 공급하므로 별도의 급수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sub tank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a first branch pipe branched to the supply pipe 133 is connect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Part of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is supplied to the first sub tank.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sub tank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ion of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first connection pipe (not shown). Water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is supplied to the first sub tank through a first connecting pipe (not shown). That is, the first sub tank is accommodated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nd drain portions of the steam generator. Therefore,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2 us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humidifier o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so no separate water supply means is required. There is this.

한편, 제1분사유닛(15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물 공급부(152)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입력버튼을 통해 작업자가 공급펌프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제1분사노즐(151)로부터 물이 분사되도록 공급펌프를 작동시키고, 입력버튼을 통해 작업자가 공급펌프의 정지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공급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Meanwhile, although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is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trol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2.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n input button (not shown)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supply pump. When the operator inputs the drive signal of the supply pump through the input butto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upply pump to spray water from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and when the operator inputs a stop signal of the supply pump through the input button,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한편, 상기 제어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업자가 세척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을 더 구비하고,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세척시간에, 기설정된 작업시간동안 증발기(141)에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제1물 공급부(152)의 공급펌프를 작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input module that allows an operator to input a washing time, and at a washing time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high pressure water is applied to the evaporator 141 during a preset working time. The supply pump of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2 is operated to spray the water.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100)는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141)에 물을 분사하므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분사된 물이 증발되면서 가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분사유닛(15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증발기(141)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증발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10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prays water on the evaporator 141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humidifying the sprayed water while evapora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41 is remov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evaporator.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분사유닛(41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3 shows a first injection unit 4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previously illustrat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분사유닛(410)은 증발기(141)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1)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411)과, 상기 제2분사노즐(411)에 설치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411)에서 물이 상기 증발기(141)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에 대해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2분사노즐(411)을 왕복이동시키는 노즐 이동부(412)와,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411)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2분사노즐(411)에 공급하는 제2물 공급부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injection unit 41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evaporator 141,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for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to the evaporator 141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along th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so that water can be uniformly sprayed from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to the evaporator (141) ( 411) is connected to the nozzle moving part 412 for reciprocating, and the water supply part or the humidifying unit 13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or the humidifying unit 130,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 Is provided with a second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ying unit 130 to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so that water can be sprayed.

제2분사노즐(411)은 증발기(141)의 전방 측 본체(110) 내부에, 노즐 이동부(412)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다. 이때, 제2분사노즐(411)은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이 증발기(141)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분사노즐(411)(151)은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될 수도 있다.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nozzle moving part 412 inside the front side body 110 of the evaporator 141. At this time,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inj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is injected faces the evaporator 141. A plurality of the second injection nozzles 411 and 15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2물 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이 수용되는 제2서브탱크와, 제2서브탱크의 물이 제2분사노즐(411)에 공급되도록 제2서브탱크와 제2분사노즐(411)에 연결된 제2전달관과, 상기 제2전달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서브탱크의 물을 펌펑하여 제2분사노즐(411)에 공급하는 제2공급펌프를 구비한다. Although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sub tank and the second spray nozzle 411 so that the water in the second sub tank and the second sub tank in which the water is accommodated are supplied to the second spray nozzle 411.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delivery pipe connected to the, and a second supply pump installed in the second delivery pipe to pump the water of the second sub tank to supply to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제2서브탱크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133)에 분기된 제1분기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분기관을 통해 급수공급부에서 증기발생기로 전달되는 물 중 일부가 제2서브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서브탱크는 제2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2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제2서브탱크로 공급된다. 즉, 제2서브탱크는 급수공급부 및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된다. 따라서, 제2물 공급부는 급수공급부에서 가습기로 공급되는 물 또는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제2분사노즐(411)에 공급하므로 별도의 급수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second sub tank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the first branch pipe branched to the supply pipe 133 is connect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 part of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is supplied to the second sub tank.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sub tank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ion of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ipe (not shown). Water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is supplied to the second sub tank through a second connecting pipe (not shown). That is, the second sub tank is accommodated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nd drain portions of the steam generator. Therefore, since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supplies water to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humidifier or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unit of the steam generat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no separate water supply means is required.

노즐 이동부(412)는 증발기(141)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411)이 고정된 승강블럭(413)과, 상기 승강블럭(41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럭구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nozzle moving part 412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evaporator 141, and the lifting block 413 to which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is fixed And, it is provided with a block driving member (not shown) for moving the lifting block 413 in the vertical direction.

승강블럭(413)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이동레일(414)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414)은 증발기(141)의 전방에 설치된다. 승강블럭(413)은 상기 이동레일(414)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fting block 413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rail 414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he moving rail 414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141. The lifting block 413 is preferably formed with a through path so that the movable rail 414 can be installed through.

블럭구동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레일(414)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렉기어와, 상기 렉기어에 치합될 수 있게 상기 승강블럭(4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블럭(413)이 상하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모터 제어부재를 구비한다. The block driving member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oving rail 414, a plurality of gears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with a rack gear, and the lifting block 413 to be meshed with the rack gear The rotationally installed driving gear, a rotating motor for rotating the driving gear so as to rotate the driving gear, and a motor control material for controlling the rotating motor to move the lifting block 413 reciprocat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equipped.

한편, 블럭구동부재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승강블럭(413)을 상하방향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분사유닛(410)은 노즐 이동부(412)에 의해 이동되는 제2분사노즐(411)에 의해 물이 증발기로 제공된다. Meanwhile, the block driv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and any moving means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lifting block 413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applied. In the first injection unit 4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ater is provided to the evaporator by the second injection nozzle 411 moved by the nozzle moving unit 412.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분사유닛(420)이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FIG. 4 shows a first injection unit 4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분사유닛(420)은 상기 제1방열판(147)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되,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증발기(141)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살수구(422)가 형성된 제1살수관(421)과,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 연결되며, 상기 제1살수관(421)의 제1살수구(422)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살수관(421)에 공급하는 제3물 공급부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first injection unit 420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heat sink 147, there is provided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is the evaporator ( 141) the first water supply pipe 421 is formed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421, and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130 so as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130 Connected to the first watering pipe 421 so tha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watering port 422 of the first watering pipe 421 to the first watering pipe 421. And a third water supply unit to supply.

제1살수관(421)은 증발기(141)의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1살수관(421)은 증발기(141)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제1살수구(4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살수구(422)는 다수개가 제1살수관(4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prinkling pipe 421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of the evaporator 141. At this time, the first sprinkling pipe 42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141, and the first sprinkling port 422 is formed at the bottom.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sprinkling openings 422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prinkling pipe 421.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제1살수관(421)이 증발기(141)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살수관(42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증발기(141)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water pipes 421 are installed in the evaporator 141 is illustrated, but the first water pipe 421 is not limited to this, bu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vaporator 141. Dogs or three or more may be provided.

제3물 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물이 수용되는 제3서브탱크와, 제3서브탱크의 물이 제1살수관(421)에 공급되도록 제3서브탱크와 제1살수관(421)에 연결된 제3전달관과, 상기 제3전달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3서브탱크의 물을 펌펑하여 제1살수관(421)에 공급하는 제3공급펌프를 구비한다. Although the third water supply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ird sub tank and the first water supply pipe 421 so that the water in the third sub tank and the third sub tank to be supplied to the first water pipe 421 are accommodated. A third deliver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delivery pipe and a third supply pump installed in the third delivery pipe to pump water from the third sub-tank to supply to the first sprinkling pipe 421.

제3서브탱크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133)에 분기된 제1분기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분기관을 통해 급수공급부에서 증기발생기로 전달되는 물 중 일부가 제3서브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3서브탱크는 제3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3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제3서브탱크로 공급된다. 즉, 제3서브탱크는 급수공급부 및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된다. The third sub tank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a first branch pipe branched to the supply pipe 133 is connect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 part of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is supplied to the third sub tank.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ird sub tank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ion of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third connection pipe (not shown). Water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is supplied to a third sub tank through a third connecting pipe (not shown). That is, the third sub tank is accommodated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nd drain portions of the steam generator.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22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5 and 6 show an air conditioner 22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220)는 상기 압축기(148)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148)가 폭발되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를 방열하는 방열유닛(221)을 더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220 hav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compressor 148 to dissipate the compressor to prevent explosion or fire of the compressor 148, 221 ).

상기 방열유닛(221)은 상기 압축기(148)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증발하는 물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된 다수의 기화패널(223)이 마련된 거치부재(22)와,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기화패널(223)들에 분사하는 패널 분사부(224)를 구비한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221 is installed on the compressor 148,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ir passes therethrough and absorbs water to cool the air entering the compressor by evaporating water. I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2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porizing panels 223 formed of wood to accommodate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130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It is provided with a panel injection unit 224 for spra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130 to the vaporization panel (223).

거치부재(222)는 내부에 압축기(148)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각각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구에는 다수의 기화패널(223)들이 설치되어 있다. The mounting member 222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so that the compressor 148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opening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A plurality of vaporization panels 223 are installed in the opening.

상기 기화패널(223)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이때, 기화패널(223)은 패널 분사부(224)에서 공급된 물이 공기와 접촉하기 용이하게 증발되기 위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화패널(223)에서 증발되는 물에 의해 기화패널(223)들을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어 응축기(180)로 공급된다. The vaporization panel 223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vaporization panel 223 is formed in a wave shape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can be expanded so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anel injection unit 224 is easily evaporated in contact with the air. Air passing through the vaporization panels 223 is cooled by water evaporated from the vaporization panels 223 and then supplied to the condenser 180.

패널 분사부(224)는 거치부재(222)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기화패널(223)들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1배수관(225)과, 물이 수용된 저장탱크(미도시)와, 저장탱크의 물이 상기 제1배수관(225)으로 공급되도록 저장탱크와 제1배수관(225)에 연결된 유동관(226)과, 상기 유동관(226)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의 물을 펌핑하여 제1배수관(225)에 공급하는 전달펌프(227)를 구비한다. The panel spraying unit 22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222, a plurality of first drain pipes 225 and a plurality of first drain pipes 225 for jetting water to the vaporizing panels 223 at the bottom, and water is accommodated A storage tank (not shown), a flow pipe 226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and the first drain pipe 225 so that water in the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drain pipe 225, and a storage tank installed in the flow pipe 226 It is provided with a delivery pump 227 to pump the water of the supply to the first drain pipe (225).

제1살수관(421)은 하부가 거치부재(222)의 상면을 관통하여 거치부재(222) 의 개방구로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된다. 거치부재(222)의 개방구로 인입된 제1살수관(421)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출구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sprinkling pipe 421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portion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222 and is introduced into the opening of the mounting member 22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rinkling pipe 421 introduced into the opening of the mounting member 222, a plurality of spout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저장탱크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133)에 분기된 제2분기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분기관을 통해 급수공급부에서 증기발생기로 전달되는 물 중 일부가 저장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저장탱크는 제2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2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저장탱크로 공급된다. 즉, 저장탱크는 급수공급부 및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된다. 따라서, 서브 냉각부는 급수공급부에서 가습기로 공급되는 물 또는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기화패널(223)들에 물을 공급하므로 별도의 급수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a second branch pipe branched to the supply pipe 133 is connect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 part of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ion of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ipe (not shown). Water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is supplied to a storage tank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ipe (not shown). That is, the storage tank is accommodated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nd drain portions of the steam generator. Therefore, since the sub-cooling unit supplies water to the vaporization panels 223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humidifier or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a separate water supply means is not required.

거치부재(222)로 유입되 공기는 기화패널(223)을 통과시 기화패널(223)에서 증발되는 물에 의해 냉각되어 압축기(148)로 공급된다. 압축기(148)로 공급된 공기는 기화패널(223)들에 의해 냉각된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이므로 압축기(148)를 냉각하여 압축기(148)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member 222 is cooled by water evaporated from the vaporization panel 223 when passing through the vaporization panel 223 and is supplied to the compressor 148. Since the air supplied to the compressor 148 i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ir cooled by the vaporization panels 223, the compressor 148 is cooled to prevent the compressor 148 from overheat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220)는 상기 응축기(180)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180)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430)과, 상기 패널 분사부(224)에서 분사된 물 중 상기 기화패널(223)들 사이를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22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수집부(440)와, 상기 제1수집부(440)에서 수집된 물을 상기 제2분사유닛(430)에 공급하는 제1보조공급부(450)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22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ndenser 180,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for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180, and the panel injection unit 224 ), the first collection portion 440 and the first collection portion 44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222 so as to collect water passing between the vaporization panels 223 among the sprayed water. ) Is provided with a first auxiliary supply unit 450 for supply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상기 제2분사유닛(4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응축기의 제2방열판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되,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응축기(18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살수구가 형성된 제2살수관을 구비한다. Although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second heat sinks of the condenser, and there is provided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and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is provided to the condenser 180 ) Is provided with a second sprinkling pipe formed with a second sprinkling hole to be discharged.

제2살수관은 응축기(180)의 제2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2살수관은 응축기(180)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제2살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살수구는 다수개가 제2살수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prinkling pipe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of the condenser 180. At this time, the second sprinkling pip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180, and the second sprinkling port is formed at the bottom.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sprinkling po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prinkling pipe.

한편, 제2분사유닛(43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을 분사히기 위해 실외기 함체(142) 내에 설치되는 노즐과 같은 응축기(180)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살수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Meanwhile,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praying means capable of spraying water with a condenser 180 such as a nozzl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housing 142 for spraying water is applicable. .

제1수집부(440)는 제2분사유닛(430)에서 분사되어 기화패널(223)을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일단이 거치부재(222)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2분사유닛(430)의 제2살수관에 연결된 제1수집관(441)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수집관(441)은 거치부재(222)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거치부재(222)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llection unit 440 is sprayed from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222 to collect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aporization panel 22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jection unit ( 430) is provided with a first collection pipe 441 connected to the second sprinkling pipe. Here, the first collection pipe 441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22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ounting member 222.

제1보조공급부(450)는 상기 제1수집관(441)에 설치되어 거치부재(222)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펌핑하여 제2살수관에 공급할 수 있는 제1보조펌프(451)를 구비한다. 제1보조공급부(45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수집부(440)에서 수집된 물을 제2분사유닛(430)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The first auxiliary supply unit 450 is provided in the first collection pipe 441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auxiliary pump 451 capable of pump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mounting member 222 and supplying it to the second sprinkling pipe. . The first auxiliary supply unit 450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supply means capable of supplying the water collected by the first collection unit 440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is applicable.

한편, 냉각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응축기(18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180)로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광촉매 코팅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ooling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cond photocatalyst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enser so as to be photoactivated by sunlight incident on the condenser 180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denser 180 It can be further provided.

제2광촉매 코팅층은 응축기(180)의 제2열교환 파이프 및 제2방열판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광촉매 코팅층은 이산화 티타늄(TiO2) 또는 이산화 티타늄에 타요소를 첨가한 혼합물을 적용할 수 있다. 이산화 티타늄에 첨가되는 물질의 일 예로서는 백금, 파라듐, 금, 은, 텅스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실외기 함체(142)의 유입구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상기 제2광촉매 코팅층은 광활성화된다. 여기서, 실외기 함체(14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로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상부 또는 측면에 입사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cond photocatalyst coating layer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nd the second heat sink of the condenser 180. The second photocatalyst coating layer may be applied with titanium dioxide (TiO 2 ) or a mixture of titanium dioxide with other elements added. As an example of a material added to titanium dioxide, at least one material of platinum, palladium, gold, silver, and tungsten may be applied. The second photocatalyst coating layer is photoactivated by sunlight incident through the inlet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42. Here, although the outdoor unit housing 142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n entrance port may be formed on the upper or side surfaces so that sunlight can enter the interior.

상기 제2광촉매 코팅층에 의해 응축기(180)의 백화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도를 향상시켜 응축기(180)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second photocatalyst coating layer prevents whitening of the condenser 180 and improves durability, thereby increasing the service life of the condenser 180.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51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7 shows an air conditioner 51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510)는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430)와,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기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기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2분사유닛(430)에 공급하는 제2보조공급부(511)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510 equipped with the air purifying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condenser to receive water from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for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and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er unit.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er unit so as to further include a second auxiliary supply unit 511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er unit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상기 제2분사유닛(430)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2분사유닛(430)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보조공급부(511)는 물이 수용된 수용탱크(미도시)와, 수용탱크의 물이 제2분사유닛(430)으로 공급되도록 수용탱크와 제2분사유닛(430)에 연결된 이송관(513)과, 상기 이송관(513)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물을 제2분사유닛(430)으로 펌핑하는 이송펌프(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second auxiliary supply unit 511 includes a receiving tank (not shown)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a transfer pipe 513 connected to the receiving tank and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so that the water in the receiving tank is supplied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 And a transfer pump (not shown)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513 to pump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tank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수용탱크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133)에 분기된 제3분기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분기관을 통해 급수공급부에서 증기발생기로 전달되는 물 중 일부가 수용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용탱크는 제3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3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수용탱크로 공급된다. 즉, 수용탱크는 급수공급부 및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된다. The receiving tank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nd a third branch pipe branched to the supply pipe 133 is connect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A part of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third branch pipe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tank.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ceiving tank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ion of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third connecting pipe (not shown). Water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is supplied to a receiving tank through a third connecting pipe (not shown). That is, the receiving tank is accommodated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nd drain portions of the steam generator.

한편, 방열유닛은 제2분사유닛(430)에서 분사된 물 중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수집부(512)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llection unit 512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denser so as to collect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among the water sprayed from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제2수집부(512)는 제2분사유닛(430)으로부터 배출되어 응축기(180)를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응축기(180) 하측의 실외기 함체(142)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호퍼(514)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호퍼(514)는 응축기(180)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collecting part 512 is an auxiliary hopper 514 installed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142 under the condenser 180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and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180 can be collected. ). The auxiliary hopper 514 is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condenser 180,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open.

여기서, 방열유닛의 패널 분사부는 상기 제2수집부(512)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수집부(512)에 연결되며, 상기 제2수집부(512)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기화패널들에 분사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 유동관 전달펌프 대신에, 보조호퍼(514) 및 분사관에 연결된 보조관(515)과, 상기 보조관(515)에 설치되어 보조호퍼(514)에 수집된 물을 분사관으로 펌핑하는 제2보조펌프(516)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panel injection part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llection part 512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second collection part 512,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collection part 512 is vaporized. Instead of a storage tank and a flow pipe delivery pump for spraying on the panels, an auxiliary hopper 514 and an auxiliary pipe 515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and installed in the auxiliary pipe 515 are collected in the auxiliary hopper 514 A second auxiliary pump 516 for pumping water into the injection pipe may be provided.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52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8 shows an air conditioner 52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520)는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430)와,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기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패널 분사부 및 제2분사유닛(430)에 공급하는 물 분배부(521)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520 equipped with the air purifying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condenser to receive water from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for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an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ying unit.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humidification unit so as to be provided with a water distribution unit 521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r humidifier unit to the panel injection unit and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상기 제2분사유닛(430)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제2분사유닛(430)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물 분배부(521)는 공급관(133)에서 분기된 제4분기관(522)과, 제4분기관(522)에 연결되어 제4분기관(522)을 통해 공급된 물을 제2분사유닛(430) 및 패널 분사부에 각각 공급하는 배급관(523)을 구비한다. 상기 배급관(523)에는 제2분사유닛(430) 또는 패널 분사부로의 물 공급을 선택적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밸브(5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4분기관(522)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증기발생기에서 배출된 물을 배급관(523)에 제공할 수 있도록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The water distribution unit 521 is connected to the fourth branch pipe 522 branched from the supply pipe 133 and the fourth branch pipe 522 to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fourth branch pipe 522 to the second spray unit. 430 and a distribution pipe 523 respectively supplied to the panel spraying unit. The distribution pipe 52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hut-off valve 524 so as to selectively block the supply of water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or the panel injection unit. Here, the fourth branch pipe 522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ion of the steam generator so as to provid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to the distribution pipe 523.

한편, 패널 분사부는 저장탱크, 유동관, 전달펌프 대신에, 분사관(225)에 배급관(523)이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instead of the storage tank, the flow pipe, and the delivery pump, the panel inj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distribution pipe 523 to the injection pipe 225.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53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9 illustrates an air conditioner 53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530)는 상기 실외기 함체(142)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142)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31)와, 상기 온도센서(531)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실외기 함체(142)의 외부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응축기로 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제2분사유닛(430)을 제어하는 분사 제어모듈(532)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530 equipped with the air purifying function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531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enclosure 142 and the temperature sensor to measure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enclosure 142.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4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at 531, the injection control module 532 that controls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to spray water to the condenser. ).

분사 제어모듈(532)은 제2분사유닛(430)으로의 물공급을 조절하는 배급관(523)의 차단밸브(524)를 제어하여 제2분사유닛(430)의 제2살수관의 물 분사여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온도는 30℃가 적용되나, 이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분사 제어모듈(532)은 압축기가 작동되면 패널 분사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차단밸브(524)를 제어할 수 있다. The injection control module 532 controls the shut-off valve 524 of the distribution pipe 523 to control the water supply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thereby spraying water from the second spray pipe of the second injection unit 430. Controls whether or not Here,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applied to 30 ℃, it can be set and changed by the administrator. At this time, the injection control module 532 may control the shut-off valve 524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panel injection unit when the compressor is operated.

상기 분사 제어모듈(532)에 의해 실외기 함체(142)의 외부 온도에 따라 응축기(180)로의 물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비교적 저온 환경에서는 응축기(180)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여 장치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The injection control module 532 can selectively control the water supply to the condenser 180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enclosure 142, so that in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environment, the supply of water to the condenser 180 is blocked to maintain the device maintenance cost. Can save.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23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0 illustrates an air conditioner 230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230)는 상기 제1방열판(147)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방열판(147)을 타격하는 타격유닛(231)을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230 equipped with the air purifying function further includes a striking unit 231 that strikes the first heat sink 147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rst heat sink 147. To be equipped.

상기 타격유닛(231)은 상기 제1방열판(147)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열판(147)으로 고압의 타격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타격노즐(232)과, 타격노즐(232)에서 상기 타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상기 타격노즐(232)에 상기 타격수를 공급하는 타격수 공급부(233)를 구비한다. The striking unit 231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heat sink 147, and a plurality of striking nozzles 232 spraying high-pressure hitting water to the first heat sink 147 ), and a blow water supply unit 233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the blow water to the blow nozzle 232 so that the blow water can be injected from the blow nozzle 232.

타격노즐(232)은 제1방열판(147)들 사이에 설치되며, 타격수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제1방열판(147)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세팅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타격노즐(232)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ow nozzle 232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eat sinks 147 and is set so that the inj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blow water is injected 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s 147.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low nozzle 232 is preferably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타격수 공급부(233)는 타격수가 수용된 타격용 탱크(미도시)와, 상기 타격용 탱크의 타격수가 상기 타격노즐(232)에 공급되도록 타격용 탱크와 타격노즐(232)들에 연결된 주입관(234)과, 상기 주입관(234)에 설치되어 타격용 탱크의 물을 펌핑하여 타격노즐(232)들에 공급하는 주입펌프(235)를 구비한다. The blow water supply unit 233 includes a blow tank (not shown) in which blow water is accommodated, and an injection pipe connected to the blow tank and blow nozzles 232 so that the blow water of the blow tank is supplied to the blow nozzle 232. 234, and is provided in the injection pipe 234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pump 235 pumping the water of the tank for the blow to supply to the blow nozzles (232).

여기서, 상기 주입펌프(235)는 제1분사유닛(150)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제1분사유닛(150)의 제1물 공급부(152)를 작동시킬 경우, 타격수 공급부(233)의 주입펌프(235)를 함께 작동시킨다. 이때, 타격노즐(232)에서 분사된 타격수가 제1방열판(147)을 간헐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타격수 공급부(233)의 작동을 제어한다. Here, the injection pump 23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Whe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2 of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the injection pump 235 of the blow water supply unit 233 is operated togeth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itting water supply unit 233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o that the hitting number ejected from the hitting nozzle 232 may hit the first heat sink 147 intermittently.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타격유닛(231)은 제1분사유닛(150)에 의해 증발기(141)를 세척시 제1방열판(147)들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므로 제1방열판(147)에 고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The hitting unit 23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termittently hits the first heat sink 147 when washing the evaporator 141 by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thereby facilitating foreign matters adhered to the first heat sink 147 Can be removed.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격유닛(24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1 illustrates a striking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타격유닛(240)은 상기 제1방열판(147)들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로드(241)와, 상기 제1방열판(147)들에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연결로드(241)를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242)와, 연결로드(241)에 설치되어 제1방열판(147)을 타격하는 보조타격부(243)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triking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241 to which the first heat sinks 147 are respectively fixed, and the connection rods 241 so that twisting occurs in the first heat sinks 147. ) Is provided with a forced moving part 242 for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and an auxiliary hitting part 243 installed on the connecting rod 241 to strike the first heat sink 147. do.

여기서, 제1방열판(147)은 제1열교환 파이프(14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연결로드(24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판넬(1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판넬(15)은 연결로드(241)가 관통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first heat sink 147 is fixed to each of the coupling panels 15 so that the connecting rods 241 can be coupled to edges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The coupling panel 15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so that the connecting rod 241 can be inserted and fixed.

연결로드(241)는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연결로드(241)는 결합판넬(15)의 결합구에 관통되어 고정된다. 이때, 연결로드(24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결합판넬(15)이 걸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은 연결로드(241)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걸림홈들은 연결로드(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이격되는데, 제1방열판(147)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로드(241)는 결합판넬(15)들에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판넬(15)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The connecting rod 241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The connecting rod 241 is fixed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panel 15. At this time, although the connecting rod 24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coupling panel 15 can be hung. The engaging groove is drawn inward to a predetermined depth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241 and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ocking grooves are space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241, and are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heat sinks 147. Here, the connecting rod 241 may be fixed by welding to the coupling panel 15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coupling panels 15.

강제 이동부(242)는 연결로드(241)들의 일단이 외주면에 접하도록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캠(251)과, 상기 구동 캠(251)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캠(251)에 설치된 구동모터(252)를 구비한다. The forced moving part 242 is a driving cam 251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body 110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s 24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driving cam to rotate the driving cam 251 It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252 installed in (251).

구동 캠(25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연결로드(241)의 일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 캠(251)은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프레임에 설치된다. The driving cam 25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installed inside the body 110 in a posi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41. The driving cam 251 is rotatably installed on a support frame around an imaginary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이때, 구동 캠(251)은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회전축으로부터 반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구동 캠(251)의 일부분이 연결로드(241)의 일단부에 접촉시 연결로드(241)는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연결로드(241)에 의해 제1방열판(147)에 비틀림이 발생된다. 제1방열판(147)이 비틀리며 제1방열판(147)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이 제1방열판(147)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구동 캠(251)의 일부분을 연결로드(241)의 일단부가 통과하면 제1방열판(147)의 탄성에 의해 연결로드(241)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At this time, the driving cam 251 has a larger radius than the other part of the rotation axis than the other part. When a portion of the driving cam 251 contacts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41, the connecting rod 241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and the first heat sink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rod 241. Torsion occurs at 147. The first heat sink 147 is twisted, and a foreign substanc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147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eat sink 147. Meanwhile, when a part of the driving cam 251 passes through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41, the connecting rod 241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heat sink 147.

또한, 구동 캠(25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연결로드(241)의 일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로드(24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구동 캠(251)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폐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riving cam 25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41 can be inserted to prevent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241 from coming off.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cam 251 to form a closed orbi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구동모터(252)는 구동 캠(251)에 설치되어 구동 캠(251)을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모터(252)는 제1분사유닛(150)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제1분사유닛(150)의 제1물 공급부(152)를 작동시킬 경우, 구동모터(252)를 함께 작동시킨다. 제1분사노즐(151)로부터 증발기(141)에 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동시에 연결로드(241)에 의해 제1방열판(147)들이 비틀려지므로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The driving motor 252 is installed on the driving cam 251 to rotate the driving cam 251. At this time, the driving motor 25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Whe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2 of the first injection unit 150, the driving motor 252 is operated together. High-pressure water is injected from the first injection nozzle 151 to the evaporator 141,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heat sinks 147 are twisted by the connecting rod 241, so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is further improved.

보조타격부(243)는 상기 제1방열판(147)들 사이의 상기 연결로드(241)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재(245)와, 상기 연장부재(245)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242)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241)가 이동시 상기 제1방열판(147)을 타격하는 타격체(246)를 구비한다. The auxiliary hitting portion 243 is fixed at one end to the connecting rod 241 between the first heat sinks 147,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An extension member 245 and a striking bod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245 and striking the first heat sink 147 when the connecting rod 241 is moved by the forced moving part 242 ( 246).

연장부재(245)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결되며, 상단부가 연결로드(241)에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재(245)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ension member 245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rod 241. The extension member 245 is preferab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 metal material or plastic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타격체(246)는 연장부재(245)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제1방열판(147)들 사이에 인입되게 설치된다. 타격체(246)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1방열판(147)들의 표면에 인접될 수 있도록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타격체(246)는 강제 이동부(242)에 의해 연결로드(241)가 이동시 단부가 제1방열판(147)을 타격할 수 있도록 제1방열판(147)들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길이로 연장되되, 단부와 제1방열판(147)과의 이격거리는 강제 이동부(242)에 의한 연결로드(241)의 이동 거리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iking body 246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245 and is installed to be drawn between the first heat sinks 147. The striking body 246 is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so that both ends can be adjacent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heat sinks 147. At this time, the striking body 246 is less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heat sinks 147 so that the end of the connection rod 241 is moved by the forced moving part 242 to strike the first heat sink 147 It is extended, bu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first heat sink 147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onnecting rod 241 by the forced moving part 242.

상기 보조타격부(243)는 연결로드(241)가 이동시 연결로드(241)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제1방열판(147)을 타격하므로 이물질 제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connecting rod 241 moves, the auxiliary hitting portion 243 strikes the first heat sink 147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rod 241,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한편, 타격유닛(231)은 결합판넬(15)에 대해 연결로드(241)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보조지지부재(244)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riking unit 231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member 244 to more securely connect the connection rod 241 to the coupling panel 15.

상기 보조지지부재(244)는 제1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판넬(247)과, 지지판넬(247)에 설치되며, 연결로드(241)에 결합되는 다수의 파지부재(248)를 구비한다.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244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nel 247 and the support panel 247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146, a plurality of gripping members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241 (248).

지지판넬(247)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anel 247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파지부재(248)는 지지판넬(247)에 고정되며, 연결로드(241)에 고정되는 복수의 파지암(249)을 구비한다. The holding member 248 is fixed to the support panel 247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lding arms 249 fixed to the connecting rod 241.

상기 파지암(249)은 단부에 연결로드(2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되, 삽입구로 연결로드(241)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있다. 상기 파지암(249)은 복수개가 결합판넬(15)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지지판넬(247)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로드(241)는 파지암(249)들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지암(249)들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The gripping arm 249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so that the connection rod 241 can be inserted at the end thereof, and one side is cut so that the connection rod 24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 plurality of the gripping arms 249 ar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pport panel 247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anel 15. Here, the connecting rod 241 may be fixed by welding to the grip arms 249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grip arms 249.

상술된 파지부재(248)는 다수개가 지지판넬(247)에 마련되는데, 제1방열판(147)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지지판넬(247)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지지부재(244)에 의해 연결로드(241)는 결합판넬(15)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로드(241)의 이동력이 제1방열판(147)에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gripping member 248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support panel 247,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upport panel 247 to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heat sink (147). Since the connecting rod 241 is firmly fixed to the coupling panel 15 by the auxiliary support member 244, the moving force of the connecting rod 241 can be more easily transmitted to the first heat sink 147.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110: 본체
111: 수용공간
112: 흡입구
113: 배출구
114: 필터부재
120: 송풍부재
130: 가습유닛
132: 증기 배출관
133: 공급관
140: 냉각유닛
141: 증발기
143: 드레인 유닛
144: 수집호퍼
145: 드레인 호스
150: 제1분사유닛
151: 분사노즐
152: 물 공급부
153: 제1전달관
100: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110: main body
111: accommodation space
112: inlet
113: outlet
114: filter member
120: blowing member
130: humidification unit
132: steam discharge pipe
133: supply pipe
140: cooling unit
141: evaporator
143: drain unit
144: collection hopper
145: drain hose
150: first injection unit
151: spray nozzle
152: water supply
153: 1st Communication Hall

Claims (17)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습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마련된 냉각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정화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방열판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더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intake space and an intake port and an outlet port to allow external air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 blowing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forcibly blow outside air so that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humid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generate steam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unit;
A cooling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provided with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t is provided with a pur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urify and steriliz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e evaporator
An internal flow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and a first heat exchan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 plurality of first heat sin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striking unit for hitting the first heat sink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rst heat sink;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게 상기 증발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광촉매 코팅층;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형성된 제1광촉매 코팅층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ication unit
A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vaporator to be photoactivated by irradiated ultraviolet light to sterilize air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t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a UV lamp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with a first photocatalyst coating layer formed on the evaporator;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공급부에서 상기 가습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제공받거나 상기 가습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제공받아 상기 증발기로 분사하는 제1분사유닛;을 더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inj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receive a portion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humidifying unit or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unit and spray it to the evaporator.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유닛은
상기 증발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사노즐; 및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분사노즐에 공급하는 제1물 공급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injection unit
At least one first injection nozz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evaporator and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to the evaporator; And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and the first injection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is sprayed from the first injection nozzle. A first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o the nozzle; having,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유닛은
상기 증발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상기 제2분사노즐에 설치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에서 물이 상기 증발기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에 대해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2분사노즐을 왕복이동시키는 노즐 이동부; 및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2분사노즐에 공급하는 제2물 공급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injection unit
A second injection nozz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evaporator and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to the evaporator;
A nozzle moving part installed on the second injection nozzle and reciprocating the second injection nozzle along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so that water is uniformly sprayed from the second injection nozzle to the evaporator; And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injection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sprayed from the second injection nozzle. Equipped with; a second water supply for supplying to the nozzle,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분사유닛은
상기 제1방열판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되,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증발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살수구가 형성된 제1살수관; 및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살수관의 제1살수구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살수관에 공급하는 제3물 공급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According to claim 3,
The evaporator
An internal flow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and a first heat exchang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 plurality of first heat sin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injection unit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heat sink, there is provided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flows, the first sprinkling pipe is formed with a first water outlet so that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can be discharged to the evaporator; An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sprinkling port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 third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내부에 상기 응축기 및 압축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가 폭발되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를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더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unit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A condenser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to condense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An expansion valve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to expand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And
The interior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can be installed therein, and the outdoor unit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let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terior spac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on unit installed on the compressor to dissipate the compressor to prevent the compressor from exploding or causing a fire.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증발하는 물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된 다수의 기화패널이 마련된 거치부재; 및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기화패널들에 분사하는 패널 분사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 dissipation unit
As being installed in the compressor, ai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enter the compressor, the air flowing into the compressor by the evaporated wat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ood to absorb and receive water to be cooled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vaporization panel; And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and a panel injection unit for spra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to the vaporization panels.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
상기 패널 분사부에서 분사된 물 중 상기 기화패널들 사이를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수집부;
상기 제1수집부에서 수집된 물을 상기 제2분사유닛에 공급하는 제1보조공급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of claim 8,
A second injection unit installed in the condenser and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A first collection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so as to collect water passing between the vaporization panels among water sprayed from the panel injection unit;
Equipped with; a first auxiliary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on unit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 및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제2분사유닛에 공급하는 제2보조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증발하는 물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된 다수의 기화패널이 마련된 거치부재;
상기 제2분사유닛에서 분사된 물 중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수집부; 및
상기 제2수집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수집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수집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기화패널들에 분사하는 패널 분사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of claim 7,
A second injection unit installed in the condenser and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And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and a second auxiliary supply that suppli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or humidification unit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As being installed in the compressor, ai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enter the compressor, the air flowing into the compressor by the evaporated wat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ood to absorb and receive water to be cooled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vaporization panel;
A second collection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denser to collect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among water sprayed from the second injec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llection unit so as to receive water from the second collection unit, and has a panel injection unit for spra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econd collection unit to the vaporization panels,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증발하는 물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된 다수의 기화패널이 마련된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기화패널들에 물을 분사하는 패널 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유닛; 및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패널 분사부 및 제2분사유닛에 공급하는 물 분배부;를 더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 dissipation unit
As being installed in the compressor, ai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enter the compressor, the air flowing into the compressor by the evaporated wat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ood to absorb and receive water to be cooled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vaporization panel; And
It is provided on the mounting member provided with a panel spraying unit for spraying water to the vaporizing panels;
A second injection unit installed in the condenser and spraying water to the condenser; And
A water distribution par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rt or a humidifying unit so as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art or a humidifying unit,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or the humidifying unit to the panel injection part and the second inj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함체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실외기 함체의 외부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응축기로 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제2분사유닛을 제어하는 분사 제어모듈;을 더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of claim 11,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housing to measure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Further comprising a; injection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econd injection unit so that water is sprayed to the condenser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된 냉매가 냉매가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통과유로가 마련되며,상기 실외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된 제2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분사유닛은 상기 제2방열판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공급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동로가 마련되되,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물이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 또는 제2방열판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살수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살수관을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0,
The condenser
A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passes through, and a second heat exchange pipe installed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a plurality of second heat sin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injection un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second heat sinks, and a flow path is provided therein to allow the supplied water to flow, and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s is used as the second heat exchange pipe or the second heat sink. Equipped with at least one second sprinkling pip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spout can be discharged,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응축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로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광촉매 코팅층;을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unit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A condenser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to condense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An expansion valve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to expand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And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denser, a second photocatalyst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enser to be photoactivated by sunlight incident on the condenser;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제1방열판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열판으로 고압의 타격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노즐; 및
상기 타격노즐에서 상기 타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상기 타격노즐에 상기 타격수를 공급하는 타격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itting unit
At least one hitting nozzl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heat sink, and sprays high-pressure hitting water to the first heat sink; And
Equipped with; a blow water supply unit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the blow water to the blow nozzle so that the blow water can be injected from the blow nozzle;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제1방열판들이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
상기 제1방열판들에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
상기 제1방열판들 사이의 상기 연결로드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이동시 상기 제1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hitting unit
At least one connecting rod to which the first heat sinks are respectively fixed;
A forced moving part for moving the connecting ro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so that torsion occurs in the first heat sinks;
An extension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first heat sinks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pipe;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and a striking body that strikes the first heat sink when the connecting rod is moved by the forced moving part.
KR1020190088884A 2019-07-23 2019-07-23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KR102119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84A KR102119531B1 (en) 2019-07-23 2019-07-23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84A KR102119531B1 (en) 2019-07-23 2019-07-23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531B1 true KR102119531B1 (en) 2020-06-05

Family

ID=7108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884A KR102119531B1 (en) 2019-07-23 2019-07-23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53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36A (en) 2021-02-25 2022-09-01 (주)덕산코트랜 Thermo-hygrostat sterilizing the heat exchanger and humidifier by UV as one body
KR20220121537A (en) 2021-02-25 2022-09-01 (주)덕산코트랜 Thermo-hygrostat with improved sterilization performance
KR20220121959A (en) 2021-02-25 2022-09-02 (주)덕산코트랜 Sterilization system of thermo-hygrostat able to sterilize air and apparatus
KR102459051B1 (en) 2021-10-29 2022-10-27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Heat exchanger for air conditioner having air pollutant removal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6772348A (en) * 2023-08-17 2023-09-19 山东亿润新能源科技有限公司 Air purifying device with air energy dehumidif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28B1 (en) * 1991-11-01 1994-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tecting fungus of evaporator in air conditioner
JP3073966B2 (en) * 1998-08-24 2000-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2002195602A (en) * 2000-12-27 2002-07-10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KR100958351B1 (en) 2007-12-03 2010-05-17 박상무 A Thermo Hygrostat
KR101346747B1 (en) * 2013-01-03 2014-01-0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381215B1 (en) * 2014-01-21 2014-04-17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air clean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28B1 (en) * 1991-11-01 1994-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tecting fungus of evaporator in air conditioner
JP3073966B2 (en) * 1998-08-24 2000-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2002195602A (en) * 2000-12-27 2002-07-10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KR100958351B1 (en) 2007-12-03 2010-05-17 박상무 A Thermo Hygrostat
KR101346747B1 (en) * 2013-01-03 2014-01-0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381215B1 (en) * 2014-01-21 2014-04-17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Apparatu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air cleaning func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36A (en) 2021-02-25 2022-09-01 (주)덕산코트랜 Thermo-hygrostat sterilizing the heat exchanger and humidifier by UV as one body
KR20220121537A (en) 2021-02-25 2022-09-01 (주)덕산코트랜 Thermo-hygrostat with improved sterilization performance
KR20220121959A (en) 2021-02-25 2022-09-02 (주)덕산코트랜 Sterilization system of thermo-hygrostat able to sterilize air and apparatus
KR102533491B1 (en) * 2021-02-25 2023-05-18 (주)덕산코트랜 Sterilization system of thermo-hygrostat able to sterilize air and apparatus
KR102459051B1 (en) 2021-10-29 2022-10-27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Heat exchanger for air conditioner having air pollutant removal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6772348A (en) * 2023-08-17 2023-09-19 山东亿润新能源科技有限公司 Air purifying device with air energy dehumidif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N116772348B (en) * 2023-08-17 2023-11-03 山东亿润新能源科技有限公司 Air purifying device with air energy dehumidif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531B1 (e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N101173804B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083866B1 (en) A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integrated cooling and heating funtion
RU2724441C2 (en) Air conditioner disinfection device
KR101681955B1 (en) Sterilizing air conditioner making use ofelectrolytic water
KR101403960B1 (en) Natural vaporizing humidifier
CN104075391A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0530387B1 (en) Air-conditioner recycling heat of condensation
WO2007091813A1 (en) Air-conditioner using heat of condensation
KR20110105037A (en) A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integrated cooling and heating funtion
KR20100062403A (en) Air conditioner
JP5276074B2 (en) Hybrid spray system.
Purushothama Humidification and ventilation management in textile industry
KR101391268B1 (en) A condensate recycling energy recovery system
US11353238B2 (en) Ultrasonic condensate neutralization and disposal system
KR20130013585A (en) Heat-pump air conditioner with heat-recovery type ventilation function
KR102119537B1 (en) Air conditioner with power generation means
KR101710122B1 (en) Ventilation apparatus of stand type and heat transfer structure and phytoncides supplying of natural evaporation type
KR101865332B1 (en) Air Handling Unit Having Integrated Heating Coil Humidifier
KR102505029B1 (en) Thermo-hygrostat with integrated sterilization of the heat exchanger and humidifier
KR20100033594A (en) Air conditioning device utilizing water
JP2008256255A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0310119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59752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006448B1 (en) Ventilating apparatus of indoor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