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473B1 -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473B1
KR102119473B1 KR1020180084523A KR20180084523A KR102119473B1 KR 102119473 B1 KR102119473 B1 KR 102119473B1 KR 1020180084523 A KR1020180084523 A KR 1020180084523A KR 20180084523 A KR20180084523 A KR 20180084523A KR 102119473 B1 KR102119473 B1 KR 10211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washing
unit
axis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9741A (en
Inventor
조재산
Original Assignee
조재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산 filed Critical 조재산
Priority to KR102018008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473B1/en
Publication of KR2020000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18Devices for holding footwear during cleaning or shining; Holding devices with stretch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투화, 운동화, 등산화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신발을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신발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의 세팅을 위한 지그 유니트, 신발의 세척을 위한 세척 유니트, 신발의 건조를 열풍 유니트 등을 조합하고, 이러한 유니트들의 연계적인 작동을 통해 신발 투입에서부터 세척, 탈수, 건조, 신발 취출까지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신발 세척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많은 양의 신발을 빠른 시간 내에 세척할 수 있는 등 세척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신발 겉은 물론 신발 속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등 우수한 세척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신발 자동 세척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capable of easily washing and drying various types of shoes, such as combat shoes, sneakers, and hiking shoes, in a short time.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jig unit for setting a shoe, a washing unit for washing a shoe, a hot air unit for drying a shoe, and the like, from inputting shoes to washing, dehydrating, drying, and taking out shoes through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se units. By implementing a new shoe washing method that can perform the entire process of the machine as an automated proces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ashing operation, such as washing a large amount of shoes in a short time, and every corner of the shoe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shoe. It provides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that can ensure excellent washing quality such as clean washing.

Description

신발 자동 세척기{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신발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투화, 운동화, 등산화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신발을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신발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capable of easily washing and drying various types of shoes, such as combat shoes, sneakers, hiking boots, and the like, in a short time.

일반적으로 전투화, 운동화, 등산화, 골프화 등 각종 신발은 특성상 활동화로 분류되므로, 사용자가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 신발 표면에 다량의 오물이 묻거나 얼룩이 생기게 되어 단시간 내에 오염된다. In general, various shoes such as combat shoes, athletic shoes, hiking boots, golf shoes, etc. are classified as active shoes, and when a user performs a lot of activities, a large amount of dirt or stain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hoes and contaminated within a short time.

이렇게 오염된 신발은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세척을 하거나 세탁기 등을 이용하여 세척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It is common for the user to wash the contaminated shoes by hand or by using a washing machine.

그리고, 오염된 신발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면 별도의 세척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비는 대량의 신발을 단시간 내에 세척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우수한 세척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contaminated shoes is generated, separate washing equipment is used, and such equipment is required to be capable of washing a large amount of shoes in a short time, and also to exhibit excellent washing power.

일 예로서, 훈련이나 야외 활동이 많은 군인들의 경우, 군화나 전투화의 세척물량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고, 세척 시에는 대량의 군화나 전투화를 취급해야 하기 때문에 깨끗한 세척은 물론 신속한 세척이 요구된다.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soldiers who have a lot of training or outdoor activities, a large amount of wash boots for combat boots or combat boots is generated, and a large amount of war boots or combat boots must be handled during washing, so clean washing and rapid washing are required.

보통의 세척장비는 세탁수가 공급되는 세탁기의 세탁조 내에 신발을 넣고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구조, 또는 세탁조는 회전시키지 않고 세탁수만 회전시키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Most of the washing equipment is a structure in which shoes are placed in the washing tank of the washing machine to which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and the washing tank is rotated, or only the washing water is rotated without rotating the washing tank.

그러나, 이러한 세탁 방식은 신발을 일률적으로 투입한 후, 세탁기의 작동에 의해 세탁이 수행되기 때문에 여러 단점이 있다. However, this washing method has a number of disadvantages since the washing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fter the shoes are uniformly input.

예를 들면, 신발은 그 형체가 고정화 되어있는 강체와 같기 때문에 의류와 같이 부드럽게 변형되면서 세탁될 수가 없어서 의류의 경우와 같은 방식의 세탁방식으로는 깨끗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신발 속의 구석구석 또는 후미진 곳에는 세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때문에 세척 효과가 떨어지고 세척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since the shape of the shoe is the same as that of a rigid body, it cannot be washed while being softly deformed like clothing, so clean washing cannot be performed with the same washing method as in the case of clothing. Alternative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ashing effect is poor and the washing time is long because washing is not performed in the trailing place.

또한, 세척 후에는 상온에서 장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척한 신발을 신고 다니기까지가 오래 걸리는 등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requires a long drying process at room temperature after washing,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such as it takes a long time to wear washed shoes.

한편, 요즘 동네마다 운동화 빨래방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 현재 운동화 빨래방은 세척과 탈수, 건조를 각각의 독립된 장비로 세척부터 탈수, 건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수작업하는 손길이 많아 육체적으로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not difficult to see sneaker laundromat in each neighborhood these days. Currently, sneaker laundries are washed, dehydrated, and dried with their own independent equipme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laborious.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8407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4076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843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4308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신발의 세팅을 위한 지그 유니트, 신발의 세척을 위한 세척 유니트, 신발의 건조를 열풍 유니트 등을 조합하고, 이러한 유니트들의 연계적인 작동을 통해 신발 투입에서부터 세척, 탈수, 건조, 신발 취출까지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신발 세척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많은 양의 신발을 빠른 시간 내에 세척할 수 있는 등 세척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신발 겉은 물론 신발 속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등 우수한 세척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신발 자동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a combination of a jig unit for setting a shoe, a washing unit for washing a shoe, and a hot air unit for drying a shoe, etc. By implementing a new shoe washing method that can perform the entire process from inputting shoes to washing, dehydrating, drying, and taking out shoes through an automated process,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shing operations, such as washing a large amount of shoes in a short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that can secure excellent cleaning quality, such as being able to clean every corner of the shoe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sho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발 자동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신발 투입 및 취출을 위한 전면의 출입구를 가지면서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 세척기 본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중간측에 설치되고 신발 장착을 위한 복수 개의 신발장착용 지그를 가지는 지그 유니트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상측과 후측에 설치되고 지그 유니트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한 Z축 구동부 및 Y축 구동부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세척수 저장을 위한 세척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washing machine body having a frame structure in the form of a frame structure while having a front entrance for putting in and taking out shoes, and a jig unit installed on an inner middl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hoe mounting jigs for mounting shoes. , A structure including a Z-axis driving unit and a Y-axis driving unit for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up-down direction of the jig unit, and a washing tank for storing washing water and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body. Is made of

여기서, 상기 지그 유니트는 수직 자세로 위치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에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수 개의 분기축과, 상기 각 분기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신발장착용 지그와, 상기 신발장착용 지그의 일측에 설치되어 신발을 고정시켜주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ji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axis positioned in a vertical posture, a plurality of branch ax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main axis, a shoe mounting jig installed at the end of each branch shaft, and the shoe mounting jig It may include a clamp for fixing the shoes.

이때, 상기 지그 유니트의 신발장착용 지그는 바닥면의 유입홀 및 가장자리의 배출홀을 가지는 바닥체와, 다수의 배출홀을 가지면서 바닥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체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jig for shoe mounting of the jig unit may be composed of a bottom body having an inlet hole at the bottom surface and an outlet hole at the edge, and a cover body coupled to the top of the bottom body having a plurality of outlet holes.

특히, 상기 지그 유니트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주축과 분기축은 중공의 축으로 이루어지게 됨과 더불어 상기 분기축은 바닥체에 있는 유입홀을 통해 신발장착용 지그의 내부와 연통되므로서, 열풍공급용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주축과 분기축을 거쳐 신발장착용 지그의 내부로 공급된 후에 배출홀을 통해 신발 내부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supply hot air to the jig unit, the main shaft and the branch shaft are made of hollow shafts, and the branch shaft is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jig for mounting shoes through the inlet hole in the bottom body, and thus supplied from the piping for hot air supply. After the hot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oe mounting jig through the main shaft and the branch shaft, it can be sprayed into the shoe through the discharge hole.

또한,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지그 유니트의 회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유니트 회전용 모터와, 상기 유니트 회전용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과 더불어 지그 유니트의 주축과 연결되는 중공의 구동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s a means for rotating the jig unit, and further includes a unit rotation motor and a hollow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main axis of the jig unit while rotating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unit rotation motor. Can b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Z축 구동부는 Z축 모터와, 상기 Z축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Z축 스크류와, 지그 유니트가 지지되어 있는 Y축 구동부측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Z축 너트와, 지그 유니트를 포함하는 Y축 구동부 전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Z축 리니어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Z-axis drive unit is a Z-axis motor, a Z-axis screw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Z-axis motor, and a Z-axis nut connected to the base plate on the Y-axis drive side where the jig unit is supported, It may include a Z-axis linear motion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entire Y-axis driving unit including a jig unit.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Y축 구동부는 Y축 모터와, 상기 Y축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Y축 스크류와, 상기 지그 유니트가 지지되어 있는 Y축 구동부측의 암에 연결되는 Y축 너트와, 지그 유니트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Y축 리니어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Y-axis drive unit includes a Y-axis motor, a Y-axis screw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Y-axis motor, a Y-axis nut connected to the arm on the Y-axis drive unit where the jig unit is supported, It may include a Y-axis linear motion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jig unit.

그리고, 상기 세척조는 상부에 개폐가능한 세척조 도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조 도어는 세척조 도어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면서 슬라이드식으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개폐되는 복수 개의 단위 세척조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shing tank may include a washing tank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and the washing tank do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washing tank doors that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or unfolding while operating by the washing tank door driving uni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발 자동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신발의 세팅을 위한 지그 유니트, 신발의 세척을 위한 세척 유니트, 신발의 건조를 열풍 유니트 등을 연계적으로 조합하여 신발 투입에서부터 세척, 탈수, 건조, 신발 취출까지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함으로써, 많은 양의 신발을 빠른 시간 내에 세척할 수 있는 등 세척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우수한 세척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combining the jig unit for setting the shoe, the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shoes, and the hot air unit for drying the shoes in combinatio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input of shoes to washing, dehydration, drying, and taking out the shoes is an automated process. By perform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ashing operation, such as being able to wash a large amount of shoes in a short time, and has the effect of ensuring excellent washing quality.

둘째, 신발이 장착되는 지그 유니트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신발 속으로 세척수는 물론 열풍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겉은 물론 신발 속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using 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jig unit to which the shoe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spray washing water as well as hot air into the shoe, thereby cleaning the outside of the shoe as well as every corner of the shoe.

셋째, 지그 유니트의 착탈식 구조를 통해 지그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그 교체만으로 하나의 설비에서 신발 뿐만 아니라 수통, 헬멧, 안전모 등도 세척할 수 있는 등 호환성 및 범용성을 갖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allowing the jig unit to be easily replaced through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jig unit, it is possible to have compatibility and versatility such as washing not only shoes but also water bottles, helmets, and hard hats in one facility by replacing the jig. .

넷째, 신발 투입과 취출은 물론 세척 및 탈수, 건조 공정을 위한 전후 및 상하 동작, 회전 동작 등의 작동이 최소한의 작업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조 단순화는 물론 설비의 규모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유지보수 및 관리 등 설비 운용의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compactly configure the size of the equipment by ensuring that the operation such as before and after and for the washing and dehydration, drying processes, etc. is performed within the minimum working area, as well as putting in and taking out shoe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fficiently used in equipment operation such as maintenance and management.

다섯째, 세척부터 탈수, 건조가 일체형으로 자동화된 설비로써, 최대한 빠른 시간(예를 들면, 약 30분 이내) 내에 착용이 가능함으로써, 비나 눈에 운동화가 더렵혀지고 축축해서 바로 신지 못하는 경우, 무좀이나 냄새때문에 고생하는 군 장병들의 경우, 군 장병들의 훈련 후 다음날 과업을 이어갈 수 있어 위생과 안전, 그리고 군 장병들의 복지 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고, 초,중,고 자녀들의 뒷바라지 하느라 고생하는 맞벌이 부모들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it is an automated facility that integrates washing, dehydration, and drying, and can be worn as quickly as possible (for example, within about 30 minutes). In the case of military soldiers who suffer from odor, they can continue their work the next day after training of military officers, which can greatly help hygiene and safety, and improve welfare of military officers. It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parent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의 지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에서 세척조 세척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1 to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s a front view, a top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jig unit of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washing tank washing tank door i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1 to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7 are front, top, and side views showing an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신발 세척, 탈수 및 건조를 위한 내부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세척기 본체(11)를 포함한다. 1 to 7,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washing machine body 11 that provides an internal working space for washing, dehydrating and drying shoes.

상기 세척기 본체(11)는 사각박스형의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프레임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전후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빔(36)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곳에 Z축 구동부(14) 및 Y축 구동부(15), 지그 유니트(13) 전체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is made of a rectangular box-shaped frame structure, and a pair of beams 36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Z-axis direction)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so that Z The entire shaft drive unit 14, the Y-axis drive unit 15, and the jig unit 13 can be supported.

이러한 세척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상측과 후측에 Z축 구동부(14) 및 Y축 구동부(15), 중간측에 지그 유니트(13), 하측에 세척조(16)가 각각 설치된다. Inside the main body of the washing machine 11, a Z-axis driving unit 14 and a Y-axis driving unit 15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rear sides, a jig unit 13 on the middle side, and a washing tank 16 on the lower side,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세척기 본체(11)의 전면에는 신발 투입 및 취출을 위한 출입구(10)가 형성되며, 이때의 출입구(10)를 통해 지그 유니트(13)가 세척기 본체(11)의 외부로 나온 상태에서 신발이 장착될 수 있게 되고, 신발 장착 후에는 재차 출입구(10)를 통해 지그 유니트(13)가 세척기 본체(11)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And,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is formed with an entrance 10 for putting in and taking out shoes, and the jig unit 13 comes out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through the entrance 10 at this time. The shoes can be mounted, and after the shoes are mounted, the jig unit 13 can enter the interior of the washer body 11 again through the doorway 10.

여기서, 상기 출입구(10)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Here, a door (not shown)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manually or automatically can be installed in the doorway 10.

여기서, 상기 세척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지그 유니트(13)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세척수 분사용 노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조(16)의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 세척수 분사용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신발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게 되고, 또 세척조(16)에서의 세척 후 세척수 분사용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신발에 잔존하는 세제찌꺼기 등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Here, a plurality of nozzles (not shown)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jig unit 13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 of the washing machine, and accordingly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16 (前) Foreign substances on the shoes can be removed by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nd after washing in the washing tank 16, the shoes are washed by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he remaining detergent residue and the like can be removed.

또한,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세척 대상물인 신발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그 유니트(1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jig unit 13 as a means for mounting a shoe to be washed.

상기 지그 유니트(13)는 세척기 본체(11)의 내부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Y축 구동부(15)의 암(32)측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축(24)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jig unit 13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drive shaft 24 supported on the arm 32 side of the Y-axis drive unit 15 while being located on the inner intermediat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

즉, 상기 지그 유니트(13)에 있는 주축(17)의 상단부가 구동축(24)의 하단부에 일렬로 나란하게 결합되므로서, 지그 유니트(13)는 주축(17)을 이용하여 구동축(24)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upper end of the main shaft 17 in the jig unit 13 is coupled in parallel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24, the jig unit 13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24 using the main shaft 17. It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by.

이렇게 설치되는 지그 유니트(13)는 상하 방향(Y축 방향) 및 전후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동시에 자체의 주축(17)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e jig unit 13 installed in this way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rotated with its own main axis 17 as the central axis.

이러한 지그 유니트(1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자세를 유지하면서 구동축(24)에 결합되는 주축(17)과, 상기 주축(17)의 하단 외주면 둘레에 지지되면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구조로 수평 연장 설치되는 다수 개의 분기축(18)과, 실질적으로 신발을 거치하는 부분으로서 각각의 분기축(18)의 단부에 하나씩 설치되는 복수 개의 신발장착용 지그(12)와, 상기 신발장착용 지그(12)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분기축(18)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클램프(19), 예를 들면 공지의 토글 클램프를 포함한다. 8, the jig unit 13 is radially extended while being supported around the main circumferential surface 17 coupled to the drive shaft 24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shaft 17 while maintaining a vertical posture. A plurality of branch shafts (18) horizontally extended in a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hoe mounting jigs (12), which are installed at the ends of each branch shaft (18) as portions for substantially mounting shoes, and the shoe mounting jigs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12) and includes a clamp 19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branch shaft 18, for example, a known toggle clamp.

특히, 상기 신발장착용 지그(12)는 신발 건조 시에 신발 내부로 열풍을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hoe mounting jig 12 can be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spraying hot air into the shoe when drying the shoe.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발장착용 지그(12)는 대략 신발 형상을 이루는 바닥체(12a) 및 덮개체(12b)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바닥체(12a)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입홀(20)과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배출홀(21a)을 가지면서 분기축(18)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체(12b)는 판체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홀(21a)을 가지면서 바닥체(12a)의 상부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9, the shoe mounting jig 12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bottom body (12a) and a cover body (12b) forming a substantially shoe shape, the bottom body (12a) 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ranch shaft 18 whil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1a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hole 20 formed on the surface, the cover body 12b is a plurality that penetrates the plate body thickness While having the discharge hole (21a) of the bottom body (12a) is coupled to the bolt fastening structure.

이에 따라, 상기 바닥체(12b)의 유입홀(20)을 통해 지그 내부 공간으로 들어온 열풍은 바닥체(12a)의 배출홀(21a)과 덮개체(12b)의 배출홀(21b)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신발장착용 지그(12)에 걸치되어 있는 신발의 내부에 분사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렇게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신발 속은 물론 신발 겉까지 빠르게 건조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hot air entering the space inside the jig through the inlet hole 20 of the bottom body 12b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a of the bottom body 12a and the discharge hole 21b of the lid body 12b. As it goes out, it can be sprayed on the inside of the shoe over the jig 12 for mounting shoes, and in the end, it can be quickly dried inside the shoe as well as on the outside of the shoe by the hot air sprayed like this.

여기서, 상기 주축(17)에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각각의 분기축(18) 상에 설치되는 신발장착용 지그(12)는 다수 개가 균등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shoe mounting jig 12 installed on each of the branch shafts 18 extending radially from the main shaft 17 can be arranged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예를 들면, 8개의 신발장착용 지그(12)가 45°의 각도를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eight shoe mounting jigs 12 can be arranged while maintaining an angle of 45°.

그리고, 상기 주축(17), 분기축(18) 및 신발장착용 지그(12)로 구성되는 한 세트의 지그 유니트(13)는 모두 두 세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두 세트의 지그 유니트(13)는 위아래에 각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고, 결국 본 발명에서는 신발 1회 세척 시에 모두 16 켤레의 신발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et of jig units 13 composed of the main shaft 17, the branch shaft 18, and the shoe mounting jig 12 may be provided with both sets, and the two sets of jig units 13 It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above and below, and in the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ash all 16 pairs of shoes at the same time in one washing of shoes.

또한,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지그 유니트(13)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 유니트 회전용 모터(23)와 구동축(24)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unit rotating motor 23 and a drive shaft 24 as a means for rotating the jig unit 13.

상기 유니트 회전용 모터(23)는 수직자세를 취하면서 Y축 구동부(15)에 있는 암(32), 좀더 구체적으로는 암(32)의 선단부를 이루는 박스부재(32a)의 외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24)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축 형태로서 수직자세를 취하면서 하단부 일부를 제외하고 박스부재(32a)의 내측에 베어링(미도시)에 의한 지지를 받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unit rotating motor 23 has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arm 32 in the Y-axis driving unit 15, more specifically, the box member 32a forming the front end of the arm 32 while taking a vertical position. It is installed, and the drive shaft 24 is installed in a hollow shaft shape, taking a vertical position, and receiving a support by a bearing (not shown) inside the box member 32a except for a part of the lower end.

그리고, 상기 유니트 회전용 모터(23)의 축과 구동축(24)의 상단 외주면에는 각각 풀리가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양쪽의 풀리 사이에는 벨트(미도시)가 연결된다. In addition, pulleys ar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haft of the unit rotating motor 23 and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24, and a belt (not shown) is connected between the pulleys on both sides.

이에 따라, 상기 유니트 회전용 모터(23)의 작동 시 풀리 및 벨트 전동에 의해 구동축(24)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의 구동축(24)에 지그 유니트(13)의 주축(17)이 연결됨에 따라 지그 유니트(13) 전체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nit rotating motor 23 is operated, the drive shaft 24 is rotated by pulley and belt transmission, and as the main shaft 17 of the jig unit 13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24 at this time, The entire jig unit 13 can be rotated.

또한,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지그 유니트(12)측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와 수단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structure and means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jig unit 12 side.

이를 위하여, 상기 지그 유니트(12)의 주축(17)과 분기축(18)은 중공의 축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통하게 되고, 상기 분기축(18)은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바닥체(12a)에 있는 유입홀(20)을 통해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내부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24)의 상단부에는 메카니칼씰(37)을 매개로 한 열풍공급용 배관(22)이 연결 설치된다. To this end, the main shaft 17 and the branching shaft 18 of the jig unit 12 are made of hollow shaft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branching shaft 18 is the bottom body 12a of the jig 12 for shoe mounting.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hoe mounting jig 12 through the inflow hole 20 in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24, a pipe 22 for hot air supply via a mechanical seal 37 is installed. .

이에 따라, 상기 열풍공급용 배관(22)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은 구동축(24)의 내부를 거쳐 주축(17)과 분기축(18)을 경유한 후에 유입홀(20)을 통해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바닥체(12a)와 덮개체(12b)에 있는 배출홀(21a,21b)을 통해 측면부와 상부로 토출되면서 신발 내부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piping 22 for supplying hot air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drive shaft 24, passes through the main shaft 17 and the branch shaft 18, and then a shoe mounting jig 12 through the inflow hole 20. ), and the hot air continuously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shoe mounting jig 12 is discharged to the side part and the upper part through the discharge holes 21a and 21b in the bottom body 12a and the cover body 12b. It can be sprayed inside the shoe.

물론, 상기 열풍공급용 배관(22)의 후단부에는 열풍 공급원(미도시)에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한 호스(미도시)가 연결되므로, 지그 유니트(12)의 상하 및 전후 이동 시에 간섭이 배제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since a flexible hos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hot air supply sourc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ot air supply pipe 22, interference is excluded when moving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of the jig unit 12. It becomes possibl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열풍이 공급되는 구조와 경로를 이용하여 열풍 이외에도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열풍공급용 배관(22)측에서 분기되는 세척수공급용 배관(미도시)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렇게 공급되는 세척수는 구동축(24)→주축(17)→분기축(18)→유입홀(20)→신발장착용 지그(12)의 내부→배출홀(21a,21b)을 거쳐 신발 내부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in addition to the hot air by using a structure and a path through which hot air is supplied. In this case, a washing water supply pipe (not shown) that is branched from the pipe 22 for hot air supply may be used.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and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 this way is driven shaft (24) → main shaft (17) → branch shaft (18) → inlet hole (20) → inside of the shoe mounting jig (12) → discharge hole (21a, 21b) After that, it can be sprayed into the shoes.

또한,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지그 유니트(13)를 포함하는 Y축 구동부(15) 전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수단으로 Z축 구동부(1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Z-axis driving unit 14 as a means for moving the entire Y-axis driving unit 15 including the jig unit 13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Z축 구동부(14)는 세척기 본체(1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구동원인 Z축 모터(25), 서로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Z축 스크류(26) 및 Z축 너트(28), 이동 시의 안내를 위한 한 쌍의 Z축 리니어모션(29)을 포함하며, 신발 장착 및 취출을 위해 지그 유니트(13)를 포함하는 Y축 구동부(15) 전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Z-axis driving unit 14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the Z-axis motor 25 as a driving source, the Z-axis screw 26 and the Z-axis nut 28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able structure ), which includes a pair of Z-axis linear motion 29 for guiding when moving, and moves the entire Y-axis driving unit 15 including the jig unit 13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mounting and taking out shoes. It plays a role.

이를 위하여, 상기 세척기 본체(11)의 빔(36)에는 한쪽 측면부에 앞쪽과 뒷쪽에 각각 스크류 브라켓(38a,38b)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앞뒷쪽 스크류 브라켓(38a,38b) 사이에는 Z축 방향으로 나란한 Z축 스크류(26)가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수평 설치된다. To this end, the beam 36 of the washer main body 11 is provided with screw brackets 38a and 38b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on one side, and the Z-axis between the front and rear screw brackets 38a and 38b is installed. The Z-axis screws 26 side by side are horizontally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upported.

이때, 상기 뒷쪽의 스크류 브라켓(38b)에는 모터 브라켓(39)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 브라켓(39)에는 Z축 모터(25)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Z축 모터(25)의 축과 Z축 스크류(26)의 후단부는 커플링을 매개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motor bracket 39 is installed on the screw bracket 38b at the rear side, and the Z-axis motor 25 is installed on the motor bracket 39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axis of the Z-axis motor 25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Z-axis screw 26 is connected via a coupling.

상기 Z축 너트(28)는 Y축 구동부(15)의 베이스 플레이트(27)에서 연장 형성되는 너트 브라켓(40)에 결합됨과 더불어 Z축 스크류(26)와는 상호 스크류 전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The Z-axis nut 28 is coupled to the nut bracket 40 which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ase plate 27 of the Y-axis drive unit 15, and can be coupled to the Z-axis screw 26 so as to be mutually screwable. .

그리고, 상기 Z축 리니어모션(29)은 레일부재와 슬라이드부재로 구성되며, 이러한 Z축 리니어모션(29)의 레일부재가 빔(36)의 저면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슬라이드부재가 Y축 구동부(15)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7)의 상면에 결합되므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7)를 포함하는 Y축 구동부(15)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Z-axis linear motion 29 is composed of a rail member and a slide member, and the rail member of the Z-axis linear motion 29 is installed side by side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m 36 while the slide member is a Y axis.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7 in the drive unit 15, it is possible to guide the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Y-axis drive unit 15 including the base plate 27.

이에 따라, 상기 Z축 모터(25)의 작동 시 Z축 스크류(26)와 Z축 너트(28)의 스크류 전동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7)를 포함하는 Y축 구동부(15) 전체가 전후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결국 Y축 구동부(15)측에 지지되는 지그 유니트(13) 또한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Z-axis motor 25 is operated, the entire Y-axis driving unit 15 including the base plate 27 is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screw transmission of the Z-axis screw 26 and the Z-axis nut 28. That is, it can be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and eventually the jig unit 13 supported on the Y-axis driving unit 15 side can also be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지그 유니트(1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수단으로 Y축 구동부(15)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Y-axis driving unit 15 as a means for moving the jig unit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Y축 구동부(15)는 세척기 본체(11)의 내부 후측에 설치되고, 구동원인 Y축 모터(30), 서로 스크류 전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Y축 스크류(31) 및 Y축 너트(33), 이동 시의 안내를 위한 한 쌍의 Y축 리니어모션(34)을 포함하며, 신발이 장착되어 있는 지그 유니트(13)를 세척조(16) 내에 집어넣거나 세척조(16)에서 빼내기 위해 지그 유니트(1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Y-axis driving unit 15 is install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 the Y-axis motor 30 as a driving source, the Y-axis screw 31 and the Y-axis nut 33 coupled to each other in a screwable structure ), a pair of Y-axis linear motion 34 for guiding when moving, and a jig unit 13 for putting a jig unit 13 equipped with shoes into the washing tank 16 or removing it from the washing tank 16 It plays a role of moving 13) up and down.

이를 위하여, 상기 세척기 본체(11)의 빔(36)에 설치되어 있는 Z축 리니어모션(29)의 슬라이드부재에는 수평 자세의 베이스 플레이트(27)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7)의 저면에는 수직의 포스트(41)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41)의 하단부 한쪽 측면에는 스크류 브라켓(38c)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7)와 스크류 브라켓(38c) 사이에는 Y축 방향으로 나란한 Y축 스크류(31)가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수직 설치된다. To this end, a horizontal posture base plate 27 is installed on the slide member of the Z-axis linear motion 29 installed on the beam 36 of the washer body 11, and at the same tim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27. A vertical post 41 is installed, a screw bracket 38c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ost 41, and a Y-axis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base plate 27 and the screw bracket 38c. The screw 31 is vertically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upported.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7) 상에는 Y축 모터(30)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Y축 모터(30)의 축과 Y축 스크류(31)의 상단부에는 각각 풀리(42a,42b)가 장착되고, 이렇게 장착되는 양쪽의 풀리(42a,42b) 사이에는 벨트(미도시)가 연결된다. And, on the base plate 27, the Y-axis motor 30 is installed, and at the same time, the pulleys 42a and 42b ar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Y-axis screw 31 and the shaft of the Y-axis motor 30 at this time. A belt (not shown) is connected between the pulleys 42a and 42b of both sides mounted in this way.

상기 Y축 너트(33)는 암(32)을 이루는 판부재(32b)의 한쪽 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Y축 스크류(31)와는 상호 스크류 전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The Y-axis nut 3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32b constituting the arm 32 and can be coupled to the Y-axis screw 31 so as to be mutually screwable.

특히, 상기 지그 유니트(13)를 실질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암(32)이 마련되고, 이때의 암(32)은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선단의 박스부재(32a)와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후단의 판부재(32b), 그리고 박스부재(32a)와 판부재(32b) 사이에 수평 연결되는 암부재(32c)의 조합형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particular, an arm 32 serving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jig unit 13 is provided, and the arm 32 at this time is a cross-section of a box member 32a at the tip of a square box shape and a "c" shape It is made of a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plate member 32b of the rear end having, and the arm member 32c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box member 32a and the plate member 32b.

이러한 암(32)를 이루는 박스부재(32a)의 내부에는 구동축(24)이 설치되는 동시에 박스부재(32a)의 외측에는 유니트 회전용 모터(23)가 설치되고, 판부재(32b)의 한쪽 측면에는 Y축 너트(33)가 설치된다. A drive shaft 24 is installed inside the box member 32a constituting such an arm 32, and at the same time, a motor 23 for unit rotation is installed outside the box member 32a, and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32b In the Y-axis nut 33 is installed.

이와 같은 암(32)은 후단의 판부재(32b)를 통해 포스트(41)측에 설치되는 Y축 리니어모션(34)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암(32)의 박스부재(32a)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24)측에 지지되는 지그 유니트(13)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The arm 32 is supported by the Y-axis linear motion 34 installed on the post 41 side through the plate member 32b at the rear end, so that the arm 32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jig unit 13 supported on the drive shaft 24 side installed in the box member 32a can als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상기 Y축 리니어모션(34)은 레일부재와 슬라이드부재로 구성되며, 이러한 Y축 리니어모션(34)의 레일부재가 포스트(41)의 측면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슬라이드부재가 암(32)의 판부재(32b)에 결합되므로서, 암(32)을 포함하는 지그 유니트(13)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Y-axis linear motion 34 is composed of a rail member and a slide member, and the rail member of the Y-axis linear motion 34 is installed side by side along the side of the post 41,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e member is arm ( By being coupled to the plate member 32b of 32, it is possibl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jig unit 13 including the arm 32.

이에 따라, 상기 Y축 모터(30)의 작동 시 Y축 스크류(31)와 Y축 너트(33)의 스크류 전동에 의해 암(32)이 상하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암(32)측에 지지되는 지그 유니트(13) 또한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Y-axis motor 30 is operated, the arm 32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screw transmission of the Y-axis screw 31 and the Y-axis nut 33, As a result, the jig unit 13 supported on the arm 32 side can also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신발 자동 세척기는 신발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세척조(1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includes a washing tank 16 as a means for stor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shoes.

상기 세척조(16)는 원형의 수조 형태로서, 세척기 본체(1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다. The washing tank 16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water tank, and is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body 11.

그리고, 상기 세척조(16)의 일측에는 외부의 세척수 공급원(미도시)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세척기 본체(11)의 바닥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세척수 펌프(43)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세척수 펌프(43)측과 세척조(16) 사이에는 세척수 배관(44)이 연결 설치되며, 따라서 세척수 펌프(43)의 작동 시 세척조(16)의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washing water pump 43 supported on the bottom fram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tank 16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washing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ide, and the washing water pump ( The washing water pipe 44 is connected between the 43) side and the washing tank 16,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filled in the washing tank 16 when the washing water pump 43 is operated.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세척조(16)의 하부 일측에는 오염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a drain (not shown)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washing water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tank 16.

이와 더불어, 상기 세척조(16)의 내부에는 버블발생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 시에 버블이 발생되므로서 세척효과가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bubble generator (not shown) is built in the washing tank 16, so that bubbles are generated during washing, so that the washing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특히, 상기 세척조(16)는 상부에 개폐가능한 세척조 도어(35)가 설치되어 이물질 등에 의해 세척수가 오염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washing tank 16 is provided with a washing tank door 35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upper portion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by foreign substances.

상기 세척조 도어(35)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개폐되는 복수 개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는 세척조 도어 구동부(48)에 의해 작동하면서 열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게 된다. 10 and 11, the washing tank door 3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washing tank doors 35a to 35d that are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overlapped or unfolded in a sliding manner, and each unit washing tank door 35a to 35d) can be opened or closed while being operated by the washing tank door driving unit 48.

이를 위하여, 상기 세척조(16)의 상부에는 세척조 본체(11)측에 지지되는 사각틀 구조의 도어 프레임(45)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45)의 서로 마주보는 앞쪽과 뒷쪽의 내측 벽면에는 도어 레일(46)이 각각 설치된다. To this end, an upper wall of the washing tank 16 is provided with a door frame 45 of a square frame structure supported on the washing tank body 11 side, and the front and rear inner wall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door frame 45 installed in this way. In the door rails 46 are respectively installed.

그리고, 상기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는 도어 프레임(45)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레일(46)에 양단이 지지되는 구조로 배치됨과 더불어 각각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는 도어 두께 정도의 단차를 이루며 순차적으로 적층 위치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nit washing tank doors 35a to 35d are arrang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upported on the door rail 46 installed in the door frame 45, and each unit washing tank door 35a to 35d is about the door thickness. It can be positioned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step.

예를 들면, 가장 앞쪽(도면의 좌측)에 배치되는 단위 세척조 도어(35a)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게 되고, 연이어 이웃하는 단위 세척조 도어(35b∼35d)들은 뒷쪽(도면의 우축)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한단계씩 도어 두께 정도의 높이로 단차를 이루며 위치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unit washing tank door 35a disposed at the front (left side of the drawing) can be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successive neighboring unit washing tank doors 35b to 35d move toward the rear side (right side of the drawing). Sequentially, it can be positioned step by step with a height of about the thickness of the door.

이에 따라, 각각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는 도어 닫힘 시(펼쳐졌을 때) 계단식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고, 또 도어 열림 시(접혀졌을 때)에는 차곡차곡 포개진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each unit washing tank door 35a to 35d can achieve a stepped structure when the door is closed (when unfolded), and a stacked stacked structure when the door is opened (when folded). do.

여기서, 상기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는 사각판 형태의 도어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도어틀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unit washing tank doors 35a to 35d may be composed of a square plate type door plate and a square frame type door fram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그리고, 상기 각각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에는 도어판을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진 후단의 상향 걸림단(47)이 각각 형성되며, 이때의 상향 걸림단(47)이 서로 이웃하는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의 도어틀 뒷쪽 부재와 도어틀 앞쪽 부재를 각각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되므로서, 하나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을 동작시키게 되면, 각각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가 단계적으로 차례차례 접히면서 열려질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단계적으로 차례차례 펴지면서 닫혀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unit washing tank doors 35a to 35d has a rear end upward locking end 47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door plate is bent, and at this time, the upward washing end 47 is adjacent to each other. By pushing or pulling the door frame rear member and the door frame front member of (35a to 35d), respectively, when one unit washing tank door 35a is operated, each unit washing tank door 35a to 35d is stepped. It can be opened while being folded in sequenc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in stages.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45)의 한쪽 벽면 내측에는 스토퍼 블록(5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 블록(53)이 가장 뒷쪽에 위치되는 단위 세척조 도어(35d)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단속하게 되므로서, 각각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가 서로 구속되면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 stopper block 53 is installed inside one wall surface of the door frame 45, and the stopper block 53 intermittently moves the front of the unit washing tank door 35d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Thus, each unit washing tank door 35a to 35d is restrained from each other so that it can maintain an unfolded state.

이와 더불어, 상기 세척조 도어 구동부(48)는 도어 프레임(45)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구동부 모터(49)와, 도어 프레임(45)의 한쪽 벽면 내측에 설치되는 앞쪽과 피동 스프로킷(50a) 및 듀얼 타입의 뒷쪽의 피동 스크로킷(50b)과, 상기 앞뒤쪽 피동 스프로킷(50a,50b)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51)과, 상기 체인(51) 상에 결합되는 동시에 가장 앞쪽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의 저면에 결합되는 어댑터(52)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washing tank door driving unit 48 includes a door driving unit motor 49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45 and a front and driven sprocket 50a and dual installed inside one wall surface of the door frame 45. A chain 51 installed and connected between the rear driven sprocket 50b of the type and the front and rear driven sprockets 50a and 50b, and coupled to the chain 51 at the same time, the frontmost unit washing tank door It is composed of an adapter 52 that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35a).

여기서, 상기 도어 구동부 모터(49)의 축에는 구동 스프로킷(미도시)이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스프로킷과 뒷쪽의 피동 스프로킷(50b) 사이에도 체인(미도시)이 연결 설치된다. Here, a drive sprocket (not shown) is mounted on the shaft of the door driving part motor 49, and a chain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drive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50b at the back.

이에 따라, 상기 도어 구동부 모터(49)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 시 스프로킷과 체인 전동에 의해 어댑터(52)가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이러한 어댑터(52)측과 연결되어 있는 가장 앞쪽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서, 각각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세척조(16)를 열어주거나 닫아줄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adapter 52 is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X-axis direction) by sprocket and chain transmission when the door drive unit motor 49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ly, and is eventually connected to the adapter 52 side. Since the frontmost unit washing tank door 35a is moved left and right, each unit washing tank door 35a to 35d can be opened or closed while the washing tank 16 is folded or unfolded.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세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2 and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세척기 본체(11)에 있는 출입구 도어(미도시)를 오픈한 상태에서, 세척기 본체(11)에 있는 제어반(미도시)의 수납 및 인출용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Z축 구동부(14)의 Z축 모터(25)가 정방향 작동하면서 Y축 구동부(15)를 포함하는 지그 유니트(13) 전체가 세척기 본체(11)의 출입구(10)를 통해 밖으로 인출된다. 12 and 13, in the state where the door (not shown) i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is first opened, the switch for storing and taking out the control panel (not shown) i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 When not shown), while the Z-axis motor 25 of the Z-axis driving unit 14 oper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entire jig unit 13 including the Y-axis driving unit 15 includes an entrance 10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 ).

다음, 상기 지그 유니트(13)가 세척기 본체(11)의 외부로 인출되면 지그 유니트(13)에 있는 각각의 신발장착용 지그(12)에 한짝씩의 신발을 거치한다. Next, when the jig unit 13 is drawn out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 a pair of shoes is mounted on each jig 12 for mounting shoes in the jig unit 13.

여기서, 신발은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신발장착용 지그(12)에 끼우고, 이때에는 신발장착용 지그(12)가 신발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면서 신발 속의 바닥면이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덮개체(12b)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클램프(19)를 조작하여 신발을 신발장착용 지그(12)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Here, the shoe is put on the jig 12 for mounting a shoe in an upside-down state, and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is inserted into the shoe while the jig 12 for shoe mounting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hoe 12b of the shoe mounting jig 12 )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and the clamp 19 is operated to securely fix the shoe on the shoe mounting jig 12.

다음, 재차 수납 인출용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Z축 구동부(14)의 Z축 모터(25)가 역방향 작동하면서 Y축 구동부(15)를 포함하는 지그 유니트(13) 전체가 세척기 본체(11)의 출입구(10)를 통해 안으로 수납되고, 출입구 도어를 닫으면 세척을 위한 준비를 마칠 수 있다. Next, when the switch for storing and withdrawing is operated again, the entire jig unit 13 including the Y-axis driving unit 15 while the Z-axis motor 25 of the Z-axis driving unit 14 oper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is the washing machine body 11 It is accommodated in through the doorway 10 of the door, and when the doorway is closed, preparations for washing may be completed.

다음, 제어반의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ON 조작하게 되면, 이후 이물질 제거, 세척, 탈수, 헹굼, 건조 등의 작업이 아래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Next, when the operation switch (not shown) of the control panel is turned ON, operations such as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washing, dehydration, rinsing, and drying are sequentially performed as follows.

1) 상기 지그 유니트(13)의 주변에 있는 세척수 분사노즐(미도시)에서 고압의 세척수가 신발에 분사되고, 따라서 신발에 뭍어 있는 흙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1)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is sprayed on the shoes from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not shown) in the vicinity of the jig unit 13, and thus, foreign matter such as soil on the shoes is removed.

2) 세척수 분사노즐의 세척수 분사 작동 정지 후, Y축 구동부(15)의 Y축 모터(30)가 정방향 작동하게 되면, 지그 유니트(13)가 하강 이동하여 세척수가 채워져 있는 세척조(16)의 내부에 잠기게 되고, 계속해서 유니트 회전용 모터(23)가 작동하게 되면, 지그 유니트(13)는 세척조(16) 내의 세척수 속에서 회전하게 되고, 공지의 세제가 풀어져 있는 세척수에 의해 지그 유니트(13) 상의 신발이 세척될 수 있게 된다. 2) After the washing water jetting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jetting nozzle is stopped, when the Y-axis motor 30 of the Y-axis driving unit 15 is op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jig unit 13 moves downward and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16 filled with the washing water When the motor for rotating the unit 23 continues to operate, the jig unit 13 rotates in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6, and the jig unit 13 is washed by washing water in which a known detergent is released. ) Shoes can be washed.

3) 유니트 회전용 모터(23)의 작동이 정지됨과 더불어 세척조(16) 내에서 세척수에 의한 세척 완료 후, Y축 구동부(15)의 Y축 모터(30)가 역방향 작동하게 되면, 지그 유니트(13)가 상승 이동하여 세척조(16)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렇게 지그 유니트(13)가 상승 위치된 상태에서 지그 유니트(13)의 주변에 있는 세척수 분사노즐(미도시)에서 재차 고압의 세척수가 신발에 분사되고, 따라서 신발에 뭍어 있는 잔류 세제 등이 제거되면서 신발의 헹굼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3) When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 for rotating the unit is stopped and the washing with the washing water is completed in the washing tank 16, when the Y-axis motor 30 of the Y-axis driving unit 15 oper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jig unit ( 13) is moved upward to escape from the washing tank (16), and in this state,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is returned to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not shown) in the vicinity of the jig unit 13 in the state where the jig unit 13 is positioned upward. It is sprayed on, and thus, the residual detergent on the shoe is removed, so that the shoe is rinsed.

4) 세척수 분사노즐의 세척수 분사 작동 정지 후, 유니트 회전용 모터(23)가 재차 작동하게 되고, 이때의 지그 유니트(13)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신발에 대한 탈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4) After the washing water jetting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jetting nozzle is stopped, the motor 23 for rotating the unit is operated again, and the jig unit 13 at this time rotates at a high speed, and as a result, a dewatering operation for the shoe is made. .

5) 탈수작업 완료 후, 유니트 회전용 모터(23)의 회전 작동이 정지됨과 더불어 열풍공급용 배관(22)을 통해 신발측에 열풍이 공급되면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5) After the dehydra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tor 23 for rotating the unit is stopped, and the hot air is supplied to the shoe side through the piping 22 for hot air supply, thereby drying.

이때의 열풍은 구동축(24), 주축(17), 분기축(18),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내부를 통해 공급된 후에 배출홀(21a,21b)을 통해 토출되어 신발 속으로 분사되므로, 신발 속은 물론 신발 겉 부분까지 단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hot air is supplied through the inside of the driving shaft 24, the main shaft 17, the branch shaft 18, and the shoe mounting jig 12,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21a, 21b and injected into the shoe, The inner part of the shoe and the outer part of the shoe can be dried in a short time.

6) 건조작업 완료 후, 출입구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어반(미도시)의 수납 및 인출용 스위치(미도시)를 재차 조작하게 되면, Z축 구동부(14)의 Z축 모터(25)가 정방향 작동하면서 Y축 구동부(15)를 포함하는 지그 유니트(13) 전체가 세척기 본체(11)의 출입구(10)를 통해 밖으로 인출되고, 이렇게 지그 유니트(13)가 세척기 본체(11)의 외부로 인출되면, 지그 유니트(13)의 신발장착용 지그(12)에 거치되어 있는 신발, 즉 세척과 건조가 완료된 신발을 취출하는 것으로 신발 세척작업의 한 사이클을 완료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신발 세척작업의 한 사이클은 대략 30분 정도 소요될 수 있게 된다. 6) After completion of the drying operation, when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panel (not shown) is operated again when the entrance door is opened, the Z-axis motor 25 of the Z-axis driving unit 14 While oper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entire jig unit 13 including the Y-axis driving unit 15 is drawn out through the entrance 10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and thus the jig unit 13 is external to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When withdrawn, it is possible to complete one cycle of the shoe washing operation by taking out the shoes mounted on the jig 12 for mounting shoes of the jig unit 13, that is, the shoes that have been washed and dried. One cycle can take approximately 30 minut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투화, 운동화, 등산화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신발을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세척 및 건조하기 위하여, 신발의 세팅을 위한 지그 유니트, 신발의 세척을 위한 세척 유니트, 신발의 건조를 열풍 유니트 등을 조합하여 신발 투입에서부터 세척, 탈수, 건조, 신발 취출까지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신발 자동 세척기를 제공함으로써, 대량의 신발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고, 신발 겉은 물론 신발 속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등 세척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우수한 세척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asily wash and dry various types of shoes, such as combat shoes, sneakers, and hiking shoes, in a short time, a jig unit for setting shoes, a washing unit for washing shoes, and a hot air unit for drying shoes Combining the back to provide a new type of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that can perform the entire process from shoe input to washing, dehydration, drying, and shoe taking out by an automated process, so that a large amount of shoes can be quickly washed and the shoe outer surf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leaning operation, such as cleaning every corner of the shoe cleanly, and at the same time ensure excellent cleaning quality.

10 : 출입구 11 : 세척기 본체
12 : 신발장착용 지그 13 : 지그 유니트
14 : Z축 구동부 15 : Y축 구동부
16 : 세척조 17 : 주축
18 : 분기축 19 : 클램프
20 : 유입홀 21a,21b : 배출홀
22 : 열풍공급용 배관 23 : 유니트 회전용 모터
24 : 구동축 25 : Z축 모터
26 : Z축 스크류 27 : 베이스 플레이트
28 : Z축 너트 29 : Z축 리니어모션
30 : Y축 모터 31 : Y축 스크류
32 : 암 33 : Y축 너트
34 : Y축 리니어모션 35 : 세척조 도어
36 : 빔 37 : 메카니칼씰
38a,38b,38c : 스크류 브라켓 39 : 모터 브라켓
40 : 너트 브라켓 41 : 포스트
42a,42b : 풀리 43 : 세척수 펌프
44 : 세척수 배관 45 : 도어 프레임
46 : 도어 레일 47 : 상향 걸림판
48 : 세척조 도어 구동부 49 : 도어 구동부 모터
50a,50b : 피동 스프로킷 51 : 체인
52 : 어댑터 53 : 스토퍼 블록
10: doorway 11: washer body
12: Jig for mounting shoes 13: Jig unit
14: Z-axis driving unit 15: Y-axis driving unit
16: washing tank 17: main shaft
18: branch axis 19: clamp
20: inlet hole 21a, 21b: outlet hole
22: hot air supply pipe 23: unit rotation motor
24: drive shaft 25: Z-axis motor
26: Z-axis screw 27: base plate
28: Z-axis nut 29: Z-axis linear motion
30: Y-axis motor 31: Y-axis screw
32: arm 33: Y-axis nut
34: Y-axis linear motion 35: Washing tank door
36: beam 37: mechanical seal
38a, 38b, 38c: Screw bracket 39: Motor bracket
40: nut bracket 41: post
42a, 42b: Pulley 43: Washing water pump
44: washing water piping 45: door frame
46: door rail 47: upward locking plate
48: washing tank door driving unit 49: door driving unit motor
50a, 50b: driven sprocket 51: chain
52: adapter 53: stopper block

Claims (8)

신발 투입 및 취출을 위한 전면의 출입구(10)를 가지면서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 세척기 본체(11);
상기 세척기 본체(11)의 내부 중간측에 설치되고 신발 장착을 위한 복수 개의 신발장착용 지그(12)를 가지는 지그 유니트(13);
상기 세척기 본체(11)의 내부 상측과 후측에 설치되고 지그 유니트(13)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한 Z축 구동부(14) 및 Y축 구동부(15);
상기 세척기 본체(1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세척수 저장을 위한 세척조(16);
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 유니트(13)는 수직 자세로 위치되는 주축(17)과, 상기 주축(17)에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수 개의 분기축(18)과, 상기 각 분기축(18)의 단부에 설치되는 신발장착용 지그(12)와, 상기 신발장착용 지그(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신발을 고정시켜주는 클램프(19)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장착용 지그(12)는 신발 형상을 이루는 바닥체(12a) 및 덮개체(12b)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바닥체(12a)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입홀(20)과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배출홀(21a)을 가지면서 분기축(18)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체(12b)는 판체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홀(21a)을 가지면서 바닥체(12a)의 상부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지그 유니트(13)의 주축(17)과 분기축(18)은 중공의 축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통하게 되고, 상기 분기축(18)은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바닥체(12a)에 있는 유입홀(20)을 통해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내부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지그 유니트(13)의 주축(17)과 연결되는 중공의 구동축(24)의 상단부에는 메카니칼씰(37)을 매개로 한 열풍공급용 배관(22)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신발은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신발장착용 지그(12)에 끼우고, 이때에는 신발장착용 지그(12)가 신발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면서 신발 속의 바닥면이 신발장착용 지그(12)의 덮개체(12b)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클램프(19)를 조작하여 신발을 신발장착용 지그(12)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세척기.
A washing machine body 11 made of a frame structure while having a front entrance 10 for putting in and taking out shoes;
A jig unit 13 installed on the inner middl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shoe mounting jigs 12 for mounting shoes;
A Z-axis driving unit 14 and a Y-axis driving unit 15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and rear sides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 and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jig unit 13;
A washing tank 16 installed at an inner lower side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11 to store washing water;
Including,
The jig unit 13 is a main shaft 17 positioned in a vertical posture, a plurality of branch shafts 18 extending radially from the main shaft 17, and installed at an end of each branch shaft 18 It includes a shoe mounting jig 12 and a clamp 19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hoe mounting jig 12 to fix the shoe,
The shoe mounting jig 12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bottom body 12a and a cover body 12b constituting a shoe shape, and the bottom body 12a has an inlet hole 20 and an edge circumferen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ranch shaft 18 whil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1a) formed along, the cover body (12b)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1a) through the plate body thickness and the bottom body ( 12a)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bolted structure,
The main shaft 17 and the branching shaft 18 of the jig unit 13 are made of a hollow shaf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branching shaft 18 flows into the bottom 12a of the jig 12 for shoe mounting.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hoe mounting jig 12 through the hole 20, the upper end of the hollow drive shaft 24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7 of the jig unit 13 is mediated by a mechanical seal 37. One hot air supply pipe 22 is connected and installed,
The shoes are fitted in the shoe mounting jig 12 in an upside-down state, and at this time, while the shoe mounting jig 1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hoe,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is covered with the shoe mounting jig 12 (12b) The automatic washing machine for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and the clamp 19 is operated to securely fix the shoes on the shoe mounting jig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 유니트(13)의 회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유니트 회전용 모터(23)와, 상기 유니트 회전용 모터(2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과 더불어 지그 유니트(13)의 주축(17)과 연결되는 중공의 구동축(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a means for the rotation of the jig unit 13, the rotation unit receives the power of the motor 23 for rotation, and the unit rotation motor 23 and rotates, and the main shaft 17 of the jig unit 13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low drive shaft (24) to be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Z축 구동부(14)는 Z축 모터(25)와, 상기 Z축 모터(25)의 축에 연결되는 Z축 스크류(26)와, 지그 유니트(13)가 지지되어 있는 Y축 구동부(15)측의 베이스 플레이트(27)에 연결되는 Z축 너트(28)와, 지그 유니트(13)를 포함하는 Y축 구동부(15) 전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Z축 리니어모션(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Z-axis driving unit 14 includes a Z-axis motor 25, a Z-axis screw 26 connected to an axis of the Z-axis motor 25, and a Y-axis driving unit 15 in which the jig unit 13 is supported. ) Z-axis nut 28 connected to the base plate 27 on the side, and Z-axis linear motion 29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entire Y-axis driving unit 15 including the jig unit 13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Y축 구동부(15)는 Y축 모터(30)와, 상기 Y축 모터(30)의 축에 연결되는 Y축 스크류(31)와, 상기 지그 유니트(13)가 지지되어 있는 Y축 구동부(15)측의 암(32)에 연결되는 Y축 너트(33)와, 지그 유니트(13)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Y축 리니어모션(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Y-axis driving unit 15 includes a Y-axis motor 30, a Y-axis screw 31 connected to an axis of the Y-axis motor 30, and a Y-axis driving unit in which the jig unit 13 is supported ( 15) Y-axis nut 33 connected to the arm 32 on the side, and a Y-axis linear motion 34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jig unit 13, automatic shoe washing mach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16)는 개폐가능한 세척조 도어(35)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조 도어(35)는 세척조 도어 구동부(48)에 의해 동작하면서 슬라이드식으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개폐되는 복수 개의 단위 세척조 도어(35a∼35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tank 16 includes a washing tank door 35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washing tank door 35 is operated by the washing tank door driving unit 48 and is opened or closed by sliding or overlapping a plurality of unit washing tank doors 35a. Automatic washing machine for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35d).
KR1020180084523A 2018-07-20 2018-07-20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02119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23A KR102119473B1 (en) 2018-07-20 2018-07-20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23A KR102119473B1 (en) 2018-07-20 2018-07-20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41A KR20200009741A (en) 2020-01-30
KR102119473B1 true KR102119473B1 (en) 2020-06-05

Family

ID=6932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23A KR102119473B1 (en) 2018-07-20 2018-07-20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47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811A (en) * 1998-11-09 2000-05-23 Asuka Medical:Kk Footware washing machine
CN204839406U (en) * 2015-07-17 2015-12-09 安徽理工大学 Shoe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6908B1 (en) * 1991-05-28 1993-08-20 Ski 2 METHOD FOR WASHING AND DISINFECTING FOOTWEA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ME.
KR20030084076A (en) 2002-04-24 2003-11-01 오윤식 Automatic shoes washing machine
KR20030084308A (en) 2002-04-26 2003-11-01 이강오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00449014B1 (en) * 2002-08-31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device for sho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811A (en) * 1998-11-09 2000-05-23 Asuka Medical:Kk Footware washing machine
CN204839406U (en) * 2015-07-17 2015-12-09 安徽理工大学 Shoe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41A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6359C2 (en) Machine for cleaning, washing, drying and ironing of laundry and clothes
KR102120762B1 (en) Shoe washing machine
KR10242164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80289237A1 (en) Shoe-Washing Device
KR20120078277A (en) Dishwasher
US10753033B2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CN106319865B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R201815379T4 (en) SHOWERS, COMBINED BATHTUB - SHOWER AND SIMILAR SYSTEM FOR SANITARY INSTALLATION ACCESSORIES
JP4241260B2 (en) Washing system, rotary washing machine used therefor, and super basket washing method
KR20150093375A (en) washimg apparatus for machinery part
KR102119473B1 (en) Shoes automatic washing machine
CN106319821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33948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634171B1 (en) Washing machine
KR102343467B1 (en) Dishwasher
KR20140110195A (en) Recycling drum cleaning system and cleaning method
KR20070026923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14166595A (en) Washing machine
KR100197674B1 (en) A washing device for shoes insole
CN109402933B (en) Cleaning device
CN206434293U (en) Automatic shoe cleaning dryer
KR101146275B1 (en) Circulation apparatus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200111916A (en) Shoes washing apparatus
WO2017215421A1 (en) Shoe-washing apparatus
IT9067331A1 (en) DISHWASHER MACHINE PERFEC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