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210B1 -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210B1
KR102119210B1 KR1020180107182A KR20180107182A KR102119210B1 KR 102119210 B1 KR102119210 B1 KR 102119210B1 KR 1020180107182 A KR1020180107182 A KR 1020180107182A KR 20180107182 A KR20180107182 A KR 20180107182A KR 102119210 B1 KR102119210 B1 KR 102119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atsc
data
mpe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718A (ko
Inventor
엄희상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비스 filed Critical (주)에이티비스
Priority to KR102018010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2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ATSC 1.0 표준 등을 이용하는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MPEG-TS 인코더를 ATSC 3.0 UHD 기반 신규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에 있어서,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디멀티플렉싱 단계; 디멀티플렉싱 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변환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스트림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TRANSCO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PATIBILITY FROM MPEG-TS STREAM TO IP PACKET BASED ON ATSC 3.0}
본 발명은 차세대 UHD 방송 시스템을 위한 이종 코덱 간의 트랜스코딩 기술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ATSC 1.0 표준을 포함하는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포맷인 MPEG-TS 스트림을 IP 패킷으로 변환하되, ATSC 3.0 표준 규격에 호환될 수 있도록 중계하여, 기존의 방송용 인코더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인코더 개발 업체의 중복 개발을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ATSC는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으로서, 개발된 표준은 미국, 캐나다, 멕시코, 우리나라 등의 방송 표준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1996년 처음 제정된 ATSC 1.0 표준은 고도화 텔레비전(ATV: Advanced TeleVision) 방식을 공모하여 선정된 방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공모된 여러 방식 중 4개 디지털 방식을 선정한 후에 4개 제안자에 대하여 4개 방식을 통합한 최적 방식을 작성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 요청에 따라 작성된 대연합 ATV(Grand Alliance ATV) 방식이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의 승인을 받아 1996년 5월에 미국의 차세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식의 기술 표준으로 결정되었다. 8 단계 잔류 측파대(8-VSB) 변조 방식이 채용되었고, 고선명(HD) 비디오 포맷으로 720p와 1080i가 지원되었다.
최근에는 고화질, 수신 환경의 다양화에 맞추기 위해서 UHD 방송 표준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해서 2016년 개발된 ATSC 3.0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Pearl, Sinclair 방송 그룹사의 경우 ATSC 3.0 방식을 이용한 시험 송출을 시작하고 있다.
ATSC 1.0의 경우 AV신호(Audio & Video)신호를 인코더를 통해서 MPGE-TS(MPEG Transport Stream)으로 가공하여 전송하고, 이를 전용 멀티플렉서(Multiplexer) 및 ATSC 1.0 RF 모듈레이터(Modulator)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ATSC 1.0 표준을 포함한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MPEG-TS 스트림이 전송용 스트림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ATSC 3.0의 경우 AV 신호를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또는 MMT(MPEG Media Transport) 인코더를 통해서 IP(Internet Protocol) 패킷화하여 IP 베이스로 전송하고, 이를 ATSC 3.0 표준의 멀티플렉서, 게이트웨이(Gateway) 및 RF 모듈레이터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즉, ATSC 3.0 표준을 적용하여 UHD 방송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코더가 아닌 해당 표준 전용의 인코더 및 방송 출력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고, 전용 기기가 적용이 되어야만 ATSC 3.0 표준의 방송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상술한 기존의 ATSC 1.0 표준을 포함한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MPEG-TS 인코더 등의 기기를 전부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장비의 폐기 및 신 장비의 적용을 위한 비용 문제 및 인코더 개발 업체의 중복 개발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이와 관련된 기술들로서, 한국 등록특허 10-1166427호 등에서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등의 이전의 디지털 방송을 위한 신호 변조 기술만이 기재되어 있어, 구체적으로 ATSC 1.0 표준을 포함한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방송 신호를 ATSC 3.0 표준으로 변환하는 기술이 없으므로, 기존의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MPEG-TS 인코더를 이용한 ATSC 3.0 표준 방송 신호 송출 및 이를 이용한 방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ATSC 1.0 표준 등을 이용하는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 MPEG-TS 인코더를 ATSC 3.0 UHD 기반 신규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인코더를 재사용하여 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인코더 개발 업체의 중복 개발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에 있어서,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디멀티플렉싱 단계; 상기 디멀티플렉싱 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스트림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PCR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럭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럭 신호를 외부 클럭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ATSC 3.0 클럭 신호로 변환하는 클럭 변환 단계; 상기 AV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ES(Elementry Stream)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ES 데이터와 상기 클럭 변환 단계에 의하여 변환된 ATSC 3.0 클럭 신호를 결합하여 ATSC 3.0 기반의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을 생성하는 BMFF 스트림 생성 단계; 및 상기 BMFF 스트림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선택 적용하여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는, DASH/ROUTE 제너레이터(Generator)를 이용하여 상기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적용하여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는, MMT(MPEG Media Transport)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BMFF 스트림을 MMT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트림 송출 단계는,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에 의하여 변환된 ROUTE 스트림 및 MMT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IP 스트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IP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IP 스트림을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트림 송출 단계는,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에 의하여 변환된 ROUTE 스트림 및 MMT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ALP(ATSC 3.0 Link Layer Protocol) 스트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ALP-TP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ALP-TP 스트림을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는, 상기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적용 시, 상기 PSIP 정보를 분석하여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EPG 정보를 상기 BMFF 스트림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에 있어서,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디멀티플렉싱 모듈; 상기 디멀티플렉싱 모듈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스트림 송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MPEG-TS로 가공된 전송용 codec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을 추출하고, 이를 ATSC 3.0 기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가공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출력된 스트림을 IP 패킷화하여 IP 기반으로 전송함으로써,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 ATSC 1.0 표준을 포함한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 MPEG-TS 인코더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서 방송 표준 전환기에 있어서 기존의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 MPEG-TS 인코더를 그대로 ATSC 3.0 기반의 표준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인코더를 재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인코더 개발 업체의 중복 개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의 세부 구성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에 있어서, 먼저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디멀티플렉싱 단계(S10)가 수행된다.
MPEG-TS 스트림은 상술한 바와 같이, ATSC 1.0 표준을 포함하는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전송용 코덱에 대응되는 스트림으로서, 방송사에서 생성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인코딩된 전송용 스트림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인코더 및 스트림 생성 기술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ATSC 1.0 표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ATSC 1.0 표준은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표준의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MPEG-TS 스트림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인 AV 데이터 이외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클럭 신호로서 상술한 PCR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편성 정보 등 방송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PSIP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S10 단계는 TS에 대한 디멀티플렉서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MPEG-TS 스트림을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로 분해 및 분석하여, ATSC 3.0 표준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전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컴퓨팅 장치는, 디멀티플렉싱 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S20)를 수행하게 되고, 이후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 즉 IP 패킷화하여 송출하는 스트림 송출 단계(S30)를 수행해게 된다.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데이터는 기존의 MPEG-TS 코덱의 데이터로서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변환 단계(S20)를 거쳐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ATSC 3.0 표준에서 IP 패킷화를 통해 IP 기반의 송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PCR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럭(Clock)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럭 신호를 외부의 클럭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ATSC 3.0 클럭 신호로 변환하는 클럭 변환 단계(S21)를 수행한다.
PCR 데이터는 클럭 분석기(Clock Analysis Device)를 이용하여 클럭 신호가 추출될 수 있고, 추출된 클럭 신호에는 ATSC 3.0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클럭 정보를 ATSC 3.0 기반의 클럭 신호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클럭 정보에 대해서 ATSC 3.0 기반의 클럭 제너레이터를 적용하되,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에서 추출된 클럭 정보를 ATSC 3.0 기반의 클럭 제너레이터에 적용하기 위해서 외부의 클럭 기준 정보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ATSC 3.0 기반의 클럭 제너레이터에는 외부의 클럭 기준 정보로서,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NTP 클럭(Network Time Protocol) 클럭 및 PTP(Precision Time Protocol) 클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ATSC 3.0 표준 기반의 클럭 신호가 ATSC 1.0 표준 등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클럭 신호를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후, AV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ES(Elementry Stream)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ES 데이터와 클럭 변환 단계(S21)에 의하여 변환된 ATSC 3.0 클럭 신호를 결합하여 PES(Packetized ES) 포맷등 ATSC 3.0 기반의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을 생성하는 BMFF 스트림 생성 단계(S22)가 수행된다.
ES 데이터는 AV 인코더에서 나온 순수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순수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를 가공하여 ATSC 3.0 기반의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ES 단위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는 IPB 프레임마다 가변길이를 가지나 오디오 데이터는 고정 길이를 갖게 된다.
이를 ATSC 3.0 기반의 AV 스트림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AV 데이터에 ATSC 3.0 기반의 클럭 신호를 결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S22 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ES 데이터와 ATSC 3.0 클럭 신호를 결합하여 스트림을 생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때 생성되는 스트림은 PES 포맷 등 ATSC 3.0 기반의 BMFF 스트림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ATSC 3.0 기반의 BMFF 제너레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PES 포맷은 ES 데이터를 각자 패킷화한 데이터로서, PES 단위로는 고정 사이즈의 PES 패킷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술한 IPB 단위로 끊어서 패킷화하는 것이 아니라 용량 기준으로 패킷화하게 된다. BMFF 스트림은 파일 기반의 실시간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후술하는 MMT(MPEG Media Transport) 기반의 기술에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스트림을 의미한다.
S22 단계에 의하여 BMFF 스트림이 생성되면, 이후 컴퓨팅 장치는 생성된 BMFF 스트림에 상술한 PSIP 정보를 선택 적용하여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변환 단계(S23)를 수행한다.
이때 PSIP 정보를 선택 적용함은 ATSC 3.0 규격의 전송용 코덱으로서, IP 패킷 스트림 또는 ALP-TP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트림으로서 ROUTE 스트림 또는 MMT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서 BMFF 스트림에 PSIP 정보를 적용하는 것을 결정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도 3을 참조하면 S23 단계는 DASH/ROUTE 제너레이터(Generator)를 이용하여 BMFF 스트림에 PSIP 정보를 적용하여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S231)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S23 단계는 MMT(MPEG Media Transport)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BMFF 스트림을 MMT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S232)가 될 수 있다.
ATSC 3.0 북미 표준 및 이를 이용한 국내 UHD 방송 표준에서는 방송망을 통해서는 MPU를 전송하는 MMT 전송 프로토콜과 DASH 세그먼트(Segment) 및 NRT 파일들을 전송하는 DASH/ROUTE 전송 프로토콜 두 가지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ROUTE는 ROUTE란 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의 줄임말이다. ROUTE라는 전송 프로토콜이 ATSC 3.0 전송 프로토콜로 제안된 배경은 기존의 방송 표준에서 사용해 오던 M2TS 포맷 대신, 브로드밴드망에서 Adaptive Streaming을 위해 사용되는 DASH segment를 방송망에서도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하이브리드 서비스 구현에 보다 높은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ASH segment는 ISO BMFF 파일 형식을 따르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ROUTE packet들은 브로드밴드망으로 전송되는 DASH segment와 같다. ROUTE는 실시간으로 DASH segment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파일을 전송하는 FLUTE 이라는 전송 프로토콜을 확장한 방식이다.
한편, MMT는 MPEG에서 개발된 IP 기반 저지연(low latency) 미디어 전송 기술로 2014년 6월에 ISO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기술이다.
이와 같이 BMFF 스트림을 ATSC 3.0 기반의 전송용 코덱으로 변환하기 위한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최종적으로 ATSC 3.0 기반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스트림을 변환하게 된다.
이때 PSIP 정보를 BMFF 스트림에 적용하기 위해서 DASH/ROUTE 제너레이터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DASH/ROUTE 제너레이터에 적용 가능한 정보로 ATSC 1.0 표준 등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PSIP 정보를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BMFF 스트림에 PSIP 정보를 적용 시, PSIP 정보를 분석하여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EPG 정보를 BMFF 스트림에 적용하게 된다. ATSC 3.0 기반의 IP 또는 ALP(ATSC 3.0 Link Layer Protocol)-TP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송출함으로써 이후 이를 RF 방송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의 수행 이후, S30 단계에 있어서, 상술한 도 3 및 4의 실시예에 의하여 생성된 ROUTE 스트림 및 MMT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IP 스트림으로 변환하거나, ALP-TP 스트림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IP 스트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ROUTE 스트림 및 MMT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IP 패킷화하여 IP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이를 송출하여 이후의 분석을 통해서 RF 방송 신호로 출력하게 하거나, ALP 스트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ALP-TP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이를 송출하여 이후 RF 방송 신호로 출력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ATSC 1.0 표준 등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전송용 스트림을 본 발명을 구현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전송받아서, 상술한 기능의 수행에 의해서 ATSC 3.0 표준 기반의 전송용 스트림, 즉 IP 패킷화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 ATSC 1.0 표준 등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전송 신호인 MPEG-TS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 ATSC 1.0 표준 등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인코더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서 방송 표준 전환기에 있어서 기존의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인코더를 그대로 ATSC 3.0 기반의 표준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인코더를 재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인코더 개발 업체의 중복 개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에서는, 인코딩 모듈(20)을 통해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TS 인코더(21)를 통해서 MPEG-TS 코덱의 스트림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후 TS 멀티플렉서(40) 및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RF 모듈레이터(41)를 통해서 RF 방송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ATSC 3.0 표준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UTE 또는 MMT 인코더(50)를 통해서 IP 스트림 또는 ALP-TP 스트림으로 IP 패킷화되어 전송용 스트림이 생성되어 전송되고, 이를 방송 송출단(30)에서는 ATSC 3.0 기반의 멀티플렉서(31), ATSC 3.0 기반의 게이트웨이(32) 및 ATSC 3.0 기반의 RF 모듈레이터(33)를 통해 RF 방송 신호가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10, 이하 장치라 함)를 이용하여, 인코딩 모듈(20)과 방송 송출단(30) 사이에서 MPEG-TS 신호를 수신하여 IP 패킷화하여 송출하도록 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여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전송용 스트림인 MPEG-TS 스트림을 ATSC 3.0 기반의 전송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1세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인코더를 ATSC 3.0 기반의 방송 시스템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의 세부 구성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설명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과 도 7을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10)는 디멀티플렉싱 모듈(11), 변환 모듈(12) 및 스트림 송출 모듈(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멀티플렉싱 모듈(11)은 TS 디멀티플렉서(11)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상술한 도 1 내지 4의 S10 단계의 기능 수행, 즉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210)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환 모듈(12)은 디멀티플렉싱 모듈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 내지 4에 있어서 S20, S21, S22, S23, S231, S232 단계의 기능 수행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변환 모듈(12)은 상술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분석, ES 디코더, PSIP 분석 등의 구성과, ATSC 3.0 클럭 생성기(제너레이터, 121), BMFF 생성기(제너레이터, 122), DASH/ROUTE 생성기(제너레이터, 123) 및 MMT 생성기(제너레이터, 124)를 세부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의 기능은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스트림 송출 모듈(13)은 변환 모듈(12)에 의하여 생성된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500)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있어서 S30 단계의 기능 수행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스트림 송출 모듈(13)은 IP 스트림 생성기(제너레이터, 131) 및 ALP-TP 생성기(제너레이터, 132)를 세부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고, 각 세부 구성의 기능은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에 있어서,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디멀티플렉싱 단계;
    상기 디멀티플렉싱 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스트림 송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PCR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럭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럭 신호를 외부 클럭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ATSC 3.0 클럭 신호로 변환하는 클럭 변환 단계;
    상기 AV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ES(Elementry Stream)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ES 데이터와 상기 클럭 변환 단계에 의하여 변환된 ATSC 3.0 클럭 신호를 결합하여 ATSC 3.0 기반의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을 생성하는 BMFF 스트림 생성 단계; 및
    상기 BMFF 스트림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선택 적용하여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는,
    DASH/ROUTE 제너레이터(Generator)를 이용하여 상기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적용하여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는,
    MMT(MPEG Media Transport)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BMFF 스트림을 MMT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5.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송출 단계는,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에 의하여 변환된 ROUTE 스트림 및 MMT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IP 스트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IP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IP 스트림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6.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송출 단계는,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에 의하여 변환된 ROUTE 스트림 및 MMT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ALP(ATSC 3.0 Link Layer Protocol) 스트림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ALP-TP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ALP-TP 스트림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는,
    상기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적용 시, 상기 PSIP 정보를 분석하여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EPG 정보를 상기 BMFF 스트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에 있어서,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디멀티플렉싱 모듈;
    상기 디멀티플렉싱 모듈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스트림 송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 모듈은,
    상기 PCR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럭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럭 신호를 외부 클럭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ATSC 3.0 클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AV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ES(Elementry Stream)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ES 데이터와 변환된 ATSC 3.0 클럭 신호를 결합하여 ATSC 3.0 기반의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선택 적용하여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장치.
  9.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변환을 위해 수신한 MPEG-TS 스트림을 AV(Audio & Video) 데이터, PCR(Program Clock Reference) 데이터 및 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rotocal) 정보로 분석하는 디멀티플렉싱 단계;
    상기 디멀티플렉싱 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AV 데이터, PCR 데이터 및 PSIP 정보를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ATSC 3.0 규격 스트림을 방송 송출용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스트림 송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PCR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럭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럭 신호를 외부 클럭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ATSC 3.0 클럭 신호로 변환하는 클럭 변환 단계;
    상기 AV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ES(Elementry Stream)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ES 데이터와 상기 클럭 변환 단계에 의하여 변환된 ATSC 3.0 클럭 신호를 결합하여 ATSC 3.0 기반의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스트림을 생성하는 BMFF 스트림 생성 단계; 및
    상기 BMFF 스트림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BMFF 스트림에 상기 PSIP 정보를 선택 적용하여 ATSC 3.0 규격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스트림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80107182A 2018-09-07 2018-09-07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19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82A KR102119210B1 (ko) 2018-09-07 2018-09-07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82A KR102119210B1 (ko) 2018-09-07 2018-09-07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18A KR20200028718A (ko) 2020-03-17
KR102119210B1 true KR102119210B1 (ko) 2020-06-04

Family

ID=7000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182A KR102119210B1 (ko) 2018-09-07 2018-09-07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2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815B1 (ko) * 2014-08-08 2015-12-15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디지털 방송용 스트림 발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462A (ko) * 2016-12-16 2018-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sc 3.0 디지털 tv 방송 재전송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815B1 (ko) * 2014-08-08 2015-12-15 주식회사 마루이엔지 디지털 방송용 스트림 발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18A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7562B2 (en) Auxiliary manifest file to provide timed metadata
US20170262265A1 (en) Converting source code
US20160182593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s for improving coding of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data
US20140351871A1 (en) Live media processing and streaming service
US2015001996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edia-on-Demand-Based Channel Changing
US10097790B2 (en) Carriage of PTP time reference data in a real-time video signal
JP6663437B2 (ja) Mmtpストリームをmpeg−2 tsに変換する方法及び装置
CN111182322B (zh) 一种导播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8509060A5 (ko)
KR102380673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im et al. Cloud‐based gaming service platform supporting multiple devices
JP2008245276A (ja) データ放送における伝送コードセットのシグナリング方法及び装置
US20220150442A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2119210B1 (ko)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7925790B (zh) 接收设备、发送设备和数据处理方法
KR102226834B1 (ko) 클럭 정보 생성을 통한 mpeg-ts 스트림의 atsc 3.0 기반의 ip 패킷 호환을 위한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60149150A (ko)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JP2018509862A (ja) 基地局連動ノード及びこれを介した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提供方法
Anufrienko Appliances of smart TV as an IoT device for Industry 4.0
US8973082B2 (en) Interactive program system
KR102153554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True et al. COTS (commercial-off-the-shelf) platform for media production everywhere
KR101746378B1 (ko) 휴대 단말을 통한 융합방송 모니터링 장치 및 융합방송 모니터링이 가능한 휴대 단말
US118247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in a distributed system
Venkatraman et al. MMT+ AVR: enabling collaboration in augmented virtuality/reality using ISO's MPEG media trans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